KR200142506Y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506Y1
KR200142506Y1 KR2019960034221U KR19960034221U KR200142506Y1 KR 200142506 Y1 KR200142506 Y1 KR 200142506Y1 KR 2019960034221 U KR2019960034221 U KR 2019960034221U KR 19960034221 U KR19960034221 U KR 19960034221U KR 200142506 Y1 KR200142506 Y1 KR 200142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washing machine
upper cover
outside
communic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955U (ko
Inventor
감병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34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5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커버의 후방을 통해 설치되어 콘트롤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하네스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상부커버(20)의 후방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외부와 연계되도록 개방부(331)가 형성된 연통홈(330)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체하우징(10) 외부로 배선된 와이어하네스(40)의 외주연 일부가 개방부(331)를 통해 연통홈(330)에 끼우고 빼기가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의 배선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작업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트롤부가 마련되며 본체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조작부에 세탁, 헹굼 그리고 배수 및 탈수 등의 행정을 미리 프로그램화 시켜두고, 이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세탁, 구동 제어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일반적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 몸체를 이루며 하부에매인PCB판(미도시)이 설치된 본체하우징(10)과 이를 덮는 상부커버(20)로 크게 이루어진다. 본체하우징(10)에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에 세탁에 필요한 일정량의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미도시), 정역회전이 가능한 펄세이터(미도시)를 갖춘 세탁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커버(20)는 본체하우징(10)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내는 인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접철되면서 작동하여 인출구를 개폐하는 뚜껑(21), 세탁기의 전기능을 조작할수 있도록 PCB판(미도시)이 내장된 콘트롤부(22)가 전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커버(20)의 후방에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 급수밸브(미도시) 등이 설치되는 별도의 부품실(30)이 형성되며, 이의 저면부(31)와 측면부(32)에는 와이어하네스(WIRE-HARNESS,40)의 배선을 위해 본체케이스(10)의 내부와 연통된 사각형상의 연통공(33)과 삽입공(34)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매인PCB판(미도시)은 외부전원과 접속된 파워코드선(미도시)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콘트롤부(22)의 PCB판(미도시)은 매인PCB판(미도시)에서 분기되어 다수의 연결단자(41)들로 구성된 와이어하네스(4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데, 와이어하네스(40)의 배선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하네스(40)는 일단이 매인PCB판(미도시)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다수의 연결단자(41)들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하우징(10)의 상부에 상부커버(20)가 결합될 때, 이러한 와이어하네스(40)의 타단부를 부품실(30)에 형성된 연통공(33)을 통해 본체하우징(10)과 상부커버(20) 외부로 빼내고, 계속하여 부품실(30) 측면부(32)의 삽입공(34)을 통해 다시 삽입되며 상부커버(20)의 내측면을 따라 배선됨으로써, 콘트롤부(21)의 PCB판(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선작업은 사각의 연통공(33)이 부품실(30)에 저면부(31)에 형성되어 있어서, 생산라인에서 상당한 애로사항을 유발하게 된다. 즉, 상부커버(20)가 결합될 때 작업자는 다수의 연결단자(41)들이 마련된 와이어하네스(40)를 외부로 빼내어야 하는데, 작은 크기의 연통공(33)을 통해 이러한 작업이 난해하게 수행됨으로써, 작업성이 저하되고 아울러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좀 더 수월하게 하려면 연통공(33)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면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부품실(30)에 다른 전장품을 설치하지 못하게 되고, 이를 관통하는 와이어하네스(40)가 자유롭게 방치되어 결손되는 또다른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커버의 후방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외부와 연계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연통홈을 형성함으로써, 본체하우징 외부로 배선된 와이어하네스의 외주연 일부가 개방부를 통해 연통홈에 삽탈되어 이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상부커버 후방을 개략적으로 보인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상부커버 후방을 개략적으로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상부커버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본체하우징 20..상부커버 330..연통홈 331..개방부 332..리브 40.,와이어하네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된 세탁기의 본체하우징, 콘트롤부가 마련되며 본체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 일단부가 본체하우징 내부와 결합되어 콘트롤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하네스, 상부커버의 후방에 형성되어 와이어하네스의 타단부가 본체하우징 외부로 배선되는 연통홈을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연통홈은 본체하우징 외부로 배선된 와이어하네스의 끼우고 빼기가 가능하도록 외부와 연계된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상부커버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통홈에 와이어하네스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연통홈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은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이 상부가 개구된 본체하우징(10)과 개구부를 덮고 뚜껑(21)과 콘트롤부(22)가 마련된 상부커버(20)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하우징(10)에는 수조(미도시)와 세탁조(미도시)가 설치되며 내저부에는 파워코드선(미도시)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최초로 공급되는 매인PCB판(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커버(20)에는 세탁기의 전기능을 조작하는 PCB판(미도시)이 내장된 콘트롤부(22)가 전면부에 설치되고, 이의 후방에는 수위감지센서(미도시), 급수밸브(미도시) 등이 설치되는 별도의 부품실(300)이 형성된다.
한편, 부품실(300)의 저면부(310) 외측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 와이어하네스(40)가 배선되는 연통홈(3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하네스(40)는 일단이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된 매인PCB판(미도시)과 결합되고 타단에는 다수의 연결단자(41)들로 구성된 전선뭉치로써, 콘트롤부(22)의 PCB판(미도시)과 기타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연통홈(330)은 본체하우징(10) 외부로 배선된 와이어하네스(40)를 부품실(300)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연통홈(330)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굽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와 연계된 개방부(331)가 구성되어 이를 통해 와이어하네스(40)의 일부가 끼우고 빼기가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 개방부(331)에는 탄성재질의 리브(332)가 구성되어 와이어하네스(4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체하우징(10) 외부로 배선된 와이어하네스(40)의 일부가 개방부(331)를 통해 연통홈(330)에 끼워지게 결합되는데, 이의 폭이 와이어하네스(4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없이도 와이어하네스(40)가 끼워져 고정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 상부커버(20)의 조립시 와이어하네스(40)의 배선작업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하네스(40)는 일단이 매인PCB판(미도시)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다수의 연결단자(41)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작업자는 우선 와이어하네스(40)의 타단부를 상부커버(20)가 결합되기 전에 본체하우징(10) 외부로 간단히 빼낸다. 그리고 상부커버(20) 후방에 형성된 개방부(331)를 통해 연통홈(330)에 끼운다. 이 때 개방부(331)에 형성된 리브(332)는 탄성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제로 밀어넣으면 간단히 내부로 결합할 수 있다. 계속하여 부품실(330) 측면부(320)의 삽입공(340)을 통해 상부커버(20) 내부로 밀어 넣어 내측면을 따라 배선, 콘트롤부(22)의 PCB판(미도시)과 연결함으로써, 여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결국 상부커버(20)가 결합될 때, 와이어하네스(40)의 배선작업이 외부와 연계되도록 개방부(331)가 형성된 연통홈(330)을 통해 수행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아울러 리브(332)와 연통홈(330)에 와이어하네스(40)가 꽉끼게 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없이도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상부커버의 후방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외부와 연계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연통홈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체하우징 외부로 배선된 와이어하네스의 외주연 일부가 개방부를 통해 연통홈에 끼우고 빼기가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배선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작업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상부가 개구된 세탁기의 본체하우징(10), 콘트롤부(22)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20), 일단부가 상기 본체하우징(10) 내부와 결합되어 상기 콘트롤부(22)로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하네스(40), 상기 상부커버(20)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하네스(40)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하우징(10) 외부로 배선되는 연통홈(330)을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연통홈(330)은 상기 본체하우징(10) 외부로 배선된 상기 와이어하네스(40)의 끼우고 빼기가 가능하도록 외부와 연계된 개방부(3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홈(330)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굽어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331)에는 상기 와이어하네스(40)의 이탈을 억제하는 탄성재의 리브(33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19960034221U 1996-10-17 1996-10-17 세탁기 KR200142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221U KR200142506Y1 (ko) 1996-10-17 1996-10-17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4221U KR200142506Y1 (ko) 1996-10-17 1996-10-17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955U KR19980020955U (ko) 1998-07-15
KR200142506Y1 true KR200142506Y1 (ko) 1999-06-01

Family

ID=1946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221U KR200142506Y1 (ko) 1996-10-17 1996-10-17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5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955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083B1 (ko) 세탁기
KR20090108635A (ko) 접근 가능한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및 그 방법
KR200142506Y1 (ko) 세탁기
KR102320194B1 (ko) 세탁기
KR101963249B1 (ko) 세탁기
KR100847559B1 (ko) 세탁기
JP3921812B2 (ja) 洗濯機
KR101144788B1 (ko) 세탁기의 커넥터구조
KR102629009B1 (ko) 세탁기
JPH05123492A (ja) 脱水兼用洗濯機
KR100208349B1 (ko) 세탁기
KR100264935B1 (ko) 드럼세탁기의 캐비넷커버의 방수구조
KR20000002174A (ko) 세탁기의 전원코드
KR101054426B1 (ko) 세탁기의 급수 장치
KR101100188B1 (ko) 가전기기
KR20040020719A (ko) 세탁기의 탑 플레이트와 컨트롤 패널 체결 구조
KR200150263Y1 (ko) 세탁기의 배선수납장치
KR20090024472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노이즈 필터 설치구조.
KR20070062282A (ko) Pcb기판에 결합되는 전원단 커넥터 구조
KR100222925B1 (ko) 세탁기용 상부커버
KR20030056074A (ko) 세탁기의 세제박스 하우징 구조
KR101054423B1 (ko) 세탁기의 전선 케이블 고정구조
KR101123311B1 (ko) 세탁기의 리셉터클 하우징 연결 구조
KR20070062287A (ko) Pcb기판에 결합되는 전원커넥터
KR0133325Y1 (ko) 플러그 걸이부재를 갖춘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