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423Y1 -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und floor panel - Google Patents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und floor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423Y1
KR200142423Y1 KR2019960024415U KR19960024415U KR200142423Y1 KR 200142423 Y1 KR200142423 Y1 KR 200142423Y1 KR 2019960024415 U KR2019960024415 U KR 2019960024415U KR 19960024415 U KR19960024415 U KR 19960024415U KR 200142423 Y1 KR200142423 Y1 KR 200142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flooring material
present
build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4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10938U (en
Inventor
권익환
홍성환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2019960024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423Y1/en
Publication of KR19980010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93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423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는 그 상부면이 사각형 구조를 이루고, 4모서리 및 중심에 이중 너트로 체결된 지지볼트를 갖고, 그 저부에는 중량을 최소화 하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로, 세로 및 방사선 방향의 복수개의 리브(rib)가 형성되고, BMC, SMC 또는 FRP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몰딩 화합물 또는 페놀계 몰딩 화합물로 성형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는 전화나 사무기기의 전선을 인출하기 위한 아웃렛 박스(outlet box)나 콘센트 박스를 설치하는 경우 그 박스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아웃렛 박스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looring material for building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quare structure at its top surface, and has four corners and supporting bolts fastened with a double nut at the center, and its bottom has horizontal, vertical and radiation directions for minimizing weight and maintaining strength. A plurality of ribs is formed,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molded from an unsaturated polyester-based molding compound such as BMC, SMC or FRP or a phenol-based molding compound. In addition, the flooring floor for the building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box groove so as to suit the size of the outlet box (outlet box) or outlet box for drawing out the wire of the telephone or office equipment.

Description

건물 플로아(floor)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for Building Floor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플로아(floor)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of a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for a building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종래의 건물 플로아(floor)용 바닥재의 저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a floor for a conventional building floor.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플로아(floor)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의 저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for building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플로아(floor)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의 지지볼트 및 너트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upport bolt and a nut of a floor of a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material for building fl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로서 아웃렛 박스(outlet box)가 삽입되는 홈을 나타내는 건물 플로아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for a building floor showing a groove into which an outlet box is insert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플로아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의 저면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ttom of the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material for building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상부면 2 : 저면1: top face 2: bottom face

3 : 지지볼트 구멍 5 : 지지볼트3: Support Bolt Hole 5: Support Bolt

6 : 볼트구멍 돌출부 7 : 리브(rib)6 bolt hole protrusion 7 rib

8 : +자형 머리 9 : -자형 머리8: + head 9:-head

10 : 하부너트 11 : 상부너트10: lower nut 11: upper nut

12 : 측면 13 : 아울렛 박스 홈12: side 13: outlet box groove

[고안의 분야][Field of design]

본 고안은 사무실 빌딩, 인텔리전트(intelligent) 빌딩 등의 건물 플로아(floor)에 사용되는 이중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은 BMC(bulk molding compound), SMC(Sheet Molding Compound) 또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몰딩(molding) 화합물로 제조되거나 페놀계 몰딩 화합물로 제조됨에 따라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로서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며 중량을 최소화하여 또한 각종 전선을 바닥재 밑으로 배선할 수 있도록 이중 바닥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나아가 시공이 간편한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floor used in a building floor of an office building, an intelligent building,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unsaturated polyester-based molding compound such as bulk molding compound (BMC), sheet molding compound (SMC), or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or a phenol-based molding compound. Floor flooring material has sufficient strength, minimizes the weight and also has a double floor structure for wiring various wires under the flooring material, and further relates to a building flooring material that is easy to construct.

[고안의 배경][Design background]

사무실 빌딩을 비롯하여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인텔리전트 빌딩등의 건물 플로아는 통상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1차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행하고 그 위에 2차로 몰타르를 타설하여 바닥면 마감 작업을 행한다. 이때,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가 사용된다. 즉 1차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행하고 그 위에 본 고안의 바닥재를 시공하거나 또는 2차로 몰타르를 타설한 후 그 위에 본 고안의 바닥재를 시공한다.Building floors such as office buildings, intelligent buildings, etc., which have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usually perform concrete pouring work first to form a floor surface, and then put mortar secondly on it to finish the floor surface. At this time, a floor for building floors is used. That is, the concrete is poured first, and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hereon, or the mortar is poured secondly, and then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hereon.

본 고안의 바닥재를 사용할 경우 일반 사무실에서 사무실의 구조에 따라 전화, 전기선과 같은 사무 및 통신기기의 전선의 배선이 용이하고 바닥재 하부에 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사무실 미관이 좋게 된다. 본 고안과 같은 바닥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바닥재 표면에 PVC 타일이나 카페트 등의 최종 바닥 마감재를 사용하여 건물 플로아의 시공을 완료한다.When th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office in the general office, the wiring of office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lephones and electric wires is easy to be wired and can be disposed under the flooring, so that the office looks good. In the case of using a flooring material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floor is completed by using a final floor finishing material such as PVC tiles or carpet on the flooring surface.

이러한 건물 풀로아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종래의 바닥재는 철재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되고 시공하기 위한 결합구조가 개선되지 못하여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철재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재로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지만 중량이 커져서 건물 전체에 많은 하중을 미치게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철재로 이루어지는 바닥재를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바닥재와 바닥재 사이에서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는 경우 소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종래의 철재로 이루어진 바닥재는 그 바닥재를 지탱하는 볼트 및 너트 구조가 단일의 볼트 및 너트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바닥재의 표면의 수평 조절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바닥재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결점과 소음이 발생하는 결점을 내포하고 있다.Conventional flooring material used as a flooring of the building pulloa has many problems because the bonding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of steel or concrete is not improved. In other words, it is made of steel or concrete, but maintains sufficient strength as a flooring material, but has a drawback in that a heavy weight exerts a large load on the entire building. In addition, because the flooring made of steel continuously coupled adjacently, noise is generated when a physical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flooring and the flooring material from the outside. Conventional steel flooring has a single bolt and nut structure that supports the flooring, so that the flooring is not firmly fixed when the surface of the flooring is not perfectly leveled. There are drawbacks that ari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특허 제5245838호와 제8543225호에서는 고분자 복합재료를 적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는 강도는 우수하나 무게가 많이 나가는 단점이 있어 실제 적용이 어렵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Japanese Patent Nos. 5,258,583 and 85,433,225 have been proposed to apply a polymer composite material. However, the polymer composite flooring material is excellent in strength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weight is difficult to apply.

따라서 본 고안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닥재가 갖는 결점을 제거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닥재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e to develop th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eliminate the defects of the conventional flooring as described above.

[고안의 목적][Purpose of designation]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재로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건물 플로아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material for building floors having sufficient strength as flooring material.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잇도록 특수 형태를 갖는 건물 플로아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material for building floors having a special shape so as to minimize weight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strength.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닥재와 바닥재 사이에서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 플로아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material for building floors that can prevent noise even when a physical force is applied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flooring material from the outsid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바닥재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이중 너트 구조를 갖는 건물 플로아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for building floors having a double nut structure so that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flooring can be firmly fixed.

[고안의 요약]Summary of the proposal

본 고안의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는 그 상부면이 정사각형 구조를 이루고, 4모서리 및 중심에 이중 너트로 체결된 지지볼트를 갖고, 그 저부에는 중량을 최소화하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응력분산이 용이하도록 특수 설계된 복수개의 리브(rib)가 형성되고, BMC, SMC 또는 FRP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몰딩 화합물 또는 페놀계 몰딩 화합물로 성형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flooring material for building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quare structure at its top surface, has four corners and supporting bolts fastened with a double nut at the center, and at the bottom thereof, it is easy to disperse stress in order to minimize weight and maintain strength. A plurality of ribs designed are formed and characterized by being molded from unsaturated polyester-based molding compounds such as BMC, SMC or FRP or phenol-based molding compounds.

또한 본 고안의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는 전화나 사무기기의 전선을 인출하기 위한 아웃렛 박스(oulet box)나 콘센트 박스를 설치하는 경우 그 박스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아웃렛 박스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oring floor for the building flo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box groove so as to suit the size of the box when the outlet box (outlet box) or outlet box for drawing out the wire of the telephone or office equipment.

본 고안은 또한 바닥재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시공할 때 서로 인접하는 바닥재끼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재의 특정 모서리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또한 그 돌출부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도 포함한다. 나아가 바닥재의 하부에서는 인접한 4개의 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패드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protrusions formed at certain corners of the flooring material, and grooves for inserting the protrusions are formed so that the flooring material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firmly fixed when the flooring material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do. Furthermore, the bottom of the floor covering includes a fixing pad for fixing four adjacent bol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구체예에 대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고안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ed Example]

본 고안은 복합재료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며 저비중인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즉 벌크 모울딩 컴파운드(Bulk Molding Compound) 혹은 쉬트 모울딩 컴파운드(Sheet Molding Compound)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flooring, and in particular, to a low-cost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material, that is, bulk molding compound or sheet molding compound flooring.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고분자 복합재료는 열경화성 수지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10∼35wt%에 저수축제 0∼10wt%, 유리섬유 5∼60wt%, 내부 이형제(zinc 스테아레이트) 0.1∼3wt%, 경화 촉매 0.01∼1wt%, 필러인 탄산칼슘, 유리 버블(Glass Bubble), 세라믹 버블(Ceramic Bubble), 수산화 알루미늄, 실리카 혹은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버블(Polyvinylidene Chloride Bubble)을 10∼70wt% 함유한 혼합물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복합재료 바닥재를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 composite material having the following composition is a thermosetting res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vinyl ester resin, phenol resin, epoxy resin 10 ~ 35wt%, low shrinkage agent 0 ~ 10wt%, glass fiber 5 ~ 60wt%, internal release agent (zinc stearate) 0.1 to 3 wt%, curing catalyst 0.01 to 1 wt%, filler calcium carbonate, glass bubble, ceramic bubble, aluminum hydroxide, silica or polyvinylidene chloride bubble ) Is a mixture containing 10 to 70w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composite flooring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의 상부면(1)에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의 저면(2)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의 저면(2)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urface 1 of a floor for a building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face 2 of a floor for a conventional building floor.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face 2 of the flooring for a building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닥재 상부에는 4개의 모서리 부분과 그 중심부에 지지 볼트(5)와 상부너트(11)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 볼트 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재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 볼트 구멍(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볼트 구멍 돌출부(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재의 저부에는 중량을 최소화하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로, 세로 및 방사선 방향으로 복수개의 리브(rib)(7)가 형성된다. 이 리브의 높이 및 바닥재의 두께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되고 실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3, a support bolt hole through which the support bolt 5 and the upper nut 11 can be inserted into four corner portions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provided at the top of one fl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ing, bolt hole protrusions 6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bolt holes 3 are formed, respectively. Also, at the bottom of the flooring material, a plurality of ribs 7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radiation directions to minimize weight and maintain strength. The height of this rib and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practic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바닥재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지지 볼트(5)를 콘크리트 바다면 위에 별도로 설치된 고정 패드(도시하지 않음)에 결합시키고 바닥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볼트(5)와 너트(10,11)의 구조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지지 볼트(5)는 상부 너트(11)와 하부 너트(10)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하부 너트(10)는 바닥재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바닥재의 원료로 BMC, SMC 또는 FRP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몰딩 화합물 또는 페놀계 몰딩 화합물을 사용하며, 이 수지를 이용하여 바닥재를 성형하고, 그 바닥재가 완전히 고화되기 전에 하부 너트(10)를 삽입시켜, 그 바닥재가 냉각 고화하면서 하부 너트(10)가 바닥재 내부로 고정되게 한다. 하부 너트(10)를 고정시키는 이러한 기술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support bolts 5 and the nuts 10 and 11 for holding the flooring material horizontally to couple the support bolts 5 to the fixing pads (not shown) separately installed on the concrete sea surface and to fix the flooring material is fourth. It is shown in the figure. This support bolt 5 is fixed by the upper nut 11 and the lower nut 10, and the lower nut 10 is fixed inside the flooring material. That is, as the raw material of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saturated polyester-based molding compound such as BMC, SMC or FRP or a phenolic molding compound is used, and the bottom material is molded using this resin, and the bottom nut ( 10) so that the bottom nut 10 is fixed into the flooring material while the flooring material is cooled and solidified. Such a technique of fixing the lower nut 10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하부 너트(10)가 고정되면, 그 하부 너트(10)를 통하여 밑에서 위로 지지 볼트(5)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부 너트(11)는 지지 볼트(5)속으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결합된다. 지지 볼트(5)는 그 하부에는 -자형 머리(9)를 이루어 고정 패드와 결합되게 하고, 그 상부에는 +자형 머리(8)를 이루어 +자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높낮이를 고정시킨다. 즉 +자형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지지 볼트(5)를 위에서 돌려서 높낮이 조절한 다음, 그 높낮이가 조절되면 렌치 등을 사용하여 상부 너트(11)를 돌려서 고정시킨다. 지지 볼트(5)는 상부 너트(11)와 하부 너트(10)의 이중 구조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바닥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lower nut 10 is fixed, the support bolt 5 is inserted from the bottom through the lower nut 10. At this time, the upper nut 11 is coupl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support bolt (5). The support bolt 5 has a -shaped head 9 at the bottom thereof to be coupled with the fixing pad, and a + shaped head 8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to fix the height using a + screwdriver. That is, by adjusting the height by turning the support bolt (5) from the top using a + -shaped screwdriver, and then to adjust the height by using a wrench or the like to fix the upper nut (11). Since the support bolt 5 is fixed by the double structure of the upper nut 11 and the lower nut 10,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flooring material.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로서 아웃렛 박수가 삽입되는 홈을 나타내는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플로아에는 전화와 같은 통신기기나 컴퓨터, 복사기 등과 같은 사무기기 등의 배선을 각 사무실의 위치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는 통상 콘센트 박스라 불리우는 아웃렛 박스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 아웃렛 박스는 거의 본 고안의 바닥재와 결합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4도에 도시된 바닥재는 이러한 아웃렛 박스가 설치될 수 있도록 아웃렛 박스 홈(13)이 형성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아웃렛 박스 홈(13)의 크기는 설치되는 아웃렛 박스(도시되지 않음)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loor for a building floor showing a groove into which an outlet clap is insert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building floors should be equipped with wiring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such as telephones and office equipment such as computers and photocopiers. In this case, an outlet box usually called an outlet box should be installed, and the outlet box has a structure that is almost installed in combination with th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ing material shown in FIG. 4 is formed with an outlet box groove 13 so that such an outlet box can be installed. Of course, the size of the outlet box groove 13 can be freely desig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let box (not shown) to be installed.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의 저면(2)의 리브(7) 구조가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닥재는 BMC, SMC 또는 FRP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몰딩 화합물 또는 페놀계 몰딩 화합물로 제조되기 때문에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지만, 저면에 리브(7)를 설치하여 가볍게 하면서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리브(7)를 저면에 형성하여 바닥재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으며 그 만큼 바닥재의 중량이 감소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건물 바닥 하중을 줄일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the ribs 7 of the bottom surface 2 of the floor for building flo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unsaturated polyester molding compound or a phenolic molding compound such as BMC, SMC or FRP, the weight can be lightened, but the ribs 7 are installed on the bottom to keep the strength at the same time. Can be. That is, the ribs 7 may be formed on the bottom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thinner, and as the weight of the flooring is reduced,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the building floor load may be reduced.

통상 본 고안의 바닥재의 리브(7) 구조는 제3도와 같이 바닥재의 가로, 세로 및 방사선 방향으로 복수개의 리브(7)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6도와 같이 바닥재의 방사선 방향으로 복수개의 리브(7)를 설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리브(7)의 간격이나 높이 등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되고 실시될 수 있다.In general, the rib 7 structure of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lurality of ribs 7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radiation directions of the flooring material as shown in FIG. However,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ribs 7 can be provided in the radiation direc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The spacing, height, etc. of the ribs 7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고안의 바닥재를 시공하는 경우에 바닥재의 측면(12)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접착 테이프를 부착시켜 시공할 수 있다. 이 일정한 두께를 접착 테이프(도시되지 않음)을 바닥재의 측면(12)에 부착함으로써 바닥재와 바닥재가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측면(12)에 부착되는 접착 테이프는 바닥재와 바닥재 사이에서 충격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료의 역할을 한다.In addition, when constructing th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y attaching an adhesive t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side surface 12 of the flooring. By attaching this constant thickness to an adhesive tape (not shown) on the side surface 12 of the floor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that may occur when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flooring material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adhesive tape attached to the side 12 serves as a cushioning material that can absorb shock and noise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flooring material.

본 고안의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는 BMC, SMC 또는 FRP와 같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몰딩 화합물 또는 페놀계 몰딩 화합물을 사용하여 성형되고, 이중 너트 구조로 체결되고, 또한 그 저면(2)에 리브(7)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화 할 수 있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후에도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고안의 효과를 갖는다.The flooring material for building flo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lded using an unsaturated polyester-based molding compound such as BMC, SMC or FRP or a phenol-based molding compound, fastened in a double nut structure, and further provided with ribs 7 on its bottom face 2. By forming the structure, it can be lightweight while having sufficient strengt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can prevent noise generated by external forces even after construction, and has the effect of devising to be firmly constructed.

본 고안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embodied by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described for exemplary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BMC 수지의 제조][Production of BMC Res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00g, 폴리스티렌계 저수축제 60g, 탄산칼슘 561g, Zinc 스테아레이트 2.5g, 유리섬유 150g, 벤조일 퍼옥사이드 4g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BMC 수지를 제조하였다.BMC resin was prepared by mixing 200 g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60 g of polystyrene-based low shrinkage agent, 561 g of calcium carbonate, 2.5 g of zinc stearate, 150 g of glass fiber, and 4 g of benzoyl peroxide.

[플로아용 바닥재 제조][Floor Flooring]

상기에서 제조된 BMC 수지를 이용하여 제2도의 종래 구조를 갖는 바닥재(비교실시예 1), 제3도의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바닥재를 각각 압축 성형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각각의 바닥재의 사양은 표 1과 같다.By using the BMC resin prepared above, the flooring material having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FIG. 2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3 (Example 1 and Example 2) were manufactured by compression molding methods, respectively. It was. The specifications of each floor are shown in Table 1.

상기 구조로 제조된 3종류의 바닥재에 대한 압축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압축 시험은 직경 50mm의 반구형 프로브(probe)를 장착한 인장 시험기로 시험하였으며, 프로브의 진행속도는 1mm/분으로 고정하였다. 바닥재 상의 프로브 압착 지점은 바닥재 중앙 볼트와 임의의 한 방향 측면부 두 개의 볼트 위치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임의의 이등변 삼각형의 무게 중심점으로 설정하였다.Table 2 shows the compression test results for the three types of floorings manufactured with the above structure. The compression test was conducted with a tensile tester equipped with a hemispherical probe having a diameter of 50 mm, and the traveling speed of the probe was fixed at 1 mm / minute. The probe compression point on the flooring was se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any isosceles triangle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flooring center bolt and two bolt locations in any one lateral side.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방사형 리브 구조를 갖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바닥재가 비교실시예 1의 바닥재와 비교하여 동일 하중을 적용하였을 때 변형이 작으며 구조물의 강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여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재는 저중량이면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낸다.As shown in the results of Table 2, when the flooring of Example 1 and Example 2 having a radial rib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ame load compared to the flooring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deformation is small and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is improved. Effect is shown. As confirmed by the above embodiment, the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low weight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seen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건물 플로아에 사용되는 바닥재에 있어서, 그 상부면(1)이 사각형 구조를 아루고, 그 4모서리 및 중심에 상부 너트(11)와 하부 너트(10)의 이중 너트로 체결된 지지 볼트(5)로 구성되며, 그 저부(2)에는 가로, 세로 및 방사선 방향으로 복수개의 리브(7)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가 열경화성 수지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10∼35wt%에 저수축제 0∼10wt%, 유리섬유 5∼60wt%, 내부 이형제(zinc 스테아레이트) 0.1∼3wt%, 경화 촉매 0.01∼1wt%, 및 필러로서 탄산칼슘, 유리 버블(Glass Bubble), 세라믹 버블(Ceramic Bubble), 수산화 알루미늄, 실리카, 혹은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버블(Polyvinvlidene Chloride Bubble)을 10∼70wt% 함유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플로아용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바닥재.In the flooring used for the building floor, the upper surface (1) has a rectangular structure, and the support bolts (5) fastened by double nuts of the upper nut (11) and the lower nut (10) at the four corners and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ribs 7 ar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2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radiation directions, and the bottom member is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 vinyl ester resin, a phenol resin, or an epoxy resin 10 to 10 that is a thermosetting resin. 35 wt% to 0-10 wt% of low shrinkage agent, 5 to 60 wt% of glass fiber, 0.1 to 3 wt% of internal release agent (zinc stearate), 0.01 to 1 wt% of curing catalyst, and calcium carbonate as a filler, glass bubble, ceramic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flooring for building floor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ture containing 10 to 70wt% of Bubble, Aluminum Hydroxide, Silica, or Polyvinylidene Chloride Bub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너트(10)가 상기 바닥재의 성형시 고화되기 전에 지지 볼트 구멍(3) 속에 삽입되어 냉각 고화되면서 바닥재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The flooring material for building flo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nut (1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olt hole (3) and fixed inside the flooring material while being cooled and solidified before being solidified in molding the floor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측면(12)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접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The flooring for a building flo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dhesive t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12) of the fl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볼트(5)가 그 상부에는 +자형 머리를 갖고, 그 하부에는 -자형 머리를 갖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플로아용 바닥재.2. Floor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olt (5) is a bolt having a + head at its upper part and a-head at its lower part.
KR2019960024415U 1996-08-14 1996-08-14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und floor panel KR20014242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415U KR200142423Y1 (en) 1996-08-14 1996-08-14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und floor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415U KR200142423Y1 (en) 1996-08-14 1996-08-14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und floor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938U KR19980010938U (en) 1998-05-25
KR200142423Y1 true KR200142423Y1 (en) 1999-06-01

Family

ID=1946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415U KR200142423Y1 (en) 1996-08-14 1996-08-14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und floor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423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37B1 (en) * 2000-09-27 2004-05-24 (주)프라코인터내셔날 The heigh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floor board material
KR100467536B1 (en) * 2002-03-26 2005-01-24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A floor system of access-floor type with an iron sheet and a glass-ondo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it
KR100491732B1 (en) * 2002-11-28 2005-05-25 (주) 지오시스 Panel for raised access fl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18456B1 (en) * 2007-03-14 2008-04-02 김동열 Structure for machine bas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938U (en)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8207A1 (en) Securing an architectural finish element
KR200142423Y1 (en)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und floor panel
EP0482266B1 (en) Flooring panel system
KR20110080449A (en) Access floor system
KR100980140B1 (en) Shock-absorbing structure using supporting block part for building bottom
GB2030630A (en) Floor Tile
KR20060036706A (en) Supporting plate for a building floor
US4800697A (en) Modular interstitial concrete sub-floor
KR20090089722A (en) Watertight structure of shock-absorbing layer for building bottom
US20060037269A1 (en) Stiffness reinforced floor panel for a raised floor system
KR200452855Y1 (en) Connecting construction of shock-absorbing using connecting member for supporting plate
JPS6236895Y2 (en)
KR20130061851A (en) Acccess floor system
CN220395086U (en) Antistatic floor with high strength
KR102547743B1 (en) Method for Installing Deck and Floor
CN220353144U (en) Connection structure of assembled concrete side fascia
JPH0422660Y2 (en)
JP2895195B2 (en) Floor wiring structure
KR102622073B1 (en) Inter-floor noise prevention heating piping panel that is easy to install at regular intervals of heating piping
JPH086137Y2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split waterproof pan
CN215626048U (en) Novel elevator flat bed induction plate
WO1993000493A1 (en) Floor plates
JPS62194357A (en) Floor panel support leg
JP3143673U (en) FRP grating fixture
KR100980141B1 (en) Shock-absorbing structure using supporting plate part for building bott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