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0887Y1 - 위치잡이 피봇 - Google Patents

위치잡이 피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0887Y1
KR200140887Y1 KR2019960004265U KR19960004265U KR200140887Y1 KR 200140887 Y1 KR200140887 Y1 KR 200140887Y1 KR 2019960004265 U KR2019960004265 U KR 2019960004265U KR 19960004265 U KR19960004265 U KR 19960004265U KR 200140887 Y1 KR200140887 Y1 KR 200140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apered
circumference
threaded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263U (ko
Inventor
루 생-난
Original Assignee
루 생-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 생-난 filed Critical 루 생-난
Priority to KR2019960004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0887Y1/ko
Publication of KR9700552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2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0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08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은 그안에서 공동 공간과 그것의 둘레를 따라 홈을 한정하는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를 구비하는 첫째 샤프트를 구비한다. 밀고 나가는 관은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 위에 회전할 수 있게 꿰어지도록 하기 위해 그안에서 끝이 가늘어지게 나사줄이 내어지게 된다. 첫째 샤프트의 공동 공간안에 수용된 용수철은 첫째 샤프트의 공동 공간의 내부 둘레와 실제로 접촉하는 외부 둘레 및 내부 둘레를 구비한다.
둘째 샤프트는 용수철 안에 수용되고 용수철의 내부 둘레와 접촉하는 막대 부분을 구비한다. 첫째 샤프트와 둘째 샤프트는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및 둘째 샤프트의 막대 부분의 내부 둘레에 대해 용수철로부터 발생된 마찰에 기인한 상대적 각도와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되며, 그에 의해 밀고 나가는 관은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로 수동적으로 꿰어지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를 죄며, 방사상 방향으로부터 용수철을 차례로 죄며 그에 의해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및 둘째 샤프트의 막대 부분의 내부 둘레에 대한 용수철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위치잡이 피봇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찰 조절 피봇의 확대도.
제2도는 밀고 나가는 관은 밀고 나가는 관이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실선과 점선들로 보여진 단면도로 보여진 제1도의 조립도.
제3도는 최대 마찰을 갖도록 조절된 제2도 피봇에 대한 도면.
제4도는 피봇의 둘째 실시예에 대한 확대도.
제5도는 단면도로 보여진 종래 피봇에 대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첫째 샤프트 12 : 막대 부분
20 : 밀고 나가는 관 30 : 용수철
50 : 내부관 90 : 첫째 샤프트
91 : 실린더 92 : 저항관
93 : 둘째 샤프트
본 고안은 수동으로 회전된 후 회전 위치를 유지시키는 위치잡이 피봇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다른 하중용으로 사용하기 전에 마찰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에 관한 것이다.
위치잡이 피봇들은 노트북 컴퓨터같은 많은 케이싱(casing) 구조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제5도는 어떤 회전할 수 있는 케이싱 구조에서 사용된 단면도로 종래 위치잡이 피봇을 설명한다. 종래 위치잡이 피봇은 실린더(91)에 연결된 첫째 샤프트(90)와, 실린더(91)안에 수용되어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저항관(92)과, 저항관(92)안에 수용되어 있는 둘째 샤프트(93)로 구성된다. 첫째 샤프트(90)와 둘째 샤프트(93)는 서로 일렬로 정렬되며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저항관(92)은 실린더(91)의 내부 둘레와 접촉하는 외부 둘레와 둘째 샤프트(93)와 접촉하는 그것의 내부 둘레를 가진다. 그러므로, 둘재 샤프트(93)는 저항관(92)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저항관(92)은 실린더(9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실린더(91)가 첫째 샤프트(90)에 단단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저항관(92)은 또한 첫째 샤프트(9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첫째 샤프트(90)는 노트북 컴퓨터의 스크린 패널같은 덮개에 부착되고 둘째 샤프트(93)는 노트북 컴퓨터의 주본체 같은 기본틀 또는 그와 반대의 것에 부착된다. 첫째 샤프트(90)는 둘째 샤프트(93)에 대해 요구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각은 저항관(92)으로부터 발생된 저항 때문에 유지될 수 있다. 저항관(92)의 외부 둘레와 내부 둘레는 서로 각각 실린더(91)와 둘째 샤프트(93)에 대한 마찰에 기여한다. 그러므로, 실제 사용주 첫째 샤프트(90)에 연결된 덮개는 둘째 샤프트(93)에 연결된 주본체에 대해 요구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잇다. 그러나, 종래 피봇은 여러가지 하중들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저항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므로 여러가지 하중들용으론 부적당하다. 예를 들면, 저항관(92)은 주본체에 대해 요구된 회전 각으로 덮개의 한 종류를 유지할 수 있지만 전의 덮개보다 비교적 무거운 다른 덮개를 유지할 순 없다.
본 고안은 종래 피봇의 상기 설명된 단점들을 경감시키며 또는 없앤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저항이 하중의 여러가지 종류에 대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안의 한 측면에 따라, 그 안에 공동(空洞) 공간과 그것의 둘레에 따라 홈을 한정하는 점점 가늘어지는 나사줄 있는 막대를 구비한 첫째 샤프트를 구비하는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이 제공된다. 밀고 나가는 관(urging tube)은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나삿니 있는 막대에 회전할 수 있게 나삿니를 내기 위해 내부 나삿니 있는 둘레와 내부 점점 가늘어지는 둘레를 구비한다. 첫재 샤프트의 중공 공간안에 수용된 용수철은 첫째 샤프트와 내부 둘레의 중공공간의 내부 둘레와 실제로 접촉하는 외부 둘레를 구비한다. 둘째 샤프트는 용수철안에 수용되고 용수철의 내부 둘레와 접촉하는 막대부분을 구비한다. 첫째 샤프트와 둘째 샤프트는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와 둘째 샤프트의 막대 부분의 내부 둘레에 대해 용수철로부터 발생된 마찰에 기인한 상대적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되며, 이에 의해 밀고 나가는 관은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로 수동으로 꿰어지는 것을 허락하게 되며 따라서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를 죄며, 방사상 방향으로부터 용수철을 차레로 죄며 그에 의해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와 둘째 샤프트의 막대 부분의 내부 둘레에 대한 용수철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과 장점들은 첨부되는 도면에 대한 적당한 참고문과 함께 이후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에 대한 주의깊은 해석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제1도를 언급하면, 본 고안에 따른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의 첫째 실시예는 첫째 샤프트(10)와, 밀고 나가는 관(20)과, 탄성 수단(30)과, 그리고 둘째 샤프트(40)로 구성된다. 첫째 샤프트(10)는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에 연결된 평평한 부분(11)을 갖는다. 두 개의 구멍들(110)은 평평한 부분(11)안에 한정되고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은 그것의 외부 둘레 주위에 꿰어지게 된다.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은 중앙 공동이 있으며 그것의 둘레를 따라 세로 홈(13)을 한정한다. 밀고 나가는 관(20)은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 나삿니 있는 둘레(22)와 내부 점점 가늘어지는 둘레(21)(제2도에 도시됨)를 갖는다. 첫째 샤프트(10)는 볼트들(도시되지 않음)을 구멍들(110)안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노트북 컴퓨터의 스크린 패널같은 케이싱의 첫째 반쪽에 연결된다. 둘째 샤프트(40)는 막대 부분(410)에 연결된 평평한 부분(41)을 갖는다. 두 개의 구멍들(410)은 둘째 샤프트(40)의 평평한 부분(41)안에 한정된다. 탄성 수단들(30)은 용수철일 수 있으며 둘째 샤프트(40)의 막대 부분(42)주위에 위치된다. 용수철(30)과 함께 둘째 샤프트(40)의 막대 부분(42)은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세로 공동부 안에 수용된다.
제2도를 언급하면, 둘재 샤프트(40)의 막대 부분(42)은 용수철(30)에 의해 둘러싸여지게 되며 밀고 나가는 관(20)안으로 꿰어지게 된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세로 공동 공간안에 수용된다. 용수철(30)과,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내부 둘레와, 둘째 샤프트(40)의 막대 부분(42)의 둘레는 용수철(30)의 외부 둘레가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내부 둘레와 접촉하게 되고 용수철(30)의 내부 둘레는 막대 부분(42)의 둘레와 접촉하도록 크게 지워지게 된다. 첫째 샤프트(10)는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내부 둘레와 둘째 샤프트(40)의 막대 부분(42)의 둘레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용수철(30)로부터 발생된 마찰에 기인하여 둘째 샤프트(40)에 관하여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밀고 나가는 관(20) 및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내부 나삿니 있는 둘레(22)와 내부 점점 가늘어지는 둘레(21)는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이 밀고 나가는 관(20)안으로 더 깊이 꿰어질 때,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홈(13)은 더 얇아지게 되며 그에 의해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안에 용수철(30)을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위치잡이 피봇의 마찰은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위로 밀고 나가는 관(20)을 더 깊이 뀀으로써 조절할 수 있게 증가된다. 밀고 나가는 관(20)을 나타내는 점선들은 밀고 나가는 관(20)이 비교적 느슨한 방법으로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을 죄는 것을 설명하며 동시에 밀고 나가는 관(20)을 나타내는 실선들은 밀고 나가는관(20)이 가장 단단한 방식으로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을 죄는 것을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제3도는 가장 단단한 방식으로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을 죄는 밀고 나가는 관(20)을 설명하며 따라서 피봇은 최대 회전 마찰을 갖도록 조절된다.
제1도 내지 제4도를 언급하면, 첫째 실시예의 용수철(3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내부 관(50)으로 대치될 수 있다. 내부 관(50)은 그것의 두 개의 말단들을 통과하는 세로홈(51)을 가지며 따라서 내부 관(50)은 C같은 단면도를 갖는다. 다수의 나선형 홈들(52)은 내부 관(50)의 외부 둘레위에 한정된다. 내부 관(50)은 둘째 샤프트(40)의 막대 부분(42) 주위에 위치되며 둘다 함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공동 공간 안에 수용된다. 첫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첫째 샤프트(10)는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내부 둘레와 둘째 샤프트(40)의 막대 부분(42)의 둘레에 대해 내부 관(50)으로부터 발생된 마찰에 기인하여 둘째 샤프트(40)에 대해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이 밀고 나가는 관(20)안으로 더 깊이 꿰어지게 될 때,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의 홈(13)은 더 얇아 지게 되며 그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부터 그 안에서 내부 관(50)을 죄며, 그에 의해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12) 및 둘째 샤프트(40)의 막대 부분(42)의 내부 둘레에 대해 내부 관(50)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내부 관(50)의 홈(51)은 내부 관(50)이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으로부터 죔력을 받을 때 좁아지게 되며 둘재 샤프트(40)의 막대 부분(42)을 차례로 죈다는 것을 알 게 될 것이다. 홈(52)은 후자가 절단되는 것을 막는 내부 관(50)의 변형(내부 관이 죄어지게 될 때)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위치잡이 피봇의 마찰은 첫째 샤프트(10)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 부분(12)으로 더 깊게 저항 수단(20)을 뀀으로써 조절할 수 있게 증가된다.
본 고안이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된 반면, 기술면에서 숙력된 사람들이 이 명세서를 읽자마자 그것의 여러가지 변형들을 곧 알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 명시된 고안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로 한다.

Claims (3)

  1. 그 안에서 공동 공간과 그것의 둘레를 따라 홈을 한정하는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를 구비하는 첫째 샤프트와,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로 회전할 수 있게 꿰어지도록 하기 위해 내부 나삿니 있는 점점 가늘어지는 둘레를 구비하는 밀고 나가는 관과, 첫째 샤프트의 공동 공간의 내부 둘레와 실제로 접촉하는 외부 둘레 및 내부 둘레를 구비하는 첫째 샤프트의 공동 공간 안에 수용된 용수철과, 용수철 안에 수용되고 용수철의 내부 둘레와 접촉하는 막대 부분을 갖는 둘째 샤프트로 구성되는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에 있어서, 첫째 샤프트와 둘째 샤프트는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 및 둘째 샤프트의 막대 부분의 내부 둘레에 대해 용수철로부터 발생되는 마찰에 기인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되며, 그에 의해 밀고 나가는 관은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위로 수동으로 꿰어지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막대를 죄며, 방사상 방향에서 용수철을 차례로 죄며 그에 의해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 및 둘째 샤프트의 막대 부분의 내부 둘레에 대해 용수철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
  2. 그 안에서 공동 공간과 그것의 둘레를 따라 홈을 한정하는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를 구비하는 첫째 샤프트와,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로 회전할 수 있게 꿰어지도록 하기 위해 내부 나삿니 있는 점점 가늘어지는 둘레를 구비하는 밀고 나가는 관과, 그것의 두 개의 말단들을 통하여 세로 홈을 한정하고 첫째 샤프트의 공동 공간안에 수용되고 첫째 샤프트의 공동 공간의 내부 둘레와 실제로 접촉하는 외부 둘레 및 내부 둘레를 구비하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내부 관과, 내부 관 안에 수용되고 내부 관의 내부 둘레와 접촉하는 막대 부분을 갖는 둘째 샤프트로 구성되는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에 있어서, 첫째 샤프트와 둘째 샤프트는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 및 둘째 샤프트의 막대 부분의 내부 둘레에 대해 내부 관으로부터 발생하는 마찰에 기인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되며, 밀고 나가는 관은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로 수동적으로 꿰어지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를 죄며, 방사상 방향에서 내부 관을 차레로 죄며 그에 의해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 및 둘째 샤프트의 막대 부분의 내부 둘레에 대해 내부 관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
  3. 제2항에 있어서, 내부 관은 내부 관이 첫째 샤프트의 점점 가늘어지는 나삿니 있는 막대 내부에 죄어지게 될 때 내부 관이 절단되는 것을 막는 그것의 외부 둘레위에 있는 다수의 홈들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조절 위치잡이 피봇.
KR2019960004265U 1996-03-08 1996-03-08 위치잡이 피봇 KR200140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265U KR200140887Y1 (ko) 1996-03-08 1996-03-08 위치잡이 피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265U KR200140887Y1 (ko) 1996-03-08 1996-03-08 위치잡이 피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263U KR970055263U (ko) 1997-10-13
KR200140887Y1 true KR200140887Y1 (ko) 1999-05-15

Family

ID=1945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265U KR200140887Y1 (ko) 1996-03-08 1996-03-08 위치잡이 피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08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263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491A (en) Positioning pivot
EP0402924B1 (en) Hinge device for coupling a member rotatably to another
US5774939A (en) Positioning pivot
US6595226B2 (en) Telescoping walking stick
US6220759B1 (en) Positioning pivot
US5079799A (en) Friction hinge assembly
US5388872A (en) Hose construction and fastening member therefor
US5037231A (en) Joint device for connecting two rotatable members
US7210885B2 (en) Supporting bushing
US6671927B2 (en) Rotating mechanism for LCD monitor
KR102477591B1 (ko) 비대칭 마찰 토크를 생성하는 방법 및 피봇 디바이스
US5981940A (en) Angle measuring system with a clampable shaft
KR200140887Y1 (ko) 위치잡이 피봇
US6116806A (en) Connection tightness and swing angle adjustable pivot
US6838602B2 (en) Instrument support elbow
US20050081334A1 (en) Hinge structure
US6307135B1 (en) Support leg of a bass drum
US2867461A (en) Adjustable locking coupling
US6826802B2 (en) Pivot bearing mechanism
US5533460A (en) Thread tension device with latch for a sewing machine
GB2286011A (en) Friction hinge
KR910004654Y1 (ko) 컴퓨터의 랩톱(Lap top)용 압력 마찰기
JPH05126160A (ja) トルクリミツタ
JPS587431Y2 (ja) ドラムの自在保持金具
JPH0720410Y2 (ja) 自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