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4182A -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4182A
KR20010114182A KR1020010042879A KR20010042879A KR20010114182A KR 20010114182 A KR20010114182 A KR 20010114182A KR 1020010042879 A KR1020010042879 A KR 1020010042879A KR 20010042879 A KR20010042879 A KR 20010042879A KR 20010114182 A KR20010114182 A KR 2001011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ot
pot
mixture
seedl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목
윤혜영
Original Assignee
김종목
윤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목, 윤혜영 filed Critical 김종목
Publication of KR2001011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4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er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분(人糞) 축분(畜糞)에 나뭇잎 또는 풀(草)과,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후, 그 발효된 유기물을 성형시켜서 만든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모종용 포트 내에서 초기 재배된 식물을 최종재배지로 이식할 때에 상기 모종용 포트를 제거할 필요 없이 그 모종용 포트와 함께 이식함으로써 별도의 비료를 시비하지 않고도 이식된 식물이 몸살하지 않고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분이나 축분에 나뭇잎이나 풀을 섞어 분말화하고, 이에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투입, 혼합하는 단계; 전기 단계의 혼합물을 소독하는 단계; 전기 단계의 소독된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전기 단계의 발효된 혼합물을 모종용 포트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종용 포트제조방법과 이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모종용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Transplanting po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분(人糞)이나 축분(畜糞)에 나뭇잎 또는 풀(草)과,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후, 그 발효된 유기물을 성형시켜서 만든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종용 포트라 함은 씨앗을 파종하여 그 파종된 씨앗이 싹이 트고 어느 정도 성장하여 최종 재배지로 이식할 때까지 식물을 임시적으로 재배하는 용기를 말한다.
종래의 모종용 포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닐 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것인데, 이러한 종래의 모종용 포트(10)는 흙 속에서 자연분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식물의 뿌리가 정상적으로 발육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모종용 포트(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속에서 파종된 씨앗이 싹이 트고 성장하여 최종재배지로 이식할 때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모종용 포트에서 재배된 식물을 최종재배지로 이식하고자 모종용 포트(10)를 일일이 제거함에는 많은 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그 제거 과정에서 식물의 뿌리에 흔들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식 후 그 식물이 수일씩 몸살을 하게되어 성장이 느리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시들어 죽기도 한다.
또한, 종래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로 된 폐 컵을 모종용 포트(20)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식물을 최종재배지로 이식할 때에는 상기 도 1의 비닐로 된 모종용 포트와 마찬가지로 제거되어야 하므로, 도1의 모종용 포트에서와 마찬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모종용 포트에는 충분한 거름이 주어져 있기 않기 때문에, 식물을 최종 재배지에 이식한 후, 별도로 거름을 주어야 한다. 최종 재배지 전체에 이미 거름이 충분히 주어져 있는 경우에는 별문제이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각 식물에 대하여 별도로 거름을 주지 않으면 식물이 제대로 성장할 수 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모종용 포트는 식물을 최종재배지로 이식할 때, 그 모종용 포트를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고, 최종 재배지에 거름이 미리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이식 후 각 식물에 대하여 별도의 거름을 주어야 함으로그에 따른 많은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식물재배에 사용되는 비료들은 거의 화학비료인데, 화학비료를 많이 사용하면, 토양이 산성화되어 점차 지력을 떨어뜨리고, 그러한 토양에서 재배되는 식물들은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저하되며, 그 결실인 열매나 채소의 맛과 당도도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자에는 퇴비를 사용하는 유기농법이 권장되고 있으나, 별도로 퇴비를 만들거나 구하여 시비하는 것이 쉬운 문제가 아니므로, 많은 농부들이 여전히 화학비료에 의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모종용 포트 내에서 초기 재배된 식물을 최종재배지로 이식할 때에 상기 모종용 포트를 제거할 필요 없이 그 모종용 포트와 함께 이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식된 식물이 몸살하지 않고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한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종용 포트를 흙 속에서 자연 분해되며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거름이 될 수 있는 유기물로 제조함으로써, 식물의 이식 후 별도의 비료(특히, 화학비료)를 주지 않고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종용 포트에 식물이 자란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과 다른 상태의 종래의 모종용 포트에 식물이 자란 상태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모종용 포트 사시도 및 그 포트에 식물이 자란 상태의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종용 포트는, 인분이나 축분에 나뭇잎이나 풀과,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후 그 발효된 유기물을 성형시켜서 만든 것으로, 다음의 4가지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이다.
제1단계 : 인분이나 축분에 나뭇잎이나 풀을 섞어 분말화하고, 이에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된 혼합물을 투입, 혼합하는 제1단계;
제2단계 : 전기단계의 혼합물을 소독하는 단계;
제3단계 : 전기단계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제4단계 : 전기 단계의 혼합물을 모조용 포트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단계는 인분이나 축분에 나뭇잎이나 풀을 섞어 분말화 하고, 이에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된 혼합물을 투입,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혼합비율은, 인분이나 축분(수분을 제외한 것 기준): 40∼80wt%와, 나뭇잎 또는 풀: 10∼30wt%와,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의 혼합물: 10∼30wt%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분이나 축분은 유기질 비료로서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발효를 촉진하고 모조용 포트가 땅속에서 자연분해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짧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인분이나 축분의 비율을 40wt% 이하로 하면, 유기질 비료로서의 기능이 저하되고 발효나 자연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를 80wt% 이상으로 사용하면, 거름의 농도가 너무 강하여 어린 식물의 뿌리가 상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나뭇잎이나 풀은 인분이나 축분과 혼합되어 발효를 촉진하고, 모종용 포트의 자연분해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나뭇잎이나 풀의 유기질 비료로서의 기능을 인분이나 축분에 비하여 많이 떨어지므로, 그 사용비율은 10-30wt%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한편,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된 혼합물은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미생물의 증식을 활발하게 하고, 특히,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 등의 성분으로 되어 있어 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식물의 줄기나 잎을 튼튼히 하는 기능과 함께 원적외선 방사율이 10-20㎛으로서 포트에서 재배된 식물 또는 과일을 먹게되면 인체에 유익함을 준다. 따라서 그 비율은 10-30wt%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계에서는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 그 재배지의 토질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당박, 유박, 목박, 동물의 뼈 등을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투입할 수도 있다. 당박은 당분을 보유한 찌꺼기로써 열매의 당도를 높여주는 것이고, 유박은 나무성분을 갖는 찌꺼기로서 열매의 지방분을 공급해주는 것이며, 목박은 나무성분을 갖는 찌꺼기로서 흙의 수분을 조절해 주는 것이고, 동물의 뼈는 식물의 줄기나 뿌리를 튼튼하게 해주는 칼슘 공급과 성장 촉진 및 열매의 단백질을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재배식물의 종류나 토양 등을 고려하여, 위에서 언급한 당박, 유박, 목박, 동물의 뼈 이외에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다른 요소나 성분들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부가적인 요소들은 위 기본적인 요소들(인분이나 축분, 나뭇잎이나, 풀,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된 혼합물)에 대하여 30wt%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30wt%을 초과하게 되면, 발효 또는 땅속에서의 자연분해 등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단계는 1단계의 혼합물을 소독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분이나 축분에는 식물의 성장에 해가되는 병균이나 미생물이 포함됨을 물론 암모니아가스가 방출됨으로 상기 병균이나 미생물을 살균하는 암모니아가스를 제거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미생물 중에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토양을 기름지게 하는 등 식물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한 것도 있으므로, 강력한 살균제를 사용하여 이러한 유익한 미생물을 모두 죽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살균력이 적당한 살균제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그 살균제는 시중에서 구하기 편한 것으로는 포르말린 유제가 사용의 편이성이나 효과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실제로 실시함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는 비닐하우스와 같이 실내온도가 상온(20-30℃)인 건조물 내에 제1단계의 혼합물을 60∼80㎝ 두께로 펼쳐 널고 이에 포로마린유제를 살포한 후 트랙터 로터리 등을 이용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단계에서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 이상으로 유지시키면, 다음 단계의 발효에 걸리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단계는 전기 단계의 살균된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유기물이 발효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름으로 투입되면,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식물이 제대로 섭취할 수 없다. 그리고,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50-70℃에 이르는데, 이러한 발효과정이 땅속에서 일어나면 오히려 식물의 뿌리가 상해 시들거나 죽게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의 유기물 혼합체에 대해서는 반드시 충분한 발효과정을 거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발효단계에서는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요소분말을 전체 혼합물에 대하여 1wt%이하로 투입할 수도 있다. 요소는 발효를 촉진하고, 식물의 성장에도 도움을 주는 것이나, 너무 많이 투입하면, 경제적인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식물의 이상 성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1wt%이하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에서는 발효의 촉진을 위하여 혼합물의 수분을 10-30%로 유지하고, 필요하면 산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 수분이 혼합물의 10wt%이하이거나 30wt%를 초과하면, 산소를 공급하더라도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적절한 수분 조절이 필요하다, 한편, 주변온도를 30-40℃로 유지하면, 발효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발효에 소요되는 시간은 구체적인 발효조건에 따라 다르나, 최적의 온도, 수분, 산소가 갖춰진 조건 하에서는 약 12시간 정도가 소요되며, 대체로 혼합물에 회색곰팡이가 생기면 발효가 완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단계는 사기 제3단계의 발효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모종용 포트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모종용 포트의 형태로 된 몰더에 전기 단계의 발효된 혼합물을 투입하여, 모종용 포트를 성형시키고, 이를 몰더에서 빼내어 건조시킴으로써 모종용 포트를 완성시킨다.
몰더에서 성형시킬 때, 수동으로 작동하는 가압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대량 생산을 할 때에는 프레스기와 연결 설치된 가압 틀을 이용하여 한편에 여러 개의 포트를 찍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된 포트를 건조시킴에 있어서는 수분 5%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데, 자연 건조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필요하면 열풍이나 열기를 이용하여 건조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단계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모종용 포트(30)를 이용하여 식물(40)을 재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모종용 포트(30) 내에 흙을 넣고 그에 식물의 씨앗을 파종한 다음 그 씨앗이 싹이 트고 자라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성장하게 되면 그 성장된 식물을 상기 모종용 포트(30)와 함께 최종 재배지로 이식한다.
상기와 같이 이식된 식물(40)은 모종용 포트(30)와 함께 이식된 것임으로 뿌리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아 몸살을 하지 않고 잘 자라게 됨은 물론, 상기 포트의 재질은 흙 속에서 자연분해 되어 유기비료가 되므로 식물에 별도의 거름을 주지 않아도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하며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종용 포트가 흙 속에 자연 분해되는 기간은 흙의 수분함유량 및 토질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약 20일에서 50일 사이이다. 그러므로 식물의 뿌리 발육에는 아무런 영양을 주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식물을 초기 재배지에서 최종 재배지로 이식할 때에 모종용 포트를 제거하지 않고 그 모종용 포트와 함께 그대로 이식함으로써 종래 식물의 이식과정에서 뿌리의 흔들림으로 인한 식물의 몸살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종용 포트를 흙 속에서 자연 분해되며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거름이 될 수 있는 유기물로 제조함으로써, 식물의 이식 후 별도의 거름을 주지 않아도 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인분이나 축분 중 어느 하나 2가지 모두와, 나뭇잎이나 풀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모두와,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발효 유기물로 제조된 모종용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용 포트를 제조하는 각 성분의 비율은 인분이나 축분40-80w%, 나뭇잎이나 풀: 10-30w%,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10-30w%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모종용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용 포트를 제조하는 각 성분의 혼합물에 당박, 유박, 목박, 동물의 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30wt%이내에서 추가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용 포트.
  4. 인분이나 축분에 나뭇잎이나 풀을 섞어 분말화하고 이에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된 혼합물을 투입, 혼합하는 단계; 전기 단계의 혼합물을 소독하는 단계; 전기단계의 소독된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전기 단계의 발효된 혼합물을 모종용 포트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조용 포트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용 포트를 제조하는 각 성분의 비율은 인분이나 축분40-80w%, 나뭇잎이나 풀: 10-30w%, 생활쓰레기 슬러지 또는 화산재나 화산석분말10-30w%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모종용 포트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의 소독단계에서 소독제로 포르말린 유제를 사용하는 모종용 포트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의 발효단계에서 발효촉진제로 요소분말을 1w% 이하로 투입하는 모종용 포트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의 발효단계에서 수분을 10-30w%, 주변온도를 30-40℃로 유지하는 모종용 포트 제조방법.
KR1020010042879A 2000-12-05 2001-07-16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141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261A KR20010016353A (ko) 2000-12-05 2000-12-05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000073261 2000-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4182A true KR20010114182A (ko) 2001-12-29

Family

ID=197026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261A KR20010016353A (ko) 2000-12-05 2000-12-05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0042879A KR20010114182A (ko) 2000-12-05 2001-07-16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261A KR20010016353A (ko) 2000-12-05 2000-12-05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010016353A (ko)
AU (1) AU2002222718A1 (ko)
WO (1) WO20020454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690A (ko) * 2020-08-14 2022-02-22 김민서 동물뼈와 버섯폐배지를 이용한 생분해성 모종 화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54A (ko) * 2000-12-05 2001-03-05 김종목 유기비료 및 그 유기비료 제조방법
KR100425923B1 (ko) * 2001-11-01 2004-04-03 이정훈 척박한 토양의 녹화방법
KR101278758B1 (ko) * 2012-09-03 2013-06-25 김태완 음식물쓰레기 및 우분이 주재료로 사용된 육묘용 포트
KR101408805B1 (ko) * 2013-10-11 2014-06-19 박은자 생선껍질을 이용한 육묘용 컵 및 그 제조방법
AU2020202788A1 (en) * 2020-04-27 2021-11-11 Pact Renewables Pty Ltd Mineral-based composites
CN112586309A (zh) * 2020-07-08 2021-04-02 合肥华绿种苗有限公司 一种阳台花卉用基质配方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4829A (en) * 1921-04-18 1922-08-08 Kleb Henry Fertilizer pot
KR860008707A (ko) * 1985-05-04 1986-12-18 구희국 육묘용 포트의 제조방법
JPH11113414A (ja) * 1997-10-17 1999-04-27 Mitsui Chem Inc 成形加工品
KR20000017957A (ko) * 1999-12-30 2000-04-06 최규원 황토와 폐석고 및 돈분뇨를 이용한 유기비료와 황토석고시멘트모르타르 및 황토석고 벽돌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690A (ko) * 2020-08-14 2022-02-22 김민서 동물뼈와 버섯폐배지를 이용한 생분해성 모종 화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22718A1 (en) 2002-06-18
WO2002045480A1 (en) 2002-06-13
KR20010016353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96256B (zh) 金花茶轻基质容器育苗方法
CN103130561A (zh) 优质花卉生长培养土
CN105917902A (zh) 一种牛大力的育种方法
CN106478184B (zh) 一种盆栽韭菜栽培基质和栽培方法
CN107382587B (zh) 一种室内盆栽植物专用有机质培养土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250812A (zh) 一种蓝莓种子的催芽方法和繁殖育苗方法
CN107018789A (zh) 一种黄瓜的种植方法
CN107691000A (zh) 番石榴一叶一芽扦插繁育方法
CN107018705A (zh) 一种有机富硒蔬菜的种植方法
CN106576772A (zh) 富硒辣椒的种植方法
CN114402938A (zh) 一种板栗规模化繁育造林方法
CN108307947A (zh) 一种七彩椒的高产种植方法
KR20010114182A (ko) 모종용 포트 및 그 제조방법
CN108040788A (zh) 一种牛大力的种植方法
CN112021092A (zh) 一种存活率高的草果种植方法
CN107466626A (zh) 一种金铁锁的有机种植方法
Ciju Bell peppers: growing practices and nutritional value
CN109588290A (zh) 一种基于少量基质栽培植物的方法
CN1209265A (zh) 盘盒式无土基质栽培作物及其工艺生产方法
CN110972801A (zh) 一种油茶的种植方法
KR100356762B1 (ko) 복합 미생물 배양체 제조방법 및 복합 미생물 배양체를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CN102771283A (zh) 一种盆栽活体有机果蔬的方法
CN107646493A (zh) 油梨一叶一芽扦插繁育方法
CN108271635A (zh) 一种富硒七彩椒的种植方法
CN110140628B (zh) 一种墨兰的高温高湿快繁培养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