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567A -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567A
KR20010112567A KR1020000031684A KR20000031684A KR20010112567A KR 20010112567 A KR20010112567 A KR 20010112567A KR 1020000031684 A KR1020000031684 A KR 1020000031684A KR 20000031684 A KR20000031684 A KR 20000031684A KR 20010112567 A KR20010112567 A KR 20010112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control panel
uni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만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2567A/ko
Publication of KR2001011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56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판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립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33)과 후면(32)의 일부를 절개하여 캐피시터(51)를 수납할 수 있는 삽입부(40)를 형성하고, 상단과 하단에 각각 체결편(34, 35)을 형성하여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측벽(10a) 내측에 고정할 수 있는 컨트롤판넬(30)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40)를 형성하면서 삼면을 절개하여 삽입부(4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하여 고정편(41)이 컨트롤판넬(30)에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판넬(30)에는, 삽입부(40)로 캐피시터(51)를 삽입하여 고정편(41)에 고정띠(42)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후면(32)에 파워릴레이(52)를 체결하고, 경사면(33)에 터미널블럭(53)을 고정한다. 캐피시터(51) 등의 전장품이 고정된 컨트롤판넬의 상단과 하단을 실외기의 측벽 내측에 체결하여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를 용이하게 구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Controller for out door unit i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를 구성하는 컨트롤판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판넬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간편하고 안전하게 실외기의 전장품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냉방은 압축기에 의해 냉매가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단계와, 이 압축기를 거친 액체상태의 냉매가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로 감압되는 단계와, 팽창밸브를 통과한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의 냉매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증발되어 주변의 열을 빼앗아 외부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킨후,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냉매싸이클로 수행된다.
이러한 냉매싸이클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형태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되는데, 소음문제와 설치환경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널리 사용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되어 있다. 실내기는 차가운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와,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더운 실내공기를 상기 증발기를 거쳐 냉각시킨후 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팬에 의하여 냉방을 수행한다. 그리고, 실외기는 실내기의 증발기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방열시키기 위하여 실외측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실외측 송풍팬과, 상기 응축기를 거쳐 방열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여러가지 전장품들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장품들은 실내기의 컨트롤부와 연결된 전선을 통해 제어신호가 전달되어 실외기의 구성요소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분해한 사시도로 종래의 구성예를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내부에는, 실외기(1)의 열교환기인 응축기(2)를 방열시키기 위한 팬(3)이 설치되고, 상기 팬(3)의 전면에는 팬의 회전에 따라 응축기(2)을 방열시킨 더운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그릴(4)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기(6)가 설치되는 상단에 전장품(7a)이 고정된 컨트롤판넬(7)이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2)와 압축기(6)가 설치된 사이에 실외기 팬(3)의 회전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여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리어(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판넬(7)은, 배리어(5)와 실외기(1)의 측벽(1a)과 전면 내측에 각각 고정된다.
도 2에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분리된 컨트롤판넬(7)에 전장품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장품중 실외기의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압축기에 원활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캐피시터(21)가 체결편(29)에 의해 컨트롤판넬(7)의 저면부(26)에 나사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압축기(6)와 실외기(1)의 팬(3)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도시 생략)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파워릴레이(23)가 저면부(26)에 역시 고정된다. 또한, 컨트롤커버(8)를 실외기의 측벽(1a)에서 분리한 후에 전원연결장치인 터미널블럭(12)을 실외기의 측벽(1a)에 형성된 서비스창(1c)의 입구에서 쉽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경사부(27)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컨트롤판넬에는 전장품 사이의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여러개의 전선(9)이 클램프(9')에 의하여 컨트롤판넬(7)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전장품이 고정된 컨트롤판넬(7)은, 컨트롤판넬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편(25)을 서비스창의 하단에 고정시키고, 고정편(24)은 실외기 전면의 내벽에, 고정공(26a)은 배리어(5)에 각각 고정하여 실외기 내부에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외기에 고정되는 컨트롤판넬의 구조에 의하면, 컨트롤판넬이 서비스창의 입구, 실외기 전면의 내측, 그리고 배리어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고정되는 전장품에 비해 컨트롤판넬의 면적이 넓게 구성되어 컨트롤판넬을 체결하기 위해 넓은 공간을 확보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판넬을 실외기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여러 곳의 고정편 및 고정공을 체결하여야 하므로, 조립시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서비스창 입구에 컨트롤판넬의 상단과 하단을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부를 이용하여 조립이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장품을 고정하기 위한 컨트롤판넬을 실외기 내부에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공기조회기 실외기의 컨트롤부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컨트롤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판넬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판넬에 전장품이 고정된 컨트롤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부가 실외기에 고정된 상태의 분해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실외기 10a ..... 측벽
30 ..... 컨트롤판넬 31 ..... 상면
32 ..... 후면 33 ..... 경사면
34, 35 ..... 체결편 34a, 35a ..... 체결공
40 ..... 삽입부 41 ..... 고정편
41a, 42a ..... 고정공 42 ..... 고정띠
51 ..... 캐피시터 52 ..... 파워릴레이
53 ..... 터미널블럭 54 ..... 전선
55 ..... 클램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구조는, 캐피시터를 수납하기 위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고정편과,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트롤판넬을 가지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전장품이 밀집되게 컨트롤판넬에 고정되어 컨트롤부의 설치공간을 좁게 차지하고, 컨트롤부의 각 전장품이 서비스창의 입구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되어 효율적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판넬(30)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보이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31)과 후면(32), 그리고 경사면(33)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후면(32)과 경사면(33)의 일부를 삼면 절개하여 삽입부(40)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4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개면을 절곡하여 고정편(4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40)로 수납한 캐피시터를 고정편(41)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띠(42)에 형성된 고정공(42a)과 대응되게 고정편(41)에 고정공(41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판넬(3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체결공(34a, 35a)을 가지는 체결편(34, 35)을 형성한다.
도 3에서 설명한 컨트롤판넬(30)에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장품이 체결되는 과정을 도 4를 기초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판넬에 전장품이 고정된 컨트롤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실외기의 압축기와 팬모터에 원활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캐피시터(51)를 삽입부(40)에 삽입하여 고정띠(42)로 감싼 후, 고정띠(42)의 고정공(42a)를 고정편(41)에 형성된 고정공(41a)과 일치하도록 위치시켜 나사로 조여서 고정시킨다. 압축기와 실외기의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파워릴레이(52)는 컨트롤판넬(30)의 후면(32)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원연결장치인 터미널블럭(53)은 경사면(33)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컨트롤판넬(30)에 고정된 터미널블럭(53) 등의 전장품에 연결된 전선(54)은 클램프(55)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도 3에서 설명한 컨트롤판넬(30)에 전장품을 고정하여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가 구성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부가 실외기에 고정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컨트롤판넬(30)의 후면에 파워릴레이(52)가 고정되고, 경사면에 터미널블럭(53)이 고정된다. 그리고, 컨트롤판넬의 후면과 경사면을 일부분 절개하여 형성한 고정편(41)에 캐피시터(51)를 고정띠(42)로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부를 실외기(10)의 측벽(10a)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서비스창의 입구에 컨트롤판넬(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34, 35)을 고정한다. 이로써, 컨트롤부(20)가 실외기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장품이 밀집되게 고정할 수 있는 컨트롤부를 구성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판넬의 상단과 하단에 구성된 체결편을 실외기의 측벽 내측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의 이상현상이나 불량을 점검하고자 할 경우에 컨트롤커버를 열면 서비스창 입구에 모든 전장품이 위치하기 때문에, 손쉽게 서비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장품이 밀집되게 고정되어 구성되는 컨트롤부를 실외기의 측벽에 마련된 서비스창의 입구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의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응축 효율을 높이기 위한 송풍팬과, 상기 압축기와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경사면과 후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캐피시터를 수납시킬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실외기의 측벽 내측에 상단과 하단을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판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판넬은,
    삽입부를 형성하기 위해 절개한 부분으로 고정편을 형성하여 캐피시터를 고정띠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KR1020000031684A 2000-06-09 2000-06-09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KR20010112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684A KR20010112567A (ko) 2000-06-09 2000-06-09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684A KR20010112567A (ko) 2000-06-09 2000-06-09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567A true KR20010112567A (ko) 2001-12-20

Family

ID=1967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684A KR20010112567A (ko) 2000-06-09 2000-06-09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25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5931A (zh) * 2012-01-27 2013-07-31 三菱电机株式会社 压缩机、冰箱、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5931A (zh) * 2012-01-27 2013-07-31 三菱电机株式会社 压缩机、冰箱、设备
CN103225931B (zh) * 2012-01-27 2016-08-31 三菱电机株式会社 压缩机、冰箱、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738B2 (en) Wire fixing structure, electrical equipment mount device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2019000411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112331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210106142A (ko) 공기조화기
KR20010112567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JP4977354B2 (ja) 電装箱
KR2001011094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84518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KR100557766B1 (ko) 공기조화기
KR20050062044A (ko) 공기조화기
KR20010110940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20010110937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커버 구조
KR200161127Y1 (ko) 공기조화기의 전선 접속장치
KR20010110941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KR20010110942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KR012892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KR10035337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장착구조
KR200232359Y1 (ko) 패키지에어콘의송풍기고정장치
KR20040021342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
KR200171916Y1 (ko) 공조기기
KR100662155B1 (ko) 공기조화기의 팬 및 모터 설치구조
KR200165386Y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96258B1 (ko) 공기조화기
KR10067943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