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521A -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종광 - Google Patents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종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521A
KR20010112521A KR1020000031042A KR20000031042A KR20010112521A KR 20010112521 A KR20010112521 A KR 20010112521A KR 1020000031042 A KR1020000031042 A KR 1020000031042A KR 20000031042 A KR20000031042 A KR 20000031042A KR 20010112521 A KR20010112521 A KR 2001011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ging
punch
heald
hol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274B1 (ko
Inventor
나승용
유재환
Original Assignee
나승용
유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용, 유재환 filed Critical 나승용
Priority to KR102000003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274B1/ko
Publication of KR2001011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08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loom he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2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multi-stage fo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4Pierc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6Fo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공과 종광의 양측면 및 실 가이드공의 경도를 높이고 실의 끈어짐과 부푸러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조펀치로 단조함과 동시에 그 단조된 부분을 호형으로 형성시키고 또 상기 강판을 30°∼ 45°로 경사지게 천공하여 종광을 견고하게 만들수 있도록 한 제직기용 종광과 그 종광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강판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0.2㎜∼0.5㎜의 강판을 상/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진 종광 제조장치에 공급하고 그 공급된 강판의 중앙부를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실 가이드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실 가이드공을 단조펀치로 적어도 2회이상 단조함과 동시에 상기 강판의 양측 단부를 각각의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고정공을 형성시키고 그 고정공을 단조펀치로 단조하는 단계; 상기 강판에 형성된 실 가이드공과 고정공의 주위를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종광의 외곽 양측면을 따내고 그 따낸 양측면을 단조펀치로 단조하는 단계; 상기 양측면이 단조된 종광의 실 가이드공을 15°∼ 35°로 비틀림 하고 그 비틀림 된 종광의 양측 헤드부분을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종광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져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종광{A heald of weaving machin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equipment therefor}
본 발명은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종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공과 종광의 양측면 및 실 가이드공의 경도를 높이고 실의 끈어짐과 부푸러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조펀치로 단조함과 동시에 그 단조된 부분을 호형으로 형성시키고 또 상기 강판을 30°∼ 45°로 경사지게 천공하여 종광의 불량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직기는 다수의 경사와 위사를 엮어서 직물을 직조하는 기계로써, 제직기에서 투입되는 경사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지고 그 두 종류는 대개 같은 수의 실들로 구성된다. 상기 두 종류의 경사들은 앞쪽에서는 같은 레벨로 설치된 하나의 고정장치에 고정되어 앞쪽으로 진행하거나 롤에 감기게 된다.
이미 직조된 앞쪽의 직조부분이 실들의 앞쪽 조정장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직조된 부분을 다른 도구로 당기거나 감아주면서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평면적으로 볼 때 한 종류를 구성하는 경사들의 사이사이에 번갈아 가면서 다른 종류를 구성하는 개개의 위사들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각 경사들은 뒤에 실을 지지해줄 지지체를 거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수많은 가닥의 경사들을 감아서 형성한 하나의 실패에 감겨있다. 앞쪽의 고정장치를 움직여 경사들을 일정하게 감거나 당기면 뒤쪽의 실패에서 실이 풀리면서 제직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 공정에서 같은 종류의 경사들을 지지하는 지지체는 같은 레벨에 있게 되며 이들 지지체의 한 종류가 동시에 올려지면서 여기에 지지된 한 종류의 경사들을 위쪽에 올리고 다른 한 종류의 지지체는 동시에 내려져 여기 지지되는 한 종류의 경사들을 내리면 그 사이의 공간에는 하나의 위사를 끼우게 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위쪽의 경사 종류를 내리고 아래쪽의 경사 종류를 올려 두 경사 종류의 위치가 반대가 되게 한 다음 다시 그 사이 공간으로 다음 위사를 끼운다. 현대의 직조기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직조를 하므로 경사의 종류가 오르내리는 속도도 매우 빠르고 그 중간에 공간이 형성될 때 그 공간에 위사를 끼워주는 것도 매우 빠르게 이루어진다.
위사를 끼워주는 방법은 위사를 운반하는 매체에 따라 워터 제트를 이용하는 방법.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앞에서 경사들을 당기면서, 두 경사 그룹을 교차되게 올리고 내리고 또한 그때마다 위사를 두 종류의 경사들 사이 공간으로 계속 끼워가면 경사와 위사가 서로 교차되게 엮어지면서 직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직조공정이 이루어지는 제직기에서 개개의 위사들을 뒤쪽에서 지지하면서 올려주고 내려주는 부재가 종광(500)이다. 이 종광은 개개의 경사들의 수만큼이 필요하고 경사들이 두 종류로 나뉘어 지듯이 종광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이 두 종류로 나뉘어져 각각 제직기(700)의 서로 다른 수평바(7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직기(700)의 수평바(710)가 올라가면 그에 고정된 한 종류의 종광(500)들도 올라가고 종광에 의해 지지되는 같은 종류의 경사들도 같이 올라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다른 수평바(710)는 제직기(700)에서 아래 위치로 내려가고 동시에 이에 고정되는 종광(500)의 일단과 그에 고정된 경사 종류도 내려간다.
도 2a는 종래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써 종광(500)은 길게 형성되는 좁은 철편이며 그 철편상에 제직기에서 상하로 반복동작을 하는 수평바(7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 헤드부(540)에 고정공(520)을 가지며 중앙에는 종광이 각 경사를 지지하며 가이드 하는 실 가이드공(5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직조용 종광(500)은 길이방향 양 단부의 제직기(700)의 수평바(7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520)을 가지고 너비가 넓은 헤드부(540), 경사(이하 실(720)이라 칭함)를 끼우기 위한 실 가이드공(510))이 형성된 중앙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55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광(500)의 실 가이드공(510) 및 고정공(520)의 형성은 끝단부가 예리하게 형성된 펀치의 천공에 의해 마련되고 그 펀치에 의해 천공되는 실 가이드공(510) 및 고정공(520)의 형상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각을 형성하며 마련된 실 가이드공(510)에 실(720)을 끼우고 직조를 하게되면 상기 실이 각과 마찰이 일어나면서 자주 끈어지게 되고 부푸러기가 발생하게 되어 자동화 설비인 제직기의 작동을 자주 정지시켜야 하고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불량품이 생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실 가이드공(510)의 각 부분을 연마하게 되는데, 그 연마방법은 샌드페이퍼 및 브라이트휠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연마함으로써 이는 종광(500)의 특성상 작업성이 난해하여 인력낭비는 물론, 제작단가의 상승으로 종광의 소비자 단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 상기 실 가이드공(510)으로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720)이 끼워지고 그 끼워진 실은 계속해서 진행이 이루어 짐으로 상기 실 가이드공(510)의 일측면과 실이 마찰이 일어나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과의 마찰면에 홈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실은 마찰이 더욱 심해지고 그 실은 자주 끈어지게 되어 직물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과 아울러 생산성 저하시킴으로 새로운 종광으로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해를 보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현재 사용되고 잇는 종광은 6개월을 사용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광의 중앙에 형성되는 실 가이드공을 천공하고 그 천공된 실 가이드공을 반원형으로 단조하면서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는 실가이드공형성부와, 상기 종광의 양측에 위치한 헤드부에 형성되는 고정공을 천공하고 그 천공된 고정공을 반원형으로 단조하면서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는 고정공형성부와, 상기 종광의양측면을 따내고 그 따낸 부분을 반원형으로 단조하면서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는 종광외곽형성부와, 상기 종광의 양측 헤드부를 형성시키고 그 형성된 헤드부의 가상선을 반원형으로 단조하면서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는 종광마무리부에 의해 단단하고 표면이 미려한 종광을 제조함에 있다.
도 1은 종광이 제직기의 수평바에 설치된 상태를 사진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종광 사시도 및 그 사시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종광의 문제점을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광을 제조하기 위한 종광 제조장치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종광 제조장치를 형성하는 상/하부 금형의 저면 및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가이드공을 상/하부에서 단조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가이드공 및 고정공의 마무리 단조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8은 제직기에 설치하기 위하여 2개의 종광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실 가이드공 성형부 110,210,310,420 : 천공펀치
120,220,320 : 단조펀치 130,230,330 : 천공펀치공
140,240,340 : 단조펀치공 200 : 고정공성형부
300 : 종광외곽성형부 400 : 종광마무리부
410 : 비틀음수단 500 : 종광
510 : 실 가이드공 520 : 고정공
530 : 양측면 540 : 헤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광 제조방법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강판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0.2㎜∼0.5㎜의 강판을 상/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진 종광 제조장치에 공급하고 그 공급된 강판의 중앙부를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실 가이드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실 가이드공을 단조펀치로 적어도 2회이상 단조함과 동시에 상기 강판의 양측 단부를 각각의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고정공을 형성시키고 그 고정공을 단조펀치로 단조하는 단계; 상기 강판에 형성된 실 가이드공과 고정공의 주위를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종광의 외곽 양측면을 따내고 그 따낸 양측면을 단조펀치로 단조하는 단계; 상기 양측면이 단조된 종광의 실 가이드공을 15°∼ 35°로 비틀림 하고 그 비틀린 된 종광의 양측 헤드부분을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종광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실 가이드공의 단조는 종광 제조장치의 상하부에 마련된 각각의 단조펀치를 이용하여 상/하부 교대로 3회씩 실시하고 최종적으로는 상/하부의 단조펀치를 동시에 작동시켜 단조되고, 종광 외곽 양측면의 가공은 종광 제조장치의 상/하부에 마련된 각각의 단조펀치가 동시에 작동되어 단조되며, 상기 각 단계별 천공및 단조는 강판의 30°∼ 45°방향으로 이루어긴다.
또한 본 발명의 종광 제조장치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상/하부 금형의 입측 중앙에 출측방향을 따라 실 가이드공의 천공과 그 천공된 실 가이드공을 단조하는 각각의 천공펀치와 단조펀치가 2개이상 마련되고 그와 대향하는 상기 상/하부 금형에는 천공펀치공과 단조펀치공이 마련된 실가이드공형성부; 상기 상/하부 금형의 입측 양측에 출측방향을 따라 고정공의 천공과 그 천공된 고정공을 단조하는 각각의 천공펀치와 단조펀치가 마련되고 그와 대향하는 상기 상/하부 금형에는 천공펀치공과 단조펀치공이 마련된 고정공형성부; 상기 실가이드공형성부 및 고정공형성부의 출측에는 종광의 외곽 양측면을 따내고 그 따낸 부분을 단조하는 각각의 천공펀치와 단조펀치가 마련되고 그와 대향하는 상기 상/하부 금형에는 천공펀치공과 단조펀치공이 마련된 종광외곽형성부; 상기 외곽형성부의 출측 중앙에 실 가이드공을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주는 비틀음수단이 마련되고 그 비틀음수단의 출측 양측에는 종광의 헤드부 상단을 따내는 천공펀치가 마련된 종광마무리부;로 구성된다.
또 상기 천공펀치와 단조펀치 및 천공펀치공과 단조펀치공은 상/하부 금형에 교대로 3개씩 실시되고 그 마지막의 단조펀치는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 금형에 마련된 각각의 천공펀치와 단조펀치 및 천공펀치공과 단조펀치공은 30°∼ 45°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종광은 중앙에 실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그 양측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에는 고정공이 형성된 종광에 있어서, 상기 실 가이공의 가장자리부 및종광의 외곽 양측면은 반호형으로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와 종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종광을 제조하기 위한 종광 제조장치 개략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종광 제조장치를 형성하는 상/하부 금형의 저면 및 평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가이드공을 상/하부에서 단조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실 가이드공 및 고정공의 마무리 단조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종광 제조장치 구성은 크게 구분해서 종광(500)의 중앙에 형성되는 실 가이드공(510)을 천공하고 그 천공된 실 가이드공(510)을 반원형으로 단조하면서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는 실가이드공형성부(100)와;
상기 종광(500)의 양측에 위치한 헤드부(540)에 형성되는 고정공(520)을 천공하고 그 천공된 고정공을 반원형으로 단조하면서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는 고정공형성부(200)와;
상기 종광(500)의 양측면을 따내고 그 따낸 부분을 반원형으로 단조하면서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는 종광외곽형성부(300)와;
상기 종광(500)의 양측 헤드부(540)를 형성시키고 그 형성된 헤드부의 가상선을 반원형으로 단조하면서 표면을 미려하게 가공하는 종광마무리부(40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종광 제조장치의 실가이드공형성부(100)와, 고정공형성부(200)와, 종광외곽형성부(300)와, 종광마무리부(400)는 상/하부금형(A,B)에 마련된 것으로써, 상기 상/하부금형(A,B)이 작동하면 그들이 같이 작동하게 되어 실 가이드공(510), 고정공(520), 종광의 양측면(530), 종광의 헤드부(540)가 동시에 천공되고 단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가이드공형성부(100), 고정공형성부(200), 종광외곽형성부(300), 종광마무리부(400)를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는 것이고, 또 본 발명의 각각의 펀치 및 펀치공은 2개가 한조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성품들의 한번의 작동으로 두개의 종광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먼저 도 4 및 도 5a,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광 제조장치를 형성하는 상부금형(A)의 입측 중앙에는 강판공급부(600)로부터 공급되는 강판(610)에 실 가이드공(510)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펀치(110)가 2개를 한조로 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천공펀치(110)와 대향하는 하부금형(B)에는 상기 천공펀치(110)가 삽입되는 천공펀치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금형(A)이 하부금형(B)쪽으로 작동하면 천공펀치(110)는 상기 상/하부금형(A,B) 사이로 공급되는 강판(610)의 중앙부를 천공하게 되어 실 가이드공(5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강판(610)의 중앙부를 천공(실 가이드공(510))하는 천공펀치(110)의 선단부는 하부금형(B)에 형성된 천공펀치공(130)으로 삽입 되었다가 원위치된다.
이와 같이하여 강판에 실 가이드공(510)이 천공되면 그 천공된 강판(610)은 출측으로 진행하고 이때 상기 상부금형(A)의 양측에 설치된 천공펀치(210)는강판(610)의 양측을 천공하여 고정공(520)을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실 가이드공(510)의 가장자리부는 고정공(520)이 천공되기 전에 상/하부금형(A,B)에 교대로 설치된 단조펀치(120)들에 의해서 단조가 이루어지고 그 단조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의 금형에 설치된 단조펀치(120)가 실 가이드공(510)을 관통하며 단조펀치공(140)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단조펀치(120)의 코너부분에 형성된 호형부분(121)이 실 가이드공(510)의 단부와 접촉되어 그 단부가 호형으로 단조된다.
단 상기 실 가이드공(510)의 단조 횟수는 총 4회이고 그 단조의 방법은 하부→상부→하부→상부→하부→상부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금형(A,B)에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된 단조펀치(120)가 상호 만나도록 작동되어 상기 실 가이드공(510)의 마무리 단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520)의 천공 후에도 상기 실 가이드공(510)을 단조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조펀치(220)와 단조펀치공(240)에 의하여 단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실 가이드공(510) 및 고정공(520)의 천공과 단조과정이 완료되면 그 다음에는 종광(500)의 양측면(530)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 종광(500)의 양측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천공펀치(310)로 천공을 하여 상기 종광(500)의 양측면(530)을 따내고 또 단조펀치(320)을 이용하여 상기 종광(500)의 양측면(530)이 호형이 되도록 단조한다. 상기 단조의 방법은 상기 실 가이드공(510) 및 고정공(520)의 마무리 단조방법인 도 7a 및 도 7b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종광(500)의 양측면(530) 단조시에는 단조펀치(320)의 양측에 설치된 각각의 지지구(350)가 종광헤드부(540)를 견고하게 잡아주며 지지하기 때문에 안전한 단조가 이루어진다.
또 상기 종광(500)의 양측면(530) 단조과정이 완료되면 실 가이드공(510)의 주위를 비틀음수단(410)을 이용하여 15°∼ 30°가 되도록 비틀음 작업을 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제직기의 수평바(700)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종광(500)이 한조가 되어 설치되고 그 설치된 종광(500)의 실 가이드공(510)에 각각의 실을 끼울때에 실 상호간에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비틀음수단(410)을 이용한 실 가이드공(510) 주위의 비틀음 과정은 상기 비틀음수단(410)인 펀치의 저면이 15°∼ 3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그 펀치를 이용하여 실 가이드공(510) 주위를 펀칭하게 되면 그 펀칭력을 받은 실 가이드공(510)의 주위는 15°∼ 30°로 비틀리게 된다.
또한 상기 실 가이드공(510)의 주위 비틀음 과정이 완료되면 종광(500)의 양측 헤드부(540)의 끝단부를 상부금형(A)에 설치된 천공펀치(420)를 이용하여 천공을 함으로써 종광을 제조하기 위한 마지막 공정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천공펀치(420)와 마주보는 하부금형(B)에는 천공펀치공(430)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도 5a 및 도 5b에는 표현되어 있으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하부금형(A,B)의 최입측 양단부에 설치된 펀치(150)는 강판(610)의양단부를 천공하며 그 강판을 일정한 량과 속도로 진행시켜 주는 역활을 하고, 또 실 가이드공을 천공하는 천공펀치(110)와 고정공을 천공하는 천공펀치(210)의 사이 양측에 설치된 펀치(160)는 종광(500)의 헤드부(530) 내측에 형성되는 구멍(550)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펀치(160)의 후방에 설치된 또 다른 펀치(161)는 상기 구멍(550)을 단조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비틀음수단(410)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펀치(430)는 종광의 헤드부(540) 일측 호형부분을 단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종광(500)의 실 가이드공(510)과 고정공(520) 및 종광의 양측면(530)과 헤드부(540)가 완료되는 것이고, 상기 실 가이드공(510)을 적어도 2회이상(4회)단조하고 그 단조되는 부분을 호형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실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켜 상기 실 가이드공(510)의 마모를 줄임은 물론, 실의 끈어짐과 부푸러기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광(500)의 양측면(530)을 상기 실 가이드공(510)과 마찬가지로 단조를 하고 호형으로 성형시키는 이유는 상기 종광(500)의 양측면(530) 강도를 향상시킴은 물론, 실과 접촉시 실의 끈어짐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실가이드공형성부(100)와, 고정공형성부(200)와, 종광외곽형성부(300)와, 종광마무리부(400)는 상/하부금형(A,B)에 30°∼ 45°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강판의 특성상 강의 결( 강 조직)이 대부분 30°∼ 45°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결 방향으로 펀칭과 단조가 이루어져야 강의 크랙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또 용이하게 천공 및 단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광에서 제일로 문제시되는 실 가이드공의 마모를 예방하고 또 실의 끈어짐을 방지하며 종광의 제조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대량생상으로 인한 소비자 단가를 낯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실 가이드공을 적어도 2회이상 단조함으로써 그 단조부분이 강해져 실에 의한 마모율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종광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고, 또 상기 실 가이드공을 단조하면서 그 단조부분을 호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실의 끈어짐과 부푸러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 가이드공 외에도 고정공과 종광의 양측면을 단조하고 호형으로 형성시켜 종광의 견고성과 실의 끈어짐 등을 방자 함은 물론, 강판을 30°∼ 45°경사지게 천공하고 단조하여 종광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실 가이드공 및 고정공을 천공하면서 발생하는 크랙이나 휨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양질의 종광을 제조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강판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0.2㎜∼0.5㎜의 강판을 상/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진 종광 제조장치에 공급하고 그 공급된 강판의 중앙부를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실 가이드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실 가이드공을 단조펀치로 적어도 2회이상 단조함과 동시에 상기 강판의 양측 단부를 각각의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고정공을 형성시키고 그 고정공을 단조펀치로 단조하는 단계;
    상기 강판에 형성된 실 가이드공과 고정공의 주위를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종광의 외곽 양측면을 따내고 그 따낸 양측면을 단조펀치로 단조하는 단계;
    상기 양측면이 단조된 종광의 실 가이드공을 15°∼ 35°로 비틀림 하고 그 비틀린 된 종광의 양측 헤드부분을 천공펀치로 천공하여 종광의 헤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실 가이드공의 단조는 종광 제조장치의 상하부에 마련된 각각의 단조펀치를 이용하여 상/하부 교대로 3회씩 실시하고 최종적으로는 상/하부의 단조펀치를 동시에 작동시켜 단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종광 외곽 양측면의 가공은 종광 제조장치의 상/하부에 마련된 각각의 단조펀치가 동시에 작동되어 단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종광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별 천공 및 단조는 강판의 30°∼ 45°방향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
  5. 상/하부 금형(A,B)의 입측 중앙에 출측방향을 따라 실 가이드공(510)의 천공과 그 천공된 실 가이드공을 단조하는 각각의 천공펀치(110)와 단조펀치(120)가 2개이상 마련되고 그와 대향하는 상기 상/하부 금형에는 천공펀치공(130)과 단조펀치공(140)이 마련된 실가이드공형성부(100);
    상기 상/하부 금형의 입측 양측에 출측방향을 따라 고정공(520)의 천공과 그 천공된 고정공을 단조하는 각각의 천공펀치(210)와 단조펀치(220)가 마련되고 그와 대향하는 상기 상/하부 금형에는 천공펀치공(230)과 단조펀치공(240)이 마련된 고정공형성부(200);
    상기 실가이드공형성부 및 고정공형성부의 출측에는 종광(500)의 외곽 양측면(530)을 따내고 그 따낸 부분을 단조하는 각각의 천공펀치(310)와 단조펀치(320)가 마련되고 그와 대향하는 상기 상/하부 금형에는 천공펀치공(330)과 단조펀치공(340)이 마련된 종광외곽형성부(300);
    상기 외곽형성부의 출측 중앙에 실 가이드공을 소정의 각도로 비틀어주는 비틀음수단(410)이 마련되고 그 비틀음수단의 출측 양측에는 종광의 헤드부(540) 상단을 따내는 천공펀치(420)가 마련된 종광마무리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종광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펀치와 단조펀치 및 천공펀치공과 단조펀치공은 상/하부 금형에 교대로 3개씩 실시되고 그 마지막의 단조펀치는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종광 제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금형에 마련된 각각의 천공펀치와 단조펀치 및 천공펀치공과 단조펀치공은 30°∼ 45°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종광 제조장치.
  8. 중앙에는 실 가이드공(510)이 형성되고 그 양측 단부에 형성된 헤드부(540) 중앙에는 고정공(520)이 형성된 종광에 있어서, 상기 실 가이공의 가장자리부 및 종광의 외곽 양측면은 반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기용 종광.
KR1020000031042A 2000-06-07 2000-06-07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종광 KR10035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042A KR100356274B1 (ko) 2000-06-07 2000-06-07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종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042A KR100356274B1 (ko) 2000-06-07 2000-06-07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종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075U Division KR200210496Y1 (ko) 2000-06-07 2000-06-07 제직기용 종광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521A true KR20010112521A (ko) 2001-12-20
KR100356274B1 KR100356274B1 (ko) 2002-10-12

Family

ID=1967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042A KR100356274B1 (ko) 2000-06-07 2000-06-07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종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2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525B1 (ko) * 2012-09-27 2014-06-10 김자경 직기용 종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331A (ja) * 1988-09-01 1990-03-07 Sumitomo Chem Co Ltd 織機用綜絖枠および綜絖枠用外枠ステーの製造方法
KR930010712B1 (ko) * 1991-08-22 1993-11-08 이경순 직기용 종광 제조방법
JP3135316B2 (ja) * 1991-11-01 2001-02-1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776676B1 (fr) * 1998-03-31 2000-05-26 Staubli Lyon Procede de fabrication d'une lisse, lisse et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pour metier a tis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525B1 (ko) * 2012-09-27 2014-06-10 김자경 직기용 종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274B1 (ko) 200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2152A1 (en) Thick belt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56274B1 (ko) 제직기용 종광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종광
CN101314881B (zh) 织布打样机的选色机构
KR200210496Y1 (ko) 제직기용 종광 제조장치
CN103243446B (zh) 超细桑蚕丝纤维构成的薄地机织物
CN210341257U (zh) 一种经编机的展布装置
CN101649521B (zh) 大提花织机的一体式综丝及其制造方法
CN105537341B (zh) D字形截面高强钢保险杠弯曲成形方法
EP1342823A3 (en) Method for weaving fabrics of various kinds in small lots
EP1595010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webes in leinwand- und dreherbindungen sowie webmaschine zur verfahrensdurchführung
KR100311098B1 (ko) 직기용판형종광의성형방법
US4463782A (en) Shedding apparatus for circular weaving of multi-harness fabrics and method of using the apparatus
KR200229742Y1 (ko) 직기용 종광
KR100635029B1 (ko) 카카스용 텍스타일 원단 프리킹 장치
KR100432271B1 (ko) 직기용 종광 제조장치
KR101279668B1 (ko) 자카드를 이용한 천연섬유사 제직장치
CN108411468B (zh) 一种用于剑杆织机的钢筘制造工艺
CN2167106Y (zh) 钢丝综用综眼
CN220520752U (zh) 一种基于剑杆织机的大行程平行式打纬机构
KR20150028186A (ko) 내마모성 직조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2509202Y (zh) 热定型无油润滑石墨导轨
CN216765174U (zh) 一种纺织毛巾生产用整经机
CN2556174Y (zh) 分纱机
US5909750A (en) Multiple stag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woven fabric
KR100281012B1 (ko) 직조용 종광 및 그 표면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