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943A -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943A
KR20010111943A KR1020000032725A KR20000032725A KR20010111943A KR 20010111943 A KR20010111943 A KR 20010111943A KR 1020000032725 A KR1020000032725 A KR 1020000032725A KR 20000032725 A KR20000032725 A KR 20000032725A KR 20010111943 A KR20010111943 A KR 2001011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audio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상섭
Original Assignee
엄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상섭 filed Critical 엄상섭
Priority to KR102000003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1943A/en
Priority to PCT/KR2001/000718 priority patent/WO2001089101A1/en
Priority to AU58866/01A priority patent/AU5886601A/en
Publication of KR2001011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94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개시된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오디오의 제어키를 구비하여, 카오디오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핸즈프리로 전화통화를 함은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MP3 수단의 재생신호를 카오디오를 통해 청취한다.The disclosed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includes a control key of a car audio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in the car audio, and also makes a phone call hands-free. Of course, listen to the playback signal of the MP3 mea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ar audio.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오디오 본체에 장착되는지를 판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오디오 본체에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정상 상태로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를 표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구비된 단말기용 키보드의 조작에 따라 전화통화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오디오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표시창에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를 90도 회전시켜 표시하고, 전원키의 입력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을 토글시킨 후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고,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이 온 상태일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의 제어키를 조작함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한 동작모드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r audio body,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mounted on the car audio body, displays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in a normal state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Performs a telephone cal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keyboard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in the car audio main body,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re rotated by 90 degree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Toggles the power of the car audio body according to the key input, and determines the power state of the car audio body, and the control key of the MP3 / car audio keyboard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power of the car audio body is on.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car audio main body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main body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mod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of car audio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카오디오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핸즈프리로 전화통화를 함은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MP3 수단의 재생신호를 카오디오를 통해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r audi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nds-free phone calls as well as the playback signal of the MP3 means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car audi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and a control apparatus of a car audio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생활 형태의 변화 및 경제성장 등과 함께 통신 문화의 형태가 급속도로 변화되고, 정보화 시대에 있어서 고속의 정보전달에 대한 요구로 시간은 물론 지하, 공중, 해상 및 산악 지역 등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통신 매체로 자리잡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hange of life style and economic growth, the form of communication culture is changing rapidly, and the demand for high-speed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e information age is not only time, but also underground, air, sea and mountain area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receive communication service regardless of place is becoming an important communication medium that is indispensable in daily life.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최근에는 MP3 수단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통화를 하지 않을 경우에 MP3용 음악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MP3 수단이 재생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MP3용 음악 파일이 미리 저장된 메모리 팩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장착하고, 그 메모리 팩에 저장된 MP3용 음악 파일을 MP3 수단이 재생 및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2가지의 기능을 모두 구비하여 다운로드받은 MP3용 음악 파일 및 메모리 팩에 저장된 MP3용 음악 파일을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suc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carry a telephone call and has recently been provided with an MP3 means to download a music file for MP3 when not making a telephone cal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P3 means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played and listened to by the user, or a removable memory pack in which the MP3 music file i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is detachably mounted, and the MP3 music file stored in the memory pack is stored in the MP3. The means allows playback and the user to listen, and also has both of the above functions to selectively play and listen to the downloaded MP3 music file and the MP3 music file stored in the memory pack.

그리고 차량을 운전하면서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 차량의 운전에 방해를 받아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많은 차량의 운전자들은 차량에 핸즈프리 장치를 구비하고, 차량에 탑승 및 운전할 우에 상기 핸즈프리 장치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차량의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고 핸즈프리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making a phone cal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driving a vehicle, a lot of safety accidents occur due to being disturbed by driving of the vehicle. Therefore, many vehicle drivers are equipped with a hands-free device in a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is boarded and driv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hands-free device so that hands-free phone calls can be made without disturbing driving of the vehicle.

한편, 차량에는 차량의 운전자 및 탑승객이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전 및 탑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카오디오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오디오는 AM/FM 라디오, 테이프 재생기 및/또는 CD/MD 플레이어 등을 일체로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AM/FM 라디오, 테이프 재생기 및/또는 CD/MD 플레이어 등을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방송신호를 청취하거나 테이프 카세트, CD 및/또는 MD 등의 재생매체의 재생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카오디오는 매우 고가로서 차량을 주차시킬 경우에 침입자가 무단 침입 및 카오디오를 분리시켜 도난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car audio to enable the driver and passengers of the vehicle to drive and ride the vehicle in a more comfortable state. The car audio is provided with an AM / FM radio, tape player and / or CD / MD player integrally, and selectively operates the AM / FM radio, tape player and / or CD / MD play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t is possible to listen to broadcast signals or to listen to playback signals of playback media such as tape cassettes, CDs and / or MDs. Such car audio is very expensive and frequently intruders are stolen by separating an intruder and car audio when the vehicle is parked.

그러므로 최근에는 카오디오의 제어패널을 카오디오의 전면에 착탈이 가능하게 제조하고, 차량을 주차시킬 경우에 제어패널을 카오디오에서 분리시켜 휴대 및 카오디오의 도난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카오디오의 제어패널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은 차량을 탑승할 경우에 카오디오에 제어패널을 장착하고, 주차시킬 경우에 제어패널을 분리시켜 휴대해야 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많은 불편과 번거로움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recently, the control panel of the car audio is manufact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ar audio, and when the vehicle is parked, the control panel is separated from the car audio to prevent theft of the portable and car audio. However, if the car audio control panel is provided separately, the control panel is mounted on the car audio when the vehicle is boarded, and when the car is parked, the control panel must be removed and carried,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here were problems such as giv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오디오에 별도의 제어패널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오디오의 제어키를 구비하며,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카오디오의 전면에 착탈식으로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key of a car audio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carried by a user without having a separate control panel in the car audio,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car audio. A control method and a control apparatus of a car audio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오디오의 전면에 전면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그 전면 개폐부재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착탈식으로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장착된 전면 개폐부재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카오디오의 본체에 테이프 카세트, CD 및 MD 등의 재생매체를 장착하고 재생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on a front surface of a car audio,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to open a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 control apparatus for a car audio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ount and play back a playback medium such as a tape cassette, a CD, and an M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통화 음성신호를 카오디오의 본체로 출력하여 핸즈프리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and a control apparatus of a car audio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utput a telephone call voice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body of the car audio to make a phone call hands-fre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MP3을 일체로 구비하고 전화 통화를 하지 않을 경우에 MP3의 출력 음성신호를 카오디오의 본체로 출력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audio terminal having an integrated MP3 and to output a voice signal of the MP3 to the main body of the car audio when not making a phone call. It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and a contro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고,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배면도이며,2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r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카오디오를 보인 사시도이며,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ar audio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른 카오디오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r audio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장착된 카오디오의 전면 개폐부재를 개방시켜 보인 정면도이며,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car audio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른 카오디오의 전면 개폐부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며,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car audio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른 카오디오의 전면 개폐부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에서 회전 걸림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extracting the rotating locking member 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car audio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며,9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10 is a signal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13 :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0: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 MP3 / car audio keyboard

14 : 단말기용 키보드 16 : 메모리 팩14: terminal keyboard 16: memory pack

20 : 배터리 21 : 전원 충전접점20: battery 21: power charging contact

22, 322 : 입력/출력 접점 30 : 카오디오의 본체22, 322: input / output contact 30: body of car audio

31 : 재생매체 삽입구 32 : 전면 개폐부재31: regeneration medium insertion port 32: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3 : 개폐수단 90 : 마이크로 컴퓨터33: opening and closing means 90: microcomputer

91 : 이동통신 단말기부 92 : DSP부9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92: DSP unit

93 : 증폭부 94 : 스위칭부93: amplification unit 94: switching unit

95 : 수평/수직 표시 구동부 321 : 전원 출력접점95: horizontal / vertical display driver 321: power output contact

331, 334 : 회전축 332, 336 : 스프링331, 334: rotation axis 332, 336: spring

333 : 전면 플레이트 335 : 회전 걸림부재333: front plate 335: rotation locking member

335a : 누름부 335b : 걸림부335a: pressing part 335b: locking part

337 : 걸림핀 338 : 누름 버튼337: locking pin 338: push butt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오디오 본체에 장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오디오 본체에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정상 상태로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를표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구비된 단말기용 키보드의 조작에 따라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1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오디오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표시창에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를 90도 회전시켜 표시하고, 전원키의 입력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을 토글시킨 후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제 3 과정; 및 상기 제 3 과정에서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이 온 상태일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의 제어키를 조작함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한 동작모드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4 과정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control method of a car audio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first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r audio bod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mounted on the car audio main body in the first step, a predetermined letter, number, and symbol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normal state, and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keyboard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A second process of performing a telephone call according to;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r audio body in the first step, predetermined characters, numbers, and symbols are rotated by 90 degree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and the car audio main body is toggl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power key. A third step of determining a power state of the car audio body; And operating the control mode of the MP3 / car audio keyboard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power of the car audio main body is turned on in the third process. Accordingly, it is controlled by the fourth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body.

또한 상기 제 3 과정은, 카오디오 본체가 전원 온 상태일 경우에 호출신호의 수신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보드의 조작여부를 판단하고 호출신호의 수신 또는 단말기용 키보드가 조작될 경우에 통화 음성신호를 카오디오 본체로 출력하여 핸즈프리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함과 아울러 전화통화를 하지 않을 경우에 MP3/카오디오용 키보드의 제어키의 조작을 판단하고 조작한 제어키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일체로 구비된 MP3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MP3의 재생 음성신호를 카오디오의 본체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hird process, when the car audio main body is in a power-on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n operation of a keyboar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ll voice signal is received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keyboard for a terminal is operated. It includes the process of outputting to the car audio body and making a phone call hands-free, and when not making a phone call, judg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key of the MP3 / car audio keyboard and according to the operated control key. In addition to operating the MP3 integrally provided in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reproduced voice signal of the MP3 to the body of the car audio.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장치에 따르면,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가 구비되고 전화 통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AM/FM 라디오 및/또는 소정의 재생매체의 재생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카오디오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오디오 본체에는,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장착되는 전면 개폐부재; 상기 전면개폐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소정의 재생매체를 카오디오의 본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재생매체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개폐수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면 개폐부재에 장착될 경우에 상기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을 그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하여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복수의 전원 충전접점;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및 상기 MP3/카오디오용 키보드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카오디오 본체로 입력/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출력접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car audio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keyboard for MP3 / car audio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And a car audio body integrally provided with an AM / FM radio and / or a reproduction unit of a predetermined playback medium, wherein the car audio body includes: a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and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 closing means for rotating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to expose a reproducing medium insertion opening for mounting the predetermined reproducing medium to the body of the car audio; A plurality of power charging contacts configured to output power of the car audio bod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harge the batter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tacts for inputting / outpu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MP3 / audio keyboar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MP3이 일체로 구비되고, 또한 MP3 및 상기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 이동통신 단말기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용 키보드; 상기 MP3/카오디오용 키보드의 조작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용 키보드의 조작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장착되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 파일이 독출되는 메모리 팩; 상기 메모리 팩에서 독출된 음악 파일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처리하여 출력하는 DSP부; 상기 DSP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선택적으로 카오디오 본체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표시창에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를 정상상태 또는 90도 회전시킨 상태로 표시하는 수평/수직 표시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수단은, 전면 개폐부재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개폐부재가 외측으로 회전 및 개방되게 하는 스프링; 누름부 및 걸림부가 구비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하향 회전되게 구비되는 회전 걸림부재; 상기 전면 개폐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걸림부에 걸려 그 전면 개폐부재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걸림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누름부를 눌러 상기 걸림핀이 상기 걸림부에서 이탈 및 전면 개폐부재가 회전되게 하는 누름 버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3 is integrally provided, and further, MP3 / car audio key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P3 and the car audio body; A terminal keyboar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A microcomput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bod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P3 / car audio keyboard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for the terminal; A memory pack that reads music files that are moun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re stored in adv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A DSP unit for digitally processing and outputting a music file read from the memory pack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SP unit;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the output signals of the amplifying uni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and selectively outputting them to a car audio body; And a horizontal / vertical display driving unit configured to display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on a display window in a normal state or rotated by 90 degree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cludes: a rotating shaft of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A spring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to allow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to rotate and open outward; Rot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to be rotat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 locking pin provid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and caught by a locking portion of the rotation locking member to stop rotation of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An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in is made of a push button to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portion and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and a control apparatus of a car audio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1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로서 본체(10)의 정면 상단에는 스피커(11) 및 표시창(12)이 구비되고, 표시창(12)의 하부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에 일체로 내장되어 있는 MP3 수단 및 후술하는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키로 이루어지는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키로 이루어지는 단말기용 키보드(14)가 구비되며, 단말기용 키보드(14)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MP3의 음악 파일이 미리 저장 및 출력되는 메모리 팩(16)을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 팩 장착부(17)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MP3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 잭(18)이 구비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peaker 11 and a display window 12 are provided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window 12 is integrated with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3 / car audio keyboard 13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ar audio main body and a built-in MP3 means to be described later, and a terminal keyboard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4 is provided, and a microphone 15 for inputting a user's voice signal is provided below the terminal keyboard 14. And a memory pack mounting unit 17 for detachably mounting a memory pack 16 on which a music file of MP3 is stored and output in advance on a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outputting an analog audio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MP3. Earphone jack 18 is provided.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이다. 상기 배터리(20)의 하부에는 전원을 입력하여 충전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 충전접점(21)이 구비되고, 복수의 전원 충전접점(21)의 사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와 소정의 접점(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및 MP3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제어키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출력접점(22)이 구비된다.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battery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ower charging contacts 21 for charging and inputting power, and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contact point between the plurality of power charging contacts 21. (Not shown in the drawing)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outputs the analog voice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P3, as well a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key of the MP3 / keyboard keyboard 13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tact 22 for outputting is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따른 카오디오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카오디오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장착된 카오디오의 전면 개폐부재를 개방시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30은 카오디오의 본체이다. 상기 카오디오의 본체(30)의 전면 플레이트(333)에는 테이프 카세트 등의 재생매체를 내부에 삽입 및 장착할 수 있는 재생매체 삽입구(31)가 형성되고, 카오디오의 본체(30)의 전방에는 개폐수단(33)에 의하여 회전 및 개폐되는 전면 개폐부재(32)가 구비된다.3 is a view showing a car audio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r audio, Figure 5 is a car audio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igure shows opening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Here,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body of car audio. The front plate 333 of the main body 30 of the car audio is formed with a reproducing medium insertion opening 31 for inserting and mounting a reproducing medium such as a tape cassette therein, and in front of the main body 30 of the car audio.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2 is rotated and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33 is provided.

상기 전면 개폐부재(32)에는, 상기 배터리(20)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가 장착될 경우에, 상기 배터리(20)의 복수의 전원 충전접점(2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카오디오의 본체(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배터리(20)에 충전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 출력접점(321)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20)의 복수의 입력/출력접점(22)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에서 출력되는 통화 음성신호 및 MP3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입력함과 아울러 상기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제어키의 조작에 따라 발생된 제어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출력접점(322)이 구비된다.When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battery 20 is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power charging contacts 21 of the battery 20. A plurality of power output contacts 321 are provided to allow the battery 20 to be charged from the main body 30 of the car audio. Also,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tacts 22 of the battery 20 are provided.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keys of the MP3 / audio keyboard 13 as well as inputting the voice call signal and the MP3 analog voice signal which are electrically contacted and output from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tacts 322 for inputting are provided.

상기 개폐 수단(33)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개폐부재(32)의 하부에 회전축(331)이 설치되어 그 전면 개폐부재(32)가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331)에는 스프링(332)을 설치하여 전면 개폐부재(32)가 스프링(332)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 및 개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카오디오의 본체(30)의 전면 플레이트(333)의 내측에는 회전축(334)이 설치되고, 그 회전축(334)에, 누름부(335a) 및 걸림부(335b)가 구비되는 회전 걸림부재(335)가 설치되어 누름부(335a) 및 걸림부(335b)가 전면 플레이트(333)를 관통 및 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회전 걸림부재(335)에 스프링(336)이 설치되어 회전 걸림부재(335)가 스프링(336)의 탄성력으로 하향 회전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개폐부재(32)에는 상기 회전 걸림부재(335)의 걸림부(335b)에 걸려 그 전면 개폐부재(32)의 회전이 정지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333)의 전방에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걸림핀(337)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걸림부재(335)의 누름부(335a)의 전방의 전면 개폐부재(32)에는 누름 버튼(338)이 구비되어 누름버튼(338)을 누를 경우에 상기 누름부(335a)가 눌러지면서 회전 걸림부재(335)가 회전되어 상기 걸림핀(337)이 상기 걸림부(335b)에서 이탈 및 전면 개폐부재(32)가 회전되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6 to 8, the opening / closing means 33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331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such that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is centered on the rotating shaft 331. It is rotatably installed, and the rotation shaft 331 is provided with a spring 332 so that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32 is configured to rotate and open to the outsid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2. And the rotating shaft 334 is provided inside the front plate 333 of the car audio main body 30, the rotating locking member (34a) and the locking portion (335b) is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334 ( 335 is installed so that the pressing portion 335a and the locking portion 335b extend and penetrate the front plate 333 forward and forward, and a spring 336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locking member 335 so as to rotate the locking member 335. Is rotat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6. Also,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335b of the rotation locking member 335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is stopped and positioned vertically in front of the front plate 333. A locking pin 337 is provided, and a push button 338 is provid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in front of the pressing part 335a of the rotating locking member 335 when the push button 338 is pressed. As the pressing part 335a is pressed, the rotation locking member 335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in 337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art 335b and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is rotated.

이러한 개폐 수단(33)은 사용자가 누름버튼(338)을 누를 경우에 누름버튼(338)이 회전 걸림부재(335)의 누름부(335a)를 눌러 회전 걸림부재(335)를회전시키고, 회전 걸림부재(335)의 회전에 따라 걸림핀(337)이 걸림부(335b)에서 이탈되어 전면 개폐부재(32)가 스프링(336)의 탄성력으로 회전 및 카오디오 본체(30)의 전면 플레이트(333)가 노출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338,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33 rotates the rotary locking member 335 by pressing the push part 335a of the rotary locking member 335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338. As the member 335 rotates, the locking pin 337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335b so that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rotates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6 and the front plate 333 of the car audio body 30. Is exposed.

그러므로 사용자는 노출된 전면 플레이트(333)의 재생매체 삽입구(31)를 통해 오디오 테이프 및/또는 CD/MD 등의 재생매체를 카오디오 본체(30)내에 삽입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insert the reproducing medium such as audio tape and / or CD / MD into the car audio body 30 through the reproducing medium insert 31 of the exposed front plate 333.

이와 같이 하여 카오디오 본체(30)내에 오디오 테이프 및/또는 CD/MD 등의 재생매체를 삽입한 후 사용자가 전면 개폐부재(32)를 손으로 회전시켜 원상 복귀시키면, 걸림부(335b)에 걸림핀(337)이 걸리게 되고,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는 카오디오의 전면에 위치되게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 및 단말기용 키보드(14)의 제어키를 조작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inserting a playback medium such as an audio tape and / or CD / MD into the car audio body 30, when the user rotates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by hand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ocking portion 335b is caught. The pin 337 is caught,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car audio, and the user is simply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keys of the MP3 / car audio keyboard 13 and the terminal keyboard 14 can be opera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9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카오디오 본체(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90)에는 MP3 및 상기 카오디오 본체(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키가 구비되는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와, 이동통신 단말기부(9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키를 구비한 단말기용 키보드(14)가 연결된다.9 is a circuit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reference numeral 90 denotes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main body 30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icrocomputer 90 operates the MP3 / audio keyboard 13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9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MP3 and the car audio main body 30. A keyboard 14 for a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is connected.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장착되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9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 파일이 독출되는 메모리 팩(16)과, 상기 메모리팩(16)에서 독출된 음악 파일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9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처리하여 출력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부(92)와, 상기 DSP부(92)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93)와, 상기 증폭부(93) 및 이동통신 단말기부(91)의 출력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9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94)를 구비하고, 스위칭부(94)의 출력신호는 이어폰 잭(18)을 통해 출력됨과 아울러 복수의 입력/출력접점(22) 및 입력/출력접점(322)을 순차적으로 통해 카오디오 본체(30)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9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시창(12)의 수평 및 수직표시를 구동하여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이 표시되게 하는 수평/수직 표시 구동부(95)가 구비된다.The memory pack 16 reads a music file moun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stored in adv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90, and the music file read from the memory pack 16 is read by the microcomputer ( 90,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unit 92 for digitally processing and outputting the signal, an amplifying unit 93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SP unit 92, and an amplifying unit 93 and movement And a switching unit 94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91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90,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94 provides an earphone jack 18. In addition to the output through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tact 22 and the input / output contact 322 is sequentially input to the car audio body 30. In addition, a horizontal / vertical display driver 95 for driving a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y of the display window 12 to display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90 is provided.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에는 구비되는 배터리(20)에는, 카오디오 본체(30)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상기 전면 개폐부재(32)에 구비된 복수의 전원 출력접점(321) 및 배터리(20)에 구비된 복수의 전원 충전접점(21)을 순차적으로 통해 인가되어 충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attery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output contact points 321 and a battery provided with the power output from the car audio main body 30 provided i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20 is sequentially applied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charging contacts 21 provided in the charging and configured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어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의 전원을 온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가 카오디오의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가 단말기용 키보드(14)를 조작함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90)는 이동통신 단말기부(9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source of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n, the microcomputer 90 first mounts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of the car audio. If it is not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the microcomputer 90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91 as the user operates the terminal keyboard 14 so that 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Make a call.

그리고 전화 통화를 하지 않고, 사용자가 메모리 팩 장착부(17)에 소정의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팩(16)을 장착하고,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제어키를 조작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제어키의 신호에 따라 메모리 팩(16)을 제어하여 소정의 음악 파일을 독출하고, 독출한 소정의 음악 파일은 DSP부(92)에서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DSP부(92)에서 출력되는 MP3 음악 파일의 아날로그 신호는 마이크로 컴퓨터(9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94)에서 스위칭 및 선택되어 이어폰 잭(18)으로 출력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이어폰 잭(18)에 이어폰을 연결 및 MP3의 재생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When the user mounts the memory pack 16 in which the predetermined MP3 music file is stored in the memory pack mounting unit 17 and does not make a phone call, and operates a control key of the MP3 / audio keyboard 13. The microcomputer 90 reads the predetermined music file by controlling the memory pack 16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control key of the MP3 / audio keyboard 13, and the read-out predetermined music file is stored in the DSP unit 92. The analog signal of the MP3 music file output from the DSP unit 92 is switched and selected by the switching unit 94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90, and then the earphone jack ( 18, the user can connect the earphone to the earphone jack 18 and listen to the playback voice signal of the MP3.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를 카오디오의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90)는 표시창(12)에 표시할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의 표시 구동신호를 정상으로 출력하고, 출력한 표시 구동신호에 따라 수평/수직 표시 구동부(95)가 표시창(12)을 구동시켜 표시창(12)에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이 정상으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창(12)에 표시된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을 정상 상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attached to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of the car audio, the microcomputer 90 drives display of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2. The user outputs a normal signa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display driver 95 drives the display window 12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display drive signal so that predetermined characters, numbers, and symbols are displayed normally on the display window 12. The predetermined characters, numbers, symbols, etc.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2 can be confirmed in a normal state.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10)를 카오디오 본체(30)의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할 경우에 카오디오 본체(30)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복수의 전원 출력접점(321) 및 배터리(20)에 구비된 복수의 전원 충전접점(21)을 순차적으로 통해 배터리(20)에 공급되어 충전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하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10 is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of the car audio body 30, the power output from the car audio body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output contact points 321 and a battery ( The plurality of power charging contacts 21 provided in 20 are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battery 20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load of the charg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10)의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전원키를 조작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카오디오 본체(30)로 전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카오디오 본체(30)의 전원을 온 및 오프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power key of the MP3 / audio keyboard 13 of the main body 10, the microcomputer 90 outputs a power control signal to the car audio main body 30 to output the car audio main body. The power supply 30 is turned on and off.

상기 카오디오 본체(30)의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제어키를 조작함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90)는 MP3 모드, CD/MD 재생모드, AM 방송모드, FM 방송모드 및 테이프 재생모드를 순차적으로 설정한다.As the user manipulates the control keys of the MP3 / audio keyboard 13 while the power of the car audio main body 30 is turned on, the microcomputer 90 enters the MP3 mode, CD / MD playback mode, AM broadcast mode, The FM broadcast mode and tape playback mode are set sequentially.

여기서, MP3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제어키를 조작함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메모리 팩(16)을 제어하여 소정의 MP3 음악 파일을 독출하고, 독출한 소정의 음악 파일은 DSP부(92)에서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DSP부(92)에서 출력되는 MP3 음악 파일의 아날로그 신호는 증폭부(93)에서 증폭된 후 스위칭부(94)로 입력된다.Here, as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keys of the MP3 / audio keyboard 13 in the MP3 mode, the microcomputer 90 controls the memory pack 16 to read a predetermined MP3 music file. The predetermined music file read ou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processing and an analog signal by the DSP unit 92 and output. The analog signal of the MP3 music file output from the DSP unit 92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93 and then switched. Entered at 94.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90)는 스위칭부(94)를 제어하여 상기 증폭부(43)의 출력신호를 스위칭 및 출력하게 함과 아울러 카오디오 본체(30)를 MP3 모드로 제어 및 상기 스위칭부(94)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선택 출력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microcomputer 90 controls the switching unit 94 to switch and output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ying unit 43, and to control the car audio body 30 in the MP3 mode and the switching unit.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94 is selectively outputted.

그리고 사용자가 AM 방송모드, FM 방송모드 및 재생모드 등을 선택함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90)는 카오디오 본체(30)를 제어하여 AM 방송모드, FM 방송모드 및 재생모드 등으로 동작시키고, AM 방송신호, FM 방송신호 및 테이프 등과 같은 소정 재생매체의 재생신호를 출력하게 된다.As the user selects the AM broadcast mode, the FM broadcast mode, and the playback mode, the microcomputer 90 controls the car audio body 30 to operate in the AM broadcast mode, the FM broadcast mode, and the play mode, and the like. A reproduction signal of a predetermined reproduction medium such as a signal, an FM broadcast signal and a tape is output.

이와 같이 MP3 모드, AM 방송모드, FM 방송모드 및 재생모드 등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말기용 키보드(14)의 제어키를 조작하거나 또는 전화가 걸려와 사용자가 착신 및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스위칭부(94)를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부(9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스위칭부(94)를 통해 카오디오 본체(30)로 입력되게 함과 아울러 카오디오 본체(30)를 제어하여 상기 스위칭부(94)의 출력신호를 선택 출력하게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카오디오를 이용하여 핸즈프리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keys of the keyboard 14 for the terminal in the state of operating in the MP3 mode, AM broadcast mode, FM broadcast mode and playback mode or the like, and a call is received, the user calls and makes a phone call. The microcomputer 90 controls the switching unit 94 so that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91 is input to the car audio body 30 through the switching unit 94 and the car audio body ( 30. By controll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unit 94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user, 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hands-free using car audio.

또한 카오디오 본체(30)에 소정의 재생매체를 장착, 교체 또는 이탈시킬 경우에 사용자가 누름버튼(338)을 누름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걸림부재(335)가 회전되면서 걸림핀(337)이 걸림부(335b)에서 이탈되어 전면 개폐부재(32)가 스프링(336)의 탄성력으로 회전 및 카오디오 본체(30)의 전면 플레이트(333)가 노출되고, 사용자는 노출된 전면 플레이트(333)의 재생매체 삽입구(31)를 통해 오디오 테이프 및/또는 CD/MD 등의 재생매체를 카오디오 본체(30)에 장착, 교체 또는 이탈시킬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전면 개폐부재(32)를 손으로 회전시켜 원상 복귀시킬 경우에 걸림부(335b)에 걸림핀(337)이 걸리게 되고,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는 다시 카오디오 본체(30)의 전면에 위치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338 when mounting, replacing or detaching a predetermined playback medium on the car audio body 30, the rotation locking member 335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locking pin 337 is rotated. The locking portion 335b is separated from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36 and the front plate 333 of the car audio body 30 is exposed, and the user is exposed the front plate 333. A playback medium such as an audio tape and / or CD / MD can be mounted, replaced or detached from the car audio body 30 through the playback medium insertion hole 31 of the user, and the user opens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by hand. When rotating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ocking pins 337 are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335b, and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i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r audio main body 30 again. Is located.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를 카오디오의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90)는 표시창(12)에 표시할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의 수평 표시 구동신호 및 수직 표시 구동신호를 상호간에 반대로 출력하고, 출력한 표시 구동신호에 따라 수평/수직 표시 구동부(95)가 표시창(12)을 구동시켜 표시창(12)에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이 90도 회전된 상태로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창(12)에 표시된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을 정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of the car audio 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90 is horizontally arranged with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2. The display driving signal and the vertical display driving signal are outputted to each other in reverse,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display driving unit 95 drives the display window 12 according to the output display driving signal, and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2. The back is rotated by 90 degrees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symbols, etc.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2 normally.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단계(1000)에서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초기화 동작이 완료될 경우에 단계(1002)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가 카오디오 본체(30)의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10 is a signal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n, the microcomputer 90 performs an initialization operation in step 1000, and when the initializat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tep 1002. ) Is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of the car audio body 30.

상기 단계(1002)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가 카오디오 본체(30)의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30)는 단계(1004)에서 표시창(12)에 표시할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을 정상으로 출력하여 정상 상태로 표시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mounted to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of the car audio main body 30 in step 1002, the microcomputer 30 displays the display window 12 in step 1004. Predetermined characters, numbers, and symbol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normally so that they can be displayed and checked in a normal state.

다음 단계(1006)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출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단말기용 키보드(14)의 소정의 제어키가 조작되는 지를 판단하고, 호출신호가 수신 또는 소정의 제어키가 조작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단계(1008)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단계(1010)에서는 전화 통화가 완료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전화통화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단계(1008)로 복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계속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next step 1006, it is determined whether a call signal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redetermined control key of the keyboard 14 for the terminal is operated, and when the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predetermined control key is operated, the microcomputer 90, in operation 1008, operate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enable a telephone call. In the next step 10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lephone call is completed, and if the telephone call is not comple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ethod returns to the step 1008 and continues to make the telephone cal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화 통화가 완료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단계(1012)에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소정의 제어키가 조작되는지를 판단하고, 소정의 제어키가 조작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단계(1014)에서 제어키의 신호에 따라 MP3을 동작 및 메모리 팩(16)의 재생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state, when the telephone call is completed,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control key of the MP3 / car audio keyboard 13 is operated in step 1012, and the predetermined control key is operated. In this case, the microcomputer 90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the MP3 and listen to the reproduction signal of the memory pack 16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control key in step 1014.

그리고 상기 단계(1002)에서 판단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0)가 카오디오 본체(30)의 전면 개폐부재(32)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단계(1016)에서 표시창(12)에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을 90도 회전시켜 표시 및 사용자가 정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main body 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32 of the car audio main body 3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002, the microcomputer 90 displays the display window (step 1016). 12) rotates a predetermined letter, number, symbol, etc. by 90 degrees so that the display and the user can confirm normally.

다음 단계(1018)에서 단말기용 키보드(14)의 전원키가 조작되는 지를 판단하고, 전원키의 조작에 따라 단계(1020)에서 카오디오 본체(30)의 전원을 온 및 오프로 토글시킨다. 다음 단계(1022)에서는 카오디오 본체(3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온 상태가 아닐 경우에 상기 단계(1006)부터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출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단말기용 키보드(14)의 소정의 제어키가 조작될 경우에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전화통화를 하지 않을 경우에 제어키의 조작에 따라 MP3을 동작 및 메모리 팩(16)의 재생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next step 10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key of the terminal keyboard 14 is operated, and the power of the car audio main body 30 is toggled on and off in step 10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wer key. In the next step 10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of the car audio main body 30 is on, and if it is not in the on state, the cal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keyboard 14 for the terminal is performed. When a predetermined control key is operated, a telephone call can be made, and when a telephone call is not made, an MP3 can be operated and a playback signal of the memory pack 16 can be listened to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key. .

그리고 상기 단계(1022)에서 판단 결과 카오디오 본체(30)의 전원이 온 상태일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단계(1024)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출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단말기용 키보드(14)의 소정의 제어키가 조작되는 지를 판단하고, 호출신호가 수신 또는 소정의 제어키가 조작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단계(1026)에서 카오디오 본체(30)가 이동통신 단말기부(91)로부터 스위칭부(94)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핸즈프리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단계(1028)에서는 전화 통화가완료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전화통화가 완료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단계(1026)로 복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계속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ar audio main body 30 is turned 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022, the microcomputer 90 receives a call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tep 1024 or the keyboard 14 for the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determined control key is operated, and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predetermined control key is operated, the microcomputer 90 determines that the car audio main body 3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91 in step 1026. ) And output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94,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make a phone call hands-free. In the next step 102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lephone call is completed, and if the telephone call is not comple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ethod returns to the step 1026 and allows the user to continue the telephone cal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화 통화가 완료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단계(1030)에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제어키의 조작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30)를 제어하여 MP3 모드, AM 방송모드, FM 방송모드 및 재생모드 등으로 설정한다.When the phone call is completed in such a state, the microcomputer 90 controls the car audio body 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key of the MP3 / audio keyboard 13 in step 1030 to control the MP3 mode, Set to AM broadcast mode, FM broadcast mode and playback mode.

이와 같이 카오디오 본체(30)의 동작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계(1032)에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13)의 소정의 제어키를 조작하면, 마이크로 컴퓨터(90)는 단계(1034)에서 입력된 제어키에 따라 동작모드의 해당 기기를 제어 및 동작시키고, 해당 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카오디오 본체(30)가 선택 출력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predetermined control key of the MP3 / audio keyboard 13 in step 1032 with the operation mode of the car audio main body 30 set 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90 performs step 1034. Control and operate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control key input from the, so that the car audio main body 30 can be output to listen to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device.

한편 상기한 도 5의 도면에서는 오디오 테이프를 장착하는 재생매체 삽입구(31)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디오 테이프, MD 및 CD 등을 비롯한 각종 재생매체를 하나 이상 복수 개 삽입하여 재생할 수 있는 간단히 적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of FIG. 5, the playback medium insertion hole 31 in which the audio tape is mounted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simply applying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playback media including audio tapes, MDs, CDs, and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오디오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착함과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오디오의 제어키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카오디오에 장착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오디오의 제어키를 조작함에 따라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침입자가 침입하여도 카오디오의 제어 패널이 없음을 확인하여 카오디오의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r audio and a control key of the car audio is provid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in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r audio. By operating the control keys of the car audio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even if an intruder enters the vehicl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no control panel of the car audio to prevent theft of the car audio in advance.

또한 카오디오를 이용하여 핸즈프리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MP3의 재생 음성신호를 카오디오를 이용하여 간단히 청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hands-free phone calls can be made using car audio, and audio signals of MP3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simply listened to using car audio.

Claims (8)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오디오 본체에 장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in the car audio body; 상기 제 1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오디오 본체에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정상 상태로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를 표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구비된 단말기용 키보드의 조작에 따라 전화통화를 수행하는 제 2 과정;In the first proces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mounted on the car audio main body, predetermined characters, numbers, and symbol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normal state, and operation of the terminal keyboard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A second process of performing a telephone call according to; 상기 제 1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오디오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표시창에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를 90도 회전시켜 표시하고, 전원키의 입력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을 토글시킨 후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제 3 과정; 및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car audio body in the first step, predetermined characters, numbers, and symbols are rotated by 90 degree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and the car audio main body is toggl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power key. A third step of determining a power state of the car audio body; And 상기 제 3 과정에서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이 온 상태일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의 제어키를 조작함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설정한 동작모드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4 과정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When the power of the car audio main body is turned on in the third process, the control mode of the MP3 / car audio keyboard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to set the operation mode of the car audio main body and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mode. Car audio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by the fourth proces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process comprises: 카오디오 본체가 전원 온 상태일 경우에 호출신호의 수신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보드의 조작여부를 판단하고 호출신호의 수신 또는 단말기용 키보드가 조작될 경우에 통화 음성신호를 카오디오 본체로 출력하여 핸즈프리로 전화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When the car audio is powered 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l signal is received or the keybo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When the call signal is received or the keyboard for the terminal is operated, the voice signal of the call is output to the car audio to be hands-free. Car audio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performing a telephone cal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third process comprises; 전화통화를 하지 않을 경우에 MP3/카오디오용 키보드의 제어키의 조작을 판단하고 조작한 제어키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일체로 구비된 MP3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MP3의 재생 음성신호를 카오디오의 본체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방법.When not making a phone call, the control key of the MP3 / audio keyboard is judged, and according to the operated control key, the MP3 integra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and the audio signal of the MP3 is reproduced by the car audio. Car audio control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o the main body of the. 카오디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가 구비되고 전화 통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MP3 / car audio key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and capable of talking on the phone; And AM/FM 라디오 및/또는 소정의 재생매체의 재생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카오디오 본체로 이루어지고,It consists of a car audio body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AM / FM radio and / or the playback unit of the predetermined playback medium, 상기 카오디오 본체에는,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장착되는 전면 개폐부재;The car audio body,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상기 전면 개폐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소정의 재생매체를 카오디오의 본체에 장착할 수 있도록 재생매체 삽입구를 노출시키는 개폐수단;Opening / closing means for rotating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to expose a reproducing medium insertion opening for mounting the predetermined reproducing medium to the body of the car audio;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면 개폐부재에 장착될 경우에 상기 카오디오 본체의 전원을 그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하여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는 복수의전원 충전접점; 및A plurality of power charging contacts configured to output power of the car audio bod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harge the batter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to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A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및 상기 MP3/카오디오용 키보드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카오디오 본체로 입력/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출력접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장치.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tacts for inputting / outputting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P3 / audio keyboard. Car audio control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3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장치.Car audio control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P3 is provided integrally.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4 or 5,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3 및 상기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P3/카오디오용 키보드;MP3 / keyboard for car audio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P3 and the car audio body; 이동통신 단말기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용 키보드;A terminal keyboar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상기 제어키 패널의 조작에 따라 카오디오 본체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용 키보드의 조작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A microcomput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r audio bod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key panel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for the terminal;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장착되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 파일이 독출되는 메모리 팩;A memory pack that reads music files that are moun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re stored in adv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상기 메모리 팩에서 독출된 음악 파일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처리하여 출력하는 DSP부;A DSP unit for digitally processing and outputting a music file read from the memory pack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상기 DSP부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SP unit; 상기 증폭부 및 이동통신 단말기부의 출력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하여 선택적으로 카오디오 본체로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witch the output signals of the amplifying uni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and selectively outputting them to a car audio body; And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표시창에 소정의 문자, 숫자 및 기호를 정상상태 또는 90도 회전시킨 상태로 표시하는 수평/수직 표시 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장치.And a horizontal / vertical display driver configured to display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on a display window in a normal state or rotated 90 degree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전면 개폐부재의 회전축;A rotating shaft of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개폐부재가 외측으로 회전 및 개방되면서 재생매체 삽입구가 노출되게 하는 스프링;A spring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to expose the regeneration medium insertion hole while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is rotated and opened outwardly; 누름부 및 걸림부가 구비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하향 회전되게 구비되는 회전 걸림부재;Rot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to be rotat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상기 전면 개폐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걸림부에 걸려 그 전면 개폐부재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는 걸림핀; 및A locking pin provided on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and caught by a locking portion of the rotation locking member to stop rotation of the front opening / closing member; And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 걸림부재의 누름부를 눌러 상기 걸림핀이 상기 걸림부에서 이탈 및 전면 개폐부재가 회전되게 하는 누름 버튼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장치.The control device of the car audio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in for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of the rotating locking member to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portion and the front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매체 삽입구의 삽입 재생매체는;8. The method of claim 4 or 7, wherein the reproducing medium inserting medium of the reproducing medium inserting port; 오디오 테이프, MD 및 CD 중에서 하나 이상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오디오의 제어장치.Car audio control de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one audio tape, MD and CD.
KR1020000032725A 2000-05-17 2000-06-14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KR20010111943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725A KR20010111943A (en) 2000-06-14 2000-06-14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PCT/KR2001/000718 WO2001089101A1 (en) 2000-05-17 2001-05-02 Car audio system and remote starting controller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U58866/01A AU5886601A (en) 2000-05-17 2001-05-02 Car audio system and remote starting controller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725A KR20010111943A (en) 2000-06-14 2000-06-14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943A true KR20010111943A (en) 2001-12-20

Family

ID=4593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725A KR20010111943A (en) 2000-05-17 2000-06-14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194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1485A (en) * 2021-06-25 2021-10-22 荣耀终端有限公司 Sleep assist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true wireless stereo earpho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081A (en) * 1997-04-30 1998-11-25 배순훈 Car-stereo combined with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KR19990040501A (en) * 1997-11-18 1999-06-05 최상호 Handfree combined car audio
KR19990048723A (en) * 1997-12-10 1999-07-05 홍종만 Car Audio Devices with Mobile Cordless Phones
KR20010078578A (en) * 2000-02-09 2001-08-21 윤장진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robbery of car audio using mp3
KR20010104972A (en) * 2000-05-17 2001-11-28 엄상섭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081A (en) * 1997-04-30 1998-11-25 배순훈 Car-stereo combined with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KR19990040501A (en) * 1997-11-18 1999-06-05 최상호 Handfree combined car audio
KR19990048723A (en) * 1997-12-10 1999-07-05 홍종만 Car Audio Devices with Mobile Cordless Phones
KR20010078578A (en) * 2000-02-09 2001-08-21 윤장진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robbery of car audio using mp3
KR20010104972A (en) * 2000-05-17 2001-11-28 엄상섭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1485A (en) * 2021-06-25 2021-10-22 荣耀终端有限公司 Sleep assist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true wireless stereo earphone
CN113521485B (en) * 2021-06-25 2024-05-17 荣耀终端有限公司 Sleep assist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true wireless stereo ear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8576B2 (en) Incorporating a portable digital music player into a vehicle audio system
CN101026845B (en) In-vehicle apparatus
CN100507812C (en) Method and device for signal source selection
US8154858B2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CA1278862C (en) Personalized electronic greeting card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ame
JP2001128280A (en) Audio device
KR20010111943A (en)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CN101765526B (en) On-vehicle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reproduction device
KR100384275B1 (en) Car audio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starting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JP3394064B2 (en) Sound equipment
KR100339535B1 (en) Digital audio data player for cassette player and playing method thereof
KR20010104972A (en) Control method of car audio using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GB2378845A (en) A combined mobile phone and personal stereo device
JP2006048867A (en) On-vehicle audio apparatus
KR100356742B1 (en) Car audio system
KR20020068872A (en) Hand-free apparatus of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car audio
WO2001089101A1 (en) Car audio system and remote starting controller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050049787A (en) Apparatus for interface between car audio and potable media player
KR1004081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mode in detachable audio station
CN101765884B (en) On-vehicle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reproduction device
GB2417863A (en) Combined mobile phone and music playback device
KR100360615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CN2838193Y (en) Onboard sound device
JP2002002393A (en) On-vehicle electronic equipment
KR20090010813A (en) Portable music 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