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615B1 - 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615B1
KR100360615B1 KR1019990023796A KR19990023796A KR100360615B1 KR 100360615 B1 KR100360615 B1 KR 100360615B1 KR 1019990023796 A KR1019990023796 A KR 1019990023796A KR 19990023796 A KR19990023796 A KR 19990023796A KR 100360615 B1 KR100360615 B1 KR 10036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unit
signal
switching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68810A (en
Inventor
방효철
Original Assignee
방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효철 filed Critical 방효철
Priority to KR101999002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615B1/en
Publication of KR1999006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8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61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sensing termination in a mobile wireless telephone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block a reproduced audio signal, inform a user that a call is terminated, and perform a telephone call with a caller through an earphone when a termination signal is sensed in situation in which a user listens to the audio signal reproduced from an audio reproducing device by using the earphone. CONSTITUTION: The first interfacing unit(52) connects to an earphone jack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30), interfaces a user voice signal amplified through an amplifying unit(57) to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30), and interfaces a voice signal of a caller inputted from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30) to a switching unit(56) when being converted into a cellular phone mode. The second interfacing unit(51) connects to an earphone jack of an audio reproducing device(40), and interfaces an audio signal reproduced from the audio reproducing device(40) to the switching unit(56). The third interfacing unit(58) interfaces the audio signal reproduced from the audio reproducing device(40) to stereo earphones in an audio reproducing mode, and interfaces a voice signal inputted from one earphone between the stereo earphones to the amplifying unit(57) through the switching unit(56) in the cellular phone mode. The third interfacing unit(58) outputs the voice signal of the caller inputted from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30) through the switching unit(56) to the other earphone.

Description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본 발명은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이어폰을 이용하여 청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착신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상기 이어폰을 통해 발신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모드를 전환해 주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and in particular, when an incoming call is detected in a situation where a user is listening to audio played by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using earphon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ming detection device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which notifies a user that a call has been received and switches a mode to make a phone call with a caller through the earphone.

현재, 전자/반도체기술 및 통신기술의 발전과 소비자의 수요욕구와, 이동 무선 전화기 제조업자 및 이동통신 사업자간의 사업경쟁에 따라 저가이면서 고품질 및 고기능의 다양한 이동 무선전화기의 개발이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다.At present, development of various low-cost, high-quality and high-performance mobile phones has been progressing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sumer demand, and business competition between mobile phone manufacturers and mobile operators. .

이동통신 시장은 기반기술 및 핵심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급속히 팽창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무선 전화기에 대한 수요 역시 날로 증가하고 있어 사람들 대부분이 소유하고 있다. 여기서, 이동 무선 전화기는 크게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시티폰(City Phone) 및 셀룰러 폰(Celluler Phone)등이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arket is rapidly expandi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and core technologies. As a result, the demand for mobile wireless telephone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is owned by most people. Here, mobile wireless telephon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a city phone, and a cellular phone.

이하, 일반적인 이동 무선 전화기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하자.Hereinafter, a general mobile wireless telepho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무선 전화기의 블록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보면,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10)와, 수신부(10)에서 수신된 착신신호가 해당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신호인지를 검출하는 착신신호 검출부(20)와, 착신신호 검출시 이동 무선전화기의 휴대자에게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진동모드 및 벨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30)가 구성된다.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ypical mobile wireless telephone. Referring to FIG. 1, the receiver 10 receives an incoming signal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through an antenna ANT, and a receiver (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20 for detecting whether the incoming signal received in 10) is the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nd the vibration mode and the bell to inform the user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when the incoming signal is received A mode selector 30 capable of selecting a mode is configured.

또한, 상기 벨모드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다수의 오디오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50)와, 착신신호 검출부(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해당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신호로 검출되고, 모드선택부(30)에서 선택된 모드가 벨모드인 경우 저장부(50)에 저장된 임의의 일 오디오데이타를 리드하여 출력하고, 모드선택부(30)에서 선택된 모드가 진동모드인 경우 진동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50 sto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bell mode,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coming signal detection unit 2 is detected as the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the mode selection unit If the mode selected in the 30 is a bell mode, it outputs and outputs any one audio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and outputs a vibration generation control signal when the mode selected in the mode selector 30 is a vibration mode. It consists of the control part 40.

또한,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타에 상응하는 오디오음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70)로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70 for generating an audio sound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40.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일반적인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 및 착신에 따른 해당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Let us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 of the general mobile radiotelephon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먼저, 상대방 즉, 발신자가 전화를 걸어 호신호가 기지국을 통해 전송되면, 이 신호는 이동 무선전화기의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부(10)에서 수신한 후, 착신신호 검출부(20)로 출력한다.First, when the other party, that is, the caller makes a call and the call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station, the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0 through the antenna ANT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nd then outputs to the incoming signal detecting unit 20. .

착신신호 검출부(20)는 수신부(10)으로부터 출력되는 호신호(주파수)가 해당 이동 무선전화기에 상응하는 착신신호인지를 검출한 후, 수신된 호신호가 해당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호인 경우 하이(High)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하고, 해당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로우(Low)신호를 제어부(40)로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착신신호의 검출은 수신부(10)로 부터 수신된 캐리어주파수에 실린 ID를 검출하고 검출된 ID가 해당 이동 무선전화기 고유의 ID와 비교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착신신호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신호인 경우 해당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게 되고, 반대로 착신호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인 경우에는 해당 이동 무선전화기에 대한 착신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40)에서는 모드선택부(30)에 의해 선택된 모드가 진동모드인지 아니면 벨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가 진동모드인 경우 제어부(40)는 진동발생부(70)로 진동 발생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알려 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발생부(70)는 진동모터이다.The incoming signal detecting unit 20 detects whether the call signal (frequency) output from the receiving unit 10 is an inco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obile radio telephone, and then, when the received call signal is an incoming signal of the corresponding mobile radio telephone, high ( High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0, and when it is not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 low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40. In this case, the incoming signal is detected by detecting an ID on the carrier frequency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 and comparing the detected ID with an ID unique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Wh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coming signal detecting unit 20 is a low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not the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nd does not perform any operation. In contrast, wh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coming signal detecting unit 20 is high. Is determined to be an incoming signal for the mobile radio telephon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30 is a vibration mode or a bell mode. If the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the vibration mode, the control unit 40 generates the vibration unit 70. By generating a vibration by applying a vibration generating control signal to the), it informs the user that the call is received. Here,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70 is a vibration motor.

그러나, 사용자가 선택한모드가 진동모드가 아닌 벨모드인 경우에 제어부(40)는 저장부(50)에 저장된 다수의 오디오데이타중 사용자가 선택한 일 오디오데이타(멜로디음)를 리드하여 음발생부(60)로 출력함으로써, 선택한 멜로디음을 사용자는 듣고 전화가 착신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음 발생부(60)는 증폭기 및 스피커를 포함한 것이며, 제어부(40)는 저장부(500에서 리드한 오디오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화기를 포함한다.However, when the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not the vibration mode but the bell mode, the controller 40 reads one audio data (melody sound)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audio data stored in the storage 50 and generates a sound generator ( 60), the user can hear the selected melody sound and know that the call is received. Here, the sound generator 60 includes an amplifier and a speaker, and the controller 40 includes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udio data read from the storage unit 500 into an analog signal.

또한, 모드선택부(30)는 사용자가 모드를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모드선택기능과, 저장부(50)에 저장된 다수개의 오디오데이타(멜로디)중 임의의 일멜로디음을 선택할 수 있는 오디오 선택기능을 동시에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선택 기능은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두 수행된다.In addition, the mode selection unit 30 has a mode selection function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mode arbitrarily, and an audio selection for selecting any one melody sound among a plurality of audio data (melodi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It is equipped with a function at the same time. All these selections are done in software.

이러한, 이동 무선 전화기를 사용자가 벨모드 또는 진동모드로 전환한 후, 가방이나 옷속에 보관하고 있고, 카세트나 CD플레이어 또는 라디오 등과 같은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어폰을 통해 청취하고 있는 도중 전화가 착신되면, 사용자는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에 따라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쉽게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fter the user switches to the bell mode or the vibrate mode, the mobile cordless phone is stored in a bag or clothes, and while listening to an audio signal reproduced from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such as a cassette, a CD player, or a radio through an earphone. When a call is recei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easily confirm that the call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reproduced audio signa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이동 무선 전화기를 진동모드로 전환한 후, 전화기를 몸에 부착시킨 상태로 이어폰을 끼고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듣게 되는데, 이 또한 전화 착신신호가 감지되어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사용자는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음악 등)에 신경이 몰려 있기 때문에 쉽게 전화기의 착신 진동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기를 진동모드로 전환한 후, 전화기를 항상 손에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ser switches the mobile cordless phone to vibrate mode and then, while the phone is attached to the body, wears earphones and listens to music played on the audio playback device. Even if this occurs, the user has a problem that the user does not easily feel the incoming vibration of the phone because the nerve is concentrated on the audio signal (music, etc.) to be reproduced. Therefore, the user ha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always carry the phone in hand after switching the phone to the vibration mod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이어폰을 이용하여 청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화 착신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상기 이어폰을 통해 발신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모드를 전환해 주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incoming call signal in the situation where the user is listening to the audio played by the audio playback device using the earphone If so, it provides a call detection device for a mobile wireless telephone that automatically cuts off the audio signal to be played back to inform the user that the call was received, and to switch the mode to make a phone call with the caller through the earphon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이동 무선 전화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발신자와 전화통화시 R/L(Right/Left)이어폰중 하나의 이어폰은 원래의 기능인 이어폰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이어폰은 마이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전화착신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one earphone of the R / L (Right / Left) earphone as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earphone when the telephone call with the caller in the state of switching from the audio playback mode to the mobile cordless phone mode, the other The ear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of a mobile radio telephone for signal processing to be used as a micropho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의 특징은, 이동 무선 전화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핸드폰모드로의 전환시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이동 무선 전화기로 인터페이싱하고, 이동 무선 전화기로 부터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스위칭부로 인터페이싱하는 플러그로 이루어진 제 1 인터페이싱부와,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스위칭부로 인터페이싱하는 플러그로 이루어진 제 2 인터페이싱부와, 상기 두개의 이어폰 플러그와 연결되어 오디오 재생모드시 오디오 재생장치로 부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어폰으로 인터페이싱하고, 핸드폰모드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중 하나의 이어폰으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스위칭부를 통해 증폭부로 인터페이싱하며, 무선 이동 무선 전화기에서 스위칭부를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다른 하나의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잭으로 이루어진 제 3 인터페이싱부로 구성됨에 있다.A feature of an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and converts a user voic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unit when switching to a mobile phone mode. A first interfacing unit comprising a plug for interfacing the voice signal of the caller input from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to the switching unit, and an audio signal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of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ed by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to the switching unit. A second interfacing unit comprising a plug for interfacing with the two earphone plugs, the audio signal being reproduced from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in the audio reproducing mode is interfaced with the earphones, and in one of the stereo earphones in the mobile phone mode. Input voice The third interface interface comprises a jack for interfacing the call to the amplification unit through the switching unit and outputting a call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from the wireless mobile wireless telephone to the other earphon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무선 전화기에 대한 블록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ypical mobile wireless telepho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가 이동 무선 전화기와 오디오 재생장치 및 이어폰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ll detection device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obile wireless telephone,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nd an earphon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에 대한 상세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coming call det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30 : 이동무선전화기 40 : 오디오재생장치30: mobile wireless telephone 40: audio playback device

50 : 전화착신감지장치 51, 52, 58 : 인터페이싱부50: telephone call detection device 51, 52, 58: interfacing unit

53 : 감지부 54 : 오동작방지부53: detection unit 54: malfunction prevention unit

55 : 모드전환제어부 56 : 스위칭부55: mode switching control unit 56: switching unit

57 : 증폭부 SW1 : 오동작방지스위치57: amplification part SW1: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SW2 : 모드 강제 전환스위치SW2: mode forced switch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coming call detection apparatus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가 이동 무선 전화기와 오디오 재생장치 및 이어폰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에 대한 상세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coming detection device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an audio playback device, and earphones, and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incoming detection device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it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무선전화기(30)와,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장치(40)와 이동 무선전화기(30)와 오디오 재생장치(40)에 각각 연결되어 오디오 재생장치(4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가 이어폰(60)으로 출력되도록 인터페이싱하고, 이어폰(60)을 통해 오디오 재생장치(4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하는 도중, 전화 착신신호를 감지하여 착신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재생모드를 전화 송수신모드로 전환하여 이동 무선 전화기(30)를 온시켜 이어폰 (60)을 통해 발신자와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전화착신 감지장치 (50)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30,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for reproducing an audio signal, and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30 and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respectively. The audio signal reproduced at 40 is interfaced to be output to the earphone 60, and while the audio signal reproduced at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is listened through the earphone 60, the incoming call signal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incoming call signal. When detected, it is composed of a call reception detection device 50 to switch the audio playback mode to the telephon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to turn on the mobile wireless phone 30 to perform a phone call with the caller through the earphone (60).

또한, 상기 전화착신 감지장치(50)는 이동 무선전화기(30)에 설치된 이어폰 잭(31)과 오디오 재생장치(40)의 이어폰 잭(41)과 각각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플러그(51, 52)가 구성되고, 또한, 이어폰(60)의 플러그(6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이어폰 잭(58)을 구비한다. 이때, 이동 무선전화기(30) 및 오디오재생장치(40)는 기존의 이어폰 잭(31, 41)을 그대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재생장치(40)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드, CD플레이어, 라디오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ne call detection device 50 has a plurality of plugs (51, 52) to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31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and the earphone jack 41 of the audio playback device 40, respectively; It is also provided, and is provided with the earphone jack 58 so that the plug 60a of the earphone 60 can be inserted. At this time,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and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use the existing earphone jacks 31 and 41 as they are. The audio player 40 may be a cassette tape record, a CD player, a radio, or the like.

이와 같이 연결 구성된 전화착신 감지장치(5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3 the configuration of the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50 is configured.

이동무선전화기(30)의 착신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감지하는 감지부(53)와, 감지부(53)를 통해 이동 무선 전화기(30)의 착신신호가 감지되면, 감지신호에 따라 모드 전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전환 제어부(55)와, 모드전환제어부(55)에서 출력되는 모드 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핸드폰모드로 전환하는 스위칭부(56)와, 착신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부(53)에서 출력되는 전화착신 감지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LED4)로 구성된다.When the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30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or 53 and the detector 53, which detects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30 through the antenna ANT, a mode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A mode switching control unit 55 for outpu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a switching unit 56 for switching from an audio reproduction mode to a cellular phone mode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ode switching control unit 55, and an incoming signal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unit 53 is composed of a display unit (LED4) for display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that the incoming call.

또한, 모드전환 제어부(55)에 의해 현재 전환된 해당 모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LED2, LED3)와, 오디오 재생장치(4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스위칭부(56)로 인터페이싱하는 제 2 인터페이싱부(51)와,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오디오 재생장치(40)로 부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어폰(60)으로 인터페이싱하고, 핸드폰모드에서 이어폰(60)중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으로 부터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스위칭부(56)로 인터페이싱하며, 이동 무선 전화기(30)를 통해 수신된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다른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제 3 인터페이싱부 (58)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LED2, LED3) for displaying the mode currently switched by the mode switching control unit 55 so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and the switching unit 56 for the audio signal reproduced in the audio playback device 40 Interface the second interface unit 51 for interfacing with the earphone 60 to the audio signal reproduced from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in the audio reproducing mode, and to at least one earphone of the earphone 60 in the mobile phone mode. The third interfacing unit 58 is configured to interface the voice signal inputted from the mobile station to the switching unit 56 and to output the voice signal of the caller received through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30 to another earphone.

또한, 스테레오 이어폰(60)중 하나의 이어폰으로부터 제 3 인터페이싱(58)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57)와, 증폭부(57)를 통해 증폭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이동 무선 전화기(30)로 인터페이싱하고, 이동 무선전화기(30)로 부터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스위칭부(56)로 인터페이싱하는 제 1 인터페이싱부(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60)중 하나의 이어폰과 이 이어폰을 통해 입력되는 미세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57)는 하나의 마이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amplification unit 57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level of a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third interfacing 58 from one of the stereo earphone 60, and the user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unit 57 And a first interfacing unit 52 for interfacing the voice signal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and for interfacing the caller's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to the switching unit 56. Here, one of the stereo earphones 60 and the amplifier 57 for amplifying a predetermined level of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earphones to perform a single microphone function.

또한, 핸드폰모드에서 전화통화가 완료되거나, 사용자가 통화를 중단하고자 할 경우에 핸드폰 모드를 오디오 재생모드로 강제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신호를 모드전환 제어부(55)로 입력하는 강제 모드전환 스위치(SW2)와, 감지부(53)로 부터 착신신호가 감지되어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핸드폰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전화통화를 안정되게 할 수 있도록 핸드폰 모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위칭신호를 오동작 방지부(54)로 입력하는 오동작 방지스위치(SW1)와, 오동작 방지스위치 (SW1)가 온됨에 따라 턴 오프되어 모드전환 제어부(55)가 스위칭부(56)를 계속적으로 핸드폰모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53)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트랜지스터(Tr1)로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telephone call is completed in the mobile phone mode or when the user wants to stop the call, a forced mode switching switch (SW2) for inputting a switching signal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55 for forcibly switching the mobile phone mode to the audio playback mode. And a switching signal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a mobile phone mode so that a telephone call can be stabilized in a state where an incoming signal is detected from the detector 53 and switched from an audio play mode to a mobile phone mode.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SW1 and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SW1 are turned on as the sensor is turned on, so that the mode switching control unit 55 continuously maintains the switching unit 56 in the cellular phone mode. It is composed of a transistor (Tr1) for blocking the output of the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의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It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먼저, 이동 무선전화기(30)의 이어폰 잭(31)과 오디오 재생장치(40)의 이어폰 잭(41)에 전화착신 감지장치(50)의 제 1, 2, 인터페이싱부(51, 52)가 연결되어 있고, 이어폰(60)의 플러그(60a)가 전화착신 감지장치(50)의 제 3 인터페이싱부 (58)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동 무선전화기 (30) 및 오디오 재생장치(40)의 파워(Power)가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폰(60)을 귀에 꽂고 오디오 재생장치 (40)의 재생동작을 수동 또는 리모콘(70)을 통해 원격으로 조정하게 되면, 오디오 재생장치(40)에 삽입되어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는 재생되게 된다. 여기서, 제 1, 2 인터페이싱부(51, 52)는 이동 무선 전화기(30) 및 오디오 재생장치 (40)에 장착된 이어폰 잭에 연결되도록 한 플러그이고, 제 3 인터페이싱부(58)는 이어폰(60)의 플러그(6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 이어폰 잭이다.First, the first, second and interfacing units 51 and 52 of the call reception detecting device 50 are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31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and the earphone jack 41 of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And the power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and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in a state where the plug 60a of the earphone 60 is connected to the third interface 58 of the incoming call detecting apparatus 50. When the user inserts the earphone 60 into the ear and controls the reproducing operation of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remotely by the manual or remote control 70 while the power is turned on, the record inserted into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is recorded. The audio recorded on the medium is played back. Here,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ing units 51 and 52 are plug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s mounted on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and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and the third interfacing unit 58 is the earphone 60 It is an earphone jack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plug (60a) of.

이와 같이, 오디오 재생장치(40)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지면,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는 제 2 인터페이싱부(51)를 통해 스위칭부(56)로 입력된다. 이때, 스위칭부 (56)는 모드전환 제어부(55)를 통해 모드전환을 위한 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한 항상 오디오재생모드 즉, 제 2 인터페이싱부(51)의 출력라인으로 스위칭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오디오 재생장치(4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는 제 2 인터페이싱부(51)와, 스위칭부(56) 및 제 3 인터페이싱부(58)를 통해 이어폰(60)으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하는 것이다. 이때, 감지부(53)에서는 계속적으로 이동 무선전화기(30)의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producing operation of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is performed, the reproduced audio signal is input to the switching unit 56 through the second interfacing unit 51. In this case, the switching unit 56 is always switched to the audio reproduction mode, that is, the output line of the second interfacing unit 51 unless a control signal for mode switching is applied through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55. Accordingly, the audio signal reproduced by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is output to the earphone 60 through the second interfacing unit 51, the switching unit 56 and the third interfacing unit 58, and reproduced by the user. To listen to the signal.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53 continuously detects whether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is received.

감지결과,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감지부(53)를 통해 이동 무선전화기(30)의착신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부(53)는 감지신호를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자로 인가함과 동시에 표시부(LED4)를 구동하여 사용자에게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때, 오동작 방지부(54)는 계속적으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베이스전압을 인가하고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1)는 턴온되어 에미턴단자를 통해 모드전환 제어부(55)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드전환 제어부 (55)는 스위칭부(56)를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핸드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스위칭부(56)를 제 2 인터페이싱부(51)의 출력라인에서 제 1 인터페이싱부(52)와 증폭부(57)단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핸드폰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As a result of the detection, when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53 in the audio reproduction mode, the sensing unit 53 applies the sensing signal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Tr1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display unit ( By driving LED4), the user is notified that the call has been received. At this time, since the malfunction prevention unit 54 continuously applies the base voltage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Tr1, the transistor Tr1 is turned on so that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55 through the emitter terminal. . Therefore, the mode switching control unit 55 switches the switching unit 56 from the audio reproduction mode to the mobile phone mode. That is, by switching the switching unit 56 from the output line of the second interfacing unit 51 to the first interfacing unit 52 and the amplifying unit 57, the switching from the audio reproduction mode to the cellular phone mode is performed.

또한, 모드전환 제어부(55)는 스위칭부(56)의 모드를 핸드폰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표시부(LED1)의 구동은 차단하고, 표시부(LED1)를 구동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모드가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핸드폰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표시부(LED1) 는 현재 모드가 오디오 재생모드임을 표시하는 것이고, 표시부(LED1)는 핸드폰 모드임을 표시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de switching control unit 55 switches the mode of the switching unit 56 to the mobile phone mode and simultaneously blocks driving of the display unit LED1 and drives the display unit LED1 to allow the user to change the current mode to the audio reproduction mode. To confirm that you have switched to mobile phone mode. That is, the display unit LED1 indicates that the current mode is the audio reproduction mode, and the display unit LED1 indicates that the mobile phone mode is present.

이와 같이, 스위칭부(56)의 모드가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핸드폰모드로 전환되면, 이동 무선 전화기(30)를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신호는 제 1 인터페이싱부(52)와, 스위칭부 (56) 및 제 3 인터페이싱부(58)를 통해 스테레오 이어폰(60)중 하나의 이어폰(60)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수신자는 상기 이어폰을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스테레오 이어폰 (60)중 하나의 이어폰 (60)으로 입력하게 되면, 입력되는 사용자(수신자)의 음성신호는 제 3 인터페이싱부(58)와 스위칭부(56)를 통해 증폭부(57)로 인가된다.As such, when the mode of the switching unit 56 is switched from the audio reproduction mode to the cellular phone mode, the voice signal of the caller input through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3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interfacing unit 52 and the switching unit 56. And one earphone 60 of the stereo earphone 60 through the third interfacing unit 58. Thus, the receiver can hear the caller's voice through the earphone. When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s input to one of the earphones 60 of the stereo earphones 60, the input voice signal of the user (receiver) is amplified by the third interfacing unit 58 and the switching unit 56. Applied to the unit 57.

증폭부(57)는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발신자가 청취할 수 있는 정도의 레벨로 증폭한 후, 제 1 인터페이싱부(52)를 통해 이동 무선전화기(52)로 인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 무선전화기(30)는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게 됨으로써, 전화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스테레오 이어폰(60)중 R(Right) 또는 L(Left)이어폰은 원래의 기능인 이어폰으로 사용하여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이어폰(60)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어폰(60)을 마이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아주 미약한 음성신호를 증폭부(57)를 통해 일정레벨 증폭시킴으로써, 마이크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amplifier 57 amplifies the user's voice signal to a level that can be heard by the caller, and is then applied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52 through the first interface 52. Accordingly,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transmits a voice signal of an applied user through an antenna, thereby making a telephone call. That is, the R (Right) or L (Left) earphones of the stereo earphone 60 can be used as the original earphone to listen to the caller's voice signal, and the other earphone 60 receives the user's voice signal. Is to use the microphone to type. In order to use the earphone 60 as a microphone, a very weak voice signal input by the user is amplified by a predetermined level through the amplifier 57 to perform a function of a microphone.

이와 같이 전화통화중 수신감도 즉, 감지부(53)의 감지신호가 아주 미약한 경우 핸드폰모드에서 오디오 재생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오동작 방지스위치(SW1)를 온시키면, 오동작 방지부(54)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로 인가하던 베이스전원을 차단하여 즉, 트랜지스터(Tr1)를 턴 오프시켜 감지부(53) 출력신호가 모드전환 제어부(55)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현재 오동작 방지모드가 동작되고 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 (LED3)를 구동한다.As such, when the reception sensitivity during the phone call, that i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53 is very weak, when the user turns on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SW1 to prevent the switching from the cellular phone mode to the audio playback mode, the malfunction prevention unit (54) cuts off the base power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Tr1, that is, turns off the transistor Tr1 to block the output of the sensing unit 53 from being input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55.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unit LED3 is driv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at the malfunction prevention mode is operating.

따라서, 모드전환 제어부(55)는 모드 강제 전환스위치(SW2)를 온 시키기 전까지 계속적으로 핸드폰모드가 유지되도록 스위칭부(56)를 제어하게 된다.Therefore, the mode switching control unit 55 controls the switching unit 56 so that the cellular phone mode is continuously maintained until the mode forced switching switch SW2 is turned on.

또한, 전화통화중 전화통화가 완료되거나, 강제적으로 전화통화를 중단하고자 하여 사용자가 모드 강제 전환스위치(SW2)를 온시키면, 모드 전환 제어부(55)는 인가되는 스위칭신호에 따라 강제적으로 스위칭부(56)를 핸드폰 모드에서 오디오 재생모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표시부(LED2)의 구동을 차단하고, 표시부(LED3)를 구동하여 현재 모드가 핸드폰 모드에서 오디오 재생모드로 전환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오동작방지스위치(SW1)를 오프시켜, 오동작 방지모드를 해제시킴으로써, 항상 감지부(53)로 부터 착신신호가 감지되면, 바로 자동으로 모드 전환제어부(55)를 통해 모드가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핸드폰 모드로 전환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오동작 방지스위치(SW1)가 오프되어 오동작 방지모드가 해제되면 오동작 방지부(54)는 표시부(LED1)를 오프시켜 오동작 방지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a telephone call is completed during a telephone call or a user is forced to stop the telephone call and the user turns on the mode forced switch SW2, the mode switch controller 55 may forcibly switch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 applied. 56) is switched from the cellular phone mode to the audio playback mode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e of the display unit LED2 is cut off, and the display unit LED3 is driven to indicate that the current mode has been switched from the mobile phone mode to the audio playback mode. In addition, by turning off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SW1 and releasing the malfunction prevention mode, when an incoming signal is alway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unit 53, the mode is automatically changed through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55 in the audio playback mode. Allows you to switch to cell phone mode. At this time, when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SW1 is turned off and the malfunction prevention mode is released, the malfunction prevention unit 54 turns off the display unit LED1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at the malfunction prevention mode has been released.

따라서, 오디오 재생장치(4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가 제 2 인터페이싱부 (51)와 스위칭부(56) 및 제 3 인터페이싱부(58)를 통해 이어폰(60)으로 재생되는 오디오 재생모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어폰(60) 모두는 원래의 기능인 이어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이어폰(60)중 하나의 이어폰을 마이크로 사용하는 것은 핸드폰 모드에서만이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an audio reproduction mode operation in which the audio signal reproduced by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is reproduced to the earphone 60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51, the switching unit 56, and the third interfacing unit 58 is performed. You lose. At this time, all of the earphone 60 is to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earphone. That is, using one of the earphones of the microphone 60 as a microphone is possible only in the mobile phone mode.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는 이동 무선전화기 (30)와 오디오 재생장치(40) 및 스테레오 이어폰(60)에 연결하여, 전화착신시 오디오 재생모드를 핸드폰모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이어폰(60)을 통해 오디오 재생장치(4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하고 있는 도중에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핸드폰 모드에서 스테레오 이어폰(60)중 하나의 이어폰을 통해 발신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이어폰을 마이크로 사용하여 사용자 음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a result, the incoming detection device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30,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and the stereo earphone 60 to automatically switch the audio reproduction mode to the cellular phone mode when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call is received while listening to the audio signal played by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40 through the earphone 60, and through one of the stereo earphones 60 in the mobile phone mode. It allows you to listen to the caller's voice and input your voice using another earphone as a microph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는 페이저(Pager:일명 삐삐)에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호출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재생모드를 호출수신모드(페이저모드)로 전환하여 재생되는 오디오를 차단함으로써,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pager (aka pager). That is, when the call signal is detected, the audio reproduction mode is switched to the call reception mode (pager mode) to block the audio to be played, thereby informing the user that the call signal has been receiv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무선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는 이동 무선전화기와 오디오 재생장치를 별도의 전화착신 감지장치에 연결하고, 전화착신 감지장치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장치를 통해 오디오 청취중 전화착신신호가 감지되면 오디오 재생모드를 핸드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발신자와의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디오청취중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of a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nects a mobile radio phone and an audio playback device to a separate call reception detection device, and connects an earphone to the call reception detection device so that a user uses an audio playback device. When the incoming call signal is detected while listening to audio, the audio playback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cellular phone mode so that a call can be made with the caller. Thus,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at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during audio listening.

또한, 전화통화시 별도의 마이크를 통하지 않고 스테레오 이어폰중 하나의 이어폰을 마이크로 사용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해지고, 저렴한 전화착신 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one of the stereo earphones as a microphone instead of a separate microphone during a telephone call,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inexpensive incoming call detection device.

Claims (4)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를 통해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신호가 감지되면, 감지신호에 따라 모드 전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전환 제어부와, 모드전환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모드 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 재생모드를 핸드폰모드로 전환하는 스위칭부와, 전화 착신신호에 따라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표시하고, 모드전환 제어부에 의해 해당 모드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LED로 이루어진 표시부와, 스위칭부가 핸드폰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중 하나의 이어폰으로부터 스위칭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여 이동 무선 전화기로 출력하는 증폭부와, 전환된 핸드폰 모드를 오디오 재생모드로 강제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신호를 모드전환 제어부로 제공하는 강제 모드 전환스위치와, 오디오 재생모드에서 핸드폰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스위칭부가 핸드폰 모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차단하는 오동작 방지회로부를 구비한 이동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 mode switch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when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audio playback mode to the mobile phone mode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a plurality of LEDs indicating that the incoming call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signal, and the mode is displayed by the mode switching control unit A display unit, an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from one of the stereo earphones through a switching unit in a state where the switching unit is switched to the mobile phone mode,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unit to the mobile wireless phone; Switching signal to forcibly switch to playback mode before mode A mobile wireless telephone having a forced mode switching switch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and a malfunction prevention circuit unit for blocking a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ion unit so that the switching unit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mobile phone mode in the state of switching from the audio playback mode to the mobile phone mode. To 상기 이동 무선 전화기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핸드폰모드로의 전환시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이동 무선 전화기로 인터페이싱하고, 이동 무선 전화기로 부터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스위칭부로 인터페이싱하는 플러그로 이루어진 제 1 인터페이싱부와,A plug which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cordless phone and interfaces the user voice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unit to the mobile cordless phone when the mobile phone mode is switched to, and the voice signal of the caller input from the mobile cordless phone to the switching unit. A first interface consisting of: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의 이어폰 잭에 연결되어 오디오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스위칭부로 인터페이싱하는 플러그로 이루어진 제 2 인터페이싱부와;A second interfacing unit which is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of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nd comprises a plug for interfacing an audio signal reproduced by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to a switching unit; 상기 두개의 이어폰 플러그와 연결되어 오디오 재생모드시 오디오 재생장치로 부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어폰으로 인터페이싱하고, 핸드폰모드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중 하나의 이어폰으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스위칭부를 통해 증폭부로 인터페이싱하며, 무선 이동 무선 전화기에서 스위칭부를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다른 하나의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잭으로 이루어진 제 3 인터페이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Connected to the two earphone plugs, the audio signal reproduced from th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is interfaced to the earphones in the audio reproducing mode, and the voice signal input from one of the stereo earphones in the mobile phone mode is interfaced to the amplifying unit through the switching unit. And a third interfacing unit comprising a jack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of the caller in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to the other earphone in the wireless mobile wireless tele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동작 방지회로부는 상기 핸드폰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칭부를 계속적으로 핸드폰 모드로 유지되도록 하는 강제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는 오동작 방지스위치와;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alfunction prevention circuit unit comprises: a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configured to provide a forced switching signal for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switching unit in the cellular phone mode when the cellular phone mode is switched to the cellular phone mode; 오동작 방지스위치가 온됨에 따른 오동작 방지부의 제어에 따라 턴 오프되어 모드전환 제어부가 스위칭부를 계속적으로 핸드폰모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의 출력신호를 차단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Incoming detection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istor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as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is turned on, and thus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blocks the output signal of the detector so that the switching unit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cellular phone mode. Device.
KR1019990023796A 1999-06-23 1999-06-23 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KR100360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796A KR100360615B1 (en) 1999-06-23 1999-06-23 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796A KR100360615B1 (en) 1999-06-23 1999-06-23 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810A KR19990068810A (en) 1999-09-06
KR100360615B1 true KR100360615B1 (en) 2002-11-13

Family

ID=3749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796A KR100360615B1 (en) 1999-06-23 1999-06-23 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6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410A (en) * 2002-09-04 2004-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and-free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KR100658102B1 (en) * 2006-05-01 2006-12-15 주식회사 대원콘보이 Signal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of car audio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320A (en) * 1993-08-30 1995-03-21 이헌조 Audio walkie talkie and its calling method
KR970050490U (en) * 1996-01-11 1997-08-12 Earphone device with recording j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320A (en) * 1993-08-30 1995-03-21 이헌조 Audio walkie talkie and its calling method
KR970050490U (en) * 1996-01-11 1997-08-12 Earphone device with recording j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810A (en)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100360615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JPH1023115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JPH1094070A (en) Composi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ler
JP2954150B1 (en) Mobile 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therefor
JP2002064596A (en) Mobile phone
JP2004080395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469847B1 (en) Multi-function signal video/audio phone
KR100366231B1 (en) Multi function hands free
KR200181945Y1 (en) Handsfree apparatus combined use for portable audio reproducing apparatus and wireless telephone which is capable of auto-switching by detection of telephone signal
KR200274628Y1 (en) A double purpose headphone for portable audios and cellular phones
KR200258287Y1 (en) Multi-function signal video/audio phone
KR10066892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earphone
KR19990014640A (en) Wireless telephone incoming call detection method and system
KR200242886Y1 (en) Phone auxiliary unit for bell change
JPH09247249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186226Y1 (en) 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KR200165522Y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voice in mobile phone
KR200165455Y1 (en) Workman-handphone controller
KR20030082711A (en) Audio player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with cellular phone
KR20020092641A (en) Multi-function signal controller
JP2002016675A (en) Multifunction mobile phone
JPH10200990A (en) Earphone set for portable acoustic equipment
KR20030076041A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audio device with a function of hands-free
JP2760368B2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