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226Y1 - 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226Y1
KR200186226Y1 KR2020000000833U KR20000000833U KR200186226Y1 KR 200186226 Y1 KR200186226 Y1 KR 200186226Y1 KR 2020000000833 U KR2020000000833 U KR 2020000000833U KR 20000000833 U KR20000000833 U KR 20000000833U KR 200186226 Y1 KR200186226 Y1 KR 200186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mode
unit
sign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8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목
Original Assignee
정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목 filed Critical 정목
Priority to KR2020000000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2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226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이어폰을 통하여 청취하고 있는 동안에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 절환하여 이어폰을 통해 발신자와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rdless telephone which automatically switches when the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cordless telephone is detected while the user listens to the audio played by the cassette tape recorder through the earphone. Regarding incoming call transfer device,

본 고안의 특징은, 이동 무선 전화기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를 인터페이싱하는 제 1, 2, 3 인터페이싱부를 구비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싱부에 전송되는 상기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신호와 상기 제 2인터페이싱부에 연결된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 전송되는 오디오신호에 따라서 모드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절환제어부와, 상기 모드절환제어부에서 전송되는 모드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모드와 이동단말모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칭된 오디오모드를 이동단말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신호를 상기 모드절환제어부로 전송하는 모드절환스위치와, 상기 이동 무선전화기에 연결된 제 1 인터페이싱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착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드절환제어부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하여 이어폰에 연결된 상기 제 3 인터페이싱부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착신신호를 가변하는 가변저항들을 포함하는데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of a mobile radiotelephone having first, second and third interfacing portions for interfacing a mobile radiotelephone with a cassette tape recorder, the incoming call of the mobile radiotelephone transmitted to the first interfacing portion. A mode switch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and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ssette tape recorder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ing unit, and an audio mod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e switching control unit.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modes, a mode switching switch for transmitting a switching signal for switching an audio mode selectively switched by the switching unit to a mobile terminal mode, and a mode switching switch connected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1 Incom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ing unit And a microphon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and a variable resistor for varying an audio signal and an incoming signal input to the third interfacing unit connected to the earphone through the switching unit.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로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다가 전화가 착신되었을 때 자동으로 절환되어 별도의 마이크를 통하여 발신자와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a telephone call with the caller through a separate microphone by automatically switching when a call is received while listening to audio with a cassette tape recorder.

Description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Call switching device of mobile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본 고안은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이어폰을 통하여 청취하고 있는 동안에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 절환하여 별도의 마이크를 통해서 발신자와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incoming signal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is detected while a user is listening to audio played on a cassette tape recorder through an ear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of a mobile wireless telephone, which enables a telephone call with a caller through a microphone.

일반적으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시장이 팽창되고 있어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을 이용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나 셀룰러 폰의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고, 이러한 이동 무선 전화기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라디오, CD플레이어 등의 오디오 재생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다기능의 이동 무선 전화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the market for mobile cordless phones is expanding, and the number of users of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PCS) or cellular phones us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is increasing rapidly. Such mobile phones, cassette tape recorders, radios, and CD players are increasing. The use of multifunctional mobile cordless telephones which connect and use audio reproducing apparatuses is increasing.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for a mobile radiotele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있어서, 이동 무선 전화기(20)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에 전화 착신 절환 장치(10)의 제 1, 2 인터페이싱부(11,12)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이어폰(40)이 전화 착신 절환 장치(10)의 제 3 인터페이싱부(18)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 무선 전화기(20)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가 작동이 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어폰(40)을 귀에 꼿고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의 재생동작을 조정하게 되면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는 재생된다. 여기에서 제 1, 2 인터페이싱부(11,12)는 이동 무선 전화기(20)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에 장착된 이어폰 잭에 연결되도록 한 플러그이고, 제 3 인터페이싱부(18)는 이어폰(40)의 이어폰 잭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플러그이다.1,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ing portions 11 and 12 of the call transfer device 10 are connected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20 and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 respectively, and the earphone 40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It is connected to the third interface 18 of the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10. When the mobile phone 20 and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 are operated, the user puts the earphone 40 on the ear and adjusts the playback operation of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 The audio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is played. Here,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ing units 11 and 12 are plug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s mounted on the mobile radio telephone 20 and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 and the third interfacing unit 18 is the earphone 40 It is a plug configured to insert the earphone jack of).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가 재생동작을 수행하면,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는 제 2 인터페이싱부(12)를 통해 스위칭부(14)로 입력된다. 이때, 스위칭부(14)는 제 2 인터페이싱부(18)의 출력라인으로 스위칭되어 있는 상태이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는 제 2 인터페이싱부(12)와 스위칭부(14) 및 제 3 인터페이싱부(16)를 통해서 이어폰(40)으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하는 것이다. 감지부(15)는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 무선 전화기(20)의 착신신호가 수신되는지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스위칭부(14)로 전송한다.When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 performs a reproducing operation, the reproduced audio signal is input to the switching unit 14 through the second interfacing unit 12. At this time, the switching unit 14 is switched to the output line of the second interfacing unit 18. The audio signal reproduced by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 is output to the earphone 40 through the second interfacing unit 12, the switching unit 14, and the third interfacing unit 16, so that the user reproduces the audio signal. To listen. The sensing unit 15 continuously detects whether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20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14.

한편, 감지부(16)를 통하여 이동 무선 전화기(20)의 착신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부(16)는 감지신호를 사용자에게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발광다이오드(LED)를 통하여 알려준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20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6, the sensing unit 16 notifies the user of the incoming signal through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스위칭부(14)가 스위칭되면, 이동 무선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신호는 제 1 인터페이싱부(11)와 스위칭부(14) 및 제 3 인터페이싱부(16)를 통해서 이어폰(40)중 하나의 이어폰으로 출력된다. 증폭부(13)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한 후 제 1 인터페이싱부(11)를 통해 이동 무선 전화기(20)로 전송한다. 즉, 이어폰(40)중 제1이어폰 또는 제2이어폰중 하나를 원래의 기능인 이어폰으로 사용하여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다른 이어폰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 사용한다.When the switching unit 14 is switched, the voice signal of the caller input through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20 is transferred to the earphone 40 through the first interface 11, the switching unit 14, and the third interface 16. One of the earphones is output. The amplifier 13 amplifies a user's voice signal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o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20 through the first interface 11. That is, one of the first earphone or the second earphone of the earphone 40 is used as an earphone which is an original function to listen to the caller's voice signal, and the other earphone is used as a microphone for inputting the user's voice signal.

전화통화중 전화통화가 완료되거나 강제적으로 전화통화를 중단시킬 경우 스위칭부(14)는 오디오 신호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전환된다.When the telephone call is completed or the telephone call is forcibly interrupted during the telephone call, the switching unit 14 is switched to switch the audio signal.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ll switching device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사용자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를 통해서 오디오 청취중 전화착신신호를 감지하면 스위칭되어 발신자와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동 무선전화기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를 단순하게 연결하여 인터페이싱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디오 청취중 전화가 착신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며 이어폰 중 하나를 선택하여 마이크로 대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When the user detects an incoming call while listening to audio through the cassette tape recorder, the call is switched to make a call with the caller.Because the mobile phone and the cassette tape recorder are simply connected and interfaced, the user can easily receive a call while listening to the audio. It was not possible to check it, and it wa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earphones and replace it with a microphone.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 전송되는 오디오를 이어폰을 이용하여 청취하고 있는 동안에 이동 무선 전화기에서의 통화 착신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를 차단함과 동시에 별도의 마이크를 통하여 발신자와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모드를 자동 절환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the incoming call signal from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is detected while the user is listening to the audio transmitted from the cassette tape recorder using the earphon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for a mobile wireless telephone that automatically switches modes so that a call can be made to a caller through a separate microphone while blocking the transmitted audio signal.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of a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all switching device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shown in FIG. 2;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00 : 착신 절환 장치 110 : 제 1 인터페이싱부100: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110: first interfacing unit

120 : 스위칭부 130 : 모드절환제어부120: switching unit 130: mode switching control unit

140 : 모드절환스위치 150 : 제 2 인터페이싱부140: mode switching switch 150: the second interface

160 : 제 3 인터페이싱부 200 : 이동무선전화기160: third interfacing unit 200: mobile wireless telephone

300 :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400 : 이어폰300: cassette tape recorder 400: earphon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이동 무선 전화기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를 인터페이싱하는 제 1, 2, 3 인터페이싱부를 구비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싱부에 전송되는 상기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신호와 상기 제 2인터페이싱부에 연결된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 전송되는 오디오신호에 따라서 모드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절환제어부와, 상기 모드절환제어부에서 전송되는 모드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모드와 이동단말모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칭된 오디오모드를 이동단말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신호를 상기 모드절환제어부로 전송하는 모드절환스위치와, 상기 이동 무선전화기에 연결된 제 1 인터페이싱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착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드절환제어부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및 상기 스위칭부를 통하여 이어폰에 연결된 상기 제 3 인터페이싱부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착신신호를 가변하는 가변저항들을 포함한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of the mobile radiotelephone hav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terfacing unit for interfacing the mobile radiotelephone and the cassette tape recorder, the transmission to the first interfacing unit; A mode switch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and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ssette tape recorder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e unit, and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e switching control unit.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an audio mode and a mobile termin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de switching switch for transmitting a switching signal for switching the audio mode selectively switched by the switching unit to the mobile terminal mode; A first interface connected to the mobile radiotelephon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ignal transmitted over to include a variable resistor for varying the microphone and the audio signal switching unit and the receiving signal received by the third interface unit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through which output an audio signal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incoming call switching apparatus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shown in FIG. 2.

도 2와 도 3을 종합하여 설명하면, 착신 절환 장치(100)는 이동 무선전화기(200)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0) 및 이어폰(400)에 도3 과 같이 접속되어 있다. 착신 절환 장치(100)를 구성하는 제 1 인터페이싱부(110)는 이동 무선전화기(200)의 플러그(201)에 삽입되는 잭(202)에 연결되고 착신 절환 장치(100)의 플러그(102)에 삽입되는 잭(101)에 연결되어 이동단말모드로 절환시,스위칭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가변저항(VR1, VR2)의 가변에 의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이동 무선전화기(200)로 인터페이싱하고, 이동 무선전화기(200)로 부터 입력되는 발신자의 음성신호를 스위칭부(120)로 인터페이싱한다.2 and 3, the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200,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0, and the earphone 400 as shown in FIG. The first interfacing unit 110 constituting the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jack 202 inserted into the plug 201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200 and connected to the plug 102 of the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100. When switched to the mobile terminal mode connected to the jack 101 is inserted, the user's voice signal by the variable of the variable resistor (VR1, VR2)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120 is interfaced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200 and The voice signal of the caller input from the mobile radio telephone 200 is interfaced to the switching unit 120.

스위칭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가변저항(VR1, VR2)은 도 3에 도시된 볼륨스위치(VS)로 조절하게 되어 있는데, 스위칭부(12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가변저항(VR1, VR2)을 선택적으로 조절한다.The variable resistors VR1 and VR2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120 are controlled by the volume switch VS shown in FIG. 3, and the variable resistors VR1 and VR2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120. Selectively adjust

제 2 인터페이싱부(150)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0)의 플러그(301)에 삽입되는 잭(302)에 연결되고 착신 절환 장치(100)의 플러그(103)에 삽입되는 잭(104)에 연결되어,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0)에서 전송되는 오디오신호를 스위칭부(120)로 인터페이싱한다. 제 2 인터페이싱부(150)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0)을 연결하는 플러그(103,301)와 잭(104,302)의 형태는 다른 플러그와 잭보다 크기가 더 크다.The second interfacing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jack 302 inserted into the plug 301 of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0 and connected to the jack 104 inserted into the plug 103 of the call transfer device 100.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0 is interfaced to the switching unit 120. The plugs 103 and 301 and the jacks 104 and 302 connecting the second interface 150 and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0 are larger in size than other plugs and jacks.

또한, 제 3 인터페이싱부(160)는 착신 절환 장치(100)의 플러그(105)에 삽입되는 이어폰(400)의 이어폰 잭(106)에 연결되고 스위치(SW)를 절환하여 오디오모드가 되면,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신호를 이어폰(400)으로 인터페이싱하고, 스위치(SW)를 절환하여 이동단말모드가 되면, 센드스위치(SEND SW)를 눌러 마이크(MIC)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모드절환제어부(130)와 스위칭부(120)를 통해서 제 1 인터페이싱부(110)로 전송한다. 이때, 착신절환 장치(100)는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옷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옷걸이(EA)의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when the third interfacing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106 of the earphone 400 inserted into the plug 105 of the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100 and switches the switch SW to become an audio mode, the cassette When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ape recorder 300 is interfaced to the earphone 400 and the switch SW is switched to the mobile terminal mode,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IC by pressing the send switch SEND SW. Is transmitted to the first interfacing unit 110 through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130 and the switching unit 120. At this time, the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100 has a form of a hanger (EA) so as to walk on the user's clothes as shown in FIG.

한편, 이동무선전화기(200)의 착신신호가 제 1 인터페이싱부(110)에 전송되면, 제 1 인터페이싱부(110)에 연결된 모드절환제어부(130)는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부(120)와 제 2 인터페이싱부(150)로 전송한다.Meanwhile, when the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wireless telephone 2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interfacing unit 110,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130 connected to the first interfacing unit 110 outputs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120. ) And the second interfacing unit 150.

스위칭부(120)는 전송되는 모드절환제어부(130)의 모드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싱부(110)에서 인터페이싱된 착신신호를 스위칭하여 제 3 인터페이싱부(160)로 전송하며, 제 2 인터페이싱부(150)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0)의 오디오신호를 차단한다. 또한, 오디오모드에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300)의 재생신호를 중단하여 이동단말모드로 강제 절환할 경우, 모드절환스위치(140)를 눌러서 모드절환제어부(130)로 하여금 모드절환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한다.The switching unit 120 transmits the incoming signal interfaced by the first interface unit 110 to the third interface unit 160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130 that is transmitted, and transmits the second interface unit 160 to the second interface unit 160. The unit 150 blocks the audio signal of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0. In addition, when the playback signal of the cassette tape recorder 300 is interrupted in the audio mode and forced to switch to the mobile terminal mode, the mode switching switch 130 is pressed to generate the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by pressing the mode switching switch 140. .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s described below and equivalent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로 오디오를 청취하고 있다가 전화가 착신되었을 때 자동으로 절환시키고, 별도의 마이크를 통하여 발신자와 전화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automatically switching when a call is received while listening to audio with a cassette tape recorder, and performing a telephone call with a caller through a separate microphone.

Claims (1)

이동 무선 전화기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를 인터페이싱하는 제 1, 2, 3 인터페이싱부를 구비한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에 있어서,In the incoming call switching device of a mobile radiotelephone having a first, second, third interface for interfacing a mobile radiotelephone and a cassette tape recorder, 상기 제 1 인터페이싱부에 전송되는 상기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신호와 상기 제 2인터페이싱부에 연결된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 전송되는 오디오신호에 따라서 모드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절환제어부와,A mode switching controller for outputting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an incoming signal of the mobile radio telephone transmitted to the first interfacing unit and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ssette tape recorder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facing unit; 상기 모드절환제어부에서 전송되는 모드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모드와 이동단말모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an audio mode and a mobile terminal mode according to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상기 스위칭부에서 선택적으로 스위칭된 오디오모드를 이동단말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신호를 상기 모드절환제어부로 전송하는 모드절환스위치와,A mode switching switch for transmitting a switching signal for switching the audio mode selectively switched by the switching unit to a mobile terminal mode,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상기 이동 무선전화기에 연결된 제 1 인터페이싱부를 통하여 전송되는 착신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모드절환제어부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 및A microphon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o the mode switching controller in response to an incom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first interfacing unit connected to the mobile radio telephone; 상기 스위칭부를 통하여 이어폰에 연결된 상기 제 3 인터페이싱부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착신신호를 가변하는 가변저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절환 장치.And a variable resistor for varying an audio signal and an incoming signal input to the third interfacing unit connected to the earphone through the switching unit.
KR2020000000833U 2000-01-13 2000-01-13 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KR2001862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833U KR200186226Y1 (en) 2000-01-13 2000-01-13 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833U KR200186226Y1 (en) 2000-01-13 2000-01-13 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226Y1 true KR200186226Y1 (en) 2000-06-15

Family

ID=1963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833U KR200186226Y1 (en) 2000-01-13 2000-01-13 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226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3698B2 (en) Modular wireless multimedia device
US20070070183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3023479A (en) Portable radio terminal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200186226Y1 (en) Apparatus for called switching of mobile wireless telephone
JPH1023115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KR20010059527A (en) Ear microphone of mobile phone
JP2954150B1 (en) Mobile 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therefor
CN109195044B (en) Noise reduction earphone, call terminal, noise reduc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thod
KR100405135B1 (en) Audio input and output apparatus with wireless audio transmitting and receiving function
KR200172561Y1 (en) A multipurpose hands-free earphone set for simultaneous use of cel1ular radio and audio equipment
KR100366231B1 (en) Multi function hands free
KR100360615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call signal of a mobile wireless phone
KR20030076041A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audio device with a function of hands-free
KR200180377Y1 (en) Appratus having both handy audio ear-phone and cellular phone ear-phone
KR20050053931A (en) A mobile phone charg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audio signal output
JP2004254023A (en) Music reproduction system
JPH10200990A (en) Earphone set for portable acoustic equipment
KR200262904Y1 (en) Hand free earphone for cellular phone
JP3071731B2 (en) Mobile phone connection device
KR20030082711A (en) Audio player having communication function with cellular phone
KR200218633Y1 (en) Multi-Function Earphone
KR200221524Y1 (en) A headphone connect-device for portable handphone and audio combination
JP2000354088A (en) Portable telephone connection kit for headphone
KR200228319Y1 (en) Multipurpose Telephone Handset with Recording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