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939A -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 - Google Patents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939A
KR20010111939A KR1020000032720A KR20000032720A KR20010111939A KR 20010111939 A KR20010111939 A KR 20010111939A KR 1020000032720 A KR1020000032720 A KR 1020000032720A KR 20000032720 A KR20000032720 A KR 20000032720A KR 20010111939 A KR20010111939 A KR 2001011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oise
fan
output
inverting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삼식
Original Assignee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2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1939A/ko
Publication of KR2001011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37Operation
    • H04Q2011/0049Crosstalk reduction; Noise; Power bud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DSL DSLAM시스템 운영 중 랙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팬(Fan)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규제시킬 수 있도록 한 DSLAM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DSL DSLAM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방열을 위해서 냉각 장치용 팬을 랙 내부에 장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에서 열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팬(6)(7)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규제하기 위하여 팬의 상하단에 각각 소음 규제부(4)(5)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신호검출기(4)(5)에서 현재 발생되고 있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면, 필터(11)를 통하여 고주파를 차단하고 20000Hz이하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가청 주파수만을 얻게 되며, 이러한 필터(11)를 통해 출력되는 미약한 신호가 이득조절기(12)를 통하여 일정 레벨 이상으로 증폭된 후, 신호반전 증폭기(13)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의 위상이 180도 바뀌어 증폭 및 입출력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지며, 상기 신호반전증폭기(13)를 통하여 위상이 반전된 저주파 음성신호가 출력발생기(14)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 {NOISE REGULATOR OF DSLAM SYSTEM}
본 발명은 DSLAM시스템 운영 중 랙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팬(Fan)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규제시킬 수 있도록 한 DSLAM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DSL DSLAM 시스템은 기존의 동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고속의 디지털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를 DMT방식으로 전송대역을 압축하고 메탈 케이블의 약점인 고주파 영역에서 손실이나 누화의 영향을 줄인 것으로 옵틱 케이블(OptiC Cable)을 사용하기 힘든 이용자에게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다수의 ADSL모뎀 가입자들이 기존의 전화선로를 사용하여 고속의 인터넷 서비스, LAN, VOD 등의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멀티플렉서 장치로서 통상 전화국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ADSL DSLAM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방열을 위해서 냉각 장치용 팬을 랙 내부에 장치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였다.
그러나 발생하는 열이 많을수록 팬의 사용개수는 증가하고 소음 또한 크기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DSLAM시스템은 발생되는 소음을 그대로 방치하였으며, 이를 규제할 적당한 방법이 없었다.
DSLAM시스템과 같이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소음 방출을 차폐시키기 위한 흡수제를 사용할 적당한 공간이 없었다.
또한, 흡수제를 사용하여도 방열이 되지 않아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좁은 실내에서 랙을 여러 개 설치하여 서비스를 실시할 경우 실내의 소음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종래에는 이러한 DSLAM시스템이나 계측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사용장비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그대로 방지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소음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일으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팬에서 발생되는 공기 흐름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여 이 신호의 역 위상을 발생시켜 신호를 증폭 출력함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DSLAM시스템의 구성에 따른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소음 규제를 수행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상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 데이터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5:소음규제부 6,7:팬
10:신호검출기 11:필터
12:이득조절기 13:신호반전 증폭기
14:출력발생기 VR1,VR2:가변저항
R1-R4:저항 C1-C4:콘덴서
OP:오피 앰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SLAM 시스템의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팬의 상하단에 각각 소음 규제부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소음 규제부가, 마이크를 통해서 현재 발생되고 있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 고주파를 차단하고 20000Hz이하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가청 주파수만을 얻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미약한 신호를 일정 이상으로 증폭해 주는 이득조절기, 입력된 신호의 위상을 180도 바꾸어 주는 증폭기능과 입출력 임피던스 매칭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반전증폭기, 상기 신호반전증폭기를 통하여 위상이 반전된 저주파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단자인 출력발생기로 된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DSLAM시스템의 배치를 나타낸 것으로, USHK쉘프(1)와 다수의 MSHK쉘프(2)로 구성되며, 시스템의 방열을 위해서 냉각 장치용 팬(6)(7)을 랙 내부에 장착한 DSLAM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SLAM 시스템(3)의 팬(6)(7)상하단에 팬(6)(7)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상쇄시켜 규제하기 위한 소음 규제부(4)(5)를 각각 더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음 규제부(4)(5)의 블록도로, 마이크를 통해서 현재 발생되고 있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10)와, 고주파를 차단하고 20000Hz이하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가청 주파수만을 얻기 위한 필터(11)와, 상기 필터(11)를 통해 출력되는 미약한 신호를 일정 이상으로 증폭해 주는 이득조절기(12)와, 입력된 신호의 위상을 180도 바꾸어 주는 증폭기능과 입출력 임피던스 매칭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반전증폭기(13)와, 상기 신호반전증폭기(13)를 통하여 위상이 반전된 저주파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단자인 출력발생기(14)로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블록 구성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세 회로도로, 신호 검출기(10)는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조절해 주는 가변저항(VR)으로 구성되고, 필터(11)는 20KHz 이상되는 주파수를 제한하도록 저항(R1)과 콘덴서(C1)(C2)로 구성되고, 이득조절기(12)는 저항(R2)과 가변저항(VR2)로 구성되며, 신호반전 증폭기(13)는 오피 앰프(OP)와 저항(R3)으로 구성되고, 출력발생기(14)는 저항(R4)과 콘덴서(C1)(C2)및 임피던스(Zl)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측정 데이터 신호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리와 소음같이 인간의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를 측정한 결과 주파수범위가 대략 20Hz∼20000Hz라고 하며, DSLAM시스템이나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 신호도 어떠한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신호를 검출하여 여기에 반대되는 신호를 만들어 출력시킴으로써 두 신호가 합해져 동일 시점에서 위상이 서로 다른 경우 신호가 상쇄되도록 한 것이다.
통상의 DSLAM 시스템은 냉각을 시키기 위하여 상하단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팬(6)(7)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팬(6)(7)이 동작함으로써 일정한 크기의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팬(6)(7)은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회전하므로 공기를 유입할 때 발생되는 신호도 일정한 주파수 성분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팬(6)(7)으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동일한 반대 신호를 출력 합성함으로써 서로 역위상되는 신호에 의해 신호가 상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규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신호검출기(10)는 마이크를 통해서 현재 발생되고 있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여 필터(11)로 보낸다.
따라서, 필터(11)에서는 고주파를 차단하고 20000Hz이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게 되는데 이는 가청 주파수만을 얻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득조절기(12)는 필터(11)를 통해 출력되는 미약한 신호를 일정 레벨 이상으로 증폭해 주게 되며, 신호 반전 증폭기(13)는 입력된 신호의 위상을 180도 바꾸어 주는 증폭기능과 입출력 임피던스 매칭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반전 증폭기(13)의 출력단에 접속된 출력발생기(14)는 위상이 반전된 저주파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음 규제 회로도로, 먼저 마이크를 통해 Vin으로 팬(6)(7)에서 발생되는 노이즈 소음을 검출하면, 이러한 Vin에 접속된 가변저항(VR1)에서는 입력신호의 크기를 조절해 주게 된다.
또한, 가변저항(VR1)에 의해 가변된 소음은 저항(R1), 콘덴서(C1)(C2)로 구성된 필터(11)를 통하면서 20KHz 이상되는 주파수를 제한하게 되며, 저항(R2)과 가변저항(VR2)에 의해 이득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이득이 조절된 신호는 저항(R3)과 오피 앰프(OP)로 구성된 신호반전증폭기(13)를 통하여 반전된 후 콘덴서(C3)를 통하여 AC커플링이 이루어짐과 함께 최종 저주파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데 이때, 저항(R4)과 콘덴서(C4)에 의해 출력 임피던스가 맞추어져 출력된다.
여기서, 가변저항(VR2)은 출력신호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측정 데이터 신호를 나타낸 것으로, Ch1은 입력되는 신호를 측정한 예를 나타내고 Ch2는 이 신호를 증폭기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한 것이며, 아래의 신호는 Ch1과 반대되는 Ch2신호를 더한 결과로서 신호가 합성되어 상쇄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실제 마이크 신호를 사용하여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합성하여 출력이 감쇠되는 것을 사용하지 않고 기능 구현원리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구형파를 입력하여 상호 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DSLAM시스템의 상하단에 설치된 팬의 주위에 소음규제장치를 설치하여 팬의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팬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USHK쉘프와 다수의 MSHK쉘프로 구성되며, 시스템의 방열을 위해서 냉각 장치용 팬을 랙 내부에 장착한 DSLAM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용 팬 상하부에, 마이크를 통해서 현재 발생되고 있는 노이즈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 고주파를 차단하고 20000Hz이하의 신호만을 통과시켜 가청 주파수만을 얻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미약한 신호를 일정 이상으로 증폭해 주는 이득조절기, 입력된 신호의 위상을 180도 바꾸어 주는 증폭기능과 입출력 임피던스 매칭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반전증폭기, 상기 신호반전증폭기를 통하여 위상이 반전된 저주파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단자인 출력발생기로 된 소음 규제부를 각각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
KR1020000032720A 2000-06-14 2000-06-14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 KR20010111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720A KR20010111939A (ko) 2000-06-14 2000-06-14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720A KR20010111939A (ko) 2000-06-14 2000-06-14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939A true KR20010111939A (ko) 2001-12-20

Family

ID=4593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720A KR20010111939A (ko) 2000-06-14 2000-06-14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19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391B1 (ko) * 2001-06-27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디에스엘 모뎀장치의 수신신호 자동조절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391B1 (ko) * 2001-06-27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디에스엘 모뎀장치의 수신신호 자동조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2712B2 (ja) ダイナミックバスブースト装置および方法
US5448645A (en) Active fan blade noise cancellation system
US5208866A (en) On-board vehicle automatic sound volume adjusting apparatus
JP5448446B2 (ja) マスキングモジュール
US6201873B1 (en) Loudspeaker-dependent audio compression
US5303308A (en) Audio frequency signal compressing system
JP4416367B2 (ja) スピーカ保護システム
US5640450A (en) Speech circuit controlling sidetone signal by background noise level
US5995632A (en) Fan noise canceller
US4991221A (en) Active speaker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KR19990076962A (ko) 음성 증폭 장치 및 방법
KR100260224B1 (ko) 하울링방지장치
JPH0692728B2 (ja) 能動音響制御システム
EP0584346A1 (en) Loudspeaker arrangement with frequency dependent amplitude regulation
US7466818B2 (en) Acoustic shock prevention
JP2010256902A (ja) ノイズ発生源からの音の中の純音の遮蔽
US78222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mplifying auditory sounds
JP2012023688A (ja) 信号処理装置、半導体チップ、信号処理システム、及び信号処理方法
JP4360747B2 (ja) オーディオ信号内の調波発生装置
JPH02265331A (ja) 音声通信中継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20010111939A (ko)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소음 규제장치
EP0258224A1 (en) Noise limiting circuit for earmuffs
Hansen et al.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n active noise control system in a hot exhaust stack
JPH09139679A (ja) ピーク電力低減回路
KR100894613B1 (ko) 다중음 다채널 방식을 적용한 변압기용 소음 감쇄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