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939A -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939A
KR20010110939A KR1020000031683A KR20000031683A KR20010110939A KR 20010110939 A KR20010110939 A KR 20010110939A KR 1020000031683 A KR1020000031683 A KR 1020000031683A KR 20000031683 A KR20000031683 A KR 20000031683A KR 20010110939 A KR20010110939 A KR 2001011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lamp
control panel
fixing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웅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0939A/ko
Publication of KR2001011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내부의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전선을 효율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판넬(30)의 일측에 다수개의 전선고정부(44)를 가지는 클램프(40)를 형성하여 여러가지 전장품에 연결된 각각의 전선(43)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클램프(40)는, 전선(43)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다수개의 반원이 일체로 성형된 하부(41)와, 상기 하부(41)의 일측에 연장되게 구성된 상부(42)와, 상기 하부(41)에 연장된 상부(42)가 쉽게 접힐 수 있도록 성형되는 연결부(40a)와, 하부와 상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전선고정부(44)와, 상기 상부가 접혀진 상태로 컨트롤판넬(30)에 고정되도록 상부(42)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수단(4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다수개의 전선고정부를 가지는 클램프에 의하면, 많은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여러개의 클램프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전선을 쉽게 정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Fixing device of controller wire for out door unit i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장품에 연결되는 전선을 효율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기의 컨트롤판넬에 다수개의 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를 구성하여 전선의 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가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를 거친 액체상태의 냉매를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로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팽창밸브를 통과한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의 냉매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증발되어 주변의 열을 빼앗아 외부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킨후,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싸이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냉매싸이클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형태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되는데, 소음문제와 설치환경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널리 사용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되어 있다. 실내기는 차가운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와,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더운 실내공기를 상기 증발기를 거쳐 냉각시킨후 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팬에 의하여 냉방을 수행한다. 그리고, 실외기는 실내기의 증발기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방열시키기 위하여 실외측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실외측 송풍팬과, 상기 응축기를 거쳐 방열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여러가지 전장품들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장품들은 실내기의 컨트롤부와 연결된 전선을 통해 제어신호가 전달되어 실외기의 구성요소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분해한 사시도로 종래의 구성예를 보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내부에는, 실외기(1)의 열교환기인 응축기(2)를 방열시키기 위한 팬(3)이 설치되고, 상기 팬(3)의 전면에는 팬의 회전에 따라 응축기(2)을 방열시킨 더운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그릴(4)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기(6)가 설치되는 상단에 전장품(7a)이 고정된 컨트롤판넬(7)이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2)와 압축기(6)가 설치된 사이에 실외기 팬(3)의 회전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여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리어(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판넬(7)은, 배리어(5)와 실외기(1)의 측벽(1a) 내측에 각각 고정된다.
도 2에는, 컨트롤판넬(7)에 전장품(7a)과 여러가지 전선(9)이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8)가 구성된 종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판넬(7)의 평면판(26)에는 실외기의 각 구성장치에 원활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캐피시터(21)와, 도 1에 도시한 압축기(6)과 실외기 팬(3)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도시 생략)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파워릴레이(23)이 고정된다. 그리고, 컨트롤커버(8)을 실외기 측벽(1a)에서 분리한 후에 측면상측에서 내려보고 쉽게 전원연결장치인 터미널블럭(22)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컨트롤판넬(7)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판(27)이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판넬(7)에 고정되는 여러가지 전장품 간에 연결된 여러개의 전선(9)은 복잡하게 배선된다. 이러한 전선이 고정되지 않고 서로 엉키게 방치할 경우에는 전장품의 조립이나 취급과정에서 단선이나 손상현상이 발생되거나, 전장품 간에 전기적 또는 전파적인 간섭으로 실외기가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전선(9)을 엉키지 않게 정리하여 고정하기 위해 클램프(8)가 구성된다. 고정하고자 하는 전선(9)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컨트롤판넬(7)에 별도로 클램프(8')을 추가로 체결하여 나머지 전선(9')을 고정하여야 한다.
도 3은 클램프(8)에 의하여 전선(9)이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클램프(8)에 의하여 전선(9)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컨트롤판넬(7)에 삽입홈(30)이 구성된다. 상기 삽입홈(30)에 클램프(8)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8b)을 삽입하고, 고정하고자 하는 전선(9)을 클램프(8)의 몸체(8a)로 감싼 후, 클램프(8)의 고정편(8c)에 형성된 구멍(8d)을 컨트롤판넬(7)에 형성된 체결공(31)의 위에 위치하도록 나사(s)로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선을 고정하는 구조에 의하면, 고정하고자 하는 전선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하나의 클램프만으로도 충분히 전선의 유동이나 이탈은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정하려는 전선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다수개의 클램프를 추가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컨트롤판넬에 별도로 클램프를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을 형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판넬에 전장품을 고정한 후, 전장품에 결선되는 다수개의 전선을 손쉽게 정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장품에 결선되는 전선의 흐트러짐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전선고정부가 구성된 클램프를 구성하여 컨트롤판넬에 체결함으로써, 쉽게 달성될 수 있을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분해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컨트롤판넬에 전장품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클램프로 전선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판넬에 전선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펼쳐진 클램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접혀진 클램프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c는 도 5b의 A-A'선에 의한 클램프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컨트롤판넬 30b .... 삽입홈
30c .... 고정돌기 40 ..... 클램프
40a .... 연결부 40b .... 걸림수단
41 ..... 하부 42 ..... 상부
41a, 41b, 42a, 42b .... 접촉면 43 ..... 전선
44 ..... 전선고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전선고정수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는 전선고정수단인 클램프의 구조는, 여러개의 전선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전선고정부를 가지는 클램프를 구성하여 컨트롤판넬의 일측에 체결한다. 상기 클램프는 다수개의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컨트롤판넬에 고정되는 하부와, 상기 하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전선을 클램프 하부의 위에 위치시킨 후 전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덮어주기 위한 상부와, 상기 하부와 상부가 쉽게 접혀 대칭되게 접촉시킬 수 있도록 클램프의 전체적인 두께보다 비교적 얇게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하부와 상부가 대칭되게 접촉된 상태로 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컨트롤판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체결하기 위해 상기 상부의 끝단에 성형된 걸림수단을 포함하여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실내기의 컨트롤부에서 실외기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실외기의 각 구성물을 구동하기 위한 파워릴레이, 캐피시터 등의 전장품에 여러개의 전선이 터미널블록에 결선된다. 이러한 여러개의 전선을 컨트롤판넬의 일측에 체결되어 다수개의 전선고정부를 가지는 클램프로 전선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전장품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개의 전선을 다수개의 반원형상으로 연결된 클램프의 하부 위에 위치시킨 다음에, 하부와 연장되게 일체 성형되어 있는 상부로 전선의 위를 덮고 나서, 상기 클램프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걸림수단을 컨트롤판넬에 체결하여 전선을 고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컨트롤판넬의 각 전장품에 연결되는 전선의 수가 많아도 다수개의 전선고정부를 형성할 수 있는 클램프로 용이하게 전선을 정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판넬(30)에 체결된 클램프(40)에 의해 전선(43)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보이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의 컨트롤부(도시 생략)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실외기의 각 구성품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장품(30a)이 컨트롤판넬(30)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판넬(30)에 고정되는 각 전장품(30a)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터미널블럭(31)은, 실내기의 컨트롤부(도시 생략)와 연결되어 실외기의 구성물의 작동을 위한 전원이나 제어신호를 보내기 위한 케이블 등의 전선(43)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파워릴레이(32)는,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나 압축기에 인가되는 전원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캐피시터(33)는, 실외기의 구성물에 원활한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각 전장품(30a)의 제어신호나 전원을 실외기의 각 구성물에 전달하는 전선들간의 전기적 간섭으로 야기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선을 일정한 방향으로 엉키지 않도록 정리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터미널블럭(31)의 각 단자부(31a)에 연결되는 전선(43)을 클램프(40)에 형성된 전선고정부(44)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5a와 도 5b는 상기 클램프(40)가 컨트롤판넬에 체결되어 전선(43)을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a는 전선(43)을 고정하기 전의 다수개의 반원이 연장되게 형성된 클램프(40)의 하부(41)가 컨트롤판넬(30)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판넬(30)에 형성된 고정돌기(30c)에 의하여 컨트롤판넬(30)에 닿는 하부(41)가 고정된다. 그리고, 정리하고자 하는 전선(43)을 상기 클램프(40)의 하부(41) 위에 위치시킨다. 상기 하부(41)를 덮어서 전선(43)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42)는 하부(41)의 일측에 연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40)가 연결부(40a)를 기준으로 하부(41)의 접촉면(41a, 41b)과 상부(4)의 접촉면(42a, 42b)이 서로 접촉하여 개방되어 있는 하부(41)의 위쪽을 상부(42)가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40a)는, 상부(42)가 하부(41)에 위치한 전선을 덮어 고정할 수 있도록 클램프(40)의 전체적인 두께보다 비교적 얇게 형성하여 쉽게 접혀지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부(42)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수단(40b)은 컨트롤판넬(30)에 형성된 삽입홈(30b)에 삽입하여 클램프(40)를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b는 상기 클램프(40)의 상부(42)가 연결부(40a)를 기준으로 하부(41)의 위로 접혀져 전선(43)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의 정면도를 보이고 있다. 다수개의 전선고정부(44)를 가지는 클램프(40)에 의하여 전선이 고정된 상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다수개의 반원이 연결되어 있는 하부(41)의 저면이 닿는 컨트롤판넬(30)에 고정돌기(30c)를 형성하여 클램프(40)의 하부(41)을 고정시킨다. 정리하고자 하는 전선(43)을 하부(41)의 위에 위치시키고 상부(42)가 하부(41)와 대칭되게 하부의 위에 접촉되도록 덮는다. 반원형상의 하부(41)와 상부(42)가 접촉되어 전선을 고정하는 공간이 마련되는데, 이 공간은 다수개의 전선고정부(44)로 원형을 이루게 된다. 하부(41)의 위를 덮어 전선(4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42)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수단(40b)을 컨트롤판넬(30)에 구성되어 있는 삽입홈(30b)에 걸리도록 끼워서 고정한다. 상기 걸림수단(40b)는 후크부재로 성형하여 컨트롤판넬(30)의 삽입홈(30b)에 효과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한 A-A'선에 따른 클램프(40)가 컨트롤판넬(30)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즉, 클램프(40)의 하부(41)와 상부(42)가 맞물려 전선(43)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컨트롤판넬(30)에 구성된 한쌍의 고정돌기(30c) 사이에 하부(41)가 끼워져 고정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여러가지 전장품이 고정되는 컨트롤판넬의 일측에, 다수개의 전선고정부를 가지는 클램프를 구성하여 전장품 사이에 연결되는 여러개의 전선을 고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많은 전선을 다수개의 전선고정부에 나누어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장품에 연결되는 전선의 수가 많을 경우에 다수개의 전선고정부를 가지는 클램프를 형성하여 전선을 고정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전선을 고정을 위해 여러개의 클램프를 별도로 구성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의 정리 및 서비스 작업시에 효율적이고 원활한 작업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Claims (3)

  1.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에 전선을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 다수개의 오목한 수납부가 성형된 하부와, 상기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와 대응되게 성형된 상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에 상부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의 단부에 걸림수단을 구비하는 전선고정수단에 의하여 전선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수단의 하부는 컨트롤판넬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전선고정수단의 상부가 컨트롤판넬에 형성된 삽입홈에 체결되도록 후크부재를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KR1020000031683A 2000-06-09 2000-06-09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KR20010110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683A KR20010110939A (ko) 2000-06-09 2000-06-09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683A KR20010110939A (ko) 2000-06-09 2000-06-09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939A true KR20010110939A (ko) 2001-12-15

Family

ID=4592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683A KR20010110939A (ko) 2000-06-09 2000-06-09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0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2410A (ko) 천장에 장착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JPH07322560A (ja) 電動機ハウジングのソケット構造
KR100384508B1 (ko) 공기조화기
WO2018109932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20200248912A1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20010110939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EP3196561A1 (en) Air conditioner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AU2019431661B2 (en) Compressor
KR20030000420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분할식 인쇄회로기판의 장착구조
US6672915B2 (en) Connector for motor
KR20010110940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전선 고정구조
WO2017138139A1 (ja) 電装品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WO2020110166A1 (ja) 室外機
US4367635A (en) Combination control box and service cord strain relief for an air conditioning unit
JP3842889B2 (ja) 空気調和機の壁掛式室内ユニット
KR100228965B1 (ko) 에어컨 실외기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0813212B1 (ko) 공기조화기의 캐패시터 커버
KR20010112567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부
KR100402902B1 (ko) 냉장고용 모터조립체
KR2001011094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330230Y1 (ko) 에어컨용 일체형 보온커버
KR0129536Y1 (ko) 룸 에어콘용 실내기의 배선커버 개폐구조
KR100557766B1 (ko) 공기조화기
KR200204607Y1 (ko) 공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