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912A -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912A
KR20010110912A KR1020000031631A KR20000031631A KR20010110912A KR 20010110912 A KR20010110912 A KR 20010110912A KR 1020000031631 A KR1020000031631 A KR 1020000031631A KR 20000031631 A KR20000031631 A KR 20000031631A KR 20010110912 A KR20010110912 A KR 2001011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sensor
recording syste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721B1 (ko
Inventor
이상조
Original Assignee
이상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조 filed Critical 이상조
Priority to KR10-2000-003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721B1/ko
Publication of KR2001011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721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고 발생시 사고 시점을 전후하여 한정된 시간 동안 씨씨디 카메라의 영상과 차량에서 제공하는 신호인 차속 신호, 브레이크 작동 신호 및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신호를 저장 장소에 저장하여, 사고 상황을 재연, 사고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고 발행후 사고의 내용을 정확히 분석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며 사고 발생시 배상과 관련된 분쟁을 감소하고, 더 나아가 사고의 발생의 방지에 기여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씨씨디 카메라(1)와 감지부, 저장부, 프로세스부 및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감지부에서 차량의 운전 상황을 감지하고 저장부는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들을 저장하게 되며 프로세스부는 저장부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시스템 전체를 관할(管轄)하며 인터페이스부는 감지부 및 프로세스부와 저장부를 인터페이스시켜 시스템을 작동케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사고 발생 시점을 전후한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단순한 사고의 확인은 영상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고, 더 정밀한 사고분석을 위해서 화면에 나타난 타 차량 및 사람에 대한 상대 속도, 상대 거리를 영상 신호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사고 발생에 관련된 과실 책임의 소재와 과실의 분담등 사고 보상과 관련된 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자료가 사고의 재발방지를 위하여 활용될수 있도록 하며, 사고시 촬영된 영상으로 소위 뺑소니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Accident Aspect Recording System for Vehicle use Visual Information }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고 발생시점을 전후하여 한정된 시간동안 씨씨디 카메라(1)의 영상과 차량에서 제공하는 신호인 차속 신호, 브레이크 작동 신호 및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신호를 저장 장소에 저장하여, 사고 상황을 재연, 사고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 사고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1999년에는 경찰에 집계된 교통사고가 275,938건이며, 이는 전년 대비 15%나 증가한 것이다.
또한, 1999년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9,353명이며, 이는 전년 대비 3.3%가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교통사고 발생율은 OECD 가입국가 29개국중 최고이며, 1만명당 사망자는 OECD 평균치의 3배에 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과도하게 빈발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교통 사고에 대한 분석은 주로 사고 당사자의 사고 경위 진술과 많은 사건을 처리하는 담당 경관의 견해가 가미되어 결론 지어진다.
그러므로 사고를 당하여 경황이 없는 사고 당사자와 현장에 있지 않은 경관의 견해에 의하여 객관적이지 못한 결론을 내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한 민원이 대단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현장에 있던 사고 당사자가 사고로 인하여 사망하거나 부상을 당하였을 경우에는 진실의 규정이란 사실상 불가능하고 어느 일방이나 경관의 자판에 의하여 사고 분석이 완료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더구나 명확한 물증이나 사고 목격자가 없거나 사고 목격자가 사실을 오인하거나 매수된 경우등에는 사고 분석의 오판으로 인하여 사고 당사자 어느 일방이 회복하지 못한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에 관련하여 참고할수 있는 자료로 근래의 택시미터기에는 시간대별 차량속도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 것이 있으며, 이는 사고 발생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반면에 이러한 택시미터기의 자료는 해당 차량의 속도 변화만을 파악할수 있는 것이어서 단편적인 것이어서, 교통사고 전반의 경위를 파악하기에는 부족한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자료는 근래의 택시미터기를 장착한 택시의 경우에만 제공되는 것이므로 화물차, 자가용, 승합차등 여러 차종에서는 전혀 기대할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교통사고는 사고의 처리에 막대한 시간이 소요되고 불공정한 사고배상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며 운전자와 보험회사는 경우에 따라 불필요한 사고배상을 책임지게 되어 불공정한 경제적인 손실을 입게 되는 경우가 흔한 것이다.
더 나아가 사고 판단이 애매한 경우 피해 당사자 뿐만 아니라 담당 보험회사 및 분쟁 해결에 동원된 변호사, 손해사정인등이 동원되어 사고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뿐만 아니라 막대한 2차적 경제적 손실과 아울러 경우에 따라서는 억울한 형사상의 처벌 문제까지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우리나라에서 1995년에는 뺑소니 사고가 11,585건이었으나, 1998년에는 23,410건으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으며, 뺑소니 사고는 명백한 물증이나 목격자가 없는 경우에는 보상의 의무가 있는 가해자를 전혀 찾을수 없게 되는 것이므로 피해자가 일체의 부담을 안게 되어 물질적, 정신적으로 더욱 심대한 타격을 받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사고 발생시점 전후에 차량 전방에서의 영상 정보를 확보하고, 이와 함께 차량의 속도 변화 그리고 브레이크의 조작상태,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 변화 데이터 등을 일목요연하게 제공함으로써 사고경위를 확정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사고 발생시점 전후 차량 전방에서의 영상 정보를 확보하여 뺑소니 차량을 정확히 적발할수 있도록 한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작동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를 활용한 사고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씨씨디 카메라(1)와 감지부, 저장부, 프로세스부 및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사고 발생 시점을 전후한 시간 동안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단순한 사고의 확인은 영상을 이용하여 더욱 정밀한 사고분석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고 발생에 관련된 과실 책임의 소재와 과실의 분담등 사고 보상과 관련된 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자료가 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하여 활용될수 있도록 하며, 사고시 촬영된 영상으로 소위 뺑소니를 방지할수 있게 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으로 향하여 설치되는 씨씨디 카메라(1)와, 씨씨디 카메라(1)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바꾸어 기억장치에 저장하기 위한 그래픽카드인 프레임그래버(2)(frame grabber)와, 차속을 감지하기 위하여 트랜스미션일측에 설치된 홀소자등으로 구성된 차속 감지 센서(3)와, 브레이크 페달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상태에 따른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인게이지 센서(4)와,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휠센서(5)와, 에어백 작동센서(6)로 부터의 여러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7)와, 프레임그래버(2) 및 인터페이스(7)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8)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어패드(9)와, 제어패드(9)에 의한 조작신호를 참조하여 전기 프레임그래버(2) 및 인터페이스(7) 그리고 메모리(8)를 제어하고 연산결과를 출력시키기 위한 프로세서(10)로 구성된 것으로 , 미설명부호 11은 쇼크센서이고, 12는 조작패드이며, 13은 모니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에 의한 전반적인 작동을 도2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씨씨디 카메라(1)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프레임그래버(2)와, 차속 감지센서(3), 브레이크 인게이지 센서(4), 그리고 스티어링휠센서(5) 및 에어백 센서(6)의 출력이 인터페이스(7)를 통과하여 프로세서(10)로 인가되고, 프로세서(10)는 메모리(8)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시스템 전체를 관할(管轄)하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프레임그래버(2)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예를 들면 1초에 30프레임씩 메모리(8)에 저장함과 아울러 차속과 브레이크 조작상태 그리고 스티어링휠의 각도 및 에어백 상태의 출력을 인터페스이스(7)를 통하여 입력시키며, 이러한 신호들은 기준신호들과 대비되어 기준신호를 벗어나지 않으면 정상 상태인 것으로간주하고, 메모리(8)에 디지털 영상신호를 1초에 30프레임씩 현재 시점 기준으로 5초 간의 데이터를 저장시키고 현재 샘플된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동시에 5초 이후의 데이터 1조를 삭제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런 과정을 수행하다가 사고가 발생하면 그 시간을 기준으로 사고 후5초 간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고 전 5초간의 자료와 함께 총 10초간의 영상자료와 함께 차량을 운행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면 10초간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10초 전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초당 30프레임을 10초간 저장하여야 하므로 320 x 240픽셀의 자료를 저장하기 위하여 80M바이트의 기억용량을 구비한다. 또한, 메모리(8)는 쓰기와 지우기, 읽기가 신속하게 진행될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가 적당하다.
그리고 메모리(8)에 저장되는 인터페이스(7)에 연결된 차속 감지센서(6), 스티어링휠 센서(5), 브레이크 인게이지 센서(4), 에어백 센서(6)등 다수 센서의 디지털 신호는 영상 디지털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10초간 300회의 샘플링을 실시하며, 이는 1화면당 1개의 다수 센서 출력 1개를 1:1로 대응시켜 확보함으로써 교통사고의 분석을 완벽하게 실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불행하게도 교통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본 발명에서는 여러 센서에 연결된 인터페이스(7)의 출력에 변화가 있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신호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판정하게 되고, 교통사고로 판정된 경우에는 교통사고 시점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5초간의 프레임 그래버(2)의 디지털 영상신호 데이터와 인터페이스(7)를 통하여 입력된 차속 감지 센서(3)와 브레이크 인게이지센서(4) 그리고 스티어링휠센서(5)와 에어백 센서(6)의 출력 데이터를 확보하고 유지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차속 감지센서(3)의 출력에 의하여 자차의 차속(V)를 측정하고, 프로세서(10)에서 자체의 클럭 주파수를 이용하여 차속을 미분하여 가속도(A)를 환산한다.
이러한 주행과정에서 급브레이크를 밟은 경우 차속이 브레이크 성능에 의한 속도 감소 기울기 보다 급하게 감소하고 갑자기 "0"으로 되면 이는 충돌후 정지한 것으로 판정하며,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속센서와 브레이크 인게이지센서(4)의 출력을 활용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운전중 제동시 발생하는 감속 가속도(Amax)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비정상적인 값으로 상승하면 브레이크에 의한 정상 제동이 아니고 충돌로 인한 정지등 위험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사고로 판정하게 된다.
이러한 감속 가속도(Amax)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되며 차종이나 옵션 사항에 따라 다른 값을 미리 설정하게 된다.
아울러 차량에 장착된 스티어링휠센서(5)는 조향각(θ)을 측정하여 이를 미분하여 각속도(ω)를 계산한다. 이러한 각속도(ω)의 값이 속도에 상응하는 특정값(ωL)을 초과하면 사고로 간주한다.
즉, 차속 감지 센서(3)의 출력이 일반 주행속도 수준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센서(5)의 각속도(ω)가 특정값(ωL)을 초과하면 이는 정상주행상태에서는 있을수 없는 조작이며 운전자가 차속이 빠른 상태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핸들을 급히 꺽은 것이고, 이어서 차속의 변화가 완만하면 위기 상황을 넘긴 것으로 볼수 있으며, 차속의 감속가속도가 설정값을 초과한 후 차속 감지 센서(3)의 출력이 속도 "0"으로 되면 이는 충돌후 정지된 것으로 볼수 있는 것이므로 사고로 판정한다.
또한 차량 속도와 스티어링 휠의 각속도의 곱(Cv)이 특정 값(Cvmax) 이상이면, 위험 상태로 간주한다. 즉 고속에서 정상 이상의 스티어링 휠의 조작이 있거나, 저속이지만 스티어링 휠의 조작이 매우 심한 경우 같은 수준으로 위험한 상태로 간주하고 Cv가 특정 시간이상 Cvmax이상 초과하면 사고로 간주하고 차량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차속과 조향각이 정상 상태로 회복되면 사고 상황을 해제하고 정상 작동한다.
아울러, 이러한 차속센서의 값과 스티어링휠센서(5)의 값을 곱한 값(CA)이 일정한값(CAmaxCmax = A x ωL)이상이면 위험한 상태로 간주한다. 이는 운전자가 급감속과 동시에 과도하게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킨 상태이므로 실제로 운전자가 운전을 위험하게 하고 있는 상황이거나 사고 상황임을 알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짧은 시간 발생하고 차속 감지 센서(3)와 스티어링휠 센서(5) 출력이 정상 상태에 도달한 경우에는 사고가 아닌 급한 운전으로 간주하여 사고의 판단을 해제한다.
여기서 CVmax ,CAmaxCmax값은 차종이나 옵션의 종류에 따라 실험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차량이 주행중 감속 가속도가 일정 값을 초과하여 크게 증가한 경우에는 에어백 센서(6)가 작동하게 되고 이 경우에도 충돌사고가 발생한 것이므로 사고로 판정한다.
이러한 사고 여부 판정 과정은 프로세서(10)가 인터페이스(7)의 출력을 감지한후 연산함에 따라 이루어 지는 것이며, 이와 같이 하여 사고로 판정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초당 30프레임을 10초간 저장하여야 하여 300프레임을 메모리(8)에 저장하였을시 인터페이스(7)에 연결된 차속 감지 센서(3), 스티어링휠센서(5), 브레이크 인게이지 센서(4), 에어백 센서(6)에 의한 신호 역시 1초간 30회 샘플링되어 각각 300개의 데이터가 플레쉬 메모리(8)에 저장된 상태에서 홀트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조작패드(9)에 설치된 리셋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데이터가 크리어 되기 전 까지 유지되는 것이며, 이러한 센서의 디지털 신호는 영상 디지털 데이터의 1프레임당 1개씩 1:1로 대응되는 것이므로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사고 상황 자료를 매우 정교하게 제공함으로써 다툼이 불필요할 정도로 교통사고의 분석을 완벽하게 실시할수 있게 된다.
즉,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고 발생 시점을 전후로 하여 예를 들면 300개의 영상 과 각 영상에 대응하는 당시의 차속, 브레이크 조작 상태, 스티어링 휠조작 상태, 차량의 가속도등을 알수 있으므로 사고 상황의 완벽한 재현이 가능하여 정밀한 사고 분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고의 책임 비율, 사고의 정도등을 정확하게 알수 있으므로 불합리한 과실 판정에 의한 억울한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가 스스로 판단한 특별한 긴급 상황에서 특정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하여 조작패드(9)에 설치된 수동녹화 스위치를 조작하면 씨씨디 카메라(1)가 작동하여 예를 들면 10초간 녹화를 실시할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은 전술한 리셋스위치를 조작하기 전에는 소거되지 않으므로 사고후 도주하는 차량의 신고 및 위험 상황에 관련한 증거확보를 위하여 요긴하게 사용될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에 쇼크 센서(11)를 설치하고 이를 인테페이스(7)에 연결하여 줌으로써 주행중이거나 주차중인 차량이 다른 차량에 의하여 충격을 받았을 경우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통사고 시점을 전후로 하여 녹화된 영상 기록이 유지되도록 하고, 차속 감지 센서(3), 스티어링휠센서(5), 브레이크 인게이지 센서(4), 에어백 센서(6)등의 데이터와 함께 사고 상황을 증명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교통사고 발생후 사고 분석을 위해서 별도의 사고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다. 대부분의 단순 사고의 경우 영상 자료를 이용하면 사고의 판별이 명확하므로 대개 단순한 사고인 경우 영상 분석으로 완료되는 것이나, 여러대의 차량이 관련된 경우나 영상 자료만으로는 사고 분석이 용이하지 않은 복합적 사고인 경우에는 스티어링 휠 각속도와 가속도를 계산한다. 이를 통해서 자차 운전자의 사고 가능성을 정확하게 분별한다. 즉, 운전자가 과속을 하다가 또는 급 브레이크를 작동하였는지의 여부와 운전자의 제어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는지 또는 조향을 급하게 하여 차량이 회전하였는지 등을 영상을 재생하면서 판단한다. 이런 분석을 통해서도 감속 가속도와 조향각 속도를 동시에 평가하여 사고 경위를 판단한다.
아울러 이러한 방법으로도 사고 판단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영상과 함께 계산된 자차의 속도를 이용하여 자차와 상대 차량의 속도와 가속도를 계산하여 사고의 상황을 재현하고 사고의 요인을 판별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300개의 영상 프레임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도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차선의 차량들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각 프레임 데이터의 차량을 표현하는 픽셀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하는 속도가 변화하게 된다.
즉, 다가오는 차량의 경우에는 픽셀이 증가하게 되고, 차량의 속도에 따라 그 증가하는 속도가 상이하며, 멀어져가는 차량의 경우에는 픽셀이 감소하게 되고 차량의 속도에 따라 그 감소하는 속도가 상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주변 차량의 픽셀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속도에 자기 차량의 차속을 더하게 되면 주변 차량의 주행 속도를 알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자기 차량이 주행중인 차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2대의 차량이 주행하고 있고, 자기 차량과 양측의 차량 속도가 동일하지 않다고 가정하며 이러한 상태가 씨씨디 카메라(1)에 의하여 촬영되어 1초에 30매의 프레임으로 저장되고 있다고 하면 다음순간의 프레임에서는 종전의 프레임에 존재하던 차량의 픽셀과는 그 크기와 위치가 변화된 픽셀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 시간 T와 다음 시간 T+ΔT에서의 차량의 이동 거리에 따른 좌측차량의 픽셀의 증감 개수 P1과 우측차량의 픽셀의 증감 개수 P2를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게산하면 실제의 자기 차량을 기준으로 한 상대 이동거리(LR)은 픽셀 변화 개수 (Pi)와 상수(Ki)는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LR = Pi x Ki
( 여기서 Ki는 카메라(1) 초점 거리와 차량의 종류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수임)
윗식으로 구해진 상대 거리LR을 프레임 간격에 해당하는 시간(TS)로 나누어 주면 상대속도(VR)은 다음식으로 표현될수 있다.
VR = LR / TS = ( Pi x Ki ) / TS
그러므로 차량 A,B의 절대속도 (VA , VB)는 측정한 자기 차량의 차속(VM)을 더하면 계산가능하다.
즉,VA = VR]A + VM
VB = VR]B + VM 로 계산될수 있는 것이다.
도3에서는 차량 A는 좌측 차선 중앙으로 직진하고 있으며, 픽셀수가 점차 감소되는 상대거리가 길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차량 B는 자기 차량의 주행선으로 들어서고 있는 상황이며, 픽셀수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상대거리가 짧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쪽 차량의 속도가 계산되고 있고, 따라서 우측 차선의 차량 B에 의하여 사고가 발생한다면 차선의 침범 및 과격한 끼어 들기 상황등이 명백하게 증명되므로 정확한 사고 원인 제공자를 판별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씨씨디 카메라(1)를 차량의 룸미러 전방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손쉽고 경우에 따라서는 출고시부터 룸미러 전방에 설치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차선 침범이나 중앙선 침범, 과격한 끼어들기, 차선 변경, 선행 차량의 급정차등 자차에게 사고의 위험 줄 수 있는 상황을 기록하고, 만약 이런 요인에 의해서 사고가 발생한다면 정확한 사고의 원인 제공자를 명확하게 분별하여 사고시 무고한 사람이 누명을 쓰고 피해를 입지 않도록 공정한 사고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진상 규명 과정에서 별다른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며, 판정에도 많은 시간이 들지 않으므로 교통 사고의 신속, 정확, 공정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며, 종래와 같이 법률가나 교통 사고 전문가를 동원함에 따른 소송비용이나 각종 절차 비용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어서 교통 사고 발생률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커다란 경제적 이득이 기대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사고 발생시 전방의 차량들이 영상으로 촬영되는 것이므로 가해차량이 도주하더라도 적발이 가능하므로 소위 "뺑소니"사고의 발생을 방지할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뺑소니"사고로 인한 피해자의 가중되는 피해를 방지할수 있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7)에 쇼크 센서(11)를 별도로 장착하여 줌으로써 사고시는 물론이려니와 주차 장소에서 다른 차량에 의하여 차량이 파손되었을시 충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촬영이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가해 차량을 정확하게 분별하여 재산상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보험 회사에서는 보험 가입자가 일으킨 사고 분석을 명확히 하여 사고에 대한 배상 책임 소재를 명백히 하여 배상 책임을 합리적으로 부담시킴으로써 보험 재정의 합리적 운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방만한 재정 운영으로 인한 보험료 인상을 방지할수 있게 된다. 또한, 고액의 보험금을 노린 고의적인 교통사고인지의 여부도 정확히 판별할수 있게 되므로 전체 보험 가입자의 이익을 보호할수 있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운전자가 안전 운전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도록 유도할수 있게 되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가지고 운전할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8)

  1. 차량의 전방으로 향하여 설치되는 씨씨디 카메라(1)와, 씨씨디 카메라(1)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바꾸어 기억장치에 저장하기 위한 그래픽카드인 프레임그래버(2) (frame grabber)와, 차속을 감지하기 위하여 트랜스미션일측에 설치된 홀소자등으로 구성된 차속 감지 센서(3)와, 브레이크 페달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상태에 따른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인게이지 센서(4)와,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도에 따라 상이한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휠센서(5)와, 에어백 작동센서(6)로 부터의 여러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7)와, 프레임그래버(2) 및 인터페이스(7)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8)와,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어패드(9)와, 제어패드(9)에 의한 조작신호를 참조하여 전기 프레임그래버(2) 및 인터페이스(7) 그리고 메모리(8)를 제어하고 연산결과를 출력시키기 위한 프로세서(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10)는 차속센서의 신호와 브레이크 인게이지 센서(4)의 신호 그리고 스티어링 휠센서(5)의 신호를 기준 값과 대비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10)는 프레임그래버(2)에 의하여 출력되는 1개 프레임의 출력 데이터와 인터페이스(7)에 연결된 여러 센서중 하나 이상의 센서 출력 데이터가 대응하여 출력되고 판독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10)는 인터페이스(7)의 에어백 센서(6) 출력신호가 발생할 경우 사고 발생 상황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기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10)는 차속센서 및 자체 클럭에 의한 데이터로 가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스티어링휠센서(5)에 의한 각속도와의 곱으로 사고 발생 상황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사고 상황의 정밀 분석을 위하여 사고 관련 차량의 상대 속도와 가속도를 프레임으로 저장된 영상내의 픽셀 개수 변화를 이용하여 산출함을 특징으로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씨씨디 카메라(1)가 룸미러 전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쇼크 센서(11)가 차체에 설치되고 인터페이스(7)에 연결되어 프로세서(10)에 의하여 출력이 검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KR10-2000-0031631A 2000-06-09 2000-06-09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KR10038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631A KR100383721B1 (ko) 2000-06-09 2000-06-09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631A KR100383721B1 (ko) 2000-06-09 2000-06-09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912A true KR20010110912A (ko) 2001-12-15
KR100383721B1 KR100383721B1 (ko) 2003-05-12

Family

ID=4592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631A KR100383721B1 (ko) 2000-06-09 2000-06-09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72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65A (ko) * 2001-08-27 2001-09-29 박제상 이미지 센서와 Flash Memory를 이용한 차량 사고 판독용카메라 장치
KR20050122719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외부영상 캡춰 및 출력장치
KR100581744B1 (ko) * 2003-12-08 2006-05-22 김학두 차량용 영상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KR100686092B1 (ko) * 2004-09-02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위급상황 처리 시스템
KR100831667B1 (ko) * 2007-06-21 2008-05-22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차량 사고 정보 기록방법
KR100833971B1 (ko) * 2007-06-05 2008-06-03 (주)이앤제이 차량용 관리 시스템
KR20220118044A (ko) 2021-02-18 2022-08-25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 사고기록 분석시스템, 분석방법 및 분석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46B1 (ko) 2005-09-08 2007-03-26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차량 사고 정보 기록장치
KR102342298B1 (ko) * 2021-04-26 2021-12-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3d 시뮬레이터 기반의 과실비율 산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65A (ko) * 2001-08-27 2001-09-29 박제상 이미지 센서와 Flash Memory를 이용한 차량 사고 판독용카메라 장치
KR100581744B1 (ko) * 2003-12-08 2006-05-22 김학두 차량용 영상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KR20050122719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외부영상 캡춰 및 출력장치
KR100686092B1 (ko) * 2004-09-02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위급상황 처리 시스템
KR100833971B1 (ko) * 2007-06-05 2008-06-03 (주)이앤제이 차량용 관리 시스템
WO2008150090A2 (en) * 2007-06-05 2008-12-11 E & J Co., Ltd Vehicle-management system
WO2008150090A3 (en) * 2007-06-05 2009-01-22 E & J Co Ltd Vehicle-management system
KR100831667B1 (ko) * 2007-06-21 2008-05-22 주식회사 피엘케이 테크놀로지 차량 사고 정보 기록방법
WO2008156252A1 (en) * 2007-06-21 2008-12-24 Plk Technologies Co., Ltd. Method of storing accident data for a vehicle
KR20220118044A (ko) 2021-02-18 2022-08-25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 사고기록 분석시스템, 분석방법 및 분석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3721B1 (ko) 200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6933B1 (en) Traffic accident data recorder and traffic accident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CN105405321B (zh) 高速公路上车辆行驶中的安全预警方法及系统
US20100256867A1 (en) Motor vehicle control system
KR101211300B1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레코더
US10235770B2 (en) Pothole detection
US20060259218A1 (en) Audio-video recorder for vehicles
US7190281B2 (en) Vehicle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vehicle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H0664565A (ja) 車事故状況の予防・記録・実験及び分析装置
US20150051789A1 (en) Vehicle accident history recorder
CN105984407B (zh) 一种车后情况监视及警示装置
US9767692B1 (en) Vehicle and environmental data acquisition and conditioned response system
CN107336724A (zh) 一种计算机视觉和毫米波技术结合的高铁防撞设备及方法
KR100383721B1 (ko) 영상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용 사고 상황 기록 시스템
CN104756172A (zh) 用于车辆的向后移动指示装置
US10977882B1 (en) Driver health profile
JP2006306153A (ja) ドライブレコーダ、車両用事故状況記録方法、及び車両用事故状況記録プログラム
US20070032928A1 (en) Vehicle recorder to capture continuous images in the vicinity of an accident scene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happens
US20230103670A1 (en) Video analysis for efficient sorting of event data
JPH0520592A (ja) 自動車運行状況記録方法および同方法を実施する装置
Xing et al. The accuracy of Toyota vehicle control history data during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CN108921969A (zh) 信息存储系统及其应用
CN107444327A (zh) 一种倒车预警系统及方法
CN114973187A (zh) 一种电单车的碰撞侦测处理方法、电单车及存储介质
JP2003026053A (ja) 移動車両の走行記録システム
KR100794625B1 (ko) 룸미러 일체형 교통사고 자동녹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