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874A -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874A
KR20010110874A KR1020000031524A KR20000031524A KR20010110874A KR 20010110874 A KR20010110874 A KR 20010110874A KR 1020000031524 A KR1020000031524 A KR 1020000031524A KR 20000031524 A KR20000031524 A KR 20000031524A KR 20010110874 A KR20010110874 A KR 20010110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viation
transmission line
lamp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029B1 (ko
Inventor
이해규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2000003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029B1/ko
Publication of KR2001011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항공 장애등을 작동시키는 항공 장애등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항공 장애등 장치는 각 송전선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각 송전선으로부터 유도 전력을 검출하는 변류기와 상기 검출된 유도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항공 장애등을 구비한다. 또한, 항공 장애등 장치는 상기 검출된 유도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 회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애등은 정전시에 상기 충전 회로에 충전된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기존의 태양 전지를 이용하는 항공 장애등 보다 훨씬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어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으며 전력 가공 지지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AVIATION OBSTACLE LAMP APPARATUS USING AN INDUCTIVE POWER FROM A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항공 장애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력 가공 지지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항공 장애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항공 장애등은 송전 선로나 송전탑 상부 또는 초고층 빌딩에 설치되어 야간에 헬리콥터 등 저공 비행기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항공 장애등은 낮에 태양광의 빛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전력을 생성하는 태양 전지에 의해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즉, 통상적인 항공 장애등은 그의 주변에 설치된 태양 전지와 충전용 전지(밧데리), 그리고 충전용 전지를 위해 부가적으로 제공된 충전 회로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태양 전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통상적인 항공 장애등은 전력이 장기간 동안 태양 전지에 충전될 수 없는 여름철 우기 등에는 그의 기능이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는 태양 전지를 이용한 통상적인 항공 장애등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전지를 이용한 전원부(4)와 철탑 상부용 및 전선용 항공 장애등(2, 6)은 구조적으로 별개의 장치로 제작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원 장치(4)와 항공 장애등(2, 6)간에는 별도의 배선이 요구되며, 특히 전선용 항공 장애등(6)은 태양 전지를 이용한 전원 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이용할 수가 없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여름철 우기 등과 같은 경우에 항공 장애등이 구동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태양 전지와 충전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선으로부터 검출된 유도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갖는 항공 장애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르면, 하나 이상의 송전선과 함께 사용되는 항공 장애등 장치에 있어서,
각 송전선에 접속되어 있는 변류기와, 상기 변류기로부터 유도 전력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유도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항공 장애등을 포함하는 항공 장애등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검출된 유도 전력을 정류하는 정류기와, 상기 정류된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 회로를 더 포함하되, 정전시에 상기 충전 회로에 충전된 전력에 의해 상기 항공 장애등이 구동되는 항공 장애등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태양 전지를 이용한 종래 기술의 항공 장애등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등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송전선에 설치된 항공 장애등 장치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장애등 장치에 사용되는 변류기의 코아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2, 14, 16 : 각 송전선에 설치된 항공 장애등 장치
18 : 철탑상부에 설치된 항공 장애등
21 : 송전선
22 : 과전압 보호 회로
24 : 정류회로
26 : 충전회로
28 : 밧데리
30 : 항공 장애등
32 : 발광 제어 회로
이하, 송전선으로부터 검출된 유도 전력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장애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평소 송전 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방사되는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항공 장애등을 작동시킴으로써 그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해 주며, 항공기가 전력 가공 지지물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송전 철탑 등의 송전 설비를 보호할 수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 유도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장애등 장치에서는 송전 선로에 항공 장애등(12, 14, 16)이 각각 부착되며, 각 항공 장애등에는 유도전력 검출부, 충전부, 밧데리 및 장애등(도시하지 않음) 등이 일체화되도록 구현된다. 그러므로, 송전 선로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언제나 항공 장애등이 동작될 수 있다. 송전 선로 상에 어떤 이상으로 송전이 중단되는 경우는 일시적이므로, 이 경우 항공 장애등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충전부 및 밧데리의 용량이 충분히 작아도 될 것이다. 그러므로,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 유도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이 여름철 우기 등에도 어떠한 영향을 받지 않게될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18은 통상적으로 철탑 상부에 설치되는 항공 장애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도 전력 검출부, 충전부, 밧데리등은 송전 선로상에 설치되고 장애등 부분만 특수하게 제작된 절연 연장 케이블을 이용하여 송전 철탑상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 유도 전력을 이용하는 항공 장애등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공 장애등 장치는 임의의 송전 선로에 접속되어 있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CT), 과전압 보호회로(22), 정류회로(24), 충전회로(26), 밧데리(28), 발광 제어회로(30) 및 항공 장애등(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하면, 먼저 도 3의 송전 선로(21)에 접속되어 있는 CT에 의해 송전선의 에너지, 즉 유도 전력이 검출되며, 이 때의 유도 전력은 CT 코아의 재질, 면적, 형상, 코일의 권수, 코아와 코아 사이의 거리에 큰 영향을 받게되므로, 전술하는 유도 전력 검출부는 항공 장애등(32)의 밝기, 용도, 설치될 송전선의 전류에 따라 적절히 설계되어야 한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CT 코아의 거리는 송전 선로(21)에 설치하기 위해서 2분된 코아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생기는 거리이다.
그 다음, CT에 의해서 검출된 전력은 과전압 보호회로(22)에 제공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 유도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가 송전 선로나 송전 철탑 상에 설치되므로 예기치 않는 이유로 인해 송전 철탑상의 송전설비가 손상되면 유지 보수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를 경감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회로이다. 상술하면, 선로의 이상 현상이나 과부하로 인하여 선로 전류가 급격히 증가할때 항공 장애등 장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송전 선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과전압 보호회로(22) 내부의 과전압 검출부(도시하지 않음)에서 판단하여 과전압 보호회로(22)의 트랜지스터를 동작시켜 CT를 루프(Loop)시킴으로써 과전압 보호회로(22)의 내부회로로 유입되는 과전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정류 회로(24)는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과전압 보호회로(22)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전파정류한 후 후단의 충전 회로(26)로 제공한다.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 회로(26)는 밧데리(28)와 결합되어 있으며, 일시적인 송전 중단시에 항공 장애등이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밧데리(28)에 전력을 충전시킨다.
또한, 평상시에는 송전 선로로부터의 유도 전력을 정류하여 항공 장애등(32)의 발광 제어 회로(30)에의해 항공 장애등(32)의 발광 주기 등을 제어하여 원하는 규격대로 동작시키며, 정전시에는 밧데리(28) 전력으로 발광 제어회로(30)를 구동시켜 항공 장애등(32)을 점멸시킨다.
본 발명의 항공 장애등 장치에 따르면, 송전 선로로부터 검출된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항공 장애등을 구동시키므로 여름철 우기 등에도 항공 장애등을 효과적으로 점멸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항공 장애등에서 사용된 여름철 우기 등에 대비한 충전 및 밧데리보다 휠씬 크기가 작은 것으로 채용해도 되므로 항공 장애등 장치를 보다 간단하게 구현할 수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발명의 본질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7)

  1. 하나 이상의 송전선과 함께 사용되는 항공 장애등 장치에 있어서,
    각 송전선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각 송전선으로부터 유도 전력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된 유도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항공 장애등
    을 포함하는 항공 장애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유도 전력을 정류하는 수단과,
    상기 정류된 전력을 충전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정전시에 상기 충전 수단에 충전된 전력에 의해 상기 항공 장애등이 구동되는 항공 장애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수단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상기 항공 장애등을 기설정 주기로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항공 장애등 장치.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유도 전력이 기설정 전압 이상일 경우, 상기 유도 전력을 완화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항공 장애등 장치.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변류기(current transformation circuit)인 항공 장애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전력은 상기 변류기의 재질, 면적, 형상, 코일의 권수 및 코아와 코아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유도 전력 검출 수단은 상기 항공 장애등의 밝기, 용도 및 설치될 송전선의 전류에 따라 설계되는 항공 장애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의 코아는 2분되어 상기 각 송전 선로에 설치되는 항공 장애등 장치.
KR1020000031524A 2000-06-09 2000-06-09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 KR100337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524A KR100337029B1 (ko) 2000-06-09 2000-06-09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524A KR100337029B1 (ko) 2000-06-09 2000-06-09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874A true KR20010110874A (ko) 2001-12-15
KR100337029B1 KR100337029B1 (ko) 2002-05-17

Family

ID=4592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524A KR100337029B1 (ko) 2000-06-09 2000-06-09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0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49A (ko) * 2002-01-07 2003-07-16 주식회사 젤파워 항공장애등 장치
KR100943437B1 (ko) * 2007-11-06 2010-02-19 한국전기연구원 고압 배전선로용 비접촉식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0983473B1 (ko) 2010-04-16 2010-09-24 이진희 케이블 시스를 이용한 배전용 전기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886191B1 (ko) * 2017-08-16 2018-08-08 한국전력공사 선로 설치형 발광장치 및 선로 발광 시스템
CN108534226A (zh) * 2018-03-09 2018-09-14 山西赛文思达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智慧城市建设的智能型空气净化系统
KR20190125003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유니솔렉 송배전선로용 무전원 충전 비상 유도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986B1 (ko) * 2014-08-12 2019-04-29 한국전력공사 전원형 조명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41120B1 (ko) * 2019-04-22 2019-11-07 한국전력공사 전원 조명 장치의 동작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49A (ko) * 2002-01-07 2003-07-16 주식회사 젤파워 항공장애등 장치
KR100943437B1 (ko) * 2007-11-06 2010-02-19 한국전기연구원 고압 배전선로용 비접촉식 전원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0983473B1 (ko) 2010-04-16 2010-09-24 이진희 케이블 시스를 이용한 배전용 전기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886191B1 (ko) * 2017-08-16 2018-08-08 한국전력공사 선로 설치형 발광장치 및 선로 발광 시스템
CN108534226A (zh) * 2018-03-09 2018-09-14 山西赛文思达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智慧城市建设的智能型空气净化系统
KR20190125003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유니솔렉 송배전선로용 무전원 충전 비상 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029B1 (ko) 200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2691B2 (en) Surge suppression system for medium and high voltage
US20160036235A1 (en) Safety Shutdown System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s
KR100337029B1 (ko) 송전선 유기 전력을 이용한 항공 장애등 장치
JP2009291013A (ja) 電源装置
CN110707764B (zh) 用于opgw监测的感应取电系统
CN206180985U (zh) 一种可带电更换智能控制器的断路器
CN105244770A (zh) 防雷配电柜
CN210671836U (zh) 自动驱鸟装置
JPH09319975A (ja) 航空障害灯
KR102009919B1 (ko) 이중 보호용 제어전원을 갖는 에너지 저장장치
KR200241634Y1 (ko) 항공장애표시등의 전원공급장치
CN105277854B (zh) 一种避雷器接地指示器
CN210959092U (zh) 一种建筑电气设备防雷机构的保护装置
CN113224802A (zh) 一种基于电磁感应的地线取能储存装置及取电方法
KR200243687Y1 (ko) 항공장애물 표시등용 전원공급 제어장치
KR20060037757A (ko) 낙뢰 및 서지 방지장치
CN108767815B (zh) 电磁式电压互感器自动旁路消谐装置
CN206248737U (zh) 漏保安全展示与质量检测装置
CN212813848U (zh) 一种驱鸟装置
KR200372490Y1 (ko) 낙뢰 및 서지 방지장치
CN213782875U (zh) 一种分布式电源小电流启动前级保护装置
CN214673883U (zh) 一种智能化箱式变电站
CN113036427B (zh) 一种通讯工程用小型基站防护装置
CN209545218U (zh) 一种无线充电装置
CN206864673U (zh) 一种带有报警功能的可伸缩绝缘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