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556A - Artificial amnion device appropriate to organism - Google Patents

Artificial amnion device appropriate to organ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556A
KR20010110556A KR1020000031082A KR20000031082A KR20010110556A KR 20010110556 A KR20010110556 A KR 20010110556A KR 1020000031082 A KR1020000031082 A KR 1020000031082A KR 20000031082 A KR20000031082 A KR 20000031082A KR 20010110556 A KR20010110556 A KR 2001011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s
amniotic
balloon
cervix
vag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1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65006B1 (en
Inventor
김상일
송창훈
Original Assignee
김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일 filed Critical 김상일
Priority to KR102000003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006B1/en
Publication of KR2001011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0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02Balloon catheters characterised by balloon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33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과 자궁경부를 통하여 양막강내에 삽입되어 양막의 파막 부위와 자궁경부 사이를 차단하는 벌룬과; 질과 자궁경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단은 양막강내에 위치하며 외측단은 질 외부로 도출되어 양막강내에 양수나 약물을 주입하거나 양수를 채취하기 위한 제1 캐티터와; 질과 자궁경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단은 상기 벌룬의 내부 공동에 위치하며 외측단은 질 외부로 도출되어 상기 벌룬의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 및 취출하기 위한 제2 캐티터와; 상기 제1, 제2 캐티터가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며 자궁경부와 질의 경계부에 삽입 고정되는 자궁경부캡과; 상기 자궁경부캡을 제1, 제2 캐티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양막강내에 벌룬을 삽입하여 조기양막파수 시에도 양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산을 방지하고 양수감소증으로 인한 감염과 뇌성마비의 예방, 주산기의 산모 및 태아 사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대와 조기 진통 등의 합병증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device. A balloon inserted into the amniotic cavity through the vagina and cervix and blocking between the permeation site of the amniotic membrane and the cervix; A first caterator inserted through the vagina and cervix and having an inner end located in the amniotic cavity and an outer end directed out of the vagina to inject amniotic fluid or drug into the amniotic cavity or to collect amniotic fluid; A second catheter inserted through the vagina and the cervix and having an inner end positioned in an inner cavity of the balloon and an outer end drawn out of the vagina to fill and take out fillers in the balloon; A cervical cap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theters are slidab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cervix and the vagina;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ervical cap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catheters, thereby preventing the birth of the amniotic fluid and preventing amniotic fluid by inserting a balloon into the amniotic cavity. Prevention of infection and cerebral palsy, and maternal and fetal mortality during perinatal perio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complications such as antagonism and preterm labor can be excluded.

Description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ARTIFICIAL AMNION DEVICE APPROPRIATE TO ORGANISM}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Device {ARTIFICIAL AMNION DEVICE APPROPRIATE TO ORGANISM}

본 발명은 조기양막파수(早期羊膜破水)에 의한 신생아의 합병증과 산모 및 태아 사망률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complications and maternal and fetal mortality of newborns due to 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일반적으로 여기서 조기양막파수란 양막강을 둘러싸고 있는 양막이 만삭 출산 이전에 파열되어 양수가 누설되는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기양막파수는 전체 임신의 약 3%로 보고되는데 양막이 파열되는 원인기전(原因紀傳)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감염이 주된 요인인 것으로 되어 있다.In general, early amniotic membrane rupture refers to a symptom that the amniotic membrane surrounding the amniotic membrane ruptures before full-term birth and leaks amniotic fluid. Such early amniotic membrane rupture is reported to be about 3% of the total pregnancy, which causes the rupture of the amniotic membrane ( Cause is not yet clear, but so far known infection is the main factor.

ROMERO 등은 조산에 기여하는 원인 인자 중 염증에 대한 기전에 관한 연구에서 감염에 의해 자궁강내 세균의 침입이 이루이지면 세균의 내독소(內毒素; endotoxin)와 대식세포(大食細胞; acrophage)에서 싸이토카이닌(cytokinin)이 분비되고 싸이토카이닌과 단백질분해효소 등은 태아막을 용해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조기양막파수가 일어난다고 발표하고 있다.ROMERO et al., A study on the mechanism of inflammation among the causative factors contributing to premature birth, suggest that endotoxin and acrophage of bacteria Cytokinin is secreted, and cytokinin and proteolytic enzymes dissolve the fetal membrane, prematurely causing amniotic membranes.

조기양막파수와 동일한 기전에 의한 세균 감염으로 조기 진통의 발생이 일어나는데 조기 진통을 유발하는 원인중 감염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30%를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remature analgesia is caused by bacterial infection caused by the same mechanism as early amniotic membrane rupture. It is known that infection accounts for more than 30% of the causes of early analgesia.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조산의 약 40%이상이 조기양막파수를 동반하고있어 조기양막파수는 조산의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According to the research of the present inventors, more than about 40% of premature births are accompanied by 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and it was found that 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is an important factor of premature birth.

조기양막파수는 이처럼 조산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데 조산으로 인한 신생아의 합병증과 산모 및 태아 사망률은 심각한 문제로서 국내 연구 보고에 의하면 임신 28주의 조산아 생존률이 50%∼70%로 학자들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다.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is an important cause of premature birth. Complications of the newborn and maternal and fetal mortality due to premature birth are serious problems. According to the domestic study, the survival rate of premature infants at 28 weeks of pregnancy varies from 50% to 70%. .

조기양막파수의 원인이 세균 감염에 의한 경우가 있는 반면 조기양막파수는 2차적인 자궁강내 감염을 동반함으로써 태아와 모체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즉 조기양막파수의 경우 질내 세균의 자궁강내 침입으로 양막융모막염이 동반되거나 태아의 패혈증이 동반되어 산모 및 신생아 사망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조기양막파수는 양수(羊水; amniotic fluid)의 누출을 초래하고 양수감소증을 수반하게 되는데 양수감소증은 태아폐발육부전증을 초래하거나 사지의 굴곡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배자 및 태아의 배꼽을 태반과 연결시키는 유연한 구조로서 제대동맥과 정맥이 지나가는 제대(臍帶)의 압박으로 태반순환의 장애를 일으켜 태아곤란증이 동반되기도 한다.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may be due to bacterial infection, whereas 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can have serious consequences for the fetus and mother by accompanying secondary intrauterine infection. In other words, 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is caused by intravaginal invasion of intravaginal bacteria and is accompanied by amniotic chorionicitis or fetal sepsis, which increases maternal and neonatal mortality. Early amniotic membrane wave causes amniotic fluid leakage and is accompanied by amniotic amniotic fluid. Amniotic amniotic fluid causes fetal lung dysplasia or limb flexion. In addition, it is a flexible structure that connects the belly and fetus's navel with the placenta, and due to the compression of the umbilical artery and vein through the umbilical cord (臍帶) causes disorders of the placenta circulation and is accompanied by fetal distress.

지금까지 조기양막파수의 치료는 양막파수의 시기에 따라 다르며 만삭인 경우는 즉시 분만을 유도함으로써 자궁내감염의 기회를 낮추는 데 치료의 방향을 두는 반면, 만삭에 이르지 못한 임신 중반기 혹은 삼분기 초인 경우에 그 치료방법으로서 태아의 폐성숙을 위해서 임신을 연장하는 기대요법과 자궁내감염을 억제하기 위한 분만을 시도하는 적극적인 방법간에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The treatment of 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up to now depends on the timing of the amniotic membrane frequency. In the case of full term, treatment is directed to lowering the chance of intrauterine infection by inducing immediate delivery. As a treatment method, there has been much controversy between expectant therapy for prolonging pregnancy for fetal lung maturation and active method for attempting to suppress intrauterine infection.

Parkland 병원을 위시한 대부분의 그룹에서는 임신 34주 이전의 조기양막파수에 대하여 임신을 연장해 주는 기대요법을 주장하고 있다. 이 경우 임신 34주까지는 임신을 유지하면서 항생제를 투여해 주는 치료방법을 적용한다. 즉 임신 중 어느 시기에 조기양막파수가 발생하였든 간에 항생제만 투여하면서 임신 34주가 되기까지 산모를 그대로 두고 보는 방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조기양막파수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이렇다 할만한 방법이 없어 기대요법이 주된 치료방법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대요법의 경우 항생제의 투여는 예방적 항생제로서 그 효과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Most of the groups, including Parkland Hospital, insist on expectant therapy for prolonging pregnancy for premature amniotic membranes before 34 weeks of gestation. In this case, the treatment is administered by administering antibiotics while maintaining pregnancy until the 34th week of pregnancy.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premature rupture of the amniotic membrane during pregnancy, only antibiotics are administered until the 34th week of pregnancy. In Korea, since there is no such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expectation therapy is suggested as the main treatment method. In anticipation therapy, however, the use of antibiotics is a prophylactic antibiotic and controversy over its effectiveness.

최근에는 조기양막파수에 의한 극심한 양수 과소증에 대하여 양수 주입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양막이 파열된 상태에서 주입된 양수는 다시 자궁경부(子宮頸部; cervix of uterus)를 통해 빠져 나오기 때문에 반복해서 주입해야 하므로 근본적인 치료법이 될 수 없었다.Recently, amniotic fluid injection has been attempted for severe amniotic hyperplasia caused by premature amniotic membrane wave. However, amniotic fluid injected while the amniotic membrane is ruptured should be repeatedly injected because it is released through the cervix of uterus. Could not be a fundamental cure.

또한 최근에는 파열된 양막 부위를 인위적으로 막아 주는 방법으로서 자궁경부 Fibrin Ceal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Recently, a method of artificially blocking the ruptured amniotic membrane area has been developed using the cervical Fibrin Ceal.

현재 "Duproject"라고 하는 Fibril Ceal 주사제가 시판되고 있으나 그 효용성에 있어서는 많은 한계가 있는 것으로 임상분석되었다.Fibril Ceal injections, called "Duproject", are currently on the market, but have been clinically analyzed to have many limitations in their effectiveness.

그 외에 Oeguta Fence를 사용하여 자궁경부를 막아 줌으로써 양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In addition, Oeguta Fence has been used to prevent the leakage of amniotic fluid by blocking the cervix.

이 Oeguta Fence 방법은 이중 폴리 캐티터(Poly Catheter)를 자궁내에 삽입하고 두 개의 발룬(Balloon)으로 자궁경부를 막아 주는 방법으로서 감염의 유발과 자궁경부 및 탈락막의 자극으로 자궁경부 개대(태아머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자궁경관이 열리는 상태)와 조기진통을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었다.This Oeguta Fence method inserts a double polycatheter into the uterus and prevents the cervix with two baluns. The cervix is open enough to cause) and premature labor.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조기양막파수에 대한 최신 치료 경향은 Parkland 병원을 중심으로 한 고식적인 기대요법 치료방법으로서 임신 34주까지 산모를 안정시키면서 태아성숙을 도모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지고 있다.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latest treatment trend for early amniotic membrane frequency is a conventional anti-expectatory treatment method centered on Parkland Hospital, and the most common treatment method is to stabilize the mother and improve fetal maturity until 34 weeks of pregnancy. ought.

국내외 대부분의 주요 병원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서 조기양막파수를 치료하고 있는데 이때 항생제의 투여 여부는 약간의 논란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예방적 투여를 권장하고 있는 성향이다.Most of the major hospitals at home and abroad are treating early amniotic membrane rupture with this method, and whether or not antibiotics are used is a little controversial, but it is generally recommended to preventatively administer them.

기대요법의 가장 큰 문제는 극심한 양수 과소증의 발생과 이에 따르는 태아폐성숙 부전증과 사지굴곡증 및 제대압박에 의한 태아가사 등이 동반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자궁강내 감염으로 인하여 양막융모막염의 발생과 태아폐혈증의 발생은 기존의 방법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치료 한계라고 할 수 있다.The biggest problem of expectation therapy is that it can be accompanied by the occurrence of severe amniotic fluid hypoplasia and consequent fetal pulmonary insufficiency, limb flexion, and fetal death due to umbilical cord compress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mniotic chorionicitis and fetal pulmonary disease due to intrauterine infection can be said to be a fundamental treatment limitation.

극심한 양수과소증에 의한 제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양수주입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양막이 파열된 상태에서의 양수주입은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파열된 양막부위로 양수가 누출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하여 개발된 Fibril Glue와 Oeguta Fence는 그 효과에 있어서 상당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감염 및 조기진통 합병증과 자궁경부 개대에 의한 효과상실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으로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mniotic fluid injection has been tried to prevent severe complications of amniotic fluid. However, as mentioned above, amniotic fluid injection in the state of ruptured amniotic membrane is not significant. Fibril Glue and Oeguta Fence, developed to prevent the leakage of amniotic fluid into the ruptured amniotic membrane, have significant significance in their effects, but problems such as infection and early analgesic complications and loss of effectiveness due to cervical dilation are not resolved. As a situation that is not widely used.

최근에는 조기양막파수에 따르는 불연성 감염도 태아뇌실 주변 골연화증 등을 초래하여 결국 뇌성마비를 초래한다는 연구보고가 나옴으로서 조기진통과 조기양막파수에 따르는 자궁강내 감염의 조기진단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되기 시작했다.Recently, there have been reports of noncombustible infection caused by early amniotic membrane wave, which causes periventricular osteomalacia, and eventually cerebral palsy, and early diagnosis of intrauterine infection caused by early analgesia and early amniotic membrane wave has started to emerge as an important task. di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산방지 및 양수감소증 예방, 감염에 따르는 뇌성마비의 예방, 자궁내 감염의 지속적인 감시기능이 가능하며, 주산기의 산모 및 태아 사망률의 가장 많은 원인이 되고 있는 조기 진통과 조기양막파수의 치료에 유용한 조기양막파수 치료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premature birth and amniotic fluid reduction, prevention of cerebral palsy following infection, continuous monitoring of intrauterine infection, and early analgesia and premature labor, which are the most common cause of maternal and fetal mortality in perinatal peri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ly amniotic membrane therapy method and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device for use in amniotic membrane therap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염의 유발과 자궁경부 및 탈락막의 자극으로 자궁경부 개대와 조기진통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which can prevent cervical hyperplasia and early analgesia by causing infection and stimulation of cervix and decidual membrane.

도 1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례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를 보인 것으로,1 to 4B show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1 is a partially disassembled exploded perspective view.

도 2는 벌룬이 확장되기 전의 설치 상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before the balloon is expanded.

도 3은 도 2의 Ⅲ부 확대도.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II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Ⅳ부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V of FIG. 2;

도 5는 벌룬이 확장된 상태의 설치 상태 단면도.5 is an installation state sectional view of the balloon in an expanded state.

도 6은 도 5의 Ⅵ부 확대도.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VI of FIG. 5;

도 7은 도 5의 Ⅶ부 확대도.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part of FIG. 5;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례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를 보인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8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벌룬 11,12 : 내,외측막10 balloon 11,12 inner and outer membrane

20 : 제1 캐티터 21 : 입출공20: first caterer 21: entrance and exit

30 : 제2 캐티터 31 : 입출공30: second catheter 31: entrance and exit

40 : 자궁경부캡 41 : 관통공40: cervical cap 41: through hole

42 : 하이드로겔층 50 : 신축성 튜브42: hydrogel layer 50: flexible tube

51 : 제3 캐티터 52 : 입출공51: third catheter 52: entrance and exit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과 자궁경부를 통하여 양막강내에 삽입되어 양막의 파막 부위와 자궁경부 사이를 차단하는 벌룬과; 질과 자궁경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단은 양막강내에 위치하며 외측단은 외부로 도출되어 양막강내에 양수나 약물을 주입하거나 양수를 채취하기 위한 제1 캐티터와; 질과 자궁경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단은 상기 벌룬의 내부 공동에 위치하며 외측단은 질 외부로 도출되어 상기 벌룬의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 및 취출하기 위한 제2 캐티터와; 상기 제1, 제2 캐티터가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며 자궁경부와 질의 경계부에 삽입 고정되는 자궁경부캡과; 상기 자궁경부캡을 제1, 제2 캐티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가 제공된다.Balloon to be inserted into the amniotic cavity through the vagina and cervix to block between the membrane and the cervix of the amniotic membrane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aterator inserted through the vagina and cervix, the inner end of which is located in the amniotic cavity and the outer end of which is drawn out to inject amniotic fluid or drug into the amniotic cavity or to collect amniotic fluid; A second catheter inserted through the vagina and the cervix and having an inner end positioned in an inner cavity of the balloon and an outer end drawn out of the vagina to fill and take out fillers in the balloon; A cervical cap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theters are slidab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cervix and the vagina; Provided is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compris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ervical cap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catheters.

상기 벌룬은 내,외측막에 의하여 그 사이에 공동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막은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게 형성된다.The balloon has a cavity formed therebetween by inner and outer membranes, and the inner membrane has a thick central portion and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edge.

상기 제1 캐티터를 제2 캐티터보다 굵게 형성하여 제2 캐티터를 제1 캐티터의 내부로 삽입하여 제2 캐티터 선단의 출입공이 제1 캐티터의 주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벌룬의 내부와 연통된다.The first catheters are formed thicker than the second catheters so that the second catheter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catheters so that the entrance holes at the tip of the second catheters are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irst catheter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상기 벌룬은 표면 전체에, 자궁경부캡은 적어도 자궁경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하이드로겔 층을 코팅하여서 구성된다.The balloon is constructed by coating a hydrogel layer over the entire surface and the cervical cap at least in contact with the cervix.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캐티터의 중간부에 고정 결합되며 수축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궁경부캡의 중앙부에 천공된 관통공에 헐겁게 삽입되고 팽창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궁경구캡의 관통공 내주면에 밀착되는 신축성 튜브와, 상기 신축성 튜브의 내부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제3 캐티터로 구성된다.The fastening means is fixedly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atheters, and in the contracted state is loose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dri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rvical cap,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cervical cap. It consists of a flexible tube and a third caterator for injecting filler into the flexible tube.

상기 자궁경부캡의 관통공의 내주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된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cervical cap is formed with an uneven surface.

상기 제3 캐티터는 상기 제1 캐티터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선단의 출입공이 제1 캐티터의 주벽을 관통하여 상기 신축성 튜브의 내부로 연통된다.The third catheter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catheters and the entrance holes at the front end thereof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lexible tube through the main wall of the first cater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기양막파수 치료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를 실시례로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treating amn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device used therein will be described as examples.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례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1 to 7 are views showing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생체 구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logical structure will be described first.

도면에서 1은 양막강이다. 이 양막강(1)은 자궁근층(2)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그 내주면에는 양막(3)이 씌워져 있다. 상기 양막강(1)의 외측에는자궁경부(4)와 질(5)로 연결된다. 상기 질(5)은 질벽(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In the figure, 1 is amnion cavity. The amniotic membrane cavity 1 is surrounded by the myometrial layer 2, and the amniotic membrane 3 is cover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outer side of the amniotic membrane (1) is connected to the cervix 4 and the vagina (5). The vagina 5 is surrounded by a vaginal wall 6.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막강(1)의 내부에 삽입되어 양막강(1)과 자궁 경부(4)와의 연결부를 차단하는 벌룬(balloon)(10)과, 상기 양막강(1)의 내부와 질(5)의 외부를 연결하는 제1 캐티터(20)와, 자궁경부(4)를 통해 상기 벌룬(10)의 내부와 질(5)의 외부를 연결하는 제2 캐티터(catheter)(30)와, 자궁경부(4)를 폐쇄하며 상기 제1, 제2 캐티터(20,30)가 관통되는 자궁경부캡(40); 및 상기 자궁경부캡(40)을 제1 캐티터(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lloon inserted into the amnion cavity 1 as shown in FIGS. 1 and 2 to block a connection between the amnion cavity 1 and the cervix 4. 10, the first catheter 20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amniotic cavity 1 and the outside of the vagina 5, and the inside and the vagina of the balloon 10 through the cervix 4 A second catheter (30) connecting the outside of the 5) and a cervical cap (40)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theters (20, 30) are closed and the cervix (4) is closed;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ervical cap 40 to the first catheter 20.

상기 벌룬(10)은 예컨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며, 내,외측막(11,12)의 외주부를 접합하여 그 내부에 공동(13)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balloon 10 is formed of, for example, a urethane material,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cavity 13 is formed insid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s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s 11 and 12.

상기 벌룬(10)의 내,외측막(11,12)의 표면은 하이드로겔 층(hydrogel Layer)(15)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내,외측막(11,12)중 양수와 직접 접촉되는 내측막(11)의 표면은 하이드로겔 층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s 11 and 12 of the balloon 10 are preferably coated with a hydrogel layer 15. In particular, the surface of the inner membrane 11 in direct contact with the amniotic fluid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s 11 and 12 may form a hydrogel layer.

상기 하이드로겔은 통상 95%의 물과 5%의 플라스틱으로 된 것으로 인공장기로서 사용되는 재질이다.The hydrogel is usually made of 95% water and 5% plastic and is used as an artificial organ.

상기 벌룬(10)은 질(5)과 자궁경부(4)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수축되었다가 양막강(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히 확장되었을 때 자궁경부(4)보다 큰 면적의 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balloon 10 is larger than the cervix 4 when it is contracted to a size that can pass through the vagina 5 and the cervix 4 and is fully expanded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amniotic cavity 1. It is formed to form a sphere.

예컨대, 상기 벌룬(10)은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확장시켰을 때 그 직경이 7cm, 두께 1cm 정도가 되는 크기로 제작된다.For example, the balloon 10 is manufactured to have a diameter of about 7cm and a thickness of about 1cm when expanded by injecting physiological saline.

상기 내,외측막(11,12)의 중앙부에는 관통공(11a,12a)이 형성되어 있다.Through-holes 11a and 12a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s 11 and 12.

또한 상기 벌룬(10)의 내측막(11)은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게 형성된다. 이는 벌룬(10)에 생리식염수 등의 충전재가 주입되었을 때 내측막(11)의 중앙부가 불룩하게 팽창되지 않고 벌룬(10)이 전체적으로 대략 접시모양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membrane 11 of the balloon 10 has a thick central portion and is gradually thinner toward the edge. This is to ensure that the balloon 10 is generally dish-shaped without the bulging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membrane 11 when a filler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10.

상기 제1 캐티터(20)는 상기 양막강(1)내의 양수를 채취하여 검사하거나 양막강(1)내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 고무 등 신축성 및 가요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내측단은 상기 벌룬(10)의 관통공(11a,12a)을 관통하여 양막강(1)내에 위치하고 외측단은 질(5)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catheters 20 are for collecting and inspecting amniotic fluid in the amnion steel 1 or injecting a chemical solution into the amnion steel 1, and are formed of a flexible and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The stage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holes (11a, 12a) of the balloon 10 in the amnion steel (1) and the outer end is located outside the vagina (5).

상기 제1 캐티터(20)는 상기 벌룬(10)의 내,외측막(11,12)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1a,12a)에 삽입 관통되며, 그 외주면은 내,외측막(11,12)의 통공(11a,12a)의 내주면에 접합 고정된다.The first catheters 20 ar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1a and 12a formed at the centers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s 11 and 12 of the balloon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are the inner and outer membranes 11 and 12.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hrough holes 11a and 12a.

상기 제1 캐티터(20)의 내측단은 막혀 있고 그 근처의 주벽에는 입출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단은 개방되어 있고 주사기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구(22)가 구비되어 있다.The inner end of the first catheter 20 is blocked and the entrance and exit hole 21 is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thereof, the outer end is open and the connector 22 is provided to connect a syringe or the like.

상기 연결구(22)는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제작하여 접합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2)는 클립이나 체크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상시 폐쇄되고 주사기 등을 연결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nector 22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fixed by bonding. The connector 22 is normally closed by a clip or a check valve (not shown), and is to be opened only when connecting a syringe or the like.

상기 제1 캐티터(20)의 주벽 중 상기 벌룬(10)의 공동(13)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공동(13)과 연통되는 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A through hole 23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13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irst catheter 20 that is located inside the cavity 13 of the balloon 10.

상기 제1 캐티터(20)의 대략 중간부에는 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A through hole 24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atheter 20.

상기 제2 캐티터(30)는 캐티터(30)는 상기 벌룬(10)의 내부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 고무 등 신축성 및 가요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내측단은 상기 벌룬(10)의 공동(13)내에 위치하고 외측단은 질(5)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The second catheters 30 are catheters 30 for injecting physiological saline into the balloon 10, and are formed of a flexible and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and an inner end of the balloon 30. It is located in the cavity 13 of (10) and the outer end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located outside of the vagina (5).

상기 제2 캐티터(30)의 내측단은 입출공(31)이 형성되어 벌룬(10)의 공동(13)내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외측단은 질(5)의 외부로 도출되어 그 외측단에는 주사기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구(32)가 확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32)는 클립이나 체크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상시 폐쇄되고 주사기 등을 연결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inner end of the second catheter 30 has an entrance and exit hole 31 is formed to inject or discharge physiological saline into the cavity 13 of the balloon 10, the outer end of the vagina (5) Is drawn out to the outside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2 is formed so as to connect the syringe. The connector 32 is normally closed by a clip or a check valve (not shown), and is to be opened only when connecting a syringe or the like.

상기 제2 캐티터(30)는 상기 제1 캐티터(20)와 별도로 벌룬(10)에 결합하여 제1 캐티터(20)와 제2 캐티터(30)가 벌룬(10)으로부터 두 가닥으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시례와 같이 제1 캐티터(20)를 비교적 굵게 형성하고 제2 캐티터(30)를 비교적 가늘게 형성하여 제2 캐티터(30)를 제1 캐티터(20)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캐티터(20)와 제2 캐티터(30)가 벌룬(10)으로부터 한 가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취급상 유리하다.The second catheter 30 is coupled to the balloon 10 separately from the first catheter 20 so that the first catheter 20 and the second catheter 30 are two strands from the balloon 10. Although it may be installed in an extended state,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catheters 20 are formed relatively thick and the second catheters 30 are formed relatively thin, thereby forming the second catheters 30 as the first catheters 20. It is advantageous in handling that the first catheters 20 and the second catheters 30 extend in one strand from the balloon 10 by insertion into the.

즉, 상기 제2 캐티터(30)는 제1 캐티터(20)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캐티터(30)의 내측단이 제1 캐티터(20)의 주벽에 천공된 통공(23)에 기밀한 상태로 삽입되어 그 입출공(31)이 항상 벌룬(10)의 공동(13)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second catheter 30 has a through hole 23 in which an inner end of the second catheter 30 is perforat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irst catheter 2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catheter 20. It is inserted in the airtight state so that the entrance / exit hole 31 is always located in the cavity 13 of the balloon 10.

상기 자궁경부캡(40)은 실리콘 고무나 우레탄 등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만곡 형성되어 자궁경부캡(40)을 자궁경부(4)에 삽입 고정하였을 때 자궁경부(4)의 내벽과의 저항이 최대화되도록 하여 자궁경부캡(40)이 고정 위치에서 양막강(1)측으로 끌려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자궁경부캡(40)을 자궁경부(4)로부터 인출할 경우에 질벽(6)과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자궁경부캡(40)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ervical cap 40 is formed of silicone rubber or urethane,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c shape, and its edge is curved inwardly so that the cervical cap 4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ervix 4. Maximize the resistance of the cervix 4 with the inner wall so that the cervical cap 40 is not drawn from the fixed position to the amniotic cavity 1 side, and the cervical cap 40 is removed from the cervix 4. When withdrawn, the resistance with the vaginal wall 6 is minimized so that the cervical cap 40 can be easily withdrawn.

상기 자궁경부캡(40)의 중심부에는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41)을 통하여 제1 캐티터(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A through hole 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ervical cap 40 so that the first catheter 20 is slidably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1.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캐티터(20)의 중단부에 기밀한 상태로 씌워지며 상기 자궁경부캡(40)의 관통공(41)내에 위치하는 신축성 튜브(50)와, 내측단은 상기 신축성 튜브(50)의 내부에 위치하여 신축성 튜브(50)의 내부에 연통되는 입출공(52)이 형성되고 외측단은 질(5)을 통해 외부에 위치하며 주사기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구(53)가 구비된 제3 캐티터(51)로 구성된다.The fixing means is covered in an airtight state to the stop portion of the first catheter 20 and the flexible tube 50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41 of the cervical cap 40, the inner end is the elastic The entrance and exit hole 52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tube 50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lexible tube 50, the outer end is located outside through the vagina (5) and the connector 53 so as to connect a syringe, etc. It is composed of a third catheter 51 provided with.

여기서 양막강(1)과 자궁경부(4)의 경계부에서 자궁경부(4)와 질(5)의 경계부까지의 거리가 산모들마다 다르므로 상기 신축성 튜브(50)의 위치 및 길이는 통계적인 산모들의 양막강(1)과 자궁경부(4)의 경계부에서 자궁경부(4)와 질(5)의 경계부까지의 거리 범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캐티터(20)에 대한 위치와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다.Since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amniotic cavity (1) and the cervix (4) to the boundary between the cervix (4) and the vagina (5) varies from mother to mother,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flexible tube (50) is statistically maternal. Set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first catheter 20 to accommodate a range of distances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amniotic cavity 1 of the cervix and the cervix 4 to the boundary of the cervix 4 and the vagina 5 It is.

상기 신축성 튜브(50)는 수축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궁경부캡(40)의 관통공(41)에 대하여 헐겁게 되어 자궁경부캡(40)이 신축성 튜브(50)의 위치에서 제1 캐티터(2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팽창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궁경부캡(40)의 관통공(4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자궁경부캡(40)이 제1 캐티터(2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크기로 형성된다.In the contracted state, the flexible tube 50 is loosened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41 of the cervical cap 40 so that the cervical cap 4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elastic tube 50. The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 the expanded st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1 of the cervical cap 40, the cervical cap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atter 20 It is formed in such a size that the slide cannot be moved.

한편, 상기 자궁경부캡(40)의 관통공(41)의 내주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축성 튜브(50)가 팽창하였을 때 신축성 튜브(50)가 요철면에 따라 요철형으로 변형되면서 제1 캐티터(20)의 길이 방향으로의 자궁경부캡(40)과 제1 캐티터(20)의 상대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1 of the cervical cap 40 is formed as a concave-convex surface, when the flexible tube 50 is expanded, the flexible tube 50 is deformed into a concave-convex shape according to the concave-convex surface firs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cervical cap 40 and the first catheter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theters 20 can be prevented more reliably.

상기 제3 캐티터(51)는 상기 제1 및 제2 캐티터(20,30)와 별도로 질(5)을 통하여 신축성 튜브(50)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 캐티터(20)의 내부에 제2 캐티터(30)와 함께 삽입하여 그 선단부가 제1 캐티터(20)의 주벽에 형성된 통공(24)을 관통하여 그 입출공(52)이 신축성 튜브(5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취급상 유리하다.The third catheter 51 may be connected to the flexible tube 50 through the vagina 5 separately from the first and second catheters 20 and 30. Inserted together with the second catheters 30,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hole 24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irst catheter 20 so that the entry and exit hole 52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flexible tube 50. It is advantageous in handling.

상기 연결구(53)는 클립이나 체크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상시 폐쇄되고 주사기 등을 연결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nector 53 is normally closed by a clip or a check valve (not shown), and is to be opened only when connecting a syringe or the like.

이하, 본 실시례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10)과 신축성 튜브(50)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시술할 산모의 양막강(1)과 자궁경부(4)의 경계부에서 자궁경부(4)와 질(5)의 경계부까지의 거리에 벌룬(10)과 자궁경부캡(40)의 거리를 맞추고 자궁경부캡(40)을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킨다.As shown in Figure 1, the cervix (4) and the vagina (5) at the boundary between the amnion cavity (1) and the cervix (4) of the mother to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balloon (10) and the flexible tube (50) contracted Fit the distance of the balloon 10 and the cervical cap 40 to the distance to the boundary of the) and secure the cervical cap 40 with a fixing means.

상기 자궁경부캡(40)을 고정수단에 의하여 제1 캐티터(20)에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제3 캐티터(51)의 연결구(53)에 주사기 등을 연결하고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를 주입하면 주입된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가 제3 캐티터(51)를 통해 유동하여 제3 캐티터(51)의 선단에 형성된 출입공(52)에서 신축성 튜브(50)내로 유입되면서 신축성 튜브(50)를 팽창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 튜브(50)가 자궁경부캡(40)의 관통공(41) 내주면에 밀착되어 자궁경부캡(40)이 신축성 튜브(50)를 통해 제1 캐티터(2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생리식염수 등의 충전재의 주입이 완료되면 클립을 이용하여 연결구(53)를 폐쇄한다. 또한 연결구(53)에 체크밸브를 설치한 경우에는 주사기를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폐쇄된다.In fixing the cervical cap 40 to the first catheter 20 by fixing means, a syringe or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53 of the third catheter 51 and a liq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is injected. When the injected liq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flows through the third catheter 51 and flows into the flexible tube 50 from the entrance hole 52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third catheter 51, the flexible tube 50 is provided. As shown in FIGS. 5 and 7, the flexible tube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41 of the cervical cap 40, so that the cervical cap 40 is the flexible tube 50. It is fixed to the first catheters 20 through. When the injection of the filler, such as saline is completed, the connector 53 is closed by using a clip. In addition, when the check valve is installed in the connector 53, it is automatically closed by removing the syringe.

상기 벌룬(10)과 자궁경부캡(40)을 질(5)과 자궁경부(4)를 통하여 삽입하여 벌룬(10)은 양막강(1)내에 위치시키고 자궁경부캡(40)은 자궁경부(4)와 질(5)의 경계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제1, 제2, 제3 캐티터(20,30,51)의 연결구(22,32,53)는 질(5)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제2, 제3 캐티터(20,30,51)는 클립에 의하여 폐쇄한다. 또는 제1, 제2, 제3 캐티터(20,30,51)의 연결구(22,32,53)에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balloon 10 and the cervical cap 40 are inserted through the vagina 5 and the cervix 4 so that the balloon 10 is placed in the amniotic cavity 1 and the cervical cap 40 is the cervix ( 4) and the vagina (5) at the boundary. At this time, the connector 22, 32, 53 of the first, second, third catheters (20, 30, 51) is located outside the vagina (5).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theters 20, 30 and 51 are closed by clips. Alternatively, when the check valves are installed in the connecting holes 22, 32, and 53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theters 20, 30, and 51, they are always kept closed.

여기서 상기 제1, 제2, 제3 캐티터(20,30,52)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는 자궁내에 삽입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제1 캐티터(20)를 통해 가늘고 비교적 빳빳한 합성수지제 봉(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여 제1, 제2, 제3 캐티터(20,30,51)가 쉽게 휘어지지 않게 한 상태에서 삽입한다.Here,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theters 20, 30, and 52 are formed of silicone rubber and are easily bent, they are difficult to be inserted into the uterus by themselves, so they are thin through the first catheters 20. A relatively rigid synthetic resin rod (not shown) is inserted to insert the first, second, and third catheters 20, 30, and 51 so that they are not easily bent.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캐티터(30)의 연결구(32)에 주사기 등을 연결하여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를 벌룬(10)의 내부로 주입하면 벌룬(10)은 주입되는 생리식염수 등의 액체에 의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하여 양막강(1)과 자궁경부(4)의 경계부에서 펼쳐지게 된다. 생리식염수 등의 충전재의 주입이 완료되면 클립을 이용하여 연결구(32)를 폐쇄한다. 또한 연결구(32)에 체크밸브를 설치한 경우에는 주사기를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폐쇄된다.In this state, when a syringe or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2 of the second catheter 30 and the liq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10, the balloon 10 is injected into the liquid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5 and 6 to expand and unfol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amniotic cavity 1 and the cervix 4. When the injection of the filler, such as saline is completed, the connector 32 is closed by using a clip. In addition, when the check valve is installed in the connector 32, it is automatically closed by removing the syringe.

이와 같이 양막강(1)과 자궁경부(4)의 경계부에서 벌룬(10)이 펼쳐지게 되면, 양막강(1)과 자궁경부(4)의 경계부가 차단되어 파수된 양막에서 양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balloon 10 is unfol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amniotic cavity 1 and the cervix 4, the boundary between the amniotic cavity 1 and the cervix 4 is blocked to prevent the amniotic fluid from leaking from the perturbed amniotic membrane. You can do it.

이때 상기 벌룬(10)의 내측막(11)은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측막(11)의 중앙부가 불룩하게 팽창되지 않고 벌룬(10)이 전체적으로 대략 접시형으로 유지되어 양막강(1)과 자궁경부(4)의 경계의 파수된 양막 부분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inner membrane 11 of the balloon 10 is formed to become thicker and thinner toward the edge, the inner membrane 11 does not bulge inflated and the balloon 10 is generally maintain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The amniotic membrane por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amniotic cavity 1 and the cervix 4 can be reliably blocked.

한편, 제1 캐티터(20)의 내측단은 양막강(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 제1 캐티터(20)를 통하여 부족한 양수를 주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ner end of the first catheter 20 is located inside the amnion cavity 1, insufficient amniotic fluid can be injected through the first catheter 20.

이때, 양수의 주입은 양막강(1)내의 압력이 60mmHg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하며, 제1 캐티터(20)를 통하여 지속적인 양막강내 압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양막강(1)내 압력의 모니터링은 별도의 압력측정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보편화를 도모할 수 있으나, 향후 양막강(1)내의 압력 측정에 전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폴리그래피(Portable Polygraph)를 개발할 예정이다.At this time, the injection of amniotic fluid prevents the pressure in the amniotic cavity 1 from increasing to 60 mmHg or more, and the pressure in the amniotic membrane may be continuously monitored through the first catheter 20. The monitoring of the pressure in the amnion steel (1) can promote the generalization of the product by connecting a separate pressure measuring device, but can be used exclusively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 the amnion steel (1) in the future. (Portable Polygraph) will be developed.

또한 양막강(1)내의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1 캐티터(20)를 통하여양막강(1)내의 양수를 채취하여 배양 및 백혈구 검사 등을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infection in the amniotic cavity (1), the amniotic fluid (1) can be collected in the amniotic cavity (1) through the first catheters (20) and culture and leukocyte test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산모는 4주 동안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As such, the mother is able to perform normal activities for four weeks while 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또한 종래의 조기양막파수의 치료방법에서는 1개월 내지 2개월 정도의 입원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에 의하면 설치와 생리식염수의 주입 등의 처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약 10분 정도로 매우 짧고, 이러한 처치가 끝나면 곧바로 집에서 생활하고 통원치료하면서 임신 기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treating early amniotic membrane wave number, hospitalization treatment for 1 month to 2 months was required in many cases, but according to 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d to inject physiological saline. The time is very short, about 10 minutes, and you will be able to stay home and stay in pregnancy as soon as the treatment is complete.

또 종래 조기양막파수의 치료는 대학병원 등 종합병원에서만 시술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에 의하면 개인 산부인과나 의원에서도 손쉽게 시술할 수 있어 환자의 경제적, 시간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reatment of early amniotic membrane can be performed only in general hospitals, such as university hospitals, but according to 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erformed in individual obstetrics and gynecology hospitals can greatly reduce the economic and time burden of patients Will be.

또한 통상적으로 자궁내에 장치된 이물질은 필연적으로 감염 및 염증반응을 유발하게 되는데 상기 벌룬(10)과 자궁경부캡(40)은 생체 적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생분해성 재질인 하이드로겔로 코팅되어 있어 감염 및 염증을 유발하지 않게 되며, 실제 시험관(invitro)에서 실험한 결과 4주간의 생체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the foreign body usually installed in the uterus inevitably causes an infection and inflammatory reactions. The balloon 10 and the cervical cap 40 are not only excellent in biocompatibility but also coated with a hydrogel that is a biodegradable material. Inflammation will not be induced, and in vitro experiments showed that bioactivity was possible for four weeks.

또한 제1 캐티터(20)를 통하여 프로게스테론(Progestrone)을 투여하는 프로게스테론 릴리징 시스템(Progestrone Releasing System)에 의하여 측분비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자궁내 면역 활성의 억제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게스테론 릴리징 시스템의 효과는 이미 Th1/Th2 연구에 의하여 입증된 바 있으며, 향후 투여량에 대한 정량적 연구가 필요한 수준에 있다. 또한 프로제스테론은 인간의 태아막내에서 측분비 작용에 의하여 태아막내의 싸이토카이닌과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e)의 생성을 억제하며 옥시토신 리셉터(Oxytocin Receptor)의 활성화를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by inducing lateral secretion by a progesterone releasing system (Progestrone Releasing System) for administering progesterone through the first catheters (20) can increase the suppression of the intrauterine immune activit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esterone releasing system has already been demonstrated by Th1 / Th2 studies and is at a level that requires quantitative study of future doses. In addition, progesterone inhibits the production of cytokinin and prostaglandine in the fetal membrane by lateral secretion in human fetal membrane and is known to act to inhibit the activation of Oxytocin Receptor.

실제 동물실험에서 자궁경부에 투여한 프로제스테론은 자궁경부의 숙화(熟化)(자궁경부가 분만에 적응하기 위해 부드러워지고 얇아져서 폐쇄상태에서 개대상태로 진행되는 것)와 개대를 현저히 억제함을 알 수 있었으며, 프로제스테론에 의한 자궁경부 콜라겐/하이드로닉 애시드(Collagen/Hydronic Acid) 성분의 구성비의 변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었다.In actual animal experiments, progesterone administered to the cervix significantly inhibited the maturation of the cervix (maturation of the cervix to become soft and thin to adapt to childbirth and progression from closed to open). It has been shown to inhibit the change of the composition ratio of cervical collagen / Hydronic Acid component by progesteron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는 면역활성 억제능에 의한 자궁내 장치의 적용가능시간을 최장 4주로서 1회의 교환에 의하여 약 8주간의 임신 지속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된다.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staining pregnancy for about 8 weeks by exchanging the applicable time of the intrauterine device by immunosuppressive ability up to 4 weeks once.

또한 양막강(1)에 벌룬(1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일정 기간 동안 자궁경부의 변화를 주지 않고 양수의 누출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예비임상실험에 의하여 확인된 바 있으나, 산보의 운동 및 활동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양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벌룬(10)과 양막(3)의 접촉면에 Fibrin Glue 재제를 보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양수 누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of the balloon 10 into the amniotic cavity 1 alone can sufficiently suppress the leakage of amniotic fluid without changing the cervix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n order to minimize the amniotic fluid leak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activity can be improved by the use of the fibrin glue agent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lloon 10 and the amnion (3) to supplement the amniotic fluid leakage.

Fibrin Glue를 보조적으로 사용할 경우 3∼4주간 접착면 봉합능력을 유지하다가 서서히 생분해되어 흡수되는데 4주간의 인공 양막 사용 후 인공 양막을 교환해 줌으로써 프로제스테론의 약리 작용을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If fibrin glue is used as an adjuvant, it maintains adhesive surface sealing ability for 3 ~ 4 weeks, but is gradually biodegraded and absorbed. After 4 weeks of use of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the artificial amnion can be exchanged to maintain the pharmacological action of progesterone.

더욱이 자궁경부에 벌룬을 설치하지 않고 양막강내에 벌룬을 설치하여 파열된 양막을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므로 감염의 유발과 자궁경부 및 탈락막의 자극으로 인한 감염과 조기진통 합병증과 자궁경부의 개대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by installing a balloon in the amniotic cavity without directly installing a balloon in the cervix, it is possible to directly block the ruptured amniotic membrane. It becomes possibl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를 제거함에 있어서는 벌룬(10)에 연결된 제2 캐티터(30)의 연결구(32)에 주사기를 연결하고 벌룬(10)에 주입되어 있는 생리식염수 등의 충전재를 취출해내어 벌룬(10)이 수축되도록 하고, 제1 캐티터(10)를 잡아 당기면 벌룬(10)은 제1 캐티터(20)에 결합되어 있고 자궁경부캡(40)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제1 캐티터(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벌룬(10)과 자궁경부캡(40)을 모두 인출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removing 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ring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32 of the second catheter 30 connected to the balloon 10, and the physiological saline injected into the balloon 10 is used. The filler 10 is taken out so that the balloon 10 contracts, and when the first catheter 10 is pulled out, the balloon 10 is coupled to the first catheter 20 and the cervical cap 40 is fixed to the fixing means. As a result of being fixed to the first catheter 20, both the balloon 10 and the cervical cap 40 can be withdrawn.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자궁경부캡(40)의 표면에는 하이드로겔 층(42)을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감염 및 염증을 유발하지 않게 한 것이며, 여타 구성 부분은 상술한 제1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Figure 8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ating the hydrogel layer 42 on the surface of the cervical cap 40 so as not to cause infection and inflammation, and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막강내에 벌룬을 삽입하여 조기양막파수 시에도 양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산을 방지하고 양수감소증으로 인한 감염과 뇌성마비의 예방, 주산기의 산모 및 태아 사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대와 조기 진통 등의 합병증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 balloon into the amniotic cavity, the amniotic fluid is prevented from leaking even during early amniotic membrane. Will be reduced. In addition, complications such as antagonism and preterm labor can be excluded.

Claims (7)

질과 자궁경부를 통하여 양막강내에 삽입되어 양막의 파막 부위와 자궁경부 사이를 차단하는 벌룬과;A balloon inserted into the amniotic cavity through the vagina and cervix and blocking between the permeation site of the amniotic membrane and the cervix; 질과 자궁경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단은 양막강내에 위치하며 외측단은 질 외부로 도출되어 양막강내에 양수나 약물을 주입하거나 양수를 채취하기 위한 제1 캐티터와;A first caterator inserted through the vagina and cervix and having an inner end located in the amniotic cavity and an outer end directed out of the vagina to inject amniotic fluid or drug into the amniotic cavity or to collect amniotic fluid; 질과 자궁경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내측단은 상기 벌룬의 내부 공동에 위치하며 외측단은 질 외부로 도출되어 상기 벌룬의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 및 취출하기 위한 제2 캐티터와;A second catheter inserted through the vagina and the cervix and having an inner end positioned in an inner cavity of the balloon and an outer end drawn out of the vagina to fill and take out fillers in the balloon; 상기 제1, 제2 캐티터가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며 자궁경부와 질의 경계부에 삽입 고정되는 자궁경부캡과;A cervical cap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theters are slidab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cervix and the vagina; 상기 자궁경부캡을 제1, 제2 캐티터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ervical cap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cathe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내,외측막에 의하여 그 사이에 공동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막은 중앙부가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lloon is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membranes, and the inner membrane has a thick central portion and gradually becomes thinner toward the e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표면 전체에, 자궁경부캡은 적어도 자궁경부와접촉하는 부위에 하이드로겔 층을 코팅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lloon is formed by coating a hydrogel layer on the entire surface and the cervical cap at least in contact with the cervi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티터를 제2 캐티터보다 굵게 형성하여 제2 캐티터를 제1 캐티터의 내부로 삽입하여 제2 캐티터 선단의 출입공이 제1 캐티터의 주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상기 벌룬의 내부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atheters are formed thicker than the second catheters to insert the second catheters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atheters, so that the entrance hole of the tip of the second catheter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irst catheters 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of the balloon through the through-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캐티터의 중간부에 고정 결합되며 수축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궁경부캡의 중앙부에 천공된 관통공에 헐겁게 삽입되고 팽창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궁경구캡의 관통공 내주면에 밀착되는 신축성 튜브와, 상기 신축성 튜브의 내부에 충전재를 주입하기 위한 제3 캐티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The cervical cap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is fixedly coupl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catheter and is loose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dri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rvical cap in the contracted state and in the expanded state. A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exible tu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a third caterator for injecting a filler into the flexible tub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경부캡의 관통공의 내주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tic membran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cervical cap is formed of an uneven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캐티터는 상기 제1 캐티터의 내부에 삽입되고 그 선단의 출입공이 제1 캐티터의 주벽을 관통하여 상기 신축성 튜브의 내부로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적합성 인공 양막 장치.The biocompatible artificial amnion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hird catheter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catheters and the entrance holes of the third catheters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lexible tube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irst catheters. Device.
KR1020000031082A 2000-06-07 2000-06-07 Artificial amnion device appropriate to organism KR100365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082A KR100365006B1 (en) 2000-06-07 2000-06-07 Artificial amnion device appropriate to organ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082A KR100365006B1 (en) 2000-06-07 2000-06-07 Artificial amnion device appropriate to org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556A true KR20010110556A (en) 2001-12-13
KR100365006B1 KR100365006B1 (en) 2002-12-16

Family

ID=4592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1082A KR100365006B1 (en) 2000-06-07 2000-06-07 Artificial amnion device appropriate to organis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00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818B1 (en) * 2002-06-11 2005-08-17 이우동 Intrauterine Device that prevent adhesion of endometrium from recurring
KR100789849B1 (en) * 2007-01-05 2007-12-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pparatus for collecting the amniotic fluid from the uterus
WO2010114577A1 (en) * 2009-03-30 2010-10-07 Techdyne,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US8550088B1 (en) 2008-08-15 2013-10-08 Techdyne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US10463530B2 (en) 2008-08-15 2019-11-05 Viatechmd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US10729464B1 (en) 2008-08-15 2020-08-04 Viatechmd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US11607248B1 (en) 2008-08-15 2023-03-21 Via Techmd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7969A (en) * 1982-10-12 1984-04-1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Cathetel stayed in cervical canal
US5338297A (en) * 1993-03-19 1994-08-16 Kocur Medical Associates Cervical canal balloon catheter
US5947991A (en) * 1997-01-07 1999-09-07 Cowan; Robert K. Single balloon device for cervix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818B1 (en) * 2002-06-11 2005-08-17 이우동 Intrauterine Device that prevent adhesion of endometrium from recurring
KR100789849B1 (en) * 2007-01-05 2007-12-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Apparatus for collecting the amniotic fluid from the uterus
WO2008082255A1 (en) * 2007-01-05 2008-07-10 Snu R&Db Foundation Apparatus for collecting the amniotic fluid from the uterus
US8308657B2 (en) 2007-01-05 2012-11-13 Snu R&Db Foundation Apparatus for collecting the amniotic fluid from the uterus
US8550088B1 (en) 2008-08-15 2013-10-08 Techdyne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US10463530B2 (en) 2008-08-15 2019-11-05 Viatechmd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US10729464B1 (en) 2008-08-15 2020-08-04 Viatechmd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US11607248B1 (en) 2008-08-15 2023-03-21 Via Techmd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WO2010114577A1 (en) * 2009-03-30 2010-10-07 Techdyne, Llc Cervical stabiliz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006B1 (en) 200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0828B2 (en)
KR20010006356A (en) Delivery preparation and facilitation device and preparatory gymnastics
CN202776442U (en) Packing device for treating uterine bleeding
CN103111010A (en) Double-cavity sacculus tube and application thereof
KR100365006B1 (en) Artificial amnion device appropriate to organism
CN100496420C (en) Emergency treatment device for secondary massive hemorrhage after anus operation and operation method
RU68883U1 (en) DEVICE FOR STOPPING UTERINE BLEEDING
RU2347589C1 (en) Method for arrest of metrorrhagia and device for arrest of metrorrhagia
Hofmeyr et al. Amnioinfusion
Sicuranza et al. Uterine rupture associated with castor oil ingestion
RU205903U1 (en) DEVICE FOR STOPPING POSTAL UTERINE BLEEDING
CN113398440B (en) Balloon catheter for cervical dilatation
RU191251U1 (en) OBSTETRIC THREE-BALED CATHETER FOR PREPARATION OF THE UTERUS NECK
CN209885005U (en) Double-tube sacculus suppor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trauterine adhesion
RU2802504C1 (en) Method of hematocolpos treatment with aplasia of the lower and middle third of the vagina and prevention of its recurrence
RU2742469C1 (en) Method for treating a haemorrhage from the lower uterine segment and the internal orifice of the uterus during a caesarean section and a device for its application
CN110141762A (en) It is a kind of to prevent after Asherman's syndrom hysteroscope operation the Medical Devices and method of adhesion again
Imanaka et al. New technologies for the management of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CN214967195U (en) Rectum anal canal postoperative exhaust apparatus that stanchs
RU191780U1 (en) CATHETER FOR FULL CELLS (AMNIOTIC)
CN215914766U (en) Multipurpose anal canal
Hopkins CASE OF CESAREAN SECTION UNDER SPINAL ANESTHESIA.
CN218870607U (en) Anorectal exhausting and bleeding stopping device
CN214912469U (en) Disposable cervix dilatation sacculus pipe
RU210393U1 (en) HEMOSTATIC URETHRAL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