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858A -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858A
KR20010108858A KR1020000029817A KR20000029817A KR20010108858A KR 20010108858 A KR20010108858 A KR 20010108858A KR 1020000029817 A KR1020000029817 A KR 1020000029817A KR 20000029817 A KR20000029817 A KR 20000029817A KR 20010108858 A KR20010108858 A KR 20010108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waste water
sludge
wastewater treat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섭
Original Assignee
정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홍섭 filed Critical 정홍섭
Priority to KR1020000029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8858A/ko
Publication of KR2001010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858A/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거나 또는 차량으로 견인함으로써 오폐수가 발생되는 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오폐수를 처리하도록 하는 이둥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폐수를 처리하는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를 응집하고 침전시켜서 슬러지를 분리하며,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처리수를 여과처리하여 정화하는 오폐수처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폐수가 발생되는 현장에서 바로 오폐수를 처리하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치의 시설비와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 그리고 오폐수처리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인건비, 약품비, 전력비용 등 설비의 유지 관리를 위한 비용이 절감되며, 오폐수처리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Mobile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탑재되거나 또는 차량으로 견인함으로써 오폐수가 발생되는 장소로 이동시켜 현장에서 바로 정화처리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명의 발전에 따라서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게 되었는데, 공장에서의 물품을 제조하는 다양한 공정에서 물을 사용하여 물품을 세척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폐수가 발생되게 되며, 일반적인 주거시설에서 주거하는 사람들로부터 발생되는 대소변에 의하여 오수가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오수와 폐수는 폐수처리시설을 통하여 적절하게 정화됨으로써 폐수처리된 물이 하천으로 방류되고, 이에 따라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오폐수처리장치는, 사업장 또는 일반가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가 자연의 환경을 파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각 사업장 또는 일반가정 등에 그 시설을 구비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오폐수처리장치는, 각 사업장 또는 일반가정에서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비용이 고가로 되거나 고가로 되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이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비용이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업장의 오폐수처리장치가 고장나거나 또는 오폐수처리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자연환경에서 폐수누출사고 등과 같이 발생되는 오폐수누출사고는 현장에서 바로 처리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처리시설이 없기 때문에 수탁처리업체에 폐수처리를 위탁처리하는 사업장, 폐수처리장을 보유하고 있지만 시설의 보수와 교체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폐수를 처리하지 못하는 사업장, 폐수누출사고와 같이 폐수처리를 필요로 하는 장소, 또는 정화조 청소시 멀리 떨어져 있는 종합처리장으로 오니를 전량 이송하여 처리하는 대신 현장에서 바로 오폐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오폐수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오폐수처리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량 20.. 오폐수처리장치
21, 34.. 응집부 23, 36.. 침전부
25.. 탈수부 27, 40.. 여과부
30.. 집수조 32.. 인입관
38.. 저류조 39.. 가압탈수기
41.. 판넬부 42 .. 유량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를 응집하고 침전시켜서 슬러지를 분리하며,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처리수를 여과처리하여 정화하는 오폐수처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오폐수처리수단은,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를 소정의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하는 응집부; 상기 응집부에서 응집되는 오폐수를 인입하여 슬러지를 분리하는 침전부; 상기 침전부에서 분리되는 슬러지를 고형물로 처리하도록 탈수하는 탈수부; 및 상기 침전부에서 슬러지를 분리하고 난 후, 발생되는 처리수가 여과되어서 외부로 토출되는 여과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폐수처리수단은,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를 소정의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하는 응집부; 및 상기 응집부에서 응집되어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탈수하여 고형물로 변화시키고, 탈수로부터 발생되는 처리수를 토출하는 탈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탈수부는, 상기 응집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가 안정적으로 상기 탈수부에 인입되도록 오폐수의 양을 조절하는 저류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오폐수처리방법은, 오폐수를 처리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오폐수처리장치를 이동되는 이동체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에 탑재되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오폐수가 발생되는 장소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오폐수처리장치로 오폐수를 인입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오폐수를 처리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에 소정의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하는 단계; 응집되는 상기 오폐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슬러지를 탈수하고, 고형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지를 분리하고 난 후, 발생되는 처리수가 여과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는, 이동수단인 차량(10)과 오폐수처리수단인 오폐수처리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10)은,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됨으로서 이동되는 자동차이며, 다른 예로서 차량(10)에 의하여 견인되는 피견인 이동체일 수 있다.
상기 오폐수처리장치(20)는 차량(10)에 탑재되고, 인입관을 통하여 인입되는 오폐수를 처리하는데, 응집부(21), 침전부(23), 탈수부(25) 및 여과부(27)를 포함한다.
상기 응집부(21)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를 응집시키기 위한 저수조로서, 화학 약품 예컨대 PH조정제, 무기응집제 또는 고분자 응집제와 같은 소정의 첨가제를 인입되는 오폐수와 혼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응집한다.
이때, 응집부(21)에 외부 예컨대 각 사업장에 구비되는 오폐수 집수조로부터 오폐수를 인입시키는 인입관과, 오폐수를 자동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펌프 등의 인입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침전부(23)는 응집부(21)에서 응집되는 오폐수를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조로서 인입되어 응집되는 슬러지(sludge)를 침전시킴으로써 오폐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한다. 이에 따라서 침전부(23)의 하단부에는 슬러지가 침전되고, 상단부에는 슬러지가 분리된 처리수가 발생된다.
상기 탈수부(25)는 침전부(23)에서 분리되는 슬러지를 인입하여 고형물로 변환되도록 탈수시키는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분리되는 상기 슬러지를 고형물로 처리하도록 슬러지를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가압탈수기(39)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27)는 침전부(23)에서 슬러지를 분리됨으로써 발생되는 처리수를 인입하고 난 후, 처리수로부터 색도와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하고, 여과된 맑은 물을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이때, 여과부(27)는 토출되는 물 즉 처리되는 오폐수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토출관 부위에 유량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에서 오폐수가 처리되는 단계를 도 2의 오폐수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오폐수를 처리하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이동되는 이동체에 탑재한다.(s100)
즉, 오폐수 처리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기 위하여 차량(10) 또는 차량에 견인되는 이동체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화학적으로 오폐수를 처리하는 오폐수처리장치가 탑재된다.
그러면, 차량(10)에 탑재되는 오폐수처리장치는 운전자의 차량운전에 의하여 오폐수가 발생되는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s102)
상기와 같이 오폐수가 발생되는 장소로 이동되는 오폐수처리장치는 발생되는 오폐수를 현장에서 바로 인입하여 처리하게 된다.(s104 내지 s110)
먼저, 인입관과 펌프에 의하여 오폐수가 발생되는 현장에서 바로 응집조로 인입하여 오폐수를 응집하게 된다.(s104)
이때, 응집조는 오폐수의 효과적인 응집을 위하여 소정의 화학적인 약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실시예로서 PH조정제, 무기응집제 또는 고분자응집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집되는 오폐수를 소정의 수조 예컨대 침전조로 인입하여 응집시킴으로써 무겁게 되는 슬러지는 침전조의 하단부로 침전되고, 침전조의 상단부에는 처리수가 생성되도록 슬러지를 분리하게 된다.(s106)
이에 따라서 소정의 수조 예컨대 응집조에 침전되는 슬러지는 별도로 수거하고, 수거되는 슬러지를 탈수시켜서 고형물로 변환시키게 된다.(s108)
이때, 일실시예로서 슬러지를 탈수시키기 위하여 가압탈수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가압탈수기로부터 발생되는 케이크(cake)는 별도의 폐기처리되거나 또는 별도의 후처리 과정을 거쳐서 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s106)에서 슬러지를 분리하고 난 후, 색도와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장치로 인입시켜서 발생되는 처리수를 여과하게 된다.(s110)
즉, 슬러지로부터 발생되는 처리수에는 색도와 유기물 등이 잔류할 수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장치에서는 모래필터(sand filter)와 카본흡착필터(carbon adsorption filter) 등을 이용하여 여과흡착 처리된다.
이와 같이 여과와 흡착되는 처리수는 맑은 물로 변환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현장에서 바로 방류가 가능하게 처리되는데, 처리되는 오폐수의 양이 얼마나 되는 지를 알기 위하여 여과처리되는 처리수가 토출되는 토출부 예컨대 토출관 부위에 유량측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처리되는 오폐수처리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처리방법의 일실시예는, 먼저 각 사업장에 구비되는 오폐수 집수조(30)에 저장되어 있는 오폐수가 현장으로 이동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처리장치로 인입된다.
즉, 펌프의 힘에 의하여 자동으로 인입관(32)을 통하여 응집조(34)로 인입된다.
이와 같이 응집조(34)로 인입된 오폐수는, 일차로 소정의 약품 예컨대 PH조정제(A)와 무기응집제(B)를 투입하고, 모터(M)로부터 야기되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약품과 상기 오폐수를 서로 혼합시켜서 잘 응집되도록 약품처리한다.
이차로 PH조정제(A)와 무기응집제(B)가 혼합된 오폐수에 다시 소정의 약품 예컨대 고분자응집제(C)를 투입하고, 모터(M)로부터 야기되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약품과 상기 오폐수를 서로 혼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응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응집되는 오폐수는 침전수조인 침전부(36)로 인입되고, 슬러지를 분리하게 된다. 즉, 오폐수로부터 응집되면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침전부(36)의 하단부로 침전되고, 상단부에서는 슬러지가 분리된 보다 맑은 물 예컨대 처리수가 발생된다.
그러면, 침전부(36)의 하단부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그 하단부를 통하여 저류조(38)를 포함하는 탈수부(39)로 인입되고, 가압탈수기(38)를 통하여 탈수되며, 탈수된 슬러지는 고형물로 변환된다.
이때, 고형물로 변환되는 슬러지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운전하거나 제어하는 관리자에 의하여 별도로 폐기되거나 또는 후처리되게 된다.
한편, 침전부(36)의 상단부에서 발생되는 처리수는 여과부(40)로 인입된다.
여과부(40)는 모래(sand)와 카본(carbon) 등이 층층이 구비되고, 이러한 각 층을 통하여 처리수를 통과시킴으로써 처리수에 잔류하는 색도 또는 유기물을 제거하게 되며, 이와 같이 폐수처리된 맑은 물이 현장에서 하천 등으로 바로 방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여과부(40)에서 물이 토출되는 토출관에 유량계(42)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서 여과부(40)로부터 방류되는 오폐수처리되는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응집부(34)와 침전부(36), 탈수부(39) 및 여과부(40)의 제반 동작 제어를 하나의 제어장치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오폐수처리장치 또는 차량(10)의 소정 부위에 운전조작용 판넬부(4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처리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10)에 응집부(34), 저류조인 저류부(38) 및 가압탈수기(39)를 탑재한다.
즉, 응집부(34)는 각 사업장에 구비되는 집수조(30)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를 소정의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탈수기(39)는 응집부(34)에서 응집되어서 토출되는 오폐수를 바로 인입시키게 된다. 이때, 가압탈수기(39)는 상기 응집되는 오폐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고, 분리되는 슬러지를 탈수하여 고형물로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가압탈수기(39)는 슬러지의 탈수로부터 발생되는 처리수를 집수조(30)로 토출시키게 되는데 집수조(30)는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폐수처리시설을 통하여 슬러지가 분리된 처리수만을 처리하게 된다.
한편, 가압탈수기(39)는 응집부(34)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가 안정적으로 인입되도록 오폐수의 양을 조절하는 저류조(38)를 응집부(34)와의 사이에 더 구비하고, 이에 따라서 저류조(38)로부터 안정적으로 인입되는 오폐수는 가압탈수기(39)에 무리가 가지않도록 폐수처리할 수 있다.
결국, 가압탈수기(39)는 응집부(34)에서 응집되는 슬러지를 탈수기에 유입하여 압착하는 힘에 의하여 고형물로 변환시키면서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탈수시켜서 집수소(30)로 토출시키게 되고, 집수조(30)에서 슬러지가 제거되어서 저장된 물은 이미 설치된 각 사업장 또는 주거시설의 오폐수처리장치를 통하여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오폐수가 발생되는 현장에서 바로 슬러지를 탈수하고, 이에 따라서 발생되는 고형물만을 수거하여 별도로 폐기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장 또는 주거시설의 오폐수처리장치가 처리하여야 할 오폐수의 양이 크게 저감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고형물을 원거리에 있는 하수종말처리장까지 이송하여 처리하여야 함으로써 발생되는 시간낭비와 일일이 이송하여야 하는 이송비용 등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오폐수처리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업장 또는 폐수누출사고 등에 의하여 오폐수를 처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장소 등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이동시켜서 현장에서 바로 오폐수를 화학적 응집, 침전 여과시킨 후, 정화 처리된 물만 현장에서 방류하게 되며, 슬러지는 차량에 장착된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한 후, 고형물만을 별도로 폐기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폐수처리에 있어서 기동성과 편의성이 증대되고,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각 사업장 또는 각 주거시설은 오폐수처리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폐수처리 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각 사업장 또는 주거시설에서 오폐수가 발생되는 경우, 현장으로 이동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기 때문에, 시설비와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 그리고 오폐수처리장치를 운영하기 위한 인건비, 약품비, 전력비용 등 설비의 유지 관리를 위한 비용이 저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업장에 설치된 오폐수처리장치의 보수 또는 교체시에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폐수가 누출되는 폐수누출 사고시 폐수가 누출된 현장에서 바로 폐수를 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오폐수처리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현장에서 바로 오폐수를 정화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정화조 청소시 한정된 용량의 청소차량으로 슬러지를 인출하여 원격지 종합처리장으로 이송하고, 이에 따라서 정화처리하도록 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장에서 바로 정화 처리함으로써 운송경비가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오폐수를 처리하는 오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이동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를 응집하고 침전시켜서 슬러지를 분리하며, 슬러지로부터 분리되는 처리수를 여과처리하여 정화하는 오폐수처리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처리수단은,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를 소정의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하는 응집부;
    상기 응집부에서 응집되는 오폐수를 인입하여 슬러지를 분리하는 침전부;
    상기 침전부에서 분리되는 슬러지를 고형물로 처리하도록 탈수하는 탈수부; 및
    상기 침전부에서 슬러지를 분리하고 난 후, 발생되는 처리수가 여과되어서 외부로 토출되는 여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부는,
    오폐수를 외부로부터 인입시키는 인입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에서 처리되어 토출되는 처리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측정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처리수단은,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를 소정의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하는 응집부; 및
    상기 응집부에서 응집되어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탈수하여 고형물로 변화시키고, 탈수로부터 발생되는 처리수를 토출하는 탈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응집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가 안정적으로 상기 탈수부에 인입되도록 오폐수의 양을 조절하는 저류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7. 오폐수를 처리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오폐수처리장치를 이동되는 이동체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이동체에 탑재되는 오폐수처리장치를 오폐수가 발생되는 장소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오폐수처리장치로 오폐수를 인입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를 처리하는 단계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폐수에 소정의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하는 단계;
    응집되는 상기 오폐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슬러지를 탈수하고, 고형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지를 분리하고 난 후, 발생되는 처리수가 여과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방법.
KR1020000029817A 2000-05-31 2000-05-31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10108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17A KR20010108858A (ko) 2000-05-31 2000-05-31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17A KR20010108858A (ko) 2000-05-31 2000-05-31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858A true KR20010108858A (ko) 2001-12-08

Family

ID=4585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817A KR20010108858A (ko) 2000-05-31 2000-05-31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88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009A (ko) * 2002-03-22 2003-09-26 이성헌 폐수정화시설이 구비된 폐수/슬러지 수거차량 및 그폐수처리시설의 작동방법
KR100444977B1 (ko) * 2002-05-23 2004-08-21 주식회사 동명엔터프라이즈 집수조 청소차량
KR100689079B1 (ko) * 2005-03-11 2007-03-08 주식회사 오륙개발 폐수처리장치와 이를 탑재한 폐수처리 차량 및 폐수처리방법
KR100975393B1 (ko) * 2010-05-25 2010-08-11 (주)에이치엔지앤이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 퇴적물을 선별, 침전, 탈수, 여과기를 사용하여 정화시키는 정화 방법
CN104710082A (zh) * 2015-03-19 2015-06-17 韩山师范学院 一种可移动餐饮废水处理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552A (en) * 1973-06-28 1975-11-18 Elkern Jr Kenneth F Self-contained water treatment system
JPS58150490A (ja) * 1982-02-27 1983-09-07 Tokyu Car Corp 浄化槽等の汚泥水処理車
US4687574A (en) * 1984-04-13 1987-08-18 The Munters Corporation Water treatment system
KR19980057944U (ko) * 1997-02-14 1998-10-26 권영순 폐수 처리장치
KR20000000456A (ko) * 1999-10-25 2000-01-15 지은상 산업폐수처리방법
KR20000006729A (ko) * 1999-10-28 2000-02-07 김해욱 고농도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552A (en) * 1973-06-28 1975-11-18 Elkern Jr Kenneth F Self-contained water treatment system
JPS58150490A (ja) * 1982-02-27 1983-09-07 Tokyu Car Corp 浄化槽等の汚泥水処理車
US4687574A (en) * 1984-04-13 1987-08-18 The Munters Corporation Water treatment system
KR19980057944U (ko) * 1997-02-14 1998-10-26 권영순 폐수 처리장치
KR20000000456A (ko) * 1999-10-25 2000-01-15 지은상 산업폐수처리방법
KR20000006729A (ko) * 1999-10-28 2000-02-07 김해욱 고농도 유기 폐수 처리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009A (ko) * 2002-03-22 2003-09-26 이성헌 폐수정화시설이 구비된 폐수/슬러지 수거차량 및 그폐수처리시설의 작동방법
KR100444977B1 (ko) * 2002-05-23 2004-08-21 주식회사 동명엔터프라이즈 집수조 청소차량
KR100689079B1 (ko) * 2005-03-11 2007-03-08 주식회사 오륙개발 폐수처리장치와 이를 탑재한 폐수처리 차량 및 폐수처리방법
KR100975393B1 (ko) * 2010-05-25 2010-08-11 (주)에이치엔지앤이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 퇴적물을 선별, 침전, 탈수, 여과기를 사용하여 정화시키는 정화 방법
CN104710082A (zh) * 2015-03-19 2015-06-17 韩山师范学院 一种可移动餐饮废水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9783A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US10526227B2 (en) Wastewater treatment and solids reclamation system
EP2429958B1 (en)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1978823B1 (ko) 전기 응집 및 여과 시스템
US5344566A (en) Deleading wastewater reduction process
KR100752346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199583B1 (ko) 분리막침전조를 이용한 화학폐수 처리장치
EP1375439A1 (en) Liquid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010108858A (ko)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206342985U (zh) 新型污水处理装置
KR100292225B1 (ko) 오·폐수 및 축산, 분뇨폐수의 중수도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KR100981290B1 (ko)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처리방법
KR101248394B1 (ko) 합류식 하수도의 월류수 처리장치
CN214683482U (zh) 一种污染土壤淋洗与污水处理集成化系统
KR100628881B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200377629Y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JP4401251B2 (ja) 一般ごみ焼却場排水の処理方法
KR100209938B1 (ko) 슬러지 부상 방식의 폐수처리방법
KR20050092154A (ko) 폐수 처리 장치
US20190352197A1 (en) Water treatment system
KR100859873B1 (ko) 준설토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396203Y1 (ko) 토목 공사용 폐수 처리 장치
KR101399059B1 (ko) 세차 설비 장치
CN213680165U (zh) 一种反冲洗废水单独处理的污水处理系统
KR200236077Y1 (ko) 전처리 침전조와 부유여재 여과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