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820A -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820A
KR20010108820A KR1020000029754A KR20000029754A KR20010108820A KR 20010108820 A KR20010108820 A KR 20010108820A KR 1020000029754 A KR1020000029754 A KR 1020000029754A KR 20000029754 A KR20000029754 A KR 20000029754A KR 20010108820 A KR20010108820 A KR 20010108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p
rail
rail member
moving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2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8820A/ko
Publication of KR2001010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8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Landscapes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인상에서 후프의 폭에 맞춰 세퍼레이터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능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스트립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후프 유도용 세퍼레이터를 후프의 폭에 맞춰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부, 레일부재에 대해 이동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Device for guiding hoop of hoop coiler}
본 발명은 후프를 코일로 감아주는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인상에서 후프 폭에 맞춰 폭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된 후프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프는 두께와 폭이 각각 3mm이하, 600mm미만으로 된 띠모양의 강판으로 통상 스트립밀로 압연한 광폭강대(600mm 이상)를 슬리팅(slitting)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후프는 절판으로도 출하되나, 대개는 코일로 감아져 출하된다.
후프 권취기는 상기와 같은 후프를 코일로 감아주기 위한 장치로서, 권취기의 하우징 측면에는 후프를 감아 말기 위한 텐션릴이 설치되고, 권취기 앞쪽에 위치하여 후프를 진행시키는 핀치롤이 설치되는 프레임에는 텐션릴에 감겨지는 후프를 눌러 지지하기 위한 홀드롤과 후프를 받쳐주기 위한 테이블이 설치되며, 프레임 앞쪽에는 슬리터에 의해 폭방향으로 절단된 다수개의 후프를 정렬시키기 위한 후프 유도장치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압연기를 통과한 스트립은 슬리터를 거쳐 다수개의 후프로 절단된 후 후프 유도장치를 거쳐 텐션릴에 감기게 되는 데, 완전히 감기게 되면 텐션릴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코일카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후프를 정렬하기 위한 후프 유도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프(100) 하부에 폭방향으로 놓여지는 환봉(110)에 후프(100)의 폭과 일치하도록 다수개의 환형 스페이서(111)를 끼우고 후프(100)와 후프(100)를 개별 안내하기 위해 스페이서(111) 사이에 환형 세퍼레이터판(112)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후프는 세퍼레이터에 의해 각각의 진로를 따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후프의 폭이 변경될 때마다 환봉을 라인 외측으로 분리한 후 후프의 폭에 맞춰 스페이서와 세퍼레이터를 분리 결합시켜야 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교체시간동안 라인이 정지되므로서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송중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라인상에서 후프의 폭에 맞춰 세퍼레이터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능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프 유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프 유도장치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프 유도장치의 부분 상세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후프 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일부재 11 : 홈
20 : 이동부재 21 : T슬롯
22 : 회동부재 23 : 세퍼레이터
24 : 구동실린더 25 : 가이드바
30 : 스케일 31 : 지침
40 : 상부재 41 : 하부재
42 : 사각홈 43 : 클램핑블럭
44 : 작동실린더 45 : 스토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립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후프의 폭에 맞춰 세퍼레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부, 레일부재에 대해 이동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프 유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프 유도장치의 상세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재(10)는 후프(100) 하부의 설비바닥면에 후프(100)의 폭방향으로 놓여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면이 내측으로 홈(11)이 형성되어 T형 단면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동부는 T형 단면의 레일부재(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에 T슬롯(21)이 형성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부재(20)와, 이동부재(20) 선단에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22), 회동부재(22) 선단에 설치되어 후프(100)를 안내하기 위한 세퍼레이터(23), 이동부재(20) 상부에 설치되고 회동부재(22)에 연결되어 회동부재(22)를 수평,수직상태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동부재(20)는 일측 선단은 상부로 절곡되어 상단에 회동부재(22)가 장착되고, 타측 선단은 레일부재(10)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측면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레일부재(10)에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바(25)에 관통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바(25) 외측의 설비바닥에는 수치가 적힌 스케일(30)이 가이드바에 평행되게 설치되고, 이동부재(20)의 선단에는 스케일(30)의 수치를 가리키기 위한 지침(31)이 부착설치되어 이동부재(20)간의 이동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0)의 상부면이 길이방향으로 수평절단되어 두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상,하부재(40,41)의 접면은 길이방향으로 사각홈(42)이 형성되며, 상부재(40)의 사각홈(42)은 윗면이 일측으로 경사져형성되는 한편, 상,하부재(40,41) 사이에는 상하부재(40,41) 사각홈(42)에 밀착되고 사각홈(42)에 슬라이딩되는 크램프블럭(43)이 놓여지고, 크램프블럭(43)은 레일부재(10) 외측에 설치된 작동실린더(44)의 피스톤로드에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에서 도면부호 (45)는 레일부재(10)의 상부재(40)가 하부재(41)에 대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재(41)에 설치되는 스토퍼이다.
따라서 작동실린더(44)가 신장/수축작동을 하게 되면 크램프블럭(43)의 경사면에 의해 상부재(40)가 하부재(41)에 대해 승하강하게 되어 레일부재(10)에 설치된 이동부재(20)를 조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부재(20)에 설치된 구동실린더(24)를 신장작동시켜 세퍼레이터(23)가 설치된 회동부재(22)를 수평상태로 눕히고, 테이블을 셋팅한다.
그리고 권취기로 진입하는 후프(100)의 개수를 파악한 후 레일부재(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이동부재(20) 중에서 사용할 것을 선택하고 선택된 이동부재(20)의 구동실린더(24)를 수축작동시켜 선택된 세퍼레이터(23)만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구동실린더(24)가 수축작동되면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회동부재(22)가 이동부재(20)와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회동부재(22) 선단에 축결합되어 있는 원형의 세퍼레이터(23)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또한, 작동실린더(44)는 신장작동시킴으로서 레일부재(10)의 상부재(40)와 하부재(41)가 밀착되어 이동부재(20)가 레일부재(10)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사용될 세퍼레이터(23)의 실린더(24) 조작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이동부재(20)를 좌우로 이동시켜 후프(100)의 폭에 맞춰 세퍼레이터(23)의 위치를 맞춘다. 이때 이동부재(20) 선단에 설치된 지침(31)이 설비바닥에 설치된 스케일(30)을 정확히 가리키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스케일(30)에 표시된 수치를 확인하여 이동거리와 폭을 정확히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동부재(20)의 위치가 셋팅되면, 작동실린더(44)를 작동시켜 현 위치에서 이동부재(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동부재(20)의 고정과정을 살펴보면, 이동부재(20)가 셋팅된 상태에서 작동실린더(44)를 수축작동시키게 되면 작동실린더(44)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클램핑블럭(43)이 레일부재(10)의 하부재(41) 사각홈(42)을 따라 작동실린더(44)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레일부재(10)의 상부재(40)는 하부재(41)의 스토퍼(45)에 의해 좌우이동이 제어된 상태에서 클램핑블럭(43)의 이동에 따라 클램핑블럭(43)의 경사면에 밀려 상승하게 된다.
즉, 클램핑블럭(43)의 상부 경사면과 상부재(40)의 내측 경사면은 상호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클램핑블럭(43)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클램핑블럭(43)의 경사면은 상부재(40)의 경사면을 밀면서 진행하게 되고 상부재(40)는 클램핑블럭(43)의 경사면에 의해 밀려올라가 하부재(41)와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이동부재(20)의 T슬롯(21)에 끼워져 있는 상,하부재(41)간의 간격이 벌어짐으로서 상,하부재(40,41)는 T슬롯(21)의 상하면에 꽉 밀착되어 이동부재(20)를 레일부재(10)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테이블의 높이를 세퍼레이터(23)에 맞추고 슬리터에서 절단된 후프(100)를 후프(100) 세퍼레이터(23) 사이로 진입시켜 권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에 의하면, 라인상에서 후프의 개수와 폭에 맞춰 세퍼레이터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시간 단축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Claims (3)

  1. 스트립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후프 유도용 세퍼레이터를 후프의 폭에 맞춰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부, 레일부재에 대해 이동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T형 단면을 갖는 레일부재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에 T슬롯이 형성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 선단에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 회동부재 선단에 설치되어 후프를 안내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이동부재 상부에 설치되고 회동부재에 연결되어 회동부재를 수평,수직상태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실린더, 레일에 평행하게 설비바닥에 설치되는 스케일, 이동부재의 선단에 부착설치되어 스케일의 수치를 가리키기 위한 지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레일부재의 상부면이 길이방향으로 수평절단되어 두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상,하부재의 접면은 길이방향으로 사각홈이 형성되며, 상부재의 사각홈은 윗면이 일측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한편, 상,하부재 사이에는 상하부재 사각홈에 밀착되고 사각홈에 슬라이딩되는 크램프블럭이 놓여지고, 크램프블럭은 레일부재 외측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연결설치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KR1020000029754A 2000-05-31 2000-05-31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KR20010108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54A KR20010108820A (ko) 2000-05-31 2000-05-31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54A KR20010108820A (ko) 2000-05-31 2000-05-31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820A true KR20010108820A (ko) 2001-12-08

Family

ID=4585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754A KR20010108820A (ko) 2000-05-31 2000-05-31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88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7336A (zh) * 2020-03-26 2020-06-09 新昌县嘉易捷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轴承的视觉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965A (en) * 1975-08-06 1977-04-08 Mitsubishi Electric Corp Apparatus for positioning hoop steel
JPH09192739A (ja) * 1996-01-19 1997-07-29 Hiromichi Koshiishi スリットフープ巻取り装置及び巻取り方法
JPH09291392A (ja) * 1996-04-25 1997-11-11 Takao Eng Kk フープ材用マスキング装置
KR19980087713A (ko) * 1998-09-09 1998-12-05 장용현 강판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965A (en) * 1975-08-06 1977-04-08 Mitsubishi Electric Corp Apparatus for positioning hoop steel
JPH09192739A (ja) * 1996-01-19 1997-07-29 Hiromichi Koshiishi スリットフープ巻取り装置及び巻取り方法
JPH09291392A (ja) * 1996-04-25 1997-11-11 Takao Eng Kk フープ材用マスキング装置
KR19980087713A (ko) * 1998-09-09 1998-12-05 장용현 강판 권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7336A (zh) * 2020-03-26 2020-06-09 新昌县嘉易捷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轴承的视觉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5881A1 (en) Method and Device of Inspection of a Rolled Band
RU2004102685A (ru) Моталка для тонких полос с роликом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лоскости
US5007814A (en) Device for separating and closing a split mold having two halves
US3991951A (en) Apparatus for feeding coils of strip to an unwinding station
US3672595A (en) Drag wipe
KR20010108820A (ko) 후프 권취기의 후프 유도장치
CN210824707U (zh) 工业布整理对齐装置
US3559862A (en) Drag wipe
CN215159866U (zh) 一种钢丝绳自动分卷裁切机
KR100797879B1 (ko)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US4586644A (en) Device for shearing aligning and welding metal sheets
KR100775496B1 (ko) 강판의 선단부 가압장치
CN109317568B (zh) 一种硅钢片缝合工艺
KR100797265B1 (ko) 밴딩 슬라브 터닝 유도 장치
JP6825599B2 (ja) 金属帯先端部の通板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27505A (ko) 후프 권취기의 코일 텔레스코프 방지장치
CN219130370U (zh) 一种多功能压尾辊
CN218925688U (zh) 一种用于冷轧机的带钢夹持提升装置
KR100939266B1 (ko) 권취기의 간지 유도장치
KR100815882B1 (ko) 후프 권취기의 코일 텐션유지 및 유도장치
CN210995872U (zh) 一种钢带放卷机
KR20190078363A (ko) 사이드 가이드 장치
CN211971191U (zh) 一种印刷机构的自动接料定位装置
KR200206013Y1 (ko) 스킨패스용 맨드릴의 코일 스트립 겹침방지장치
KR200192843Y1 (ko) 센터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