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365A -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 Google Patents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365A
KR20010108365A KR1020017012030A KR20017012030A KR20010108365A KR 20010108365 A KR20010108365 A KR 20010108365A KR 1020017012030 A KR1020017012030 A KR 1020017012030A KR 20017012030 A KR20017012030 A KR 20017012030A KR 20010108365 A KR20010108365 A KR 20010108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
terminals
delta
delta connection
mai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030B1 (ko
Inventor
박영서
Original Assignee
권수영
주식회사 인터벤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수영, 주식회사 인터벤션 filed Critical 권수영
Publication of KR2001010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05Inversing cont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02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particular to three-phase 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2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 H02P1/3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polyphase induction motor by star/delta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3상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121)와, 3상 전동기의 일측 단자들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2)와, 3상 전동기의 타측 단자들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3)와,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주회로용 전자석(130) 및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과,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자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121)와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2)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주회로 개폐부(150)와,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자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3)를 상호 연결하거나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2)와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3)를 연결하는 스타·델타결선 절환부를 포함하며,
스타-델타 시동장치에 적용될 때에 장치의 설치비가 절감됨은 물론이고 장치의 용적이 감소되며, 불필요한 배선이 제거되어 오결선 및 오작동의 우려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A MAGNETIC CONTACTOR FOR STAR-DELTA CONNECTIONS}
주지와 같이, 스타(Y)-델타(Δ) 시동장치는 전동기의 시동 시에 전동기의 결선을 스타결선하여 시동전류 및 토오크를 1/3로 줄여 시동하고 시동 완료 후 델타결선으로 절환하여 운전하는 장치로서, 주변기기 및 전동기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유용된다.
이러한 스타-델타 시동장치는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전기적 접점을 절환시키는 전자개폐기에 의한 방식과,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이용한 무접점 방식으로 그 종류가 대분되는데, 이중에서 전자개폐기에 의한 방식이 보다 널리 유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개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타-델타 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a는 전자개폐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의 A-A 라인 단면도이며, 도 2는 스타-델타 시동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개폐기(C)는, 본체(1)의 상면(1a)에 착탈가능하도록 커버(2)가 결합되고, 이 커버(2)의 외측에 위치되는 본체 상면(1a)의 양방 가장자리에는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3쌍의 단자(3)가 상호 절연되게 설치되며, 커버(2)의 양방 외측에는 단자(3)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판(4)이 형성된다.
본체 상면(1a)에는 단자(3)가 연장된 3쌍의 고정접점(5)이 상호 절연되게 설치되고, 본체(1)의 중앙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승강부재(6)가 설치되며, 상호 절연된 3쌍의 가동접점(7)이 승강부재(6)의 승강에 따라 고정접점(5)과 단락/개방(short/open)되도록 승강부재(6)의 양방으로 부설되고, 승강부재(6)를 탄력 지지하도록 본체 상면(1a)에 스프링(8)이 설치된다.
본체(1)의 하부에는 고정철심(9)이 내설되고, 이 고정철심(9)에 코일(10)이 권회되어 전자석을 이루며, 고정철심(9)의 상측에는 상기 전자석의 자화 여부에 따라 승강부재(6)와 함께 승강 가능하게 가동철심(11)이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개폐기를 이용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타-델타 시동장치는, 주회로용 전자개폐기(C1)와 스타회로용 전자개폐기(C2) 및 델타결선용 전자개폐기(C3)가 도 2의 등가 회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선되어 타이머(도시 생략됨)에 의해 작동된다.
상술하면, 먼저 3상 전동기(M)의 시동 시에 스타회로용 전자개폐기(C2)의 코일(10)에 전류가 인가되면 이 전류에 의하여 고정철심(9)과 코일(10)이 이루는 전자석이 자화된다.
그러면, 스프링(8)의 탄성력보다 그 크기가 상위하는 상기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가동철심(11) 및 승강부재(6)가 하강되고, 또한 가동접점(7)이 하강되어 고정접점(5)에 접촉된다.
아울러, 주회로용 전자개폐기(C1)가 상기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거쳐 동작되면 3상 전동기(M)는 스타결선되어 시동전류 및 토오크가 1/3로 줄어든 상태로 시동되며, 이와 동시에 타이머(도시 생략됨)가 작동되어 3상 전동기(M)의 구동시간이 카운트된다.
이후,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타이머에 의해 스타결선용 전자개폐기(C2)의 코일(10)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며, 델타결선용 전자개폐기(C3)의 코일(10)에 전류가 인가된다.
그러면, 스타결선용 전자개폐기(C2)의 고정철심(9)과 코일(10)이 이루는 전자석의 자력이 상실되어 가동철심(11)과 승강부재(6) 및 가동접점(7)은 스프링(8)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상승되어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5)이 상호 이탈된다.
그리고, 델타결선용 전자개폐기(C3)에서 고정철심(9)과 코일(10)이 이루는 전자석이 인가된 전류에 의해 자화되며, 결국 델타결선용 전자개폐기(C3)의 가동접점(7)이 하강되어 고정접점(5)에 접촉된다.
여기서, 델타결선용 전자개폐기(C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의 단자(3)에서 연장된 전선이 상호 단락된 상태이므로 3상 전동기(M)는 델타결선으로 절환되어 전속으로 가동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개폐기를 이용한 스타-델타 시동장치는 전자개폐기가 단일의 용도, 즉 스타결선용 또는 델타결선용 중의 어느 하나의 용도로만 사용 가능하므로 주회로용을 제외하더라도 최소한 2개의 전자개폐기를 구비하여야만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설치비가 과도하게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장치가 넓은 용적을 차지하였다.
또한, 전자개폐기와 전동기 사이를 다소 복잡한 배선을 통해 연결하여야 하므로 오결선의 우려가 있었으며, 이러한 배선이 외력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매우 높아 장치가 오작동되거나 전동기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스타-델타(성형-3각) 결선용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상 전동기를 시동시켜 짧은 시간내에 전속으로 가동시켜 주기 위한 스타-델타 시동장치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전용의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한 것으로서, 하나의 본체에 내설된 두 개의 전자석이 자화되는 상태에 따라 이종의 개폐부에 의해 3상 전동기가 스타결선되거나 델타결선되게 하는 일체로 형성된 스타-델타 결선 전용의 전자개폐기를 제공함으로써,
스타-델타 시동장치에 적용될 때에 장치의 설치비가 절감되도록 함을 물론이고 장치의 용적이 감소되도록 하며, 불필요한 배선을 제거시켜 오결선 및 오작동의 우려가 감소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는, 본체의 대략 외곽의 일측에 부설되어 3상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와, 상기 외곽의 타측에 부설되어 3상 전동기의 일측 단자들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와, 상기 외곽의 다른 타측에 부설되어 상기 3상 전동기의 타측 단자들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각각의 절연된 고정철심과 이 고정철심에 권회된 코일로 이루어진 주회로용 전자석 및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과;
상기 주회로용 전자석의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주회로용 전자석의 자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를 동종의 단자 사이는 모두 절연시킨 상태로 대응되는 이종의 단자들을 각기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주회로 개폐부와;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의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의 자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를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를 동종의 단자 사이는 모두 절연시킨 상태로 대응되는 이종의 단자들을 각기 연결하는 스타·델타결선 절환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카운트한 상기 주회로용 전자석의 가동시간에 따라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의 기동시점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들의 사이와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들의 사이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들의 사이에는 인접한 단자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판이 부설된다.
상기 주회로 개폐부는 상기 주회로용 전자석의 자화 여부에 따라 승강되는 주회로용 가동철심과, 상기 주회로용 가동철심에 일체로 결합되어 동반 승강되는 주회로용 승강부재와, 양측 접점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주회로용 승강부재의 승강범위내의 소정위치에 모든 접점들이 상호 절연되게 고정·설치된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과, 양측 접점들이 모두 상호 절연되게 상기 주회로용 승강부재에 부설되어 동반 승강되면서 상기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의 양측 접점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스타·델타결선 절환부는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의 자화 여부에 따라 승강되는 스타·델타결선용 가동철심과,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가동철심에 일체로 결합되어 동반 승강되는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와, 양측 접점이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의 승강범위내의 소정 위치에 모든 접점들이 상호 절연되게 고정·설치된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과, 양측 접점들이 모두 상호 절연되게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에 부설되어 동반 승강되면서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의 양측 접점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과, 적어도 일측 접점들이 상호 단락되게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에 부설되어 동반 승강되면서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의 양측 접점 중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에서 연장된 측의 접점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스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주회로 개폐부와 상기 스타·델타결선 절환부는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 시에 원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연결 시에 접촉력을 증대시켜 아아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아아크 소호용 스프링이 내설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개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타-델타 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a는 전자개폐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의 A-A 라인 단면도이며, 도 3은 스타-델타 시동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타-델타 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기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A-A 라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기를 이용한 스타-델타 시동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전자개폐기 M : 3상 전동기
110 : 본체 121 : 전원단자
122 : 주기동단자 123 : 스타-델타단자
130 : 주회로용 전자석 140 :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
131,141 : 고정철심 132,142 : 코일
150 : 주회로 개폐부 151 : 주회로용 가동철심
152 : 주회로용 승강부재 160 : 스타·델타결선 절환부
161 : 스타·델타결선용 가동철심 162 :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
170 : 타이머 180 : 분리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타-델타 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기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A-A 라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개폐기를 이용한 스타-델타 시동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개폐기(C)는, 3상의 전원선(R,S,T)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121a,121b,121c)가 본체(110)의 대략 외곽의 일측에 부설되며, 3상 전동기(M)의 일측 단자들(u,v,w)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2a,122b,122c)가 상기 외곽의 타측에 부설되고, 3상 전동기(M)의 타측 단자들(Z,X,Y)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3a,123b,123c)가 상기 외곽의 다른 타측에 부설된다.
본체(110)의 하부에는 각각의 절연된 고정철심(131,141)과 코일(132,142)로 이루어진 주회로용 전자석(130)과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이 좌,우로 정렬되어 내설되며,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자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121a,121b,121c)와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2a,122b,122c)를 동종의 단자 사이는 모두 절연시킨 상태로 대응되는 이종의 단자들을 각기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주회로 개폐부(150)가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본체(110)에 내설된다.
상기 주회로 개폐부(150)의 세부 구성은,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자화 여부에 따라 동반 승강되는 주회로용 가동철심(151)과 주회로용 승강부재(152)가 일체로 결합되어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근접 상부에 설치되고, 주회로용 승강부재(152)의 승강범위내의 소정 위치에는 양측 접점이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121a,121b,121c)와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2a,122b,122c)에서 각각 연장된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153a,153b,153c)이 모든 접점들이 상호 절연되게 고정·설치되며, 주회로용 승강부재(152)와 동반 승강하면서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153a,153b,153c)의 양측 접점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도록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154a,154b,154c)이 양측 접점들이 모두 상호 절연되게 주회로용 승강부재(152)에 부설된다.
아울러, 주회로용 승강부재(152)의 이동 시에 원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복귀용 스프링(155)이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주회로용 승강부재(152)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153a,153b, 153c)과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154a,154b,154c)의 연결 시에 접촉력을 증대시켜 아아크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아아크 소호용 스프링(156)이 주회로용 승강부재(152)의 중앙부에 내설된다.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상부에는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자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3a,123b,123c)를 상호 연결하거나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2a,122b,122c)와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3a,123b,123c)를 동종의 단자 사이는 모두 절연시킨 상태로 대응되는 이종의 단자들을 각기 연결하는 스타·델타결선 절환부(160)가 위치되어 본체(110)에 내설된다.
이러한 스타·델타결선 절환부(160)의 세부 구성은,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자화 여부에 따라 동반 승강되는 스타·델타결선용 가동철심(161)과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가 일체로 결합되어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근접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 접점이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2a,122b,122c)와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3a,123b,123c)에서 각각 연장된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163a,163b,163c)이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의 승강범위내의 소정 위치에 모든 접점들이 상호 절연되게 고정·설치되며,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와 동반 승강되면서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163a,163b,163c)의 양측 접점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도록 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164a,164b,164c)이 양측 접점들이 모두 상호 절연되게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에 부설된다.
아울러,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와 동반 승강되면서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163a,163b,163c)의 양측 접점 중에서 제1 내지 제3스타-델타단자(123a,123b,123c)에서 연장된 측의 접점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스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167a,167b,167c)이 적어도 일측 접점들이 상호 단락되게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에 부설되며,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의 이동 시에 원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복귀용 스프링(165)이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163a,163b,163c)과 스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167a,167b,167c) 및 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164a,164b,164c)의 연결 시에 접촉력을 증대시켜 아아크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아아크 소호용 스프링(166)이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의 중앙부에 내설된다.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가동시간을 카운트하여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기동시점을 결정하는 타이머(170)가 주회로용 전자석(130) 및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하측에 위치되어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121a,121b,121c)들의 사이와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2a,122b,122c)들의 사이 및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3a,123b,123c)들의 사이에 인접한 단자들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분리판(180)이 부설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인 191은 코일(132,142)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는 단자이며, 192는 각각의 단자에 해당 전원선을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취부하는 볼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C)는 도 4의 등가 회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선된 상태에서 작동되어 3상 전동기(M)를 시동 시에 스타결선하여 시동전류 및 토오크를 1/3로 줄여 시동하고 시동 완료 후 델타결선으로 절환하여 운전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낸 구조와 대응되는 부분에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C)의 동작 과정을 상술한다.
먼저, 3상 전동기(M)의 시동 시에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코일(132)에 전류가 인가되면 이 전류에 의하여 고정철심(131)과 코일(132)이 이루는 주회로용 전자석(130)이 자화되며, 이때부터 타이머(170)는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가동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복귀 스프링(155)의 탄성력보다 그 크기가 상위하는 주회로용 전자석(130)의 자력에 의해 주회로용 가동철심(151) 및 주회로용 승강부재(152)가 하강되고, 또한 주회로용 가동접점(154a,154b,154c)이 하강되어 주회로용 고정접점(153a,153b,153c)에 접촉된다.
한편,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초기 상태는 코일(14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 즉 자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므로 스타·델타결선용 가동철심(161) 및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는 복귀 스프링(165)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상태이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3a,123b,123c)에서 연장된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163a,163b,163c)은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162)에 부설된 스타결선용 가동접점(167a,167b,1674c)에 의해 연결된 상태, 즉 단락된 상태이다.
따라서, 3상 전동기(M)는 스타결선되어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121a,121b, 121c)에 연결된 3상의 전원선(R,S,T)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시동된다.
이후, 소정의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170)는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코일(142)에 전류를 인가하며, 이 전류에 의하여 고정철심(141)과 코일(142)이 이루는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이 자화된다.
그러면, 복귀 스프링(165)의 탄성력보다 그 크기가 상위하는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140)의 자력에 의해 스타·델타결선용 가동철심(161) 및 주회로용 승강부재(162)가 하강된다.
또한, 스타결선용 가동접점(167a,167b,167c)이 하강되며 이에 단락되어 있던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163a,163b,163c)이 상호 분리되고, 델타결선용 가동접점(164a,164b,164c)이 하강되어 스타·델타결선용 고정접점(163a, 163b,163c)에 접촉된다.
그러면,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121a,121b,121c)와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122a,122b,122c)의 사이는 상호 대응되는 이종의 단자 사이가 각기 연결된 상태로 변화되며, 이에 3상 전동기(M)는 델타결선으로 절환되어 전속으로 가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본체에 내설된 두 개의 전자석이 자화되는 상태에 따라 이종의 개폐부에 의해 3상 전동기가 스타결선되거나 델타결선되므로, 스타-델타 시동장치에 적용될 때에 장치의 설치비가 절감됨은 물론이고 장치의 용적이 감소되며, 불필요한 배선이 제거되어 오결선 및 오작동의 우려가 감소된다.

Claims (7)

  1. 본체의 대략 외곽의 일측에 부설되어 3상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와, 상기 외곽의 타측에 부설되어 3상 전동기의 일측 단자들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와, 상기 외곽의 다른 타측에 부설되어 상기 3상 전동기의 타측 단자들이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각각의 절연된 고정철심과 이 고정철심에 권회된 코일로 이루어진 주회로용 전자석 및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과;
    상기 주회로용 전자석의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주회로용 전자석의 자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를 동종의 단자 사이는 모두 절연시킨 상태로 대응되는 이종의 단자들을 각기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주회로 개폐부와;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의 인근에 설치되어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의 자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를 상호 연결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를 동종의 단자 사이는 모두 절연시킨 상태로 대응되는 이종의 단자들을 각기 연결하는 스타·델타결선 절환부를 포함하여 된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카운트한 상기 주회로용 전자석의 가동시간에따라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의 기동시점을 결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된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들의 사이와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들의 사이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들의 사이에는 인접한 단자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판이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회로 개폐부는,
    상기 주회로용 전자석의 자화 여부에 따라 승강되는 주회로용 가동철심과;
    상기 주회로용 가동철심에 일체로 결합되어 동반 승강되는 주회로용 승강부재와;
    양측 접점이 상기 제1 내지 제3 전원단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주회로용 승강부재의 승강범위내의 소정 위치에 모든 접점들이 상호 절연되게 고정·설치된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과;
    양측 접점들이 모두 상호 절연되게 상기 주회로용 승강부재에 부설되어 동반 승강되면서 상기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의 양측 접점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주회로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을 포함하여 된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델타결선 절환부는,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전자석의 자화 여부에 따라 승강되는 스타·델타결선용 가동철심과;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가동철심에 일체로 결합되어 동반 승강되는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와;
    양측 접점이 상기 제1 내지 제3 주기동단자와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의 승강범위내의 소정 위치에 모든 접점들이 상호 절연되게 고정·설치된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과;
    양측 접점들이 모두 상호 절연되게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에 부설되어 동반 승강되면서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의 양측 접점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과;
    적어도 일측 접점들이 상호 단락되게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승강부재에 부설되어 동반 승강되면서 상기 스타·델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고정접점의 양측 접점 중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스타-델타단자에서 연장된 측의 접점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스타결선용 제1 내지 제3 가동접점을 포함하여 된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 시에 원위치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용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된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연결 시에 접촉력을 증대시켜 아아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아아크 소호용 스프링이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KR1020017012030A 1999-05-11 2000-01-20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KR100320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761A KR20000073458A (ko) 1999-05-11 1999-05-11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KR1019990016761 1999-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365A true KR20010108365A (ko) 2001-12-07
KR100320030B1 KR100320030B1 (ko) 2002-01-16

Family

ID=195847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761A KR20000073458A (ko) 1999-05-11 1999-05-11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KR1020017012030A KR100320030B1 (ko) 1999-05-11 2000-01-20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761A KR20000073458A (ko) 1999-05-11 1999-05-11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794967B1 (ko)
JP (1) JP3869659B2 (ko)
KR (2) KR20000073458A (ko)
CN (1) CN1225760C (ko)
AU (1) AU2328400A (ko)
DE (1) DE10084599B4 (ko)
RU (1) RU2231159C2 (ko)
SE (1) SE519979C2 (ko)
WO (1) WO20000689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500B1 (ko) * 2000-12-23 2003-06-25 김용학 전자개폐기
ATE474372T1 (de) * 2005-11-21 2010-07-15 Siemen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arteinrichtung für einen dreiphasen-elektromotor und starteinrichtung
US8188819B2 (en) * 2006-09-21 2012-05-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Switching device unit for switiching at least two operating states
DE102008018261A1 (de) * 2008-04-01 2009-10-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romwandlerbaugruppe und elektromechanische Schaltvorrichtung
US7990239B2 (en) * 2009-05-08 2011-08-02 M&Fc Holding, Llc Electricity meter contact arrangement
JP5134657B2 (ja) * 2010-07-27 2013-01-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5793048B2 (ja) 2011-10-07 2015-10-1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CN102868331A (zh) * 2012-04-09 2013-01-09 刘兴远 多功能半自动星角起动器
US9590536B2 (en) * 2013-03-15 2017-03-07 Rockwell Automation Technolgies, Inc. Two-step connection of electric motors by means of electromagnetic switches
WO2015056271A1 (en) * 2013-10-14 2015-04-23 Anam Atul Hareshbhai A star delta starter having improved power contactors
CN103745886B (zh) * 2014-01-14 2015-11-25 德力西电气有限公司 一种增加接触器绝缘性能的防护罩及外壳结构
DE102014105579A1 (de) * 2014-04-17 2015-10-22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Schaltvorrichtung für eine Stern-Dreieck-Umschaltung bei einem mehrphasigen Motor
CN104009677A (zh) * 2014-06-10 2014-08-27 大连葆光节能空调设备厂 星角转换接触器
US9746521B2 (en) * 2014-11-06 2017-08-2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6-pole based wye-delta motor starting system and method
US9728347B2 (en) * 2014-12-16 2017-08-0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Integrated contactor mounting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1635977B1 (ko) 2015-10-30 2016-07-07 (주)에스엔 베이스 유닛 방식의 모듈형 모터 기동 장치
KR101715776B1 (ko) 2015-11-10 2017-03-15 (주)에스엔 모듈형 모터 기동 장치
CN106486302B (zh) * 2015-11-25 2018-07-20 衡阳瑞达电源有限公司 一种电机启动装置
CN105529217B (zh) * 2015-12-24 2017-08-08 北京安润通电子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重力型故障安全接触器及其使用方法
CN105978406B (zh) * 2016-05-27 2018-06-01 天津加美特电气设备有限公司 三相交流电机星角转换启动器
US20170373487A1 (en) * 2016-09-08 2017-12-28 Mojtaba Rashvand Starting and protecting induction motors
WO2019123401A1 (en) * 2017-12-22 2019-06-27 Hike S.R.L. Integrated electromechanical device
CN108646624B (zh) * 2018-05-28 2023-07-18 国网江西省电力有限公司南昌供电分公司 一种继电器
KR102375123B1 (ko) * 2020-04-01 2022-03-16 김태중 스타 델타 운전용 전자접촉기
RU210360U1 (ru) * 2021-11-11 2022-04-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лектро Пром Торг"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RU210491U1 (ru) * 2021-12-18 2022-04-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лектро Пром Торг"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вигателе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30030A1 (fr) * 1971-03-19 1972-11-03 Piret Daniel Double relais et inverseur integre en technologie electrique
KR890007818Y1 (ko) * 1986-03-07 1989-1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에어콘의 휠터 먼지 감지장치
JPH01286785A (ja) 1988-05-12 1989-11-17 Nec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
DE3907853A1 (de) * 1989-03-10 1990-09-13 Man Ghh Krantechnik Antriebsanordnung, insbesondere fuer ein hubwerk
FR2661548B1 (fr) * 1990-04-30 1992-07-17 Telemecanique Appareil contacteur inverseur a verrouillage.
KR920013872A (ko) 1990-12-28 1992-07-29 하기주 다단식 델타-스타 모우터 기동용 전자접촉기
KR950025850U (ko) 1994-02-04 1995-09-18 유종상 전자접촉기
SI9400271A (en) * 1994-07-04 1996-02-29 Alojz Lovrencic Electromagnetic relay
JPH10271863A (ja) 1997-03-26 1998-10-09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モータ起動制御装置
KR19980014546U (ko) 1998-03-24 1998-06-05 정의균 스타 델타 접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84599T1 (de) 2002-06-20
KR20000073458A (ko) 2000-12-05
JP3869659B2 (ja) 2007-01-17
WO2000068965A1 (en) 2000-11-16
AU2328400A (en) 2000-11-21
RU2231159C2 (ru) 2004-06-20
CN1225760C (zh) 2005-11-02
DE10084599B4 (de) 2006-11-30
SE0103711L (sv) 2001-12-28
SE519979C2 (sv) 2003-05-06
US6794967B1 (en) 2004-09-21
JP2002544750A (ja) 2002-12-24
SE0103711D0 (sv) 2001-11-08
CN1354885A (zh) 2002-06-19
KR100320030B1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8365A (ko)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CN101740260B (zh) 真空开关设备
TW200823948A (en) Vacuum insulated switch gear
KR100734607B1 (ko) 전기 코일 모듈과, 이러한 모듈을 포함한 전기 코일과, 이러한 코일을 구비한 액츄에이터 및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회로 차단기
KR101851301B1 (ko) 스타-델타 결선용 기동 장치의 전자 개폐기 및 이를 구비하는 기동 장치
JP2004527993A (ja) 負荷用の開閉機器ユニット、特に電動機始動器
TWI278885B (en) Solenoid-operated device, solenoid-operated switch device and electromagnet control device
CN218676933U (zh) 一种新型三相四线交流真空快速真空接触器
JP3763095B2 (ja) 電磁石制御装置
CN210167312U (zh) 密封型双极直流触点装置
CN105993057B (zh) 电气开关设备
CN111508771A (zh) 一种磁控形状记忆合金交流接触器
CN201927550U (zh) 换向接触器
KR100502841B1 (ko) 스타-델타 결선용 전자개폐기
WO2015056271A1 (en) A star delta starter having improved power contactors
CN210668146U (zh) 集成断路器及电控柜
KR100518256B1 (ko)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장착구조
US20230253171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for star-delta driving
WO1996001486A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element
KR200308097Y1 (ko) 스타-델타 전자접촉기
JPH0626055Y2 (ja) 極数変換電動機の変換装置
KR970004890Y1 (ko) 전자 접촉기의 여자코일장치
KR200329850Y1 (ko) 누전차단기용 제어기판
KR19990055498A (ko)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KR200395884Y1 (ko) 오토-티알 기동방식의 터보 스타트 릴레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