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264A - A teaching aid - Google Patents

A teaching a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264A
KR20010108264A KR1020017010885A KR20017010885A KR20010108264A KR 20010108264 A KR20010108264 A KR 20010108264A KR 1020017010885 A KR1020017010885 A KR 1020017010885A KR 20017010885 A KR20017010885 A KR 20017010885A KR 20010108264 A KR20010108264 A KR 20010108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playing piece
playing
blank space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드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키와이즈 시스템즈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와이즈 시스템즈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와이즈 시스템즈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GB1999/00337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51098A1/en
Publication of KR20010108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264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2Clock-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3/00Teaching typing
    • G09B13/02Dummy practice keyboard apparat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 숙련도를 발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객체의 특징에 대응하는 블랭크 스페이스(6)를 가지고 있는 객체의 템플레이트(4), 및 템플레이트 상의 그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상기 특징에 대응하는 플레잉 피스(playing piece)를 포함한다. 백보드가 사용자가 그 자신을 정확한 레이아웃에 익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템플레이트의 후방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객체는 키의 정상 위치에 대응하는 블랭크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키보드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플레잉 피스가 키보드 템플레이트 상의 그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켜야 하는 키의 형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eveloping an individual's skill level, the device having a template (4) of an object having a blank space (6)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of the object, and the feature for positioning at the correct position on the template. And a corresponding playing piece. A backboard may be provided at the back of the template to allow the user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correct layout.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in the form of a keyboard having a blank space corresponding to the normal position of the key and in the form of a key that the playing piece should be placed at that exact position on the keyboard template.

Description

보조 교구 {A TEACHING AID}Assistant Parish {A TEACHING AID}

본 발명은 보조 교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러나 배타적인 것은 아니고 숙련도의 발달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ant parish, in particular but not exclusively,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proficiency.

언어, 수학 및 키보드 숙련도와 같은, 숙련도를 요구하는 교구 주제는 키(key)의 위치를 잘 알 때까지 시간표에 따라 키보드를 사용하여 몇 번이고 반복함과 같이, 숙련도의 반복된 연습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달성된다. 그러나, 그런 숙련도를 젊은이들에게 습득하도록 호소를 증가시키고 그런 요소들을 기억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 교구의 형태의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killed parish topics, such as language, mathematics, and keyboard proficiency, are generally used by repeated practice of proficiency, such as repeating the keyboard several times over timetables until the location of the key is known. Is achieved. However, it would be desirable to provide an instrument in the form of an assistant diocese that increases appeal to young people to acquire such proficiency and assists in remembering those elements.

요즈음은 그런 숙련도는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아는 사람에게 그리고 어린 나이에서부터 키보드 숙련도를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컴퓨터가 학교에 구비되지만, 고비용 때문에, 컴퓨터의 수가 학생들의 수에 대하여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각 학생은 컴퓨터를 제한적으로만 사용하게 된다. 유사하게, 개인은 그들의 숙련도를 연습하기 위하여 집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불리하게 된다.Nowadays, it is important that such proficiency develops keyboard proficiency to those who can use computers and from an early age. For this purpose, computers are provided in schools, but due to the high cost, the number of computers is not sufficient for the number of students. As a result, each student is limited to using the computer. Similarly, individuals are at a disadvantage if they do not use a computer at home to practice their skills.

보조 교구는 개인의 키보드 숙련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공되지만, 거의 모두가 컴퓨터의 이용을 요구하며, 따라서 컴퓨터를 최소한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별로 유익하지 못하다.Assistant teaching aids are provided to increase an individual's keyboard proficiency, but almost all require the use of a computer and are therefore not very beneficial for those who use the computer minimally.

[본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숙련도의 발달을 보조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development of pro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도움 없이 키보드 숙련의 발달을 보조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chanism for assisting the development of keyboard skill without the aid of a computer.

따라서, 본 발명은 객체의 템플레이트-여기서 템플레이트는 객체의 특징에 대응하는 블랭크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음-, 및 상기 객체의 특징에 대응하는 복수의 플레잉 피스(playing piece)를 포함하고, 그에 의하여 상기 개인은 템플레이트상의 그 정확한 위치에 플레잉 피스를 선택하고 배치해야만 하는 개인의 숙련도를 발달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mplate of an object, wherein the template has a blank space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of the object, and a plurality of playing pieces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of the object, whereby the individual An apparatus is provided for developing the proficiency of the individual who must select and place the playing piece at that exact location on the template.

바람직하게, 상기 템플레이트는 카드보드(cardboard) 또는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한 조각의 편평한 재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블랭크 스페이스는 플레잉 피스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 또는 홈의 형태이다. 대안적으로, 템플레이트는 대응하는 자석 플레잉 피스가 위치될 수 있는 자석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대신에, 상기 플레이트는 닦아서 지울수 있는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플레잉 피스는 템플레이트에 구비된 스페이스에 기록된 실제의 문자 또는 기호의 형태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emplate consists of a piece of flat material, such as a cardboard or plastic material. Preferably, the blank space is in the form of a hole or groove for receiving the playing piece. Alternatively, the template may have a magnet surface on which the corresponding magnet playing piece may be located. Instead, the plate has a wipeable surface so that the playing piece may be in the form of an actual letter or symbol recorded in the space provided in the template.

바람직하게 상기 플레잉 피스는 템플레이트에 구비된 구멍 또는 홈에 맞출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기구에 제공된 플레잉 피스의 수는 가변적이나, 템플레이트상의 블랭크 스페이스와 같거나 더 많은 플레잉 피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laying piece is sized to fit into a hole or groove provided in the template. The number of playing pieces provided in such a mechanism is variable, but it is desirable to have a playing piece equal to or more than the blank space on the template.

또한 상기 기구는 템플레이트 후방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백보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백보드는 그 위에 표시된 객체의 특징의 정확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백보드 상의 특징은 그를 통하여 특징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드상의 구멍/홈(recess)과 정렬되는 것이다. 백보드의 제공은 초보자에게 특히 유용하고 개별 특징의 위치결정을 습득하면 블랭크 보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거되거나 뒤집어질 수 있다.The instrument also includes a backboard located behind or below a template, the backboard having an accurate layout of the features of the objects displayed thereon, the features on the backboard being provided with holes / boards on the board in order to see the features therethrough. It is aligned with the recess. The provision of the backboard is particularly useful for beginners and once learning the positioning of the individual features can be removed or flipped to provide the blank board.

또한, 객체의 특징의 정확한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별도의 놀이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개인이 피스를 정확한 위치에 두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피스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된 것을 단순하게 확인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play card may be provided that displays the exact layout of the features of the object. This may be provided as an aid to assist the individual in placing the piece in the correct position or may be used to simply confirm that the piece is in the correct position.

상기 기구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 사이의 게임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플레이어는 동일한 개수의 플레잉 피스를 구비할 수 있고 그들이 선택한 피스를 템플레이트상의 정확한 스페이스에 차례로 위치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타입의 플레잉 피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만약 스페이스가 이미 채워져 있다면, 플레이어가 그의 피스를 교환하고 순서를 놓치게 된다. 이런 방식에서, 게임의 승자는 제일 먼저 그의 모든 플레잉 피스를 템플레이트상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플레이어이다. 다른 세트의 플레잉 피스는 특정 색상의 피스를 제공함에 의하여 구별될 수 있다.The mechanism may be integrated into a game between two or more players. For example, each player may have the same number of playing pieces and place their chosen pieces in the correct space on the template in turn. More than one type of playing piece may be provided, so that if the space is already filled, the player swaps his piece and misses the order. In this way, the winner of the game is the first player to correctly place all his playing pieces on the template. Different sets of playing pieces can be distinguished by providing pieces of a particular col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템플레이트는 키보드의 형태이고, 상기 키보드는 그 키보드상에 키의 정상 위치에 대응하는 블랭크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는재질의 평면의, 직사각형의 피스로 구성된다. 다수의 키가 키보드의 경계를 제공하고 개인에게 정확한 피스를 템플레이트 상의 정확한 위치에 두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템플레이트 상에 그려질 수 있다. 상기 플레잉 피스는 키보드의 키의 형태이고 그 상부 표면에 키의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emplate is in the form of a keyboard, which is composed of a planar, rectangular piece of material having a blank space corresponding to the normal position of the key on the keyboard. Multiple keys may be drawn on the template to provide the boundaries of the keyboard and to assist the individual in placing the correct piece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template. The playing piece is in the form of a key of a keyboard and preferably displays letters or symbols of the key on its upper surface.

또한, 정확한 키가 상기 스페이스에 위치될 때 각각의 블랭크 스페이스가 조명되는 전자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게임에 일체화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게임의 승자는 제일 먼저 템플레이트 상의 키의 열을 조명하는 플레이어이다. 또한 상기 플레이어들은 정확한 키를 템플레이트 상의 특정된 블랭크 스페이스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서로 경기를 할 수 있다. 키는 플레이어 사이에 동일하게 분배되고, 부정확한 키가 특정된 스페이스에 위치하면, 플레이어는 키를 다시 잡고 다른 플레이어의 키중의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 대신에, 각 카드가 키보드 상에 위치를 표시하는 한 벌의 놀이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어는 임의로 카드를 선택하고 정확한 키를 카드 상에 특정된 위치에 위치시켜야만 한다. 상기 게임의 승자는 제일 먼저 그의 모든 키를 다 써버린 플레이어다.In addition, electronics may be provided in which each blank space is illuminated when the correct key is located in the space. This can be integrated into the game so that the winner of the game is the player who first illuminates the row of keys on the template. The players can also play against each other to place the correct key in the specified blank space on the template. The keys are equally distributed among the players, and if the incorrect key is located in the specified space, the player must retake the key and select one of the other player's keys. Instead, a deck of play cards may be provided in which each card indicates a location on the keyboard. The player must randomly select a card and place the correct key at the specified location on the card. The winner of the game is the first player who has exhausted all his keys.

임의의 다른 객체의 템플레이트가 본 발명의 기구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템플레이트는 곱셈 차트의 형태일 수 있는데, 여기서 여러 곱셉에 대한 해답이 템플레이트에서 생략된다. 플레잉 피스가 제공되는데, 상기 플레잉 피스는 그에 표시되는 특정 해답을 각각 가지고 있고, 사용자는 주어진 곱셈에 대한 정확한 해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플레잉 피스를 템플레이트에 삽입해야 한다. 또한, 백보드는 사용자가 백보드를 제거하고 기억에 의해 템플레이트를 채우기 전에 정확한 해답을기억시킬 수 있도록 템플레이트 뒤에 삽입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Templates of any other object can be used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template may be in the form of a multiplication chart, where solutions for several multiplications are omitted from the template. A playing piece is provided, each having a specific solution indicated thereon, and the user must insert the playing piece into the template to provide an accurate solution for a given multiplication. In addition, a backboard may be provided for insertion behind the template such that the user may remember the correct answer before removing the backboard and filling the template with memory.

다른 기구가 그에 표시되는 영어 단어를 가지고 있는 템플레이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각 단어는 불어 또는 독일어와 같이, 다른 언어의 대응 언어의 삽입을 위한 인접한 블랭크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고, 상기 대응 언어는 기구에 구비된 플레잉 피스 중의 하나에 표시된다. 다른 예는 그에 표시되는 이력 시합(historical event)을 가지고 있는 템플레이트를 구비하는데, 상기 템플레이트는 시합의 정확한 날짜를 표시하는 플레잉 피스의 삽입을 위한 구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임시 백보드가 템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그 때문에 날짜들이 템플레이트의 구멍을 통하여 보일 수 있다.Another instrument includes a template having English words displayed thereon, each word having an adjacent blank space for insertion of a corresponding language of another language, such as French or German, the corresponding language being provided in the instrument. It is indicated on one of the playing pieces. Another example includes a template having a historical event displayed thereon, the template having a hole for insertion of a playing piece indicating the exact date of the match. In addition, a temporary backboard may be provided for positioning behind the template so that the dates may be visible through the holes in the template.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이해를 위하여 그리고 그 효과를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을 더욱 명백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or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o more clearly show how that effect can be implemented,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교구용 키보드 템플레이트의 도면;1 is an illustration of an auxiliary teaching aid keyboard templat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보드 템플레이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백보드의 도면;2 is a view of a backboard for use with the keyboard templat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다수의 보조 교구용 플레잉 피스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teaching aiding pieces shown in FIGS. 1 and 2;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레잉 피스 중 한 개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of the playing pieces shown in FIG. 3;

도 5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보조 교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두 개의 놀이카드의 도면;5 is a view of two playing cards for use with the assistant teaching aid shown in FIG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 교구용 곱셈 차트 템플레이트의도면;6 is a diagram of an auxiliary teaching aids multiplication chart tem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곱셈 차트 템플레이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백보드의 도면;7 is a diagram of a backboard for use with the multiplication chart template shown in FIG. 6;

도 8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보조 교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플레잉 피스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a number of playing pieces for use with the assistant teaching aid shown in FIGS. 6 and 7.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교구의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키보드 템플레이트(template)(4)가 예를 들면, 카드보드(cardboard)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편평한 시트에 제공된다. 템플레이트는 키보드의 경계를 예시하기 위하여 "시프트(shift)"와 "탭(tab)"키와 같이, 다수의 음영 키(8)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키가 생략되고 구멍(6) 또는 홈(recess)이 키의 정상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보드에 제공된다. 플레잉 피스(playing piece)가 키의 형태(도 3 및 4 참조)로, 구멍(6) 또는 홈에 삽입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보조교구의 목적은 정확한 구멍에 정확한 키를 위치시키는 것이며, 그로 인하여 키보드상에서 키 위치의 사용자 인식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1 to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an auxiliary teach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 keyboard template 4 is provided, for example, on a cardboard or a flat sheet of plastic material. The template has a number of shaded keys 8, such as "shift" and "tab" keys, to illustrate the boundaries of the keyboard. However, a number of keys are omitted and holes 6 or recesses are provided in the boar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normal positions of the keys. A playing piece is provided for insertion into the hole 6 or groove, in the form of a key (see FIGS. 3 and 4). The purpose of the assistant is to place the correct key in the correct hole,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perception of the key position on the keyboard.

템플레이트가 위치될 수 있으며 그 위에 프린트 키의 정확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는 백보드(20;backboard)(도 2참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초보자에게 키를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학습을 보조할 것이다. 사용자가 템플레이트 아래에 프린트 백보드의 보조로 정확한 구멍에 키를 위치시키는데 익숙해지면, 백보드는 제거되거나 블랭크 보드로 대체될 수 있고 사용자가 블랭크 구멍(blank hole)에정확한 키를 위치시키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그 위에 프린트된 키보드의 정확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는 별도의 놀이카드(playing card)(30)(도 5 참조)가 이 일을 보조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A template may be located and a backboard 20 (see FIG. 2) having an accurate layout of the print keys may be provided thereon. This will assist the novice in learning to position the key in the correct position. Once the user is accustomed to positioning the key in the correct hole with the aid of the printed backboard under the template, the backboard can be removed or replaced with a blank board and the user should try to place the correct key in the blank hole. A separate playing card 30 (see FIG. 5) with the exact layout of the keyboard printed thereon may be provided to assist in this task.

이 방식에서, 초보자는 백보드와 템플레이트의 사용에 의하여 컴퓨터 키보드상의 키의 레이아웃에 익숙할 수 있고 그 때 백보드를 제거하지만 키를 정확히 배치하는 별도의 놀이카드를 참조한다. 사용자가 이것을 할 수 있으면, 사용자는 임의의 보조구를 동반하지 않고 기억으로 정확한 위치에 키를 위치시키도록 시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eginner may be familiar with the layout of the keys on the computer keyboard by the use of the backboard and template and then refer to a separate playing card that removes the backboard but places the keys correctly. If the user can do this, the user may attempt to locate the key in the correct location in memory without accompanying any aid.

또한 본 발명의 보조 교구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player)를 갖는 게임으로서 사용되도록 할 수 있고 그 때문에 키보드 숙련의 교구가 사람에게 더욱 흥미롭고 자극을 주게 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키보드 템플레이트와 블랭크 백보드를 가지고 있는 게임이 제공될 수 있다. 소정개수의 플레잉 피스(12)가 키의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L"키, 두 개의 "2"키, 두 개의 ">"키 등과 같이, 키보드 상에 정상적으로 제공되는 동일한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는 두 개의 키를 가지고 있는 84키가 제공될 수 있다. 플레잉 피스는 표면 아래쪽에 가로놓인 면(face)이고 플레이어는 표면 아래에 남아 있는 면인 나머지 플레잉 피스와 함께, 동일한 많은 플레잉 피스를 임의로 선택한다. 그때 플레이어는 선택된 키를 정확한 구멍에 위치시키도록 시도하기 위하여 차례로 그들의 솜씨와 판단을 사용한다. 놀이카드(30)는 플레이어에 의하여 키가 구멍내에 삽입된 후 키의 위치가 정확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참고될 수 있다. 만약 플레이어가 부정확하다면 그는 순서를 놓쳤음에 틀림없다. 각 구멍을 위하여 두 개의 키가 있으므로, 플레이어가 적합한 구멍에 그의 키를 모두 위치시키지 않을 것이다. 만약 그의 키를 위한 구멍이 이미 채워져 있다면, 플레이어는 손에 갖고 있는 키를 표면 아래의 면에 남아있는 키와 교환하고 순서를 놓쳐야 한다. 게임의 승자는 제일 먼저 템플레이트 상의 정확한 구멍에 그들의 키를 모두 위치시키는 플레이어이다.In addition, the auxiliary teach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game having two or more players, which makes the keyboard teaching aid more interesting and stimulating to a person. For example, a game may be provided having a keyboard template and a blank backboard as described below. A predetermined number of playing pieces 12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key. For example, 84 keys are provided with two keys displaying the same letter or symbol normally provided on the keyboard, such as two "L" keys, two "2" keys, two ">" keys, etc. Can be. The playing piece is a face lying beneath the surface and the player randomly selects many of the same playing pieces, with the remaining playing pieces being the face remaining below the surface. The player then uses their skill and judgment in turn to attempt to place the selected key in the correct hole. The playing card 30 may be referred to to confirm that the position of the key is correct after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hole by the player. If the player is inaccurate he must have missed the order. Since there are two keys for each hole, the player will not place all of his keys in the appropriate hole. If the hole for his key is already filled, the player must replace the key in his hand with the key remaining on the surface below the surface and miss the order. The winner of the game is the first player to place all of their keys in the correct holes on the template.

키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는 프린트 백보드가 제공되는, 게임의 초심자 버젼(version)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a beginner version of the game may be used, provided a printed backboard confirms the exact location of the key.

대신에,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플레잉 피스 세트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각 세트는 각 플레이어의 플레잉 피스를 구별하기 위하여 특정색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른 플레잉 피스 세트가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서 키보드의 문자의 하부 케이스가 그 위에 프린트된다. 백보드는 상부 케이스 뿐만 아니라 하부 케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두 개의 백보드가 제공될 수 있는데, 하나는 상부 케이스 문자를 다른 하나는 하부 케이스 문자를 표시한다.Instead, each player may have his own set of playing pieces, each set having a specific color to distinguish each player's playing piece. Another set of playing pieces may also be provided, in which the lower case of the characters of the keyboard is printed thereon. The backboard may display the lower case as well as the upper case, or two backboards may be provided, one representing the upper case letter and the other representing the lower case letter.

또한 게임은 그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더 젊은 세대에 흥미를 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확한 키가 정확한 구멍에 삽입될 때 각 구멍에 불이 켜지는, 전자 보드가 제공될 수 있다. 각 플레이어는 예를 들어, 에그 타이머(egg timer)를 이용하여, 정확한 구멍에 키를 위치시키는 시간의 임의 길이를 할당 할 수 있다. 게임의 승자는 예를 들어, 키보드 상의 키의 전체 열에 불이 켜지는 첫 번째 플레이어이다.Games can also increase their complexity and appeal to the younger generation. For example, an electronic board may be provided where each hole is lit when the correct key is inserted into the correct hole. Each player can, for example, use an egg timer to assign any length of time to place the key in the correct hole. The winner of the game is, for example, the first player to light up the entire row of keys on the keyboard.

또한, 게임은 보드 상의 구멍에 맞는 정확한 수의 키가 제공되며 두 명의 플레이어 사이에 균일하게 분배되는 2인 플레이어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든 키(key)에서 눈을 떼지 않고 있으며 그때 각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에 의하여 특정된 갭(gap)에, 예를 들면, 오른편으로부터 네 번째, 바닥 라인상의 갭에, 정확한 키를 위치시키도록 다른 플레이어에 차례로 시합한다. 만약 플레이어가 구멍에 정확한 키를 위치시키면, 스페이스에 불이 켜질 것이다. 만약 한 플레이어가 구멍에 부정확한 키를 위치시키면, 그는 그 키를 도로 잡고 또한 그의 상대편에서 두 번째 키를 선택해야만 할 것이다. 모든 그 키를 다 써버린 첫 번째 플레이어가 게임을 이긴다. 대신에, 각 카드가 템플레이트상의 특정 위치, 예를 들면, "오른편으로부터 네 번째, 바닥 라인"로부터 일 표면상에 표시되는, 한 벌의 놀이카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때 플레이어는 카드를 임의로 선택하기 위하여 차례로 잡고 특정 위치에 정확한 키를 위치시켜야만 한다.The game can also be provided for a two player player who is provided with the correct number of keys to fit the hole on the board and is evenly distributed between the two players. Keep an eye on all the keys and then each player will place another player to place the correct key in the gap specified by the other player, for example, the fourth from the right, in the gap on the bottom line. To play in turn. If the player places the correct key in the hole, the space will light up. If a player places an incorrect key in the hole, he will have to hold it back and choose the second key from his opponent. The first player who has exhausted all his keys wins the game. Instead, a deck of play cards may be provided, where each card is marked on a surface from a specific location on the template, for example, "fourth from right, bottom line." The player must then take turns and place the correct key at a specific location in order to randomly select a card.

또한 템플레이트와 플레잉 피스가 선택적인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템플레이트는 키가 템플레이트상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플레잉 피스 자석과 그 위에 융기된 키의 경계를 가지고 있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대신에, 템플레이트는 개인이 보드 위에 정확한 키를 기록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상에 다른 연습을 허용하기 위하여 그때 이것을 제거할 수 있는, 닦아서 지울수 있는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Templates and playing pieces may also be provided in an optional format. For example, the template may be a metal material having a boundary between a playing piece magnet and a raised key thereon that allows the key to be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on the template. Instead, the template may consist of a wipeable surface on which an individual can record the correct key on the board and then remove it to allow another exercise on the template.

첨부도면의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교구를 예시한다. 템플레이트(70)는 해답의 삽입을 위한 구멍(62) 또는 홈을 가지고 있는 곱셈 차트 또는 시간표의 형태이다. 그 위에 프린트된 정확한 해답(64)을 가지고 있는백보드(74)(도 7참조)가 제공된다. 템플레이트는 해답(64)이 템플레이트의 구멍(62)을 통하여 보일 수 있도록 백보드 위에 놓일 수 있다. 그에 대한 표면상에 프린트된 해답 중의 하나를 각각 가지고 있는, 플레잉 피스(66)(도 8참조)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백보드의 도움으로 정확한 구멍에 정확한 해답을 나타내는 플레잉 피스를 삽입할 수 있고 그때 기억으로 정확한 해답을 삽입하기 위하여 백보드를 제거할 수 있다.6-8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e an auxiliary teaching ai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late 70 is in the form of a multiplication chart or timetable with holes 62 or grooves for insertion of the solution. There is provided a backboard 74 (see FIG. 7) with the correct solution 64 printed thereon. The template can be placed on the backboard so that the solution 64 can be seen through the hole 62 of the template. A playing piece 66 (see Fig. 8) is provided, each having one of the solutions printed on its surface. With the help of the backboard, the user can insert a playing piece that represents the correct solution into the correct hole and then remove the backboard to insert the correct solution into memory.

본 발명의 보조 교구는 주제와 숙련도의 광범위한 사용을 위하여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템플레이트는 불어, 독어 또는 다른 언어로 대응하는 단어의 삽입을 위한 갭(gap)을 갖는 영어 단어를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는 처음에는 백보드의 보조로, 뒤에는 이 보조의 사용 없이, 정확한 단어를 예시하는 플레잉 피스를 대응하는 영어 단어 다음 구멍에 위치시켜야만 한다. 또한 보조교구는 이력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짝짓기가 이력이 발생하는 특정 시합(event)의 날짜를 기입한다. 또한,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는 플레잉 피스를 플레이어가 플레잉 피스를 템플레이트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서로 도전하는 게임으로서 시합될 수 있도록 하는 그들 자신의 플레잉 피스 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정확한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놀이카드가 확인되는 템플레이트에 피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The assistant teaching ai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or a wide range of uses of the subject matter and proficiency. For example, a template may represent an English word with a gap for the insertion of a corresponding word in French, German or another language, and the user is initially correct with a backboard and without the use of this aid. The playing piece exemplifying a must be placed in the hole next to the corresponding English word. Assistant teaching aids can also be applied for use in conjunction with history. For example, mating records the date of a particular event where the history occurs. In addition, two or more players may have their own set of playing pieces that allow the playing piece to be played as a game in which the player challenges each other to position the playing piece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emplate. A playing card displaying the correct layout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iece on the template to be identified.

Claims (12)

객체의 템플레이트-여기서 템플레이트는 객체의 특징에 대응하는 블랭크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음-, 및 상기 객체의 특징에 대응하는 복수의 플레잉 피스(playing piece)를 포함하고,A template of the object, wherein the template has a blank space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of the object, and a plurality of playing pieces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of the object, 그에 의하여 개인은 템플레이트상의 그 정확한 위치에 플레잉 피스를 선택하고 배치해야 하는 상기 개인의 숙련도를 발달시키기 위한 기구.Thereby developing an individual's proficiency in which the individual must select and place the playing piece at its exact location on the tem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랭크 스페이스는 플레잉 피스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 또는 홈의 형태인 기구.And the blank space is in the form of a hole or groove for receiving the play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템플레이트가 자석 플레잉 피스의 고정을 위한 자석 표면을 가지고 있는 기구.And the template has a magnet surface for securing the magnet play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템플레이트가 닦아서 지울수 있는 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플레잉 피스는 상기 템플레이트 상에 제공된 스페이스에 기록된 글자 또는 기호의 형태인 기구.The template has a wipeable surface and the playing piece is in the form of letters or symbols written in the space provided on the templa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백보드가 템플레이트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백보드는 그 위에 표시된 객체의 특징의 정확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백보드 상의 특징은 그를 통하여 특징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드상의 구멍/홈과 정렬되는 것 인 기구.The backboard is provided so that it is located behind the template, the backboard has an accurate layout of the features of the objects displayed thereon, the features on the backboard being aligned with the holes / grooves on the board so that the features can be seen through them. Instrumen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객체의 특징의 정확한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별도의 놀이카드가 제공되는 기구.And a separate play card is provided for displaying the exact layout of the features of the object.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각각의 블랭크 스페이스 및/또는 플레잉 피스는 정확한 플레잉 피스가 하나의 스페이스에 위치할 때 조명되는 기구.Each blank space and / or playing piece is illuminated when the correct playing piece is located in one spa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템플레이트가 키보드의 형태이고, 상기 키보드는 키보드 상의 키의 정상적인 위치 결정에 대응하는 블랭크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플레잉 피스는 그 상부면 상에 문자 또는 기호를 표시하는 키의 형태인 기구.The template is in the form of a keyboard, the keyboard having a blank space corresponding to the normal positioning of the keys on the keyboard, wherein the playing piece is in the form of a key for displaying letters or symbols on its top surfac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템플레이트는 곱셈 차트의 형태이고, 상기 곱셈 차트는 해답이 표시되는 차트의 영역에 블랭크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해답은 기구의 별도의 플레잉 피스상에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기구.The template is in the form of a multiplication chart, the multiplication chart having a blank space in the area of the chart where the solution is displayed, wherein the solution is displayed separately on a separate playing piece of the instrumen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템플레이트가 그 위에 표시되는 한 언어의 단어를 가지고 있고 대응하는 다른 언어의 단어의 삽입을 위한 블랭크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대응하는 단어는 기구의 별도의 플레잉 피스상에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기구.The template has a word of one language displayed thereon and a blank space for insertion of a word of a corresponding other language, wherein the corresponding word is individually displayed on a separate playing piece of the instrumen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템플레이트는 그 위에 표시되는 이력 시합을 가지고 있고 시합의 정확한 날짜의 삽입을 위한 블랭크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정확한 날짜는 상기 기구의 별도의 플레잉 피스상에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기구.The template has a history match displayed thereon and a blank space for insertion of the exact date of the match, the exact date being individually displayed on a separate playing piece of the instrument.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상기 기구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 또는 플레이어의 팀 사이의 게임으로 일체화되고, 각각의 플레이어 또는 팀은 템플레이트 상의 정확한 스페이스에 차례로 그들의 플레잉 피스를 차례로 위치시키며, 여기서 게임의 승자는 제일 먼저 그의 모든 피스를 정확하게 템플레이트 상에 위치시키는 플레이어 또는 팀인 기구.The apparatus is integrated into a game between two or more players or teams of players, with each player or team placing their playing pieces in turn in the correct space on the template, where the winner of the game is the first to correctly place all his pieces. A device that is a player or team placed on a template.
KR1020017010885A 1999-02-25 1999-10-11 A teaching aid KR2001010826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04217.8 1999-02-25
GBGB9904217.8A GB9904217D0 (en) 1999-02-25 1999-02-25 A teaching aid
GB9913986.7 1999-06-17
GB9913986A GB2347259A (en) 1999-02-25 1999-06-17 A teaching aid
PCT/GB1999/003373 WO2000051098A1 (en) 1999-02-25 1999-10-11 A teaching a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264A true KR20010108264A (en) 2001-12-07

Family

ID=1084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885A KR20010108264A (en) 1999-02-25 1999-10-11 A teaching ai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0108264A (en)
GB (2) GB9904217D0 (en)
HK (1) HK1042368A1 (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99038A (en) * 1945-09-12 1948-03-03 Edward Konigsber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ducational toys
US4203344A (en) * 1979-03-09 1980-05-20 Krosnick Teresa A Musical education toy
US5120226A (en) * 1990-01-10 1992-06-09 Tsai Lien S Toy and teaching aid combination
EP0496908A1 (en) * 1991-01-29 1992-08-05 Lon-Jeng Lin Self-teaching, self-checking educational arrangement
US5228858A (en) * 1992-04-23 1993-07-20 Fromm Wayne G Children's pad printing kit
US5496176A (en) * 1994-03-04 1996-03-05 Swanson; Jeffrey A. Military strategy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5707238A (en) * 1995-10-26 1998-01-13 Bush; Deborah L. Number and math edu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2368A1 (en) 2002-08-09
GB9904217D0 (en) 1999-04-21
GB2347259A (en) 2000-08-30
GB9913986D0 (en) 199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236B2 (en) Language learning board game
US5743740A (en) Educational word and letter game and method of playing
US5797601A (en) User selective solution system and method for flashcards, puzzles, and the like
US2551318A (en) Chess instruction apparatus
US8056901B2 (en) Educational kit and method for teaching academic and vocational subjects
WO2008063044A1 (en) A board game
US5160266A (en) Mix and match invisible ink game
US6893264B2 (en) Professional educational game
US20060082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me playing between players of different skill levels
US4812123A (en) Educational device and game
US4961708A (en) Educational puzzle
US5769423A (en) Board game and method
KR20010108264A (en) A teaching aid
AU762605B2 (en) A teaching aid
KR20210112611A (en) Yut board game for learning korean words
US20080258397A1 (en) Educational Game
US20140212851A1 (en) Titles of my related inventions are Binary Mixed Equations, Binary-School Cards, Binary Quads Puzzles and Binary Quads Games.
US5304064A (en) Educational game for teaching freehand drawing
US20020077166A1 (en) Word linking game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same
US4826437A (en) Educational game for teaching phonetics
WO2017047175A1 (en) Puzzle game set
JP3075763U (en) Word learning card
Mercer et al. The Development and Use of Self Correcting Materials with Exceptional Children
US20020065122A1 (en) Module for playing a game
GB2521486A (en) Apparatus for assistance in learning a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