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109A - 코어 플럭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어 플럭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109A
KR20010108109A KR1020017009044A KR20017009044A KR20010108109A KR 20010108109 A KR20010108109 A KR 20010108109A KR 1020017009044 A KR1020017009044 A KR 1020017009044A KR 20017009044 A KR20017009044 A KR 20017009044A KR 20010108109 A KR20010108109 A KR 20010108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lank
region
flo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916B1 (ko
Inventor
제롬 스플릿
Original Assignee
머큐리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큐리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머큐리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9/001085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43144A1/en
Publication of KR2001010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6Deep-drawing for making peculiarly, e.g. irregularly, shap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ark Plug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외부 림, 상부와 하부 표면을 가지는 코어 블랭크(10)로부터 코어 플럭(12)을 생산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본 방법은 스탬핑 장치(66,68) 안으로 코어 블랭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계속하여 홈(50)이 코어 블랭크의 하부 표면의 외부 림 안으로 스탬핑된다. 다음에, 코어 블랭크의 하부 표면은 코어 다이 형성장치(16)의 두 번째 다이 부재(18)의 블랭크 수용 영역(26) 안에 위치한다. 코어 블랭크는 두 번째 다이 부재를 통하여 확장하는 개구부(28)를 통하여 밀어 넣어지고, 외부 림 내부와 외부가 형성되어 코어 플럭을 형성한다. 본 형성은 최종 코어플럭의 홈 영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Description

코어 플럭 형성 장치 및 방법{CORE PLUG FORMATION}
코어 플럭, 코어 구멍 플럭, 프리즈 플럭(freeze plug)을 포함하는 코어 플럭은 알려져 있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자동차 엔진, 트랜스 미션, 쓰로틀 몸체부, 물펌프, 실린더 헤드 그리고 다른 하우징과 같은 개구부를 밀봉하는 데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코어 플럭은 밀봉되는 개구부보다 약간 더 크고 부드럽다. 따라서, 플럭이 개구부로 강제로 넣어지면, 플럭의 표면이 개구부와 적절히 결합하여 누출없는 밀봉부를 형성하는 강한 압력결합을 이룬다.
자동차 엔진과 같은 많은 응용에 있어서, 코어 플럭의 외부 표면에 접착제가 사용되며, 코어 플럭이 개구부에 더 잘 결합되도록 촉진하여, 더 좋은 밀봉을 이루어 누설 가능을 감소시킨다. 최근의 생산 기술은 개구부나 코어 플럭의 유연한 외부 표면에 액성 접착체를 적용한다. 그리고, 코어 플럭은 개구부로 넣어진다. 그러한 방법이 코어 플럭과 개구부 사이에 단단한 결합을 이루기는 하지만, 과정은 비효율적이다. 첫째, 스테이션에서 액성 접착제를 코어 플럭이나 개구부에 가해야한다. 다음에, 분리 스테이션에서 플럭을 개구부 안으로 강제로 넣는다. 자동차 엔진 조립의 경우와 같은 때에, 조립 라인은 두 스테이션에서 멈추어야 한다. 조립라인이 멈출 때 마다 공장 출고량은 감소하며, 두 스테이션은 실질적으로 출고량에 영향을 미치어, 하나의 스테이션을 제거하는 것은 상당한 개선효과가 있을 것이다.
일 개선방법은 Bonutti에 의해 공개된 미국 특허 제4,750,457호에 나타난다. 여기에는 머시닝 코어플럭을 공개하며, 유연한 외부둘레 표면 주위에 홈을 표현한다. 이러한 홈은 건조성 접착제로 미리 채워진다. 이런 종류의 저착제는 일반적으로 공기환경에서 활성화된다. 자동차 엔진 조립의 경우에, 이러한 미리 채워진 코어 플럭은 단일 스테이션에서 엔진 개구부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일단 개구부 안으로 넣어지면, 접착제는 활성화되어 굳어져 단단한 누설방지 밀봉을 형성한다. 이 방법은 스테이션을 제거하여 엔진 조립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과정과 관련된 다른 단점이 존재한다.
특히, 코어 플럭의 외부 둘레에 홈을 만드는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실지로, 코어 플럭의 제작은 노동집약적이고 시간 소모적이다. 부가적으로, 큰 부피의 플럭제작을 위해 다수의 비싼 밀링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스테이션 제거에 의한 어떠한 절약비용은 기계가공된 코어플럭과 관련된 증가비용에 의해 훨씬 상쇄된다. 이러한 방법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자동 생산자는 액성 접착제(두 스테이션) 방법을 계속 사용하여 왔고, 기계 가공되는 코어 플럭보다 비용이 싼 것처럼 보인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코어 플럭(core plug)과 관련되며, 좀더 특정하게는 코어 플럭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다이(core die) 장치와 관련 생산 방법에 관련된다.
도 1 은 코어 블랭크의 평면도;
도 2 는 도 1의 선 2-2 주위로 취해진 코어 블랭크의 부분 단면도;
도 3 은 코어 플럭의 측면도;
도 4 는 코어 플럭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5 는 코어 플럭의 대체 실시예의 측면도;
도 6 은 스탬핑 장치의 전면도;
도 7 은 스탬핑 장치와 관련되어 사용되는 스탬핑 다이의 단면도;
도 8 은 두 번째 다이 부재의 단면도;
도 9 는 두 번째 다이 부재의 평면도;
도 10 은 펀치가 코어 블랭크에 접촉하기 전에 코어 다이 형성장치의 전면도;
도 11 은 코어 블랭크가 두 번째 다이 장치의 개구부를 통하여 전진할 때 코어 다이 형성장치의 전면도;
도 12 는 제거 수단이 형성된 코어 플럭에 접촉할 때 코어 다이 형성장치의 전면도;
도 13 은 코어 플럭이 코어 다이 형성장치로부터 릴리즈 될 때 코어 다이 형성장치의 전면도.
*부호 설명
10...코어 블랭크 12...코어 플럭
16...코어 다이 형성장치 18...두번째 다이 부재
26...블랭크 수용영역 28...개구부
32...도입 영역 34...천이 영역
36...말단 영역 40...직경
44...하부 표면 50...홈
66,68...스탬핑 장치 72...돌출 영역
본 발명은 코어 블랭크로부터 코어 플럭을 생산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코어 블랭크는 외부 림, 상부와 하부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코어 블랭크를 스탬핑 장치 안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홈 영역은 코어 블랭크의 하부 표면의 외부 림 안으로 스탬핑된다. 코어 블랭크의 하부 표면은 코어 다이 형성장치의 블랭크 수용영역 안으로 위치한다. 코어 블랭크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를 통하여 확장하는 개구부를 통하여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외부 림부분은 코어 플럭을 허용하기 위해 상하로 변형된다. 코어 플러그 안으로 스탬핑된 홈 영역은 변형 단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코어 다이 형성장치로부터 코어 플럭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방법은 홈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제를 바르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코어 블랭크로 스탬핑된 홈 영역은 코어 블랭크의 외부 둘레에 동심으로 균일한 홈을 포함한다. 또한, 홈 영역은 줄기모양이나 지그잭형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 플럭을 포함하며, 코어 플럭은 기저영역, 외부 림 그리고 홈 영역을 가진다. 외부 림은 기저 영역으로부터 기저 영역의 외부 둘레 주위에서 상부로 확장하며,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홈 영역은 외부 림의 외부 표면에 대하여 확장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코어 플럭은 홈 영역부분에 가해진 접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코어 블랭크로부터 코어 플럭의 형성을 위한 코어 다이 형성장치를 포함하며, 코어 블랭크는 홈 영역을 포함한다. 코어 다이 형성장치는 두 번째 다이부재를 포함한다. 두 번째 다이 부재는 상부 표면, 블랭크 수용 영역과 두 번째 다이 부재를 통해 확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개구부를 포함한다. 개구부는 블랭크 수용영역, 천이영역 그리고 말단영역에 근접한 도입부를 포함한다. 도입영역에서 개구부의 크기는 코어 블랭크의 크기보다 작고, 말단영역에서 개구부의 크기보다 크다. 천이영역은 도입부로부터 말단부에 이르는 유연하고 점증적인 천이를 제하는 연속적 볼록 표면을 포함한다. 이 표면은 코어 블랭크의 코어 플럭 안으로의 유연한 형성을 촉진하며, 코어 플럭의 홈 영역은 코어 다이 형성장치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코어 다이 형성장치는 코어 블랭크를 두 번째 다이 부재의 상부표면으로부터 개구부의 말단영역을 통해서 밀어 넣는 추진 수단을 포함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천이영역은 두 번째 다이 부재의 상부 표면에 수직한 축에 대하여 균일한 급격한 각을 포함한다. 도입부와 천이영역 사이의 접합점은 천이영역과 말단 영역 사이의 접합점과 같이 둥근모양이다.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개구부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또한, 두 번째 다이부재는 하부표면을 포함하며, 개구부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두 번째 다이부재의 하부표면까지 확장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추진 수단은 두 다이 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코어 블랭크에 힘을 가하도록 맞게 형상을 가진 펀치 수단을 포함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코어 다이 형성장치는 코어 플럭의 형성 이우헤 코어 다이로부터 형성된 코어 플럭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예에서, 제거 수단은 추진수단에 근접하게 놓인 바이어스된 지레수단을 포함한다. 바이어스된 지레수단은 추진수단, 그리고 이어서 코어 플럭과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두 번째 다이 부재는 TI-8 코팅을 가진 탄화물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두 번째 다이 부재는 고 카본 도구 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한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원리를 설명하는 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코어 블랭크(10)로부터 코어 플럭(12)이 형성되며, 도 1 및 2에 상부 표면(42), 하부 표면(44,도2), 외부 림(46), 외부 둘레(48) 그리고 직경(40)을 포함한다. 코어 블랭크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것이 좋으며, 상부 표면(42)과 하부표면(44)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균일 두께가 유리하다. 물론, 다른 모양과 형상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코어 블랭크는 철, 알루미늄, 구리 혹은 냉각작업이 가능한 다른 금속이 될 수 있다.
코어 플럭(12)은 도 3에 도시되며, 기저 영역(52), 상부 측면(54), 홈 영역(50)을 가진다. 기저 영역(52)은 코어 블랭크(10)의 내부 영역으로부터 형성된다. 상부 측면(54)은, 후술하는 새로운 생산 방법에 의해 상부 표면(42) 주위로 상방 안으로 향하는 코어 블랭크(10)의 외부 림(46,도1)으로부터 형성된다. 상부 측면(54)은 내부 표면(도시안됨)과 외부 표면(78)을 포함한다. 내부 표면은 코어 블랭크(10)의 외부 림(46)의 상부 표면(42)에 대응하며, 외부 표면(78)은 코어 블랭크(10)의 외부 림(46)의 하부 표면(44)에 대응한다.
도 3과 같이, 홈 영역은 상부 측면(54)의 외부 표면(78) 주위에서 다수의 균일한 주위의 홈을 포함한다. 설명될 것이지만, 도 1-3에 도시된 홈 영역(50)은 형성 전에 코어 블랭크(10)의 하부 표면(44) 안으로 만들어진 스탬핑을 포함한다. 다수의 홈은 주위에 위치하지만, 하나 이상의 홈을 스탬핑하는 것은 코어 플럭의 작동을 강화하지 못하고, 전체 구조를 약화시킬 것이다. 또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영역은 또한 줄기모양이나 지그재그 패턴(62)을 포함한다. 물론, 패턴은 제한이 없으며, 다른 많은 패턴들이 고려될 수 있다.
코어 블랭크(10)를 코어 플럭(12)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코어 블랭크는 두 장치 안에 스탬핑을 수행하야 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스탬핑 장치는 다이(66)와 펀치(68)를 포함한다. 도 6에서와 같이 다이(66)는 수용 영역(70)과 돌출 영역(72)을 포함한다. 펀치(68)는 공개된 스탬핑 작동을 수행하는 종래의 스탬핑 장치를 포함한다.
두 번째 스탬핑 작동은 코어 다이 형성장치(16)에 의해서 수행된다. 코어 다이 형성장치(16)는 도 10-13에 도시되며, 두 번째 다이 부재(18)와 추진 수단(20)을 포함한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다이 부재(18)는 상부 표면(24), 블랭크 수용영역(26) 그리고 개구부(28)를 포함한다. 블랭크 수용영역(26)은 어느 정도 두께와 직경을 수용하도록 형상을 가진다. 블랭크 수용 영역은 부가적으로 변화하는 크기의 코어 블랭크의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 큰 부피 생산을 위해, 두 번째 다이 부재는 TI-8 코팅이 된 C10 카바이드를 포함한다. 작은 부피 생산을 위해 두 번째 다이 부재는 TI-8 코팅이 된 고 탄소강을 포함한다. 그러나, 특정 응용에 다라, 다수의 다른 금속재료들이 두 번째 다이 부재를 위해 적당할 것이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다이 부재(18)의 개구부(28)는 도입영역(32), 천이영역(34) 그리고 말단영역(36)을 포함한다. 코어 블랭크(10)와 같이, 천이영역(34)는 어떠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두 번째 다이 부재(18)와 개구부(28)는 원형 코어 플러그의 생산에 대하여 기술되어, 개구부(28)는 원형이 될 것이다.
도 8 및 9와 같이, 도입 영역(32)은 일 말단에서 블랭크 수용영역(26)과 인접하며, 다른 말단에서 천이 영역(34)과 인접한다. 도입영역(32)은 코어 블랭크(10)의 직경(40)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형 단면을 포함한다.천이영역(34)은 말단 영역(36)에 확장하는 좁아지는 직경의 연속 볼록 표면을 포함한다. 다른 형상이 가능하지만, 천이영역은 일반적으로 두 번째 다이의 상부표면(24)에 수직인 축(76,도8)에 대하여 약 22도의 각을 갖는다. 천이 영역(34)과 도입영역(32) 사이의 정합부에서, 천이 영역은 라운딩된다. 마찬가지로, 천이영역(34)과 말단영역(36) 사이의 정합부도 라운딩된다. 말단 영역은 코어 플럭(12)의 원하는 외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코어 플럭의 특정 크기에 따라서, 천이영역은 22도 각을 보유하지만, 천이 영역의 라운딩된 말단부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되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큰 직경의 코어 블랭크(~5.250)에 있어서, 라운딩된 말단부는 0.078125″의 아치형 필렛(fillet)을 포함한다. 중간 크기 직경의 코어 블랭크(~3.975″)에 있어서, 라운딩 된 말단부는 도입영역에 근접한 0.125″의 아치형 필렛과 말단 영역에 근접한 0.375″의 필렛을 포함한다. 작은 직경의 코어 블랭크(~2.975″)에 있어서, 라운딩 된 말단부는 도입영역에 근접하게 0.125″와 말단영역에 근접하게 0.250″의 아치형 필렛을 포함한다. 물론, 코어 플럭을 점차적으로 형성하는 다른 반경이 가능하며, 코어 플럭의 외부 표면의 완전성을 촉진하여, 큰 부피 생산을 허용한다.
도 8에서와 같은 실시예에서, 개구부(28)는 기저 부재 전체를 통하여 확장하며, 개구부는 축(76)에 대하여 말단부로부터 약 30도 각으로 떨어진 표면을 포함하는 마감영역(80)을 포함한다. 마감영역(80)은 개구부를 통하여 코어 플럭의 균일한 통과를 촉진한다.
도 10-13에 추진수단(20)이 도시되며, 펀치(38)와 제거수단(88)을 포함한다. 펀치(38)는 종래의 펀치이며, 두 번째 다이 부재(18)의 개구부(28)와 정합하여 결합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제거수단(88)은 두 번째 다이부재(18)의 개구부(28) 아래에 위치한 바이어스 된 지레수단(84,84″)을 포함한다. 각 바이어스된 지레수단(84,84″)는 각각 각을 가진 수단(86,86″)을 포함한다.
작동 중에, 도 6에서와 같이, 코어 블랭크(10)로부터 코어 플럭(12)을 생산하기 위하여, 코어 블랭크(10)는 우선 스탬핑 장치(22)의 첫 번째 다이(66) 안으로 위치한다. 스탬핑 장치(22)의 펀치(68)는 돌출 영역(72)에 대응하여 코어 블랭크(10)의 하부 표면(44)을 압축하며, 따라서, 코어 블랭크의 하부표면 안에 홈 영역(50)을 형성한다.
다음에, 코어 블랭크(10)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16) 안으로 위치한다. 특히, 도 10에서와 같이, 코어 블랭크는 블랭크 수용영역에 대하여 하방으로 향하여 놓인 하부 표면(44)이 있는 블랭크 수용영역(26) 안으로 위치한다. 도 11에서와 같이, 추진 수단(20)은 계속하여 활성화되고, 코어 블랭크의 상부표면과 접촉한다. 추진수단에 계속 하강하면, 코어 블랭크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16)의 개구부(28)를 통하여 힘을 받는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코어 블랭크의 직경이 개구부(28)의 직경보다 더 큰 만큼, 외부 림(46)은 블랭크가 개구부(28)를 통하여 진행함에 따라 상하로 힘을 받게되어, 상부 측면(54)을 형성한다. 개구부의 특정 형상에 의해, 그리고 도입영역으로부터 개구부(28)의 직경의 점차적 감소로 인해, 천이영역을 통하여 말단부까지, 코어 블랭크는 점차적으로 형성된다. 실제로, 점차적인 형성은 스탬핑 장치(22)의 홈(72)에 의해 도입되는 홈 영역을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종래의 코어 스탬핑 기술과 코어 스탬핑 다이를 사용하면, 블랭크가 개구부(28)를 통하여 전진함에 따라 코어 블랭크의 외부 표면 안에 놓인 홈으로 충격파가 전달되어 파괴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다이의 특정 기하학적 형상과 블랭크로부터의 플럭의 점차적인 형성은 충격선이나 충격파의 형성을 막아준다. 따라서, 형성된 코어 플럭은 형성 후에도 홈 영역을 보유한다.
일단 코어 블랭크(코어 플럭)가 개구부 밖으로 진행하면, 코어 블랭크(코어 플럭)은 제거 수단(88)을 만난다. 각을 가진 부재(86,86′)로 인하여, 도 12 및 13에 도시된 코어 블랭크(코어 플럭)는 바이어스 된 지레수단(84,84′)의 지나 통과하도록 허용된다. 그러나, 도 13에서와 같이, 추진수단(20)이 개구부(28)를 통하여 역전됨에 따라, 바이어스 된 지레수단(86,86′)은 추진수단 고정 코어 플럭(12)에 접하며, 추진수단으로부터 코어 플럭의 연결을 제거한다.
일단 완전히 형성되면, 접착제(14,도1)가 코어 플럭(12)에 가해지고, 특히 홈 영역(50)에 적용된다. 접착제는 건조성이다. 그러한 접착제는 공기에서 활성화되거나 마찰에 활성화되는 마이크로 캡슐에 넣어진 잡착제를 포함한다. 코어 플럭을 코어 개구부 안으로 펀칭하는 조립 단계 동안에 활성화 될 수 있는 어떠한 접착제도 가능하다.
첫 번째 스탬핑 공정과 펀칭 공정은 조립라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양 단계는 대략 동일한 양의 시간이 소요되며, 두 공정은 정렬위치에 오고 연속하여 조립라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중 개구부와 상응하는 다중 돌출 영역에 맞게 형상을 갖춘 다이를 사용하여, 단일 프레스가 스탬핑하도록 하고 한번에 몇 개의 플럭을 펀치할 수 있다. 또한, 코어 플럭의 바른 형성을 위해 적용되는 접착재로 인해 저렴한 코어 플럭의 제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접착성 코어 플럭을 자동차 엔진 블록 상의 코어 개구부에 적용하기 위하여, 코어 플럭(마른 접착제를 가지는)은 단지 코어 개구부 안으로 펀칭된다. 일단 펀칭되면, 접착제가 활성화되어 코어 개구부와 코어 플럭 사이의 단단한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굳어진다.
상술한 상세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된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관점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8)

  1. 외부 림,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가지는 코어 블랭크로부터 코어 플럭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 코어 블랭크를 스탬핑 장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 상기 코어 블랭크의 하부 표면의 외부 림 내에 홈 영역을 스탬핑하는 단계;
    - 코어 다이 형성장치의 블랭크 수용영역 안으로 상기 코어 블랭크의 하부 표면을 위치시키는 단계;
    - 상기 코어 다이 형성장치를 통하여 확장하는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코어 블랭크를 밀어 넣는 단계; 그리고
    - 상기 코어 플럭을 형성하기 위해 상방 내부로 외부 림 부분을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플럭 안으로 스탬핑 된 홈 영역은 실질적으로 상기 변형단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다이 형성장치로부터 상기 코어 플럭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착제를 가하는 단계를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블랭크 안으로 스탬핑 된 상기 홈 영역은 상기 코어 블랭크의 외부 둘레에 균일한 동심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블랭크 안으로 스탬핑 된 상기 홈 영역은 줄기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블랭크 안으로 스탬핑 된 상기 홈 영역은 지그재그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코어 플럭에 있어서;
    - 기저 영역과;
    - 상기 기저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기저 영역의 외부 둘레 주위에서 확장하며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외부 림; 그리고
    - 상기 외부 림의 외부 표면 주위에 홈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플럭.
  8. 제 3 항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코어 플럭에 있어서;
    - 기저 영역;
    - 상기 기저 영역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기저 영역의 외부 둘레 주위에서 확장하며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외부 림;
    - 상기 외부 림의 외부 표면 주위에 홈 영역; 그리고
    - 상기 홈 영역 부분에 가해지는 접착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플럭.
  9. 코어 플럭에 있어서;
    - 외부 림,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가지는 코어 블랭크를 스탬핑 장치 안으로 위치시키는 단계와;
    - 상기 코어 블랭크의 하부 표면의 외부 림 안에 홈 영역을 스탬핑하는 단계;
    - 상기 코어 블랭크의 하부 표면을 코어 다이 형성장치의 블랭크 수용 영역 안으로 위치시키는 단계;
    - 상기 코어 블랭크를 코어 다이 형성장치를 통하여 확장하는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코어 블랭크를 밀어 넣는 단계; 그리고
    - 코어 플럭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외부 림을 상방 안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플럭 안에 스탬핑 된 홈 영역은 실질적으로 상기 변형단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플럭 생산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코어 플럭.
  10. 홈 영역을 가지는 코어 블랭크로부터 코어 플럭을 형성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에 있어서;
    - 상부 표면과 블랭크 수용 영역을 가지는 두 번째 다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 부재는 상기 두 번째 다이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확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개구부를 포함하고;
    - 개구부는 블랭크 수용 영역, 천이 영역 그리고 말단 영역에 근접한 도입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도입 영역에서의 개구부의 크기는 코어 블랭크의 크기보다 작고, 말단 영역에서 개구부의 크기보다 크며;
    - 상기 천이 영역은 상기 도입 영역으로부터 말단영역 까지 유연하고 점증적인 천이를 제공하는 연속 볼록표면을 표함하고, 코어 블랭크의 홈이 있는 표면을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코어 플럭으로 코어 블랭크의 유연한 형성을 촉진하며;
    - 두 번째 다이 부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개구부의 말단 영역을 통하여 코어 플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코어 블랭크를 밀어 넣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 상기 천이 영역은 상기 두 번째 다이 부재의 상부 표면에 수직인 축에 대하여 균일한 급한 각을 포함하며;
    - 상기 도입 영역과 천이 영역 사이의 정합부는 라운딩되고;
    - 상기 천이 영역과 말단 영역 사이의 정합부는 라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다이 부재는 하부 표면을 포함하고, 개구부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두 번째 다이 부재의 하부 표면까지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다이로부터 코어 플럭 형성 후에 코어 플럭을 제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수단은 추진수단에 근접하게 놓인 바이어스된 지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어스된 지레 수단은 상기 추진수단 상에 위치한 코어 플럭과 미끄러질 수 있게 결합되고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수단은 상기 두 번째 다이 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코어 블랭크에 힘을 가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 펀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다이 부재는 TI-8 코팅을 가지는 카바이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다이 부재는 고탄소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다이 형성장치.
KR10-2001-7009044A 1999-01-19 1999-01-19 코아블럭, 코어플럭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코어플럭 형성장치. KR100510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9/001085 WO2000043144A1 (en) 1997-04-29 1999-01-19 Core plug 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109A true KR20010108109A (ko) 2001-12-07
KR100510916B1 KR100510916B1 (ko) 2005-08-30

Family

ID=6937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044A KR100510916B1 (ko) 1999-01-19 1999-01-19 코아블럭, 코어플럭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및 코어플럭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9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0916B1 (ko)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0961A (en) Method of forming a double upset tube assembly
EP1255940B1 (en) Oil seal including wear sleeve with hydrodynamic pattern
KR100312036B1 (ko) 플레이트의홀형성방법및홀형성용펀치
KR101916352B1 (ko) 자동차용 베어링의 아웃보드씰 제조방법
KR20010108109A (ko) 코어 플럭 형성 장치 및 방법
JPH10156443A (ja) 金属容器の安全弁
EP1022497B1 (en) Core plug formation di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re plug
US4854030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hose fitting
CN112719061B (zh) 电控助力器壳体上内翻孔口带倒角面的小孔的成型工艺
JP2002346690A (ja) 金属部品の鍛造成形方法
US6223579B1 (en) Core plug formation di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re plug
US6006577A (en) Stackable drawn pieces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thereof
JP6308428B2 (ja) 流体配管用金具の製造方法及び流体配管用金具
US5762196A (en) Stackable drawn pieces
JP2534940B2 (ja) 環状溝の塑性加工方法
JP4360125B2 (ja) 成形方法
JP2948585B1 (ja) オイルフィルター用セットプレートとその製造法
JP2005155857A (ja) クラッチ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MXPA99000997A (en) Troquel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a nucleo plug and method to manufacture a nucleum plug
JP4954921B2 (ja) プレス加工製品の製造方法
JP3636964B2 (ja) 厚肉板金における座ぐりの形成方法およびプレス装置
JP2006247661A (ja) 突起部の加工方法および突起部を有する加工部品
SU1098619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отбортованных отверстий
JP2614593B2 (ja) アイ形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JP2002535147A (ja) コアプラグの形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