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056A - 휴대용 수동발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동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056A
KR20010108056A KR1020017008277A KR20017008277A KR20010108056A KR 20010108056 A KR20010108056 A KR 20010108056A KR 1020017008277 A KR1020017008277 A KR 1020017008277A KR 20017008277 A KR20017008277 A KR 20017008277A KR 20010108056 A KR20010108056 A KR 2001010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gear
handle
hoo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라쿠이겐조
고메즈미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히라쿠이 겐조
가부시키가이샤 닛소엔지니아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쿠이 겐조, 가부시키가이샤 닛소엔지니아링구 filed Critical 히라쿠이 겐조
Publication of KR2001010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 charging set comprising a non-electric prime mover rotating at constant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53Rotary generators driven by intermittent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전원이 없는 곳에서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퍼스널컴퓨터, 휴대 라디오 등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의 수동발전기로서, 핸들로의 과부하에 의한 고장을 회피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의 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핸들을 갈고리형태로 접을 수 있는 수동발전기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수동발전기는, 핸들을 수동으로 왕복운동시켜 발전하는 발전기구부(10)와, 상기 핸들에 일정 이상의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 이것을 회피하는 과대토크 회피기구부(20)와, 발전기구부에 2개 이상의 발전기를 배설하여 야기되는 전력의 전압 및 전류를 조정하는 전력조정부(30)와, 휴대용으로 핸들을 접어서 콤팩트하게 수납가능한 로크기구부(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수동발전기{PORTABLE MANUAL GENERATOR}
요즘,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퍼스널컴퓨터 및 GPS 등의 휴대형의 전기통신기기가 보급되고 있는데, 이들에 사용되는 전지의 능력에는 한계가 있어, 도중에 충전된 전기가 소모되어 버려 난감한 사태가 자주 있다.
또한, 긴급재해시에는, 휴대용의 라디오, 회중전등 등이 필수 휴대용품이지만, 이들 기기는 통상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기 때문에, 전지가 소모되어 버릴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미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3053139호를 제안하였으며, 그 개요는, 스프링에 가압된 랙기어를 손으로 연속하여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클러치기어, 중간기어, 구동샤프트용 기어를 전동 회전하고, 발전기를 회전시켜 발전하여, 출력코드로부터 전기를 뽑아내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그러나, 상기 고안에서는,
(1)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으로 움직이는 랙기어(핸들부)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는, 치차전달기구에 급격한 토크의 변동이 생겨, 이 토크의 값이 일정한 값 이상으로 되면 장치가 파괴될 우려가 있었다.
(2) 내장하는 발전기는 1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으로는, 발전전압 및 전류가 규정되어 버리고, 용도에 따라 적절한 발전능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그 때마다 발전기를 변환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들어감과 동시에, 많은 부품을 구비할 필요가 생기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3) 핸들이 열려있는 상태이면, 용적이 커지고, 휴대가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제 1 발명은, 복귀스프링을 통하여 왕복운동하는 핸들에 랙기어를 연결하고, 이 랙기어에 피니언기어를 맞물림시키며, 이 피니언기어에 전동기어를 통하여 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기구를 개재한 래칫기어를 연결하고, 이 래칫기어에 발전기의 회전축을 맞물림하여, 상기 발전기로부터 소켓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수동발전기로서, 상기 전동기어의 일부에, 오목홈을 형성한 입력축과 출력축을 대치시키고, 그 사이에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과 끼워맞춤하는 원통체를 형성하며, 이 원통체를 힌지부를 통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하고, 그 내벽면의 일부에 입력축 및 출력축의 오목홈과 끼워맞춤하는 볼록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체의 개방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구멍에 닫힘방향으로 누르는 것이 일정 이상의 힘에서는 수축하여 개방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나사를 배설한 과대토크 회피기구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제 2 발명은, 동 수동발전기로서, 2개 이상의 발전기를 배설하고, 이 발전기에 직렬회로와 병렬회로의 배선회로를 병설함과 동시에, 상기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기구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제 3 발명은, 동 수동발전기로서, 전동기어의 일부에, 오목홈을 형성한 입력축과 출력축을 대치시키고, 그 사이에 입력축 및 출력축과 끼워맞춤하는 원통체를 형성하며, 이 원통체를 힌지부를 통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하고, 그 내벽면의 일부에 입력축 및 출력축의 오목홈과 끼워맞춤하는 볼록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체의 개방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멍에 닫힘방향으로 누르는 것이 일정 이상의 힘에서는 수축하여 개방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나사를 배설한 과대토크 회피기구를 설치하고, 2개 이상의 발전기를 배설하고, 이 발전기에 직렬회로와 병렬회로의 배선회로를 병설함과 동시에, 상기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기구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동 수동발전기에는, 핸들의 일부에 갈고리체와 끼워맞춤하는 갈고리받이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이 맞닿는 발전기의 본체측에 갈고리수납실을 형성하며, 이 갈고리수납실의 일부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 끝단에 회동축을 축지지하고, 선단측에 갈고리홈을 배설한 끼움판을 형성하여, 그 갈고리체의 일부와 본체측에 스프링을 끼워설치하고, 본체측으로부터 슬라이드홈에 끼워맞춤하여 슬라이드홈을 따라 미끄럼동작하는 작동손잡이가 배설된 갈고리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원이 없는 곳에서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퍼스널컴퓨터, 휴대 라디오 등에 발전 및 충전용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수동발전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로의 과부하에 의한 고장을 회피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의 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핸들을 갈고리형태로서 접을 수 있는 수동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수동발전기의 절단 단면도,
도 2는, 상기 도면의 래칫기어의 확대정면도,
도 3은, 상기 도면의 발판식으로 한 형태의 사시도,
도 4는, 과대토크 회피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과대토크 회피기구의 원통체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A)가 통상시, (B)가 개방시를 나타낸다.
도 6은, 과대토크기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전력조정부의 직렬회로와 병렬회로에 전환스위치를 설치한 형태의 회로도,
도 8은, 전력조정부의 회로도로서, (A)가 직렬회로, (B)가 병렬회로, (C)가 혼합회로를 나타낸다.
도 9는, 출력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로크기구부의 갈고리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로크기구부가 기기본체에 장착되고, 핸들부가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로크기구부가 기기본체에 장착되고, 갈고리체가 들어 올려진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로크기구부가 기기본체에 장착되고, 핸들부를 닫아 로크상태로 한경우의 사시도,
도 14는, 상기 도면의 단면도,
도 15는, 발판식 발전기에 로크기구를 장착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휴대용 수동발전기는, 핸들을 수동으로 왕복운동시켜 발전하는 발전기구부(10)와, 상기 핸들에 일정 이상의 부하가 가해진 경우에 이것을 회피하는 과대토크 회피기구부(20)와, 발전기구부에 2개 이상의 발전기를 배설하여 야기되는 전력의 전압 및 전류를 조정하는 전력조정부(30)와, 휴대용에 핸들을 접어서 콤팩트하게 수납가능한 로크기구부(40)로 이루어진다.
발전기구부(10)는, 도 1에서와 같이, 우선 복귀스프링(11a)을 통하여 왕복운동하는 수동핸들(11)에 랙기어(12)를 형성하고, 이 랙기어(12)에 피니언기어(13)를 맞물림시켜,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서,「수동」이란 자동에 대비되는 의미로서,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발판식의 페달로 조작하는 경우 등도 포함하는 의미이며, 따라서 핸들에는 발판식의 페달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피니언기어(13)에, 증속 또는 감속하는 전동기어(14a,14b,14c)를 연결하고, 상기 전동기어(14)의 앞에 핸들(11)의 왕복운동으로 좌우의 쌍방향으로 역회전하는 치차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기구가 설치된 래칫기어(15)를 연결한다.
상기 래칫기어(15)는, 도 2에서와 같이, 축기어(15a)와 축(15b)을 개재하여동축으로 내부기어(15e)를 형성한 림기어(15f)를 배설하고, 상기 축(15b)에 아암 (15c)을 축붙임하며, 거기에 내부기어(15e)와 맞물리는 돌기(15d)를 아암(15c)에 대하여 여유있게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붙임하여 구성된다.
축기어(15a)가 도면중의 우측으로 회전하면, 아암(15c)에 축붙임된 돌기 (15d)가 회전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회동하게 되며, 림기어(15f)의 내부기어 (15e)에 맞물림하여, 림기어(15f)도 회전한다. 한편 반대쪽으로 축기어(15a)가 회전하면, 돌기(15d)는 내부기어(15e)에 맞물림하지 않고, 공전상태로 되어, 축기어 (15a)의 회전은 림기어(15f)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즉 축기어(15a)의 회전은 좌우 어느 한 방향의 회전만이 림기어(15f)로 전달되고, 반대회전은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래칫기어(15)에, 전동기어(16)를 거쳐 3상 교류의 발전기(19)의 회전축 (18)에 축붙임한 회전기어(17)를 맞물림한다.
상기에서는, 핸들(11)을 손으로 움직이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도 3과 같이, 핸들(11)을 발판의 페달식으로 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도 발전기구부(10)의 구조는 같다.
상기 발전기(19)의 로터는, 강한 원심혁으로 기전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외측 로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상 교류 발전기로부터 정류기를 연결하여 직류로 변환하고, 소켓을 통하여 휴대 전화 등에 직류전력을 공급한다.
다음에, 과대토크 회피기구부(20)는, 상기 발전기구부(10)에 있어서, 전달기구의 일부, 예컨대 전동기어(14)의 일부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축(21)과 출력축(22)을 배설하고, 그 사이에 개재하여 설치된다. 상기 입력축(21) 및 출력축(22)의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오목홈(21a,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21)및 출력축(22)과 끼워맞춤하는 원통체(23)를 형성하고, 이 원통체(23)가 힌지부(24)를 통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하며, 그 내벽면의 일부에 입력축(21) 및 출력축(22)의 오목홈(21a,22a)과 끼워맞춤하는 볼록부(23a)를 형성함과 동시에, 원통체(23)의 개방측 가장자리부(25)에 구멍(26)을 형성하고, 거기에 가장자리부(25)를 닫힘방향으로 누르는 것이 일정 이상의 힘에서 수축하는 스프링(27)이 설치된 스톱퍼(28)를 배설한다.
힌지부(24)는, 도 5에서와 같이, 그 자체를 판스프링 형태로서 개방측으로 가압시키거나, 혹은 도 6에서와 같이 판스프링(23a)을 별개로 설치하여, 그것을 개방 가장자리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입력축(21) 및 출력축(22)의 오목홈(21a,22a)과 원통체(23)의 볼록부 (23a)는, 그 요철의 형태를 반대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전력조정부(30)는, 상기 발전기구부(10)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발전기(31a,31b,31c··)를 배설하고, 상기 래칫기구로부터의 전동치차에 복수의 발전기의 회전축을 연결한다.
상기 2개 이상의 발전기(31a,31b,31c··)에는, 직렬회로 및 병렬회로를 병설하여 서로를 연결하며, 그리고 상기 직렬회로와 병렬회로 사이에는, 그 회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전환스위치(32a,32b··)를 설치한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2개 이상의 발전기(31a,31b,31c··)를 배치하고, 그사이를 직렬(도 8A) 또는 병렬(도 8B)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로, 혹은 이것을 혼합시킨 회로(도 8C)로 하여도 좋다.
또한, 로크기구부(40)는, 도 10∼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1)의 일부에 갈고리받이(11b)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11)이 맞닿는 발전기의 본체측에 갈고리수납실(41)을 형성하며, 이 갈고리수납실(41) 내에 평상시에는 상기 실내에 들어가 있으나, 필요시에는 실외로 나타나는 갈고리체(42)를 배설한다. 또한 그 일부에는 후에 설명하는 작동손잡이(44b)가 미끄럼동작하는 슬라이드홈(41a)을 형성한다.
상기 갈고리체(42)는, 한 끝단에 회동축(43)을 축지지하고, 선단측에 갈고리홈(44a)을 배설한 끼움판(44)을 형성하고, 이 끼움판(44)의 일부와 본체측에 스프링(45)을 끼워설치하며, 슬라이드홈(41a)을 따라 미끄럼동작하는 작동손잡이(44b)를 배설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휴대용 발전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발전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핸들(11)을 쥐고 밀어누름을 반복한다. 이 때 핸들(1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우는 손으로 밀어누르지만, 도 3에서와 같이, 페달식으로 한 경우에는, 발로 밟는 형태가 된다.
그러면, 핸들(11)에 연결된 랙기어(12)가 피니언기어(13)를 회전시키고, 전동기어(14)를 거쳐, 래칫기어(15)의 축기어(15a)를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래칫기구의 작용으로, 핸들(11)의 왕복운동으로서 좌우에 회전하는 축기어(15a)에 대하여, 림기어(15f)에는 좌우중의 어느 한쪽의 회전이 전달된다.
따라서, 랙기어(12)와 피니언기어(13)에 의해 핸들의 왕복운동이 좌우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그 후 전동기어(14a,14b,14c)를 거쳐서 래칫기어(15)에 의해 좌우의 회전으로부터 한 방향의 회전력이 생기고, 이 회전력에 의해 발전기(19)를 원활하게 회전시킨다. 그리고 발생된 기전력은, 소켓을 거쳐서, 휴대 전화, 휴대 퍼스널컴퓨터, 휴대 라디오 등으로 공급된다.
다음에, 이 핸들(11)에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일정 이상의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그 상태에서는 큰 부하가 기구를 손상시켜 고장의 원인이 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을 회피한다.
즉, 평상시에는, 과대토크 회피기구부(20)의 스프링(27)의 탄성으로 원통체 (23)가 닫혀져 있고, 입력축(21)으로부터의 회전력은 오목홈(21a,22a)과 볼록부 (23a)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출력축(22)으로 전달되며, 입력축(21) 측으로부터의 회전력이 그대로 출력축(22) 측으로의 회전력으로 되어 전달된다(도 4 참조).
그러나, 입력축(21)에 일정 이상의 큰 부하가 생긴 경우에는, 그 큰 회전토크로서 원통체(23)의 가장자리부(25)가 스프링(27)의 탄성력을 넘어서 개방방향으로 회동하고, 스프링(27)이 수축하여, 힌지부(24)를 통해 원통체(23)가 열린다(도 5B 참조). 그 결과 입력축(21)의 오목부(21a) 및 출력축(22)의 오목부(22a)와 볼록부(23a)의 끼워맞춤이 해제되어, 입력축(21)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출력축 측으로 전달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핸들(11)에 어떠한 원인으로, 예컨대 발판식의 발전으로 한 경우에 페달에 물건 등이 떨어졌을 때, 그 상태에서는 기어 이외에 큰 토크가 발생하여 부품을 파손시켜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이것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2개 이상의 발전기(31a,31b,31c··)를 배설하여 전력조정기구(30)를 설치하면, 직렬회로와 병렬회로를, 전환스위치(32a,32b··)에 의해 사용자의 자유의사로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전환스위치(32a,32b··)로서 직렬회로를 선택하면, 각 발전기의 기전력의 전압을 적산(積算)할 수 있어, 예컨대 고전압이 요구되는 노트형 컴퓨터에 가장 바람직하게 되고, 한편 병렬회로를 선택하면, 공급하는 전류의 값을 증대할 수 있어, 예컨대 휴대전화의 충전에 적당한 것이 된다.
따라서, 1대의 휴대용 발전기로서, 휴대 전화, 휴대 퍼스널컴퓨터, 휴대 램프, 휴대 라디오 등의 용도에 따라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할 수 있어, 범용성(汎用性)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2개 이상의 발전기를 배치하고, 그 사이를 직렬 또는 병렬 중 어느 하나의 회로, 혹은 이것을 혼합시킨 회로로 한 경우에는, 구비된 발전기의 종류를 통일하여 부품수를 적게 함과 동시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의 로크기구부(40)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우선 평상시에는 스프링(45)의 가압력으로 갈고리체가 회전축(43)을 중심으로 갈고리 수납실(41) 내에 가라앉아 드러나지 않는 상태로 있어, 갈고리체(42)의 돌기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이것에 닿아 상처가 나는 등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도 11 참조).
그리고, 핸들을 접고 싶은 경우에, 작동손잡이(44b)를 쥐고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끼워맞춤된 슬라이드홈(41a)을 따라 미끄럼동작하고, 그것이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으로 되어,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끼움판(44)을 회동시킨다. 그러면 가라앉아 있는 갈고리체(42)가 갈고리수납실(41)로부터 모습을 드러낸다(도 12 참조).
따라서, 핸들(11)을 접는 방향으로 쥐고, 작동손잡이(44b)를 놓으면, 스프링 (45)의 복귀력에 의해, 회전축(43)을 중심으로 끼움판(44)을 복귀방향으로 회동시켜, 작동손잡이(44b)가 슬라이드홈(41a)의 끝단부가 수납되는 위치에서 갈고리홈 (44a)과 핸들(11)에 배설된 갈고리받이(11b)가 끼워맞춤하여, 핸들(11)이 접혀진 상태로 로크된다(도 13 참조).
따라서, 전체가 콤팩트하게 되어, 휴대가 편리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은, 전원이 없는 곳에서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퍼스널컴퓨터, 휴대 라디오 등에 발전 및 충전용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사용에 있어서, 핸들로의 과부하에 따른 고장을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공급하는 전력의 전압 또는 전류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들을 접어 콤팩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를 나타내는 유리한 발명이다.

Claims (4)

  1. 복귀스프링을 통하여 왕복운동하는 핸들에 랙기어를 연결하고, 이 랙기어에 피니언기어를 맞물림시키며, 이 피니언기어에 전동기어를 통하여 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기구를 개재한 래칫기어를 연결하고, 이 래칫기어에 발전기의 회전축을 맞물림하여, 상기 발전기로부터 소켓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수동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어의 일부에, 오목홈을 형성한 입력축과 출력축을 대치시키고, 그 사이에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과 끼워맞춤하는 원통체를 형성하며, 이 원통체를 힌지부를 통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하고, 그 내벽면의 일부에 입력축 및 출력축의 오목홈과 끼워맞춤하는 볼록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체의 개방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구멍에 닫힘방향으로 누르는 것이 일정 이상의 힘에서는 수축하여 개방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스톱퍼를 배설한 과대토크 회피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발전기.
  2. 복귀스프링을 통하여 왕복운동하는 핸들에 랙기어를 연결하고, 이 랙기어에 피니언기어를 맞물림시키며, 이 피니언기어에 전동기어를 통하여 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기구를 개재한 래칫기어를 연결하고, 이 래칫기어에 발전기의 회전축을 맞물림하여, 상기 발전기로부터 소켓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수동발전기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발전기를 배설하고, 이 발전기에 직렬회로와 병렬회로의 배선회로를 병설함과 동시에, 상기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전환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발전기.
  3. 복귀스프링을 통하여 왕복운동하는 핸들에 랙기어를 연결하고, 이 랙기어에 피니언기어를 맞물림시키며, 이 피니언기어에 전동기어를 통하여 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기구를 개재한 래칫기어를 연결하고, 이 래칫기어에 발전기의 회전축을 맞물림하여, 상기 발전기로부터 소켓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수동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어의 일부에, 오목홈을 형성한 입력축과 출력축을 대치시키고, 그 사이에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과 끼워맞춤하는 원통체를 형성하며, 이 원통체를 힌지부를 통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하고, 그 내벽면의 일부에 입력축 및 출력축의 오목홈과 끼워맞춤하는 볼록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체의 개방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구멍에 닫힘방향으로 누르는 것이 일정 이상의 힘에서는 수축하여 개방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스톱퍼를 배설한 과대토크 회피기구를 설치하고,
    2개 이상의 발전기를 배설하고, 이 발전기에 직렬회로와 병렬회로의 배선회로를 병설함과 동시에, 상기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전환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동발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핸들의 일부에 갈고리체와끼워맞춤하는 갈고리받이를 형성하고, 상기 핸들이 맞닿는 발전기의 본체측에 갈고리수납실을 형성하며,
    상기 갈고리수납실의 일부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 끝단에 회동축을 축지지하고, 선단측에 갈고리홈을 배설한 끼움판을 형성하여, 그 갈고리체의 일부와 본체측에 스프링을 끼워설치하고, 본체측으로부터 슬라이드홈에 끼워맞춤하여 슬라이드홈을 따라 미끄럼동작하는 작동손잡이가 배설된 갈고리체를 형성한 휴대용 수동발전기.
KR1020017008277A 1999-10-28 1999-10-28 휴대용 수동발전기 KR20010108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5987 WO2001031764A1 (fr) 1999-10-28 1999-10-28 Generateur manuel portati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056A true KR20010108056A (ko) 2001-12-07

Family

ID=1423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277A KR20010108056A (ko) 1999-10-28 1999-10-28 휴대용 수동발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0108056A (ko)
AU (1) AU6366899A (ko)
WO (1) WO2001031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1917B1 (en) 2000-12-22 2008-05-28 Freeplay Market Development Limited Handheld generator
WO2003019766A1 (en) 2001-08-22 2003-03-06 Albert Hartman Mobile electrical power source
GB2389719B (en) * 2002-06-13 2007-04-18 Alan Abraham Deal Mobile telephones and like devices
US6930403B2 (en) 2002-08-21 2005-08-16 High Tide Associates, Inc. Mobile electrical power source
KR200366788Y1 (ko) * 2004-08-24 2004-11-08 정창수 인력(人力)으로 발전(發電)한 전기를 전원(電源)으로사용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세트
EP1699131A3 (en) * 2005-03-03 2006-11-08 Wing On Pang Portable hand powered generator
US8585236B2 (en) 2011-08-05 2013-11-19 Stanton Tangeman Manually powerable portable electric device
JP5968644B2 (ja) * 2012-02-23 2016-08-10 株式会社リニア・サーキット ワイヤレスマウス用の発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79945U (ko) * 1971-12-28 1973-10-01
JPS5792702A (en) * 1980-11-30 1982-06-09 Eiichi Hirooka Manually operated generating electric torch
JPS58112438A (ja) * 1981-12-24 1983-07-04 Eiichi Hirooka 人力発電携帯装置
JPS58108629U (ja) * 1982-01-20 1983-07-23 三木プ−リ株式会社 過負荷保護装置
JPS61235216A (ja) * 1985-04-10 1986-10-20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太陽電池装置
JPH09329211A (ja) * 1996-06-06 1997-12-22 Higashifuji Seisakusho:Kk クラッチ付き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66899A (en) 2001-05-08
WO2001031764A1 (fr) 200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2906U (ja) 多機能携帯型太陽エネルギー充電器
JP2005508129A (ja) 二重入力を有するac/dcバッテリ作動電源
KR20010108056A (ko) 휴대용 수동발전기
US20140152241A1 (en) Recharging jacket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U2002342210A1 (en) Dual input AC/DC/battery operated power supply
CA2075413A1 (en) Cordless power tool
WO2003019339A2 (en) Portable computer
GB2281480A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WO1998042060A2 (en) Battery self-charger integrated in battery pack for a portable telephone set
US2008007295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Solar Cell Charging Capability
CN111885233A (zh) 电子设备
CN109786139A (zh) 一种附加式智能开关
US20090167032A1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with integral current genera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895681A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213252Y1 (ko) 휴대용 발전기
KR100332715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0125946Y1 (ko) 휴대용 발전 충전장치
CN210629166U (zh) 多功能移动电源
US2009010881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hargeable circuit
CN213342346U (zh) 一种充电手机壳
US20030161170A1 (en) Adapter with a DC electric power output and an AC electric power output
KR200212445Y1 (ko) 수동발전 충전 축전지
KR100318831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JPS6337019Y2 (ko)
KR20030068752A (ko) 자기충전기 내장형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