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266A - 휴대용 간이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간이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266A
KR20010105266A KR1020010027159A KR20010027159A KR20010105266A KR 20010105266 A KR20010105266 A KR 20010105266A KR 1020010027159 A KR1020010027159 A KR 1020010027159A KR 20010027159 A KR20010027159 A KR 20010027159A KR 20010105266 A KR20010105266 A KR 20010105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ction port
suction
chamber
portable si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리고에겐지
Original Assignee
도리고에 겐지
세라 코포레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리고에 겐지, 세라 코포레이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도리고에 겐지
Publication of KR20010105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02F1/5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조작에 의해 이용하고자 하는 의욕을 생기게 할 수 있는 휴대용 간이정수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잔류염소가 많아 음용하는 것에 약간 불안이 있는 수돗물에 대해서는 처리수를 토출시키는 토출구를 원수를 빨아 들이는 흡입구(3)와 겸용한 본체(A)만을 이용하고, 부유물을 포함하는 수질이 나쁜 물에 대해서는 부속품(B)을 병용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간이정수기{PORTABLE SIMPLE WATER-PURIFIER}
본 발명은 음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물을 얻기 위한 휴대용 간이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수돗물의 품질에는 정평이 있어 음용하더라도 아무런 문제는 없으나, 물에 대한 구애나 수원(水源)의 오염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정수기의 보급이 가속되고 있다.
그러나 어디에나 설치하는 데에는 걸맞지 않고, 가정에서는 항상 정수기로 처리한 물의 음용이 철저하게 되어 있어도 외출지에서는 미처리한 물을 음용할 기회가 많다.
휴대용 간이정수기가 있으면 어디서나 장소를 가리지 않고 처리수을 얻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지금까지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64-5615호 공보나 특개평7-313972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휴대용 간이정수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휴대용 간이정수기는 어느것이나 토출구의 반대측에 있는 공급구를 개방하여 그 공급구로부터 원수(原水)를 주입하고, 가압수단에 의해 토출구로부터 처리물을 토출시키는 구조로서, 서바이벌용으로서 채용하는 데에 충분한 능력을 구비하고 있으나, 공급구의 개폐를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원수의 주입조작이 번거롭고, 원수를 주입하는 데에는 일단 컵 등으로 옮기고 그 컵으로부터 주입하기 때문에 쏟기 쉽다.
그 때문에 음용으로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우리나라의 수돗물이나, 다소 입에 들어 가더라도 몸에 영향이 없는 예를 들면 외국에 있어서 현지에서 음용되고 있는 물을 처리하는 경우는 오히려 사용하기 불편하므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욕이 반감되고, 그 결과 모처럼 지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맛없는 물을 마시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용 간이정수기의 본체를 나타낸 설명도,
도 2a 및 도 2b는 그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본체에 장착되는 부속품의 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부속품을 장착한 경우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본체 B : 부속품
1 : 용적가변실 1a : 실린더
1b : 피스톤 2 : 여과실
3 : 흡입구 4 : 주여과재
5 : 보조여과재 6 : 용기
6' : 컵 7 : 원수(原水)
8 : 흡입전용구 9 : 토출전용구
10 : 필터 11, 12 : 체크밸브
본 발명은 취급이 용이하면서 높은 기능의 휴대용 간이정수기로서, 그 구성은 용적가변실에 토출구을 겸한 흡입구를 설치하고, 그 흡입구와 상기 용적가변실과의 경계부에 구리섬유를 주체로 한 여과재를 배치하여 용적가변실의 확대조작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용적가변실내로 물을 빨아 들일 때와, 용적가변실의 축소조작에 의해 일단 용적가변실내로 빨아 들인 물을 흡입구로부터 토출시킬 때와의 2회에 걸쳐 상기 여과재내에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수중의 잔류염소제거와 살균을 목적으로 한 데에 있다.
그리고 흡입구에는 그 흡입구로부터 두 갈래로 나뉘어져 한쪽에는 흡입 시에 폐쇄되는 체크 밸브를, 다른쪽에는 토출시에 폐쇄되는 체크밸브와 필터를 각각 구비하여 긴급재해 시나 레저 시에도 사용 가능한 부속품을 착탈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간이정수기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A는 통형상의 실린더(1a)와 피스톤(1b)으로 구성된 주사기 타입의 본체이고, 이 본체(A)내에는 실린더(1a)에 대하여 피스톤(1b)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용적이 변화하는 용적가변실(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a)의 선단에는 그 실린더(1a)와 동축상에 여과실(2)이 연달아 설치되어 있어, 그 여과실(2)의 선단중앙에는 토출구를 겸한 흡입구(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실(2)내에는 구리섬유로 이루어지는 주여과재(4)와, 활성탄, 아황산칼슘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여과재(5)가 충전되어 있다.
구리섬유로 이루어지는 주여과재(4)는 살균 및 탈염소능력이 높아 수중에 포함되는 균의 살균 및 수돗물에 포함되는 잔류염소의 제거에 매우 유효하다.
본체(A)의 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하여 흡입구(3)를 적당한 용기(6)내에 넣은 원수(7)중으로 몰입시켜 피스톤(1b)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흡입구(3)로부터 용적가변실(1)내로 원수(7)를 빨아 들인다(도 2a).
원수(7)는 흡입구(3)로부터 용적가변실(1)내로 빨아 들여지는 흡입과정에서 주여과재(4)와 보조여과재(5)를 통과하고, 그 때 세균을 포함하는 물에 대해서는 살균, 잔류염소를 많이 포함하는 물에 대해서는 잔류염소가 제거된다.
용적가변실(1)내로 원수(7)를 소정량을 빨아 들였으면 그 상태에서 피스톤 (1b)을 실린더(1a)내로 밀어 넣어 흡입구(3)로부터 처리수를 용기(6)내로 되돌리거나 흡입구(3)를 원수(7)의 밖으로 내보내 상기 용기(6)와는 다른 용기, 예를 들면 컵(6') 등의 입구에 대고 흡입구(3)로부터 처리수를 토출시켜 주입한다(도 2b).
이 토출과정에서도 살균과 잔류염소의 제거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결과 피스톤을 1회 왕복조작하는 것만으로 살균과 잔류염소의 제거가 2번 반복하여 실행된 순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질레벨이 안정되어 있는 수돗물이나 음용 가능하다고 표기되면서도잔류염소가 많이 포함되는 물, 또는 세균이 포함되는 물은 상기 사용방법에 의해 처리하는 것만으로 물에 구애를 가지는 사람이어도 안심감과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이 정수기 본체(A)에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흡입구에 대하여 착탈 자유로운 부속품(B)이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부속품(B)은 통형상으로 내경(內徑)을 본체(A)에 있어서의 여과실(2)의 바깥 둘레에 합치시킴으로써 본체(A)의 흡입구(3)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본체(A)에 장착한 경우 흡입구(3)를 두 갈래로 나누도록 선단부에 흡입전용구(8)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측부에 토출전용구(9)가 돌출 설치되고, 흡입전용구(8)에는 필터(10)와 토출 시에 폐쇄되는 체크밸브(11)를, 한편 토출전용구 (9)에는 흡입 시에 폐쇄되는 체크밸브(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체(A)에 대하여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속품(B)을 장착하면 피스톤 (1b)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당기면 토출전용구(9)는 체크밸브(12)로 폐쇄되어 흡입전용구(8)만으로부터 부유물의 제거 및 살균, 잔류염소의 제거가 된 원수가 용적가변실내(1)로 빨려 들어가(도 4a), 피스톤(1b)을 밀어 넣으면 흡입전용구(8)에 설치된 체크밸브(11)에 의해 흡입전용구(8)가 폐쇄되어 상기 용적가변실 (1)내로 빨아 들여진 원수는 다시 살균 및 잔류염소의 제거가 되어 처리물로서 토출전용구(9)만으로부터 토출된다(도 4b).
상기 부속품(B)은 재해 시 등에 있어서, 일정레벨의 수질확보가 어렵고, 원수에 부유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 원수를 흡입전용구로부터 흡입 시에 필터 (10)로 부유물을 제거하고 토출전용구로부터 토출시킴으로써 음료용의 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서 사용한다.
또 사용 시에 있어서 토출구의 돌출부에 튜브를 접속하여 그 튜브의 선단을 피처 등의 용기내로 도입하여 필터에 부착된 부유물을 처리수내로 혼입시키지 않 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는 본체를 수동식 주사기타입으로 하였으나, 주름상자형상의 스포이드식으로 할 수도 있고, 또한 수동식 뿐만 아니라 크랭크기구 등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가동시키는 전동식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여과실은 용적가변실에 대하여 착탈자유롭게 함으로써 여과재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독립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용적가변실에 있어서의 흡입구와의 경계를 포함하는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여과재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카트리지방식을 채용하여 넣음으로써 원터치로 교환가능하게 하거나, 천연석이나 인공의 다공성 세라믹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간이정수기는 어떠한 장소에서도 간단하게 물을 처리할 수있어, 음용 가능하다고 표기되면서도 잔류염소가 많이 포함되는 수돗물이면 염소냄새가 나지 않는 순수로, 또 음용하는 데 불안이 있는 경우는 살균처리될 수 있다.
또한 부속품을 이용하면 수질이 나쁜 조건하에 있더라도 부유물을 필터로 걸러 음용 가능한 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

  1. 용적가변실에 토출구을 겸한 흡입구를 설치하고, 그 흡입구와 상기 용적가변실과의 경계부에 구리섬유를 주체로 한 여과재를 배치하여 용적가변실의 확대조작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용적가변실내로 물을 빨아 들일 때와, 용적가변실의 축소조작에 의해 일단 용적가변실내로 빨아 들인 물을 흡입구로부터 토출시킬 때와의 2회에 걸쳐 상기 여과재내에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수중의 잔류염소제거와 살균을 목적으로 한 휴대용 간이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흡입구에 그 흡입구로부터 두 갈래로 분리되어 한쪽에는 흡입 시에 폐쇄되는 체크밸브를, 다른쪽에는 토출 시에 폐쇄되는 체크밸브와 필터를 각각 구비하여 긴급재해 시나 레저 시에도 사용 가능한 부속품을 착탈자유롭게 설치한 휴대용 간이정수기.
KR1020010027159A 2000-05-19 2001-05-18 휴대용 간이정수기 KR200101052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8739A JP2001327959A (ja) 2000-05-19 2000-05-19 携帯用簡易浄水器
JP2000-148739 2000-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266A true KR20010105266A (ko) 2001-11-28

Family

ID=1865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159A KR20010105266A (ko) 2000-05-19 2001-05-18 휴대용 간이정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008062A1 (ko)
JP (1) JP2001327959A (ko)
KR (1) KR200101052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5311B2 (en) 2002-01-31 2004-12-28 Koslow Technologies Corporation Microporous filter media, filtration systems containing s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EP2070874A1 (en) * 2007-12-13 2009-06-17 Creaholic SA Water purification device
WO2010011984A2 (en) * 2008-07-24 2010-01-28 O'brien Paul W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JP2011036756A (ja) * 2009-08-07 2011-02-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濾過装置
US8313644B2 (en) * 2010-01-13 2012-11-20 OZOlab Bottle with an integrated filtration assembly that is manually operated using a plunger
US9333447B2 (en) * 2012-10-19 2016-05-10 Warsaw Orthopedic, Inc. Filtration device
KR101696280B1 (ko) * 2015-04-21 2017-01-13 유지형 정수 기능 다용도 물병
US10106444B2 (en) 2016-09-19 2018-10-23 Sheila Erin Harvie Vitality stick system and method
US10326371B2 (en) * 2017-08-23 2019-06-18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roviding adaptive output power
CN107413108A (zh) * 2017-09-25 2017-12-01 四川出入境检验检疫局检验检疫技术中心 定量取水试管与水过滤器的组合装置
MY195849A (en) * 2018-09-05 2023-02-23 Kin Mun Chin Device for Filtering
CN109603276A (zh) * 2018-12-27 2019-04-12 刘俊 一种厨房污水初步分离处理器
CN109796064B (zh) * 2019-04-10 2022-03-22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加压伸缩超滤杯
US11235999B2 (en) 2019-12-06 2022-02-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ater treatment system
JP7405463B1 (ja) 2022-10-31 2023-12-26 株式会社ユニケミー 学習用水処理器及びそれを用いた学習用水処理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08062A1 (en) 2002-01-24
JP2001327959A (ja) 200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5266A (ko) 휴대용 간이정수기
US7507338B2 (en) Universal water purifier unit assembly device
US6919025B2 (en) Portable drinking device
US8216462B2 (en) Portabl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US8425771B2 (en)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US8318011B2 (en) Portabl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US8394268B2 (en)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US20090179046A1 (en) Pressurized fluid delivery system with filter and associated method
JP2010504197A (ja) 浄水装置
JP2007268342A (ja) 濾過システム
KR200191317Y1 (ko) 휴대용 정수기
WO2010011984A2 (en)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WO2008013068A1 (fr) Purificateur d'eau
JPH0351033Y2 (ko)
KR200237669Y1 (ko) 휴대용 정수기
KR20160121292A (ko) 휴대용 수동식 정수기
KR200168473Y1 (ko) 휴대용 정수장치
KR102422426B1 (ko) 휴대용 고도정수장치
US6919022B2 (en) Portable drinking device with integral H202 dispenser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WO2004063098A9 (en) Pulsed electric field sanitization system and system components
JPH07328660A (ja) 浄水装置
KR20000050150A (ko) 농축산 오폐수 정화 시스템
RU2204433C2 (ru) Переносной фильтр
KR940002422Y1 (ko) 저수식 정수기용 여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