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223A - 유체 제어장치 및 유체 계량기의 바이패스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제어장치 및 유체 계량기의 바이패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223A
KR20010104223A KR1020010024598A KR20010024598A KR20010104223A KR 20010104223 A KR20010104223 A KR 20010104223A KR 1020010024598 A KR1020010024598 A KR 1020010024598A KR 20010024598 A KR20010024598 A KR 20010024598A KR 20010104223 A KR20010104223 A KR 20010104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trol device
valve
main
selecto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996B1 (ko
Inventor
노바섹윌리엄존
스미스에런윌리엄
Original Assignee
존 씨. 메티유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씨. 메티유,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존 씨. 메티유
Publication of KR2001010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B62D5/087Sliding spo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1/00Fluid couplings or clutches with pumping sets of the volumetric type, i.e. in the case of liquid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per revolution
    • F16D31/02Fluid couplings or clutches with pumping sets of the volumetric type, i.e. in the case of liquid passing a predetermined volume per revolution using pumps with pistons or plungers working in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조향 실린더(19)쪽으로의 유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체 제어장치(17)가 수정되어 두개의 작동 위치를 갖는 선택자 밸브 조립체(41, 73)를 포함한다. 제1 위치(도 1의 "R")에 있어서, 차량이 "로딩" 모드에 있을 때 사용되기 때문에, 선택자 밸브(73)는 정상적 방식으로 주 유체 경로(53)를 통해 유체의 흐름을 허용한다. 제2 위치(도 1 및 도 3의 "W")에 있어서, 상기 선택자 밸브(73)는 제어장치의 밸브(31, 33)로의 팔로우엎 운동(51)을 정상적으로 제공하는 유체 계량기(43)을 통과하는 유출량을 차단하고, "작업" 모드에서는 유체 계량기를 바이패스시킨다. 따라서, 정상적 조향 도중에 요구되는 것처럼 조향휠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킬 필요없이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31, 33)에 대한 원하는 편각에 상응하는 양만큼 조향휠(27)을 단순히 회전시킴으로써 정상적인 유출율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제어장치 및 유체 계량기의 바이패스 장치{FLUID CONTROLLER AND FLUID METER BYPASS ARRANGEMENT}
본 발명은, 가압 유체원으로부터 나와 자동차 조향용 조향 실린더(steering cylinder) 등과 같은 유압 작동장치로 가는 유체의 유출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형태의 유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체 제어장치에 대한 수동 입력과 이 제어장치로부터 나가는 유체의 유출율 사이의 관계에 대해 최소한 서로 다른 두 작업 모드를 갖는 유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 많은 형태의 다양한 구조와 실시예를 갖는 유체 제어장치와 관련되어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비포장 도로형(off-highway type)의 차량에 사용할 목적으로 완전 유체 연계(full-fluid-linked) 조향 제어장치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하며, 그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 형태의 유체 제어장치는 다양한 유체 포트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또한 유체 계량기(fluid meter), 주 유체 경로를 형성하는 밸브 수단, 및 상기 유체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출량에 따라 밸브 수단에 대한 상기 밸브 수단의 팔로우엎(follow-up) 이동을 부여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 수단을 통과하는 유체는 주 유체경로 내의 가변 유체 제어 오리피스의 면적에 정비례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유체제어 오리피스의 면적은 통상 조향 휠이 회전하는 비율에 비례한다.
본 발명이 관련되는 형태의 완전 유체 연계 조향 제어장치에 대한 통상적인 예는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차량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차량은 두개의 작업 모드중 하나의 작동 상태로 사용된다. 첫째, 상기 차량은 작업장에 도달하기 위해 정상적인 로딩 속도의 "로딩(roading)" 모드로 작동, 즉 도로상에서 구동된다. 둘째, 상기 차량이 비교적 저속도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차량은 작업장에서 "작업(working)" 모드로 작동될 수 있어 먼지더미 등을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작업관련 여러 작동을 수행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작동에 대한 로딩 모드 및 작업 모드는 아주 다양한 조향 요건들을 제시한다. 차량을 로딩시킬 때는, 비교적 저이득율(low gain rate)이 바람직하지만, 작업 모드로 작동할 때는, 비교적 고이득율(high gain rate)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이득율"이란 용어는 (차량의 조향휠의 회전과 같은 것이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주어진 조향 입력량에 대해 조향된 휠 위치의 변화율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완전 유체 연계 조향 제어장치로써는, 로딩시키는 것이 통상 허용될 수 있는 동안에는 상기 이득율이 실제로 일정한 것이어서 결과적으로 차량 운전자에 의한 조향 운동량이 되지만, 통상적인 근무일에 작업장에서 요구되는 조향운동의 량은 작업자를 지나치게 피로하게 만들 수 있다.
작동에 대한 운전자의 별도 로딩 모드 및 작업 모드를 제공하는 조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하나의 기법은 차량 운전자에게 로딩 모드에서 필요할 때 사용할 목적의 조향휠을 제공하는 것과 작업 모드에서 차량이 필요할 때 사용할 목적의 조이스틱(joy stick)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조향휠은 로딩 모드에 대해 바람직한 자동차를 구동하는 것과 어느 정도 동일한 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하지만, 조이스틱은 작업 모드에 사용하는 데 바람직한 비교적 작은 운전자의 입력(큰 이득율)으로 비교적 큰 조향상의 변화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조향휠/조이스틱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관계되는 하드웨어(hardware)의 관점에서 시스템의 전체 비용 및 복잡성이 실질적으로 추가되어, 결과적으로 조향휠에 의해 조작되는 시스템의 일부를 조이스틱에 의해 조작되는 시스템의 일부와 조정하기 위해 복잡해지고 비용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에 대한 로딩 모드와 작업 모드를 모두 제공할 수 있지만 앞서 설명한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 사용하는 개선형 유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목적은, 단일 조향 입력장치만을 요함으로써 선행기술의 단점인 서로 다른 두개의 조향 입력들 사이에서 조정해야 할 필요성을 극복하는 한편 앞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개선형 유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딩 모드 및 작업 모드 모두가 단일 유체 제어장치내에서 이루어 질 수 있게 됨으로써 선행기술의 단점인 과도하면서 복잡한 하드웨어를 극복하는 차량용의 개선형 조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 모드로 작동될 때 운전자의 조향 운동량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 사용할 목적의 개선형 유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압 유체원으로부터 나와서 유압 작동장치로 가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 작동가능한 개선형 유체 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유압원(the source of fluid)에 대해 연통시키는 입구 포트를 형성하는 하우징 수단과, 유압 작동장치에 대해 연통시키는 제1 제어장치 유체 포트 및 제2 제어장치 유체 포트를 포함한다. 제어장치의 밸브수단은 하우징 수단 내에 위치하고 있어, 하우징 수단과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이,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입구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제어장치 유체 포트까지 유체의 연통을 이루는 한편 주 유체경로를 통과하여 유체 유출량에 통상 비례하는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에 대해 대응하는 이동을 부여하는 유체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주 유체경로를 서로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위치와, 중립위치를 형성한다. 상기 유체 작동수단은 상기 대응하는 이동을 제공하는 회전가능한 측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개선형 유체 제어장치는, 주 유체경로를 통과해 정상적으로 흐를수 있게 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유체 입구 포트와 상기 유체 작동수단 사이를 주 유체경로내에서 연속적으로 흘러가는 상태로 위치하는 선택자 밸브수단(selector valve means)으로 특징지워진다. 상기 선택자 밸브수단은 제2 위치로 작동가능하여 유체 작동수단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출을 차단하는 한편 유체 작동수단을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주 유체경로를 통과하여 흘러갈 수 있게 하지만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의 팔로우엎 이동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유체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수력학적 동력 조향 시스템(hydrostatic power steering system)에 대한 어느 정도 개략화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체 제어장치 일부의 축방향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보다 더 작은 축적으로 및 도 2의 3-3선 상에서 취한 횡단면도.
도 4는 도 3보다 약간 더 작은 축적으로 및 도 2의 4-4선 상에서 취한 횡단면도.
도 5는 도 4와 동일 축적으로 및 도2의 5-5선 상에서 취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두 작업 모드를 비교하여 일초 동안에 특정 유출량을 확보하기 위한 조향휠의 회전(단위 : 도)에 대해 최대로 가능한 유출량에 대한 백분율(%)로서의 유출량에 대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유체 제어장치 19, 27 : 조향 실린더
31 : 주 밸브부재 33 : 팔로우엎 밸브부재
41, 73 : 선택자 밸브 43 : 유체 작동수단
45 : 링부재 47 : 유성형 부재
53 : 주 유체 경로 81, 83, 85 : 유압 작동수단
지금부터 도면을 참조하면, 그 의도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도 1은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제조된 유체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수력학적 동력 조향 시스템에 대해 어느 정도 개략화된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은 고정 이동 펌프(fixed displacement pump)로서 본원에 도시되어 있고 시스템의 리저버(reservoir)에 연결된 입구를 갖는 유체 펌프(11)를 포함한다. 펌프(11)의 출력은 유체 제어장치(17)의 입구 포트(15)와 연통되어 있다.
계속 도 1을 참조하면, 유체 제어장치(17)는 펌프(11)로부터 나와 조향 실린더(19)로 가는 유체의 흐름, 또는 일부 기타의 적절한 유압작동 조향 액츄에이터 또는 장치를 제어한다. 유체 제어장치(17)는 조향 실린더(19)의 양끝에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제어장치(실린더) 유체 포트(21, 23)를 포함한다. 또한, 유체 제어장치(17)는 리저버(13)로 유체를 복귀시키는 복귀 포트(25)를 포함한다.
유체 제어장치(17)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 미합중국특허 제4,759,182호 및 제5,080,135호의 내용에 따라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요한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향휠에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향 입력장치는 기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그 모두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알 수 있어야 하겠지만, 유체 제어장치(17)는 종래의 조향휠(27)로 되어 있듯이 도 1에 도시된 단일 조향 입력에 의해서만 작동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를 가능하게 하므로, 단일 조향 입력장치만 사용하여 복수의 조향 입력장치로 인한 복잡성과 비용을 피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과 관련하여, 유체 제어장치(17)는 밸브 하우징(29)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는 그 속에 위치한다. 주 실시예에 있어서, 및 예시에 의해서만,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는, 이하 "스풀밸브"로서 언급되는 주 밸브부재(31), 및 이하 "슬리이브 밸브"로 언급되는 팔로우 엎(follow-up) 밸브부재(33)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29)은 그 기능이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지만 간략하게 설명하게 될 복수의 계량기 통로(meter passage)(35)를 형성한다. 복수의 포트(39)를 형성하는 포트 플레이트(37)는, 하나의 포트(39)가 계량기 통로(35) 각각의 끝에 위치하며 이 통로 각각과 개방 연통하는 상태로, 밸브 하우징(29)과 인접 위치하고 있다. 스풀밸브(31) 및 슬리이브 밸브(33)는 상기 인용된 미합중국특허 제5,080,135호의 "넓은 각(wide angle)"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넓은 각에 의해, 스풀밸브 및 슬리이브 밸브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유출량 제어 오리피스는 스풀밸브와 슬리이브 밸브 사이의 상대 이동(편각)이, 종래 많은 제어장치의 10도에서부터 20도의 최대 편각이라기 보다는 약 35도에서부터 45도 또는 50도까지의 범위에 들어갈 때까지 최고 오리피스 면적에 다다르지 못함을 의미한다.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하게 될 선택자 밸브부(41)은 포트 플레이트(37)의 뒤쪽에 위치한다. 선택자 밸브부(41)는 2위치, 3방향, 압력 파일럿 작동 유체 제어밸브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유체 계량기(43)는 선택자 밸브부(41)의 뒤쪽(도2에서 왼쪽으로)에 위치하고있다(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유체 계량기(43)는 내부에 이빨이 있는 링부재(45)를 포함하며, 외부에 이빨이 있는 유성형 부재(47)은 상기 링부재(45) 내부에서 동심원상으로 위치하고 있다. 링부재(45) 및 유성형 부재(47)의 내외부 이빨은 각각 팽창 및 수축하는 다수의 유체 체적 체임버(49)(도 5에 잘 도시되어 있음)를 서로 형성한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계량되지 않은 유체가 팽창하는 체적 체임버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유성형 부재(47)는 상기 링부재(45)의 내부에서 궤도를 타고 회전하며, 이러한 궤도를 타서 회전하는 운동의 결과로서, 그 후 계량된 유체가 수축하는 체적의 체임버로부터 나와서 연통된다. 이런 식으로, 유체 계량기(43)는 이를 통해 흐르는 유체를 측정(또는 계량)하며, 이외에도 유체 계량기(43)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출량에 비례하는 출력 운동(즉, 유성형 부재(47)의 궤도를 타고 회전하는 운동)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체 제어장치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성형 부재(47)의 출력 운동은 구동축(51)에 의해 연통되어 본원에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앞서 인용한 여러 특허에서 나타낸 방식으로 전달되어 팔로우엎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팔로우엎 운동은, 조향작동 완료시에 1차 밸브부재(31)에 대해 밸브부재(33)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경향을 보이면서, 팔로우엎 밸브부재(33)로 전달된다. 앞서 설명했던 것은, 선택자 밸브부(41)가 도 1에서 "R"로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발생되는 정상적 로딩 모드로 유체 제어장치(17)가 작동할 때의 작동부이다.
종래의 방식으로, 유체 계량기(43) 및 선택자 밸브부(41)는, 도 2에서는 그 중 하나만 도시하였지만 그들 모두를 도 3, 4 및 5에 횡단면으로 도시한 복수의 볼트(B)에 의해 밸브 하우징(29) 및 포트 플레이트(37)과 견고히 씰링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유체 제어장치(17)가 정상적 로딩 모드로 작동할 때, 차량 운전자에 의한 조향휠(27)의 회전에 의해 슬리이브 밸브(33)에 대해 스풀 밸브(31)가 이동된다. 상기 슬리이브 밸브(33)에 대해 스풀밸브(31)를 이렇게 이동시키면, 입구 포트(15)로부터 유체 계량기(43)을 거쳐 제어장치의 유체 포트(21)로 연통시키는 주 유체 경로(53)을 개방시킨다. 이 주 유체 경로(53)는 일련의 유체 제어 오리피스를 포함하며, 주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는 고정 오리피스이고 일부는 가변 오리피스(즉,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면적이 스풀(31) 및 슬리이브(33)의 관련 이동에 비례하여 변화한다)이다. 이러한 오리피스들은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체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은 아니며,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유체 제어 오리피스는 관습적으로 A1 ; A2; A3; A4 및 A5로 지정되어 있다. 도 1에서는, A5 오리피스가 주 유체 경로(53)로 설명했던 부분은 실제로 아니지만 대신 조향 실린더(19)의 "복귀"측 상의 제어장치의 유체 포트(23)와 복귀 포트(25) 사이를 연통하는 복귀 경로부란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주 유체 경로"에 대한 여기서의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참조자료는 도 1의 경로(53) 또는 경로(53)에다 포트(23)으로부터 나와 복귀 포트(25)로 가는 복귀 경로를 의미하거나 포함함을 이해할 것이다.
주 실시예의 중요한 한 특징에 따르면, 유체 제어장치(17)는 가변 확대 오리피스(57)를 포함하여, 주 유체 경로(53)와 나란히, 확대 유체 경로(55)를 갖는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확대 유체 경로(55) 및 가변 확대 오리피스(57)는, 앞서 인용된 미합중국특허 제4,759,182호의 내용에 따라 스풀밸브(31)와 슬리이브 밸브(33)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대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확대 유체 경로(55)는 주 유출량 제어 오리피스(A1)의 주 유체 경로(53)의 하류(downstream)와만 연통(이 경로로부터 나오는 유체를 수용)하며, 그 후 다시 유출량 제어 오리피스(A4)의 주 유체 경로(53)의 하류와만 연통한다(이 하류로만 흘러 들어간다). 확대 유체 경로(55)의 주목적은 유체 계량기(43)를 통과하는 유출량을 확충하는 것, 즉 유체 계량기(43)의 크기가 원래 및 자연스럽게 허용하는 것보다 조향 실린더(19)쪽으로 더 많은 총 유출량을 연통시키는 것이다.
지금부터 주로 도 2, 3 및 4를 참조하면, 선택자 밸브부(41)는 선택자 밸브 하우징(61), 및 하우징(61)의 어느 한 축방향 끝상에서, 스페이서 플레이트(63)를 포함한다. 포트 플레이트(37)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스페이서 플레이트(63)는 이하에서 전방 스페이서 플레이트로 언급될 것이지만, 유체 계량기(43)에 인접한 스페이서 플레이트(63)는 이하에서 후방 스페이스 플레이트로 언급될 것이다. 상기 두개의 스페이서 플레이트(63)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제어장치의 총 부품수를 감소시켜 그 조립체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제어장치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계량기 통로(35, 39)는 종래의 유체 제어장치내에서 각각의 유체 체적 체임버(49)와 정렬된다. 선택자 밸브부(41)는 유체 유출량에 대해 포트 플레이트(37)와 유체 계량기(43) 사이에 실제로 위치한다. 따라서, 스페이서 플레이트(63)의 기능은 계량기 통로(35, 37)로부터 나오는 유체를 (이어서 설명할 예정인) 선택자 밸브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송"하고, 그 후 선택자 밸브로부터 체적 체임버(49)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이송한다.
도 4를 주로 참조하면, 각각의 스페이서 플레이트는 복수의 관통 보어(65)를 형성하고, 각각의 보어(65)와 연통하는 것은 스페이서 플레이트(63)의 축방향 끝면(69)에 형성된 각진 리세스(67)이다. 전방 스페이서 플레이트(63)는 각각의 포트(39)와 연통하는 상태로 된 각각의 리세스(67)의 반경방향 바깥쪽 끝을 갖는 반면 후방 스페이서 플레이트(63)는 각각의 체적 체임버(49)와 연통하는 상태로 된 각각의 리세스(67)의 반경방향 바깥쪽 끝을 갖는다.
도면으로부터 구동축(51)이 생략된 도 3을 주로 참조하면, 선택자 밸브 하우징(61)은 통상 원통형 밸브 체임버(71)를 형성하고 이 체임버(71)에 위치하는 것은 회전가능한 통상 원통형 선택자 밸브(73)이다. 이 선택자 밸브(73)에 의해 이루어지는 밸브의 작용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또한, 선택자 밸브 하우징(61)은 횡단 보어(75), 부속품(77)이 마련되어 있는 보어(75)의 왼쪽 끝, 부속품(79)이 마련되어 있는 보어(75)의 오른쪽 끝을 형성한다. 유압 제어장치(파일럿 제어장치) 분야의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부속품(77, 79)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할 예정인 각각의 두 작동 위치 사이에서 안내되거나 이동되는 유압 수단으로 도 1의 개략도에 도시되어 있다. 횡단 보어(75)내에 위치하는 것은 한쌍의 파일럿 피스톤(pilot piston)(81, 83)이며 이 피스톤(81, 83)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은 선택자 밸브(73)에 형성된 보어(87)(도 2 참조) 내에 수용된 레버 부재(85)이다.
따라서, 파일럿 압력이 부속품(77)을 통해 연통되어 부속품(79)으로부터 나와 배출될 때, 파일럿 피스톤(81)이 도 3에 도시된 피스톤의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부속품(77) 내 파일럿 압력이 배출되어 파일럿 압력이 부속품(79)을 통해 연통된다면, 파일럿 피스톤(83)은 도3의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약 20도 정도 선택자 밸브(73)를 회전시키면서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밀쳐질 것이다.
이제 주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선택자 밸브(73)는 복수의 축방향 보어(91)를 형성하며, 축방향 보어(91)의 수는 체적 체임버(49)의 수와 같고 또한 각각의 스페이서 플레이트(63)내 관통 보어(65) 및 리세스(67)의 수와 같다. 각각의 축방향 보어(91)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선택자 밸브(73)의 전방 끝면은 얕은 반경방향 리세스(93)를 형성한다. 선택자 밸브(73)가 도 3에 도시된 회전 위치에 있으면, 각각의 리세스(93)는 선택자 밸브 하우징(61)의 전방 축방향 면에 형성된 얕은 반경방향 리세스(95)와 연통하는 상태로 된다. 반경방향 리세스(95)는 각각 그 기능을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환형 체임버(97)와 개방 연통하는 상태로 된다.
[작동]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로딩 모드로 조향할 수 있기를 원할 때, 인접한 리세스(93)의 반경방향 내부끝에 의해 도 3에서 차지하고 있는 반시계방향 위치로 각각의 축방향 보어(91)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자 밸브(73)를 회전시키면서 부속품(79)을 통하여 파일럿 압력을 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설명된 선택자 밸브(73)의 위치는 도 1에서 도시된 것에 해당하며 "R"로 지정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선택자 밸브(73)가 이동한 위치와 도 4를 비교함으로써, 전방 스페이서 플레이트(63)내 각각의 관통 보어(65)가 정상적 로딩 모드로 각각의 축방향 보어(91)과 연통하는 상태로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시에, 각각의 보어(91)는 후방 스페이서 플레이트(63)내 각각의 관통 보어(65)와 연통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정상적 로딩 모드로 선택자 밸브(73)가 이동된 상태로, 계량되지 않은 유체는 일부의 계량기 통로(35)를 통과해 축방향 보어(91)를 거쳐 팽창하는 체적의 체임버(49)까지 연통되는 한편, 동시에, 계량된 유체는 수축하는 체적의 체임버(49)로부터 나와 각각의 축방향 보어(91)를 거쳐 기타의 계량기 통로(35)까지 연통되어 있다. 로딩 모드에서는 전체 선택자 밸브부(41)가 제거되고 마치 유체 계량기(43)가 포트 플레이트(37)에 바로 인접해 위치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유체 제어장치(17)의 작동은 동일함을 이해해야 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알 수 있겠지만, 정상적 조향 모드 "R" 에서, 편각(deflection angle)이란 조향휠(27)의 회전 비율에 대한 함수인 스풀밸브(31)와 슬리이브 밸브(33) 사이의 이동을 말한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정상적 로딩 작업 모드에서는, 유체는 종래의 어느 유체 제어장치와도 동일한 방식으로 주 유체 경로(53)를 통과해 흐른다. 동시에, 조향 실린더(19)로의 총 유출량은, 유체 제어장치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유출 경로(53, 및 55) 내 유출량들의 합이다.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작업 모드로 조향하기를 원할 때, 부속품(77)을 통해 파일럿 압력을 연통시켜 시계방향으로 앞서 설명한 것으로부터 다시 돌아가 도 3에 도시된 작업 모드 위치, 즉 도 1에서 "W"로 지정된 위치로 선택자 밸브(73)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선택자 밸브(73)가 작업 모드 위치에 있을 경우, 전방 스페이서 플레이트(63)내 각각의 관통 보어(65)는 각각의 반경방향 리세스(93)와 개방 연통하는 상태로 되고, 차례대로 각각의 리세스(93)는 각각의 반경방향 리세스(95)를 통해 환형 체임버(97)와 연통한다. 환형 체임버(97)는 유체 계량기(43) 주위의 바이패스 경로로 도시되어 있음에 주의하기 바란다.
선택자 밸브(73)가 도 3의 작업 모드 위치 "W"에 있을 경우, 축방향 보어(91) 내 유체가 그 속에서 단순히 막히도록 각각의 축방향 보어(91)는 전방 및 후방 스페이서 플레이트(63) 내 각각의 관통 보어(65)와 연통하지 않게 된다. 동시에, 후방 스페이서 플레이트(63) 내 각각의 관통 보어(65)는 선택자 밸브(73)의 인접한 축방향 끝면에 의해 유출이 차단되게 한다. 유체 제어장치가 작업 모드로 작동하는 동안, 후방 스페이서 플레이트(63) 내 각각의 리세스(67)의 유체뿐만 아니라 각각의 체적 체임버(49) 내 유체도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유성형 부재(47)는 정상적 궤도를 타고 회전하는 운동으로 맞물리지 못하지만 대신 효과적으로 유체가 갇혀서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구동축(51)에 의해 유성형 부재(47)로부터 팔로우엎 밸브 부재(33)로 전달되는 팔로우엎 이동은 없다.
따라서, 유체 제어장치(17)가 작업 모드 "W"로 작동할 때, 유출량 제어 오리피스(A1∼A5) 각각의 크기는 조향휠의 중립 위치로부터의 조향휠(27)의 편각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모드 "R" 또는 "W"로 조향휠(27)을 회전시키는데 동일한 토르크가 요구되지만, 도 6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로우엎 밸브 부재(33)로 다시 가는 팔로우엎 운동이 전혀 없기 때문에 작업모드로 작동될 때는 조향휠의 이동이 훨씬 적게 요구됨을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신, 유체 계량기를 전혀 갖지 않는 "저크스티어(jerk-steer)"로 알려진 방식으로 본 장치는 작동되며, 본 장치에 있어서 조향휠의 회전은 밸브 오리피스(A1∼A5)를 개방시킨다. 단지 예를 들 목적으로 이제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 제어장치가 작업 모드 "W"에 있을 때, 약 50도 정도의 조향휠의 이동에 의해 유체 제어장치가 로딩 모드에 있을 때 발생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조향 실린더(19)로의 유출율(도 6에서의 최대 가능 유출량인 100%)에 이르게 되며, 그 후 조향휠은 슬리이브 밸브(33)에 대해 스풀밸브(31)를 50도의 편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약 120rpm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약 4 회전(잠김에서 잠김까지)의 능력을 갖는 통상적인 선행 기술의 유체 제어장치로써는, 운전자가 중심(중립) 위치로부터 조향휠을 2회전(720도)시켜야 하며, 높은 회전 비율(120rpm)에서는, 매번 현장에서 주요한 조향상의 교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 장치로써, 운전자는 단순히 원하는 스풀-슬리이브 편각(50도)과 같은 각도에 의해 조향휠을 회전시키고, 원하는 조향 실린더(19)의 이동이 발생할 때까지 그 위치에서 휠을 유지하고, 그 후 조향휠을 해제하여 앞서 인용된 특허들에 도시된 중심 스프링들의 영향하에서 다시 중심을 잡을 수 있게 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알 수 있겠지만, 작업 모드중 어느 모드에 있어서, 조향휠을 회전시키는 데 요구되는 토르크는 동일하며 그 이유는 조향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토르크가 중심 스프링의 스프링율에 대한 함수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작업 모드 상태의 작동 "W"는 선행 기술의 유체 제어장치(도 6에서의 로딩 모드 "R"에 의해 나타난)로써 요구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운전자의 팔운동을 요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가 훨씬 작아지게 되어 작동 효율을 높힌다. 운전자 노력의 감소는, 상응하는 유출량을 확보하기 위한 일초 동안의 휠의 회전(단위 : 도)대 유출량(최대 유출량에 대한 백분율(%))의 그래프인 도 6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다. 로딩 모드 "R"과 대비하여 작업 모드 "W"로 작동시 감소된 운전자 노력을 도시하는 것이 도 6의 그래프의 취지이다. 도 6의 그래프에 있어서, 각각의 그래프 아래의 영역은 일초 동안에 특정 유출량을 확보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요구되는 조향 노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상기 명세서를 읽어서 이해하면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확연해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 있는 한 이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동에 대해 로딩 모드와 작업 모드를 모두 제공할 수 있고 단일 조향 입력장치만을 요함으로써 선행기술의 단점인 서로 다른 두개의 조향 입력들 사이에서 조정해야 할 필요성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딩 모드 및 작업 모드 모두가 단일 유체 제어장치내에서 이루어 질 수 있게 됨으로써 선행기술의 단점인 과도하면서 복잡한 하드웨어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작업 모드로 작동될 때 운전자의 조향 운동량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차량의 조향 시스템에 사용할 목적의 개선형 유체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가압 유체원(11)으로부터 나와서 유압 작동장치(19)로 가는 유체의 유출량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가능하며; 상기 가압 유체원(11)과 연결시키기 위한 입구 포트(15), 및 상기 유압 작동장치(19)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1 제어장치 유압포트(21) 및 제2 제어장치 유압포트(23)를 형성하는 하우징 수단(29)을 포함하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31, 33)이 상기 하우징 수단(29)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중립 위치, 및 상기 하우징 수단과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이 상기 입구포트(15)로부터 나와서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31, 33)이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제어장치의 유체포트(21)로 가는 유체의 연통을 제공하고 주 유체 경로(53)를 통해 유체의 유출량에 통상 비례하는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53)에 팔로우엎(follow-up) 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유체 작동수단(43)을 포함하는 주 유체 경로(53)를 서로 형성하며, 상기 유체 작동수단(43)이 상기 팔로우엎 운동을 제공하는 회전가능한 측정부재(47)를 포함하는 유체 제어장치(17)에 있어서 :
    (가) 선택자 밸브수단(41, 73)은 제1 위치(도 1의 "R")로 상기 유체 입구포트(15)와 상기 유체 작동수단(43) 사이에서 상기 주 유체 경로 내에서 직렬 연결 상태로 위치 및 작동하여 상기 주 유체 경로(53)를 통해 정상적으로 흘러갈 수 있고;
    (나) 상기 선택자 밸브수단(41, 73)은, 상기 유체 작동수단(43)을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31, 33)으로의 상기 팔로우엎 운동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주 유체 경로(53)를 통해 흐를 수 있게 하는 동안, 제2 위치(도 1, 도 2, 3의 "W")로 작동할 수 있어 상기 유체 작동수단(43)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은 회전가능한 주 밸브부재(31)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팔로우엎 밸브부재(33)를 포함하고,상기 팔로우엎 밸브부재(33)에 대한 상기 주 밸브부재(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주 유체 경로(5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장치(17).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29)은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31, 33)과 함께 작용하여 가변 확대 오리피스(57)를 포함하는 확대 유체 경로(55)를 형성하고, 상기 가변 확 대 오리피스(57)는 상기 팔로우엎 밸브부재(33)에 대한 상기 주 밸브부재(31)의 회전에 따라 최소 유출량의 면적과 최대 유출량의 면적 사이를 가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장치(17).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유체 경로(55)는 상기 유체 작동수단(43) 위치의 하류에서의 주유체 경로(53)와 유체 연통하는 상태로 되어 있는 한편 하류에서의 주 유체 경로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는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유체 작동수단(43) 위치의 하류에서의 상기 주 유체 경로(53)와 유체 연통하는 상태로 되어 있는 한편 하류에서의 주 유체 경로쪽으로 유체를 향하게 하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장치(17).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작동수단(43)은 내부에 이빨이 있는 링부재(45)와, 이 링부재속에 동심원상으로 위치하며 상기 회전가능한 측정부재를 포함하는 외부에 이빨이 있는 유성형 부재(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장치(17).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자 밸브수단(41, 73)은 상기 제2 위치(도 3)로 작동할 수 있어 상기 주 유체 경로(53), 이 주 유체 경로(53)와 함께 상기 유체 작동수단(43)의 하류, 상기 유체 작동수단(43)의 하류와 직접적이고 비교적 제한되지 않은 유체 연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장치(1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자 밸브수단(41, 73)은 상기 유체 작동수단(43)의 상기 유성형 부재(47)과 상기 제어장치의 밸브수단(31, 33)과 상기 링부재(45) 사이에서 실제로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장치(17).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자 밸브수단(41)은, 이 밸브수단(41)내의 제1 위치(79) 또는 제2 위치(77)과 연통하고 있는 파일럿 압력(pilot pressure)에 따라 상기 제1 위치(도 1의 "R") 및 제2 위치(도 1의 "W")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어 상기 선택자 밸브(73)를 회전시키는 유압 작동수단(81, 83, 85)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선택자 밸브(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장치(17).
KR10-2001-0024598A 2000-05-12 2001-05-07 유체 제어장치 및 유체 계량기의 바이패스 장치 KR100529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70,272 US6318078B1 (en) 2000-05-12 2000-05-12 Fluid controller and fluid meter bypass arrangement
US09/570,272 2000-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223A true KR20010104223A (ko) 2001-11-24
KR100529996B1 KR100529996B1 (ko) 2005-11-22

Family

ID=2427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598A KR100529996B1 (ko) 2000-05-12 2001-05-07 유체 제어장치 및 유체 계량기의 바이패스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18078B1 (ko)
EP (1) EP1153818B1 (ko)
JP (1) JP4725695B2 (ko)
KR (1) KR100529996B1 (ko)
CN (1) CN1223482C (ko)
BR (1) BR0102701B1 (ko)
DE (1) DE60112505T2 (ko)
DK (1) DK115381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8078B1 (en) * 2000-05-12 2001-11-20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ler and fluid meter bypass arrangement
US7028469B2 (en) * 2002-10-08 2006-04-18 Sauer-Danfoss Aps Leakage compensation arrangement in a control device for a fully hydraulic steering system
DE102006006722A1 (de) * 2005-02-16 2006-08-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hydraulische Fahrzeuglenkung mit linearer Druckcharakteristik
KR20070068510A (ko) * 2005-12-27 2007-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휠 굴삭기 조향 방향전환 방법 및 그 장치
US7283900B1 (en) * 2006-03-14 2007-10-16 Deere & Company Work vehicle steering system with flow-metering curve selection and associated method
US7891459B2 (en) * 2006-07-06 2011-02-22 Cnh America Llc Multiple ratio steering for loader
US7913800B2 (en) * 2006-10-30 2011-03-29 Deere & Company Steering system with variable flow rate amplification ratio and associated method
AU2010267029B2 (en) * 2009-07-02 2012-08-02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Transport vehicle
JP2013520367A (ja) * 2010-02-27 2013-06-06 アール.エイチ.シェパード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US9238479B2 (en) 2010-05-21 2016-01-19 Eaton Corporation Steering system with dynamic slip reduction
KR20140110857A (ko) * 2011-12-13 2014-09-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휠 타입 건설장비의 조향 시스템
EP2610142B1 (en) 2011-12-27 2014-03-05 Sauer-Danfoss ApS Hydraulic steering device
EP2610137B1 (en) * 2011-12-28 2014-03-05 Sauer-Danfoss ApS Hydraulic steering device
EP2610136B1 (en) 2011-12-28 2014-01-22 Sauer-Danfoss ApS Hydraulic steering device
DE102018125053B4 (de) * 2018-10-10 2022-02-17 Danfoss Power Solutions Aps Hydraulische Lenkanordnung
DE102020106440A1 (de) * 2020-03-10 2021-09-16 Danfoss Power Solutions Aps Hydraulische Lenkeinheit
DE102020106438B4 (de) 2020-03-10 2022-03-31 Danfoss Power Solutions Aps Fluidsteuereinrichtung, insbesondere als Teil einer hydraulischen Lenkeinheit
DE102020106437A1 (de) 2020-03-10 2021-09-16 Danfoss Power Solutions Aps Fluidsteuereinrichtung, insbesondere als Teil einer hydraulischen Lenkeinheit
US20230340858A1 (en) * 2022-04-22 2023-10-26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Valv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4141A (ko) * 1964-01-07
NL6608408A (ko) * 1965-06-23 1966-12-27
FR1484139A (fr) * 1966-06-20 1967-06-09 Danfoss As Commande pour un servo-moteur hydraulique, en particulier pour un servo-moteur hydraulique de direction
JPS6198673A (ja) * 1984-10-17 1986-05-16 Sumitomo Eaton Kiki Kk 可変容量型全油圧式動力かじ取装置
JPS6243361A (ja) * 1985-08-20 1987-02-25 Nissan Motor Co Ltd 全油圧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US4759182A (en) * 1987-07-24 1988-07-26 Eaton Corporation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US5080135A (en) 1990-10-24 1992-01-14 Eaton Corporation Large deflection angle rotary modulation steering valve
US5186211A (en) * 1991-05-20 1993-02-16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led having variable ancillary control functions
JP3052095B2 (ja) * 1991-06-28 2000-06-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走行車両のステアリング回路
US6318078B1 (en) * 2000-05-12 2001-11-20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ler and fluid meter bypass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25695B2 (ja) 2011-07-13
EP1153818B1 (en) 2005-08-10
EP1153818A2 (en) 2001-11-14
CN1323709A (zh) 2001-11-28
BR0102701A (pt) 2002-07-23
CN1223482C (zh) 2005-10-19
JP2001322556A (ja) 2001-11-20
US6318078B1 (en) 2001-11-20
DK1153818T3 (da) 2005-10-10
KR100529996B1 (ko) 2005-11-22
DE60112505T2 (de) 2006-06-08
BR0102701B1 (pt) 2009-01-13
EP1153818A3 (en) 2004-08-11
DE60112505D1 (de)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9996B1 (ko) 유체 제어장치 및 유체 계량기의 바이패스 장치
EP0816206B1 (en) Articulated vehicle steering with bogie feedback
EP0388711B1 (en) Open-center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US3996838A (en) Diverter valve for power steering with power beyond
US7610935B2 (en) Fluid controller
US4804016A (en) Fluid controller with improved pressure balancing
EP0502456B1 (en) Fluid controller with load sensing priority flow control capability
US5638864A (en)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for unequal area cylinder
US6804956B2 (en) Hydraulic steering system
US4016949A (en) Hydrostatic load sensitive regenerative steering system
EP0480431B1 (en) Controller with reduced travel limit slip
USRE34746E (en) Open-center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US5992458A (en) Load reaction steering unit for unequal area cylinder
US4164892A (en) Control apparatus
US6769451B2 (en) Power beyond steering unit with bypass
EP1262393B1 (en) Low slip steering system and improved fluid controller therefor
US5244052A (en) Steering control unit for multiple steerable axles
US3957129A (en) Steering system
US5634495A (en) Wide angle controller with dual function check valves
EP0854074A2 (en) Power steering control valve with noise reduction
US5161577A (en) Fluid controller having rotary/axial valving, and spring arrangement therefor
US20070079881A1 (en) Steer valve with hydraulic vehicle position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