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619A -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103619A KR20010103619A KR1020010022657A KR20010022657A KR20010103619A KR 20010103619 A KR20010103619 A KR 20010103619A KR 1020010022657 A KR1020010022657 A KR 1020010022657A KR 20010022657 A KR20010022657 A KR 20010022657A KR 20010103619 A KR20010103619 A KR 200101036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bearing
- rearview mirror
- exterior rearview
- bearing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용 외부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거울다리에 거울본체를 장착하고, 그 거울본체를 상기 거울다리를 중심으로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게 되어있으며, 상기 거울다리(1, 1a, 1b)에는 베어링(6, 7; 7a, 7b)들이 장치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6, 7; 7a, 7b)들 속으로 거울본체(2, 2a, 2b)의 베어링멤버(21, 22; 27a, 27b)들이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멤버(21, 22; 27a, 27b)들 중 한쪽의 베어링멤버들이 거울본체(2, 2a, 2b)의 선회방향에 따라 상기 베어링 받침(4, 5; 5a, 5b)들로부터 해제되고, 한편 다른 쪽의 베어링멤버들은 상기 베어링 속에서 거울본체(2, 2a, 2b)의 선회축 역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대개념에 따른 차량용, 그 중에서도 특히 자동차용 외부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공지된 외부백미러에 있어서는 거울본체를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반대쪽의 파킹위치로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울본체는 충격을 받으면 진행방향으로 앞쪽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쪽으로 선회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중간 힌지조인트를 거쳐 거울다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간 힌지조인트는 2개의 힌지축(軸)을 가지고 있으며, 그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중간 힌지조인트가 거울다리 및 거울받침대와 연결되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외부백미러는 중간 힌지조인트 때문에 값비싼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상기 중간 힌지조인트 때문에 외부백미러의 조립이 어렵고 따라서 값이 비싸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조립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동종류의 외부백미러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동류(同類)의 외부백미러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백미러에 있어서는, 거울본체가 직접 거울다리에 연결되어 선회할 수 있게 되어있다. 상기 거울다리에는 베어링이 장치되어, 그 속에 거울본체의 베어링멤버가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종래의 공지된 외부백미러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중간 힌지조인트가 본 발명에서는 제외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고 저렴하게 외부백미러를 장착할 수 있다.
또 다른 특허청구범위들과,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밝혀진다.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몇 가지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백미러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백미러의 작동상태를 커버를 제외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울본체를 진행방향(이하 “진행방향”이라고 칭함)에서 앞쪽으로 젖힌 상태의 외부백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거울본체가 진행방향에서 뒤쪽으로 젖힌 상태의 외부백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백미러의 다른 실시형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연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백미러에서 도 5에 도시한 거울본체가 거울다리에서 선회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백미러의 또 다른 실시태양을 보여주는 도 5 내지 도 7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진행방향(F) 자동차(K)
거울다리(1) 거울다리(1a)
거울다리(1b) 거울본체(2)
거울다리판(3) 베어링 받침(4, 5)
베어링 받침(5a) 베어링 받침(5b)
결합부(6, 7) 결합부(7a)
결합부(7b) 축선(8)
수직평면(9) 예각(10)
갈고리노즈(11) 전면부(12)
전면부(13) 안내구멍(14)
축선(15) 예각(16)
갈고리노즈(17) 전면부(18, 19)
안내구멍(20) 굴대(21, 22)
거울받침대(23) 지지부(24, 25)
브래킷(26, 27) 브래킷(27a)
브래킷(28) 인장스프링(29)
개구부(30) 화살표(31)
양정(32) 화살표(33)
양정(34) 만입구면부(35)
바닥(35b) 돌출부(36)
전면부(37) 단벽(38, 39)
상기 외부백미러는 공지된 방법으로 거울다리(1)를 사용하여 자동차에(K)에 부착된다. 상기 거울다리(1)에 거울본체(2)가 지지되어 자동차의 진행방향 및 반대방향으로(도 3) 거울다리(1)에 대하여 젖혀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거울본체(2)는 진행방향(F)과 반대방향의 파킹위치로 선회하며, 이때 거울본체(2)는 자동차의 종측면에 인접하여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 상기 거울본체(2)는 자동차 진행방향(F)으로 충격을 받으면 앞쪽으로 젖혀짐으로써, 손상위험을 방지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거울다리(1)는 자동차에 접하여 고정된 거울다리판(3)을 가지고 있다. 상기 거울다리판(3)은 공지된 방법으로 나사로 죄어 자동차에 고정된다. 상기 거울다리판(3)으로부터 2개의 베어링 받침(4, 5)들이 뻗어 있으며, 그 위에 거울본체(2)가 후술하는 방법으로 지지된다. 도면에 단지 1개만 나타나 있는 베어링 받침(4)은 진행방향(F)으로 거울다리판(3)의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한편 베어링 받침(5)은 진행방향(F)으로 거울다리판(3)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받침(4, 5)들은 거울다리판(3)으로부터 위로 벌어지면서 뻗어있다. 상기 베어링 받침(4, 5)들의 자유단부에는 각각 결합부(6, 7)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받침(4)들의 결합부(6)는 긴 개구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합부(6)의 축선(8)은 상기 거울다리판(3)을 포함하는 수직평면(9)과 함께 진행방향(F)으로 벌어지는 예각(銳角)(10)을 이룬다. 상기 정점각(1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약 20도이다.
상기 결합부(6)의 선단부에는 갈고리노즈(hook nose)(11)가 진행방향(F)으로 각각의 베어링 받침(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갈고리노즈(11)에는 전면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면부(12)는 맞은편의 전면부(13)와 함께 안내구멍(14)의 경계를 이루어 상기 결합부(6) 속으로 합류한다. 상기 양쪽 전면부(12, 13)들은 결합부(6)의 안쪽 방향으로 수렴(收斂)한다.
상기 양쪽 베어링 받침(5)들의 결합부(7)들은 결합부(6)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7)의 축선(15)들은(도 4) 상기 수직평면(9)과 함께 진행방향(F)의 반대쪽으로 벌어지는 예각(16)을 이룬다. 상기 결합부(7)들의 개구부는 마찬가지로 갈고리노즈(17)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한정되고, 상기 갈고리노즈(17)의 전면부(18)는 맞은편의 전면부(19)와 함께 안내구멍(20)의 경계를 이루어 상기 결합부(7) 속으로 합류한다. 상기 전면부(18, 19)들은 결합부(7)의 안쪽 방향으로 수렴한다.
상기 갈고리노즈(11, 17)들은 상기 베어링 받침(4, 5)들의 서로 마주보는 쪽에 형성된다. 상기 갈고리노즈(11, 17)들은 거울본체(2)가 각 방향으로 젖혀질 때 거울다리(1)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베어링 받침(4, 5)의 결합부(6, 7) 속으로 거울본체(2)의 굴대(21, 22)들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굴대(21)는 진행방향(F)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한편 굴대(22)는 진행방향(F)에 대하여 앞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향하여 경사를 이룬다. 그에 따라서 또한 상기 베어링 받침(4)들도 진행방향(F)에서 수직방향으로 보아 서로 간격을 띄우고 아래위에 위치하며, 한편 상기 베어링 받침(5)들은 진행방향(F)에서 보아, 서로 간격을 띄우고 아래위에 그리고 진행방향(F)으로 서로 엇갈리게 위치한다.
상기 거울본체(2)는 거울받침대(23)를 가지고 있으며, 그 거울받침대(23)에는 도시하지 않은 거울, 거울받침판 및 거울받침판의 구동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거울받침대(23)는 거울다리(1) 쪽의 단부에 횡으로 서로 반대쪽(양쪽)으로 형성된 2개의 지지부(24, 25)를 가지고 있으며, 각 지지부(24, 25)로부터 거울다리(1) 쪽으로 2개씩의 브래킷(26, 27)이 뻗어 있다. 상기 브래킷(26, 27)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굴대(21, 22)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서로 이격 되어 있는 상기 브래킷(26, 27)들의 간격은 상기 베어링 받침(4, 5)들의 간격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브래킷(26, 27)들이 사용위치에 (도 2) 있을 때는 베어링 받침(4, 5)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거울다리판(3)에 브래킷(28)이 거울본체(2) 쪽으로 직립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부에 인장스프링(29)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29)의 다른 쪽 끝은 거울다리(1)의 반대편에 거울받침대(23)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인장스프링(29)은 진행방향(F)으로 거울받침대(23)의 전면에 공지방법으로 장치되어, 거울받침대(23)의 개구부(30)를 통하여 다른 쪽 면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거울본체(2)는 인장스프링(29)의 힘에 의하여 상기 거울다리(1) 쪽으로 견고하게 당겨져 있다. 상기 거울본체(2)의 양쪽 굴대(21, 22)들은 각각 베어링 받침(4, 5)의 해당 결합부(6, 7)들 속에 결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굴대(21, 22)들은 각각 서로 맞은편에 떨어져 있는 결합부(6, 7)들의 단부에 각각 인접하고 있다. 이때 상기 굴대(21, 22)들은 상기 결합부(6, 7)들의 안내구멍(14, 20)들의 높이에 위치한다.
만약 상기 거울본체(2)가 도 3의 진행방향(F)으로 충격을 받으면, 거울본체(2)는 굴대(22)를 축으로 하여 인장스프링(29)의 힘을 거슬러 선회한다 (도 3). 이렇게 거울본체(2)가 선회할 때 상기 굴대(21)들은 결합부(6)들의 안내구멍(14)을 통하여 밖으로 빠져 나온다. 동시에 상기 굴대(22)는 결합부(7)들 속에서 화살표(3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굴대(22)는 결합부(7)의 갈고리노즈(17) 단부에 걸린다. 상기 결합부(7)의 축선(15)들이 진행방향(F)을 향하여 상기 수직평면(9) 쪽으로 예각(16)을 이루어 비스듬히 진행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젖힘 운동을 할 때 상기 거울본체(2)는 진행방향(F)으로 앞으로 젖혀짐과 동시에 상기 거울본체(2)의 굴대(21)가 거울다리(1)로부터 빠져나온다. 상기 결합부(7)의 비스듬한 위치 때문에 젖힘 운동을 할 때 상기 굴대(22)는 양정(揚程)(32) 만큼 상승한다. 이것은 이와 같은 젖힘 운동에 있어서 상기 거울받침대(23)를 둘러싸는 케이싱을 상기 거울다리(1)로부터 상기 양정(32)의 양만큼 이격 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렇게 함으로써, 젖힘 과정에서 통상 도장된 피복(塗裝被覆)의 손상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거울본체(2)에 대한 힘의 작용이 끝나자마자 거울본체(2)는 도 2와 같이 사용위치로 다시 복귀한다. 이때, 상기 굴대(22)는 결합부(7) 속으로 복귀 운동을 하며, 한편 반대편의 굴대(21)는 안내구멍(14)들을 통하여 결합부(6)들 속으로 들어간다. 상기 결합부(6) 속으로 원추형 경사면을 이루며 좁아지는 상기 안내구멍(14)들 때문에, 상기 굴대(21)는 결합부(6) 속으로 확실하게 도달한다.
상기 거울본체(2)가 진행방향(F)의 반대쪽으로 파킹위치로 젖혀지면, 상기 거울본체(2)는 굴대(21)를 축으로 하여 선회한다. 이때, 맞은편의 굴대(22)는 상기 결합부(7)들의 안내구멍(20)들을 통하여 밖으로 나온다. 상기 거울본체(2)가 선회할 때, 상기 굴대(21)는 결합부(6)들 속에서 진행방향(F)으로 앞으로 그리고 밖으로 비스듬히 예각(10)에 일치하게 움직이며, 상기 예각(10)은 결합부(6)들이 수직평면(9)과 교차하는 각도이다. 이와 같이 상기 굴대(21)가 진행방향(F)으로 비스듬하게 바깥쪽으로 향하는 화살표(33) 방향으로의 운동 때문에, 충격에 의하여 선회할 때 마찬가지로 거울본체(2)의 케이싱이 거울다리(1)로부터 이동량(34) 만큼 떨어짐으로써 케이싱의 손상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굴대(21)는 갈고리노즈(11)가 형성된 결합부(6)들의 단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거울본체(2)가 파킹위치로 완벽하게 선회될 수 있다. 상기 거울본체(2)의 조정은 공지된 방법으로 모터 구동 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울본체(2)가 파킹위치로부터 다시 사용위치로 복귀 선회하면, 상기 굴대(22)는 안내구멍(20)을 통하여 베어링 받침(5)의 결합부(7)들 속으로 확실하게 결합된다. 동시에 상기 굴대(21)는 결합부(6)들 속에서 맞은편 단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거울본체(2)는 양정(34)의 양만큼 다시 거울다리(1) 쪽으로 하강한다.
도 5 내지 도 7은 거울본체를 진행방향 및 진행 반대방향으로 접을 때 상기 양정운동(揚程運動)은 전술한 것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 양정장치(揚程裝置)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외부백미러의 제2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 거울다리(1a)는 또한 베어링 받침(5a)들을 가지고 있으며, 도 5 내지 도 7에서는 그중 단기 1개의 베어링 받침(5a) 만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베어링 받침들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받침(5a)들의 자유단부에는 결합부(7a)가 장치되어 있으며, 그 결합부(7a)는 컵 모양의 볼 소켓으로서 성형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7a) 속으로 거울본체(2a)의 거울받침대의 브래킷(27a)이 결합된다. 상기 브래킷(27a)은 단부가 반구형(半球形)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7a)의 만입구면부(灣入球面部)(35) 위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7a)의 반구형 부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거울본체(2a)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출부(36)는 상기 베어링 받침(5a)의 전면부(37) 위에 놓여있다 (도 5).
전술한 실시태양에서 세밀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거울본체가 예를들어 진행방향(F)으로 충격을 받아 앞쪽으로 젖혀지면, 거울받침의 브래킷(27a)은 결합부(7a) 속에서 진행방향(F)으로 앞쪽으로 선회한다. 상기 브래킷(27a)의 돌출부(36)가 베어링 받침(5a)의 전면부(37) 위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브래킷(27a)이 선회할 때 동시에 결합부(7a)의 만입구면부(35)로부터들어올려진다(도 7). 이것은 또한 상기 거울받침대가 거울본체(2a)와 함께 거울다리(1a)로부터 양정(32) 높이만큼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돌출부(36)는 끝부분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울본체(2)의 상승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회운동에 있어서, 거울본체(2)의 맞은편(도시하지 않았음)의 브래킷들은 거울다리(1a)의 베어링 받침으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거울본체(2a)에 대한 힘의 작용이 끝나면 거울본체(2a)는 인장스프링(29)의 힘에 의하여 (도 2 내지 도 5) 도 5 및 도 6과 같은 사용위치로 선회하여 복귀한다. 이때, 거울본체(2a)는 복귀 선회할 때 양정 높이(32) 만큼 거울다리(1a) 쪽으로 복귀한다. 결합부(7a)는 거울본체(2a)의 브래킷(27a)이 각각의 선회위치에서 결합부(7a) 속으로 결합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있기 때문에, 거울본체(2a)가 확실하게 선회될 수 있다.
상기 거울본체(2a)가 진행방향(F)을 거슬러 파킹위치로 선회할 때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거울본체(2a)의 양정운동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지 않은 맞은편의 브래킷들이 베어링 받침(4)의 결합부(6) 속에서 선회한다. 또한 브래킷(26)들에도 돌출부(36)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거울본체(2)가 선회운동을 할 때 거울본체(2)는 양정(34) 만큼 (도 4) 거울다리로부터 상승한다. 이때 브래킷(27a)은 베어링 받침(5a)의 결합부(7a)로부터 해제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본체(2a)가 파킹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복귀 선회하게 되면 상기 거울본체(2a)는 양정(34) 만큼 거울다리(1a) 쪽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거울본체(2a)의 브래킷(27a)은 거울다리(1a)의 베어링 받침(5a)의 결합부(7a) 속으로확실하게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36)들은 브래킷(26, 27a)들의 서로 반대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거울다리(1b)의 베어링 받침들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들은 활주팬(gliding pan)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도 역시 거울다리(1b)의 한쪽 베어링받침(5b)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상기 베어링 받침들은 또한 쌍으로 형성되어, 진행방향(F)으로 거리를 두고 앞뒤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받침들은 그들의 결합부들의 구조면에서 똑같이 형성되었다. 상기 결합부(7a)는 바닥(35b)이 진행방향(F)에 대하여 반대쪽으로 점차로 상승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35b)은 양끝에서 위로 구부러져서 단벽(端壁)(38, 39)을 형성하고, 그 단벽(38, 39)들은 진행방향(F) 쪽과 반대쪽의 경계를 이룬다. 상기 거울본체(2b)의 브래킷(27b)은 결합부(7b) 속으로 결합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방향(F)에 대하여 직각으로 측정한 상기 결합부(7b)의 폭은 브래킷(27b)의 폭과 거의 같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브래킷(27b)이 결합부 속에서 거울본체(2b)의 선회방향과 반대로 안내되도록 보장한다. 상기 브래킷(27b)의 단부는 부분원 모양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울본체(2b)의 사용위치에(도 8 및 도 9) 있어서, 상기 브래킷(27b)은 결합부 바닥(35b)으로부터 베어링 받침(5b)의 단벽(39)으로의 건널목에 지지되어 있다. 예를들어 거울본체가 진행방향(F)으로 충격을 받고 앞쪽으로 젖혀질 때 거울본체는 인장스프링(29)의 힘을 거슬러(도 2 내지 도 4) 진행방향(F)으로 앞쪽으로선회하며, 이때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방향(F) 방향에서 뒤쪽의 거울본체 브래킷들이 거울다리(1b)의 해당 베어링 받침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상기 선회운동을 할 때, 상기 브래킷(27b)들은 결합부(7b)의 바닥(35b)을 따라 위쪽으로 활주함으로써, 상기 거울본체(2b)는 양정(32) 운동을 수행한다. 그 결과, 거울본체(2b)의 케이싱이 선회운동을 할 때 거울다리(1b)로부터 양정(32) 높이만큼 이격(離隔)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접힘 과정에서 거울본체의 케이싱이 손상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울본체(2b)의 브래킷(27b)은 젖혀진 상태에서 결합부(7b)의 바닥(35b)으로부터 단벽(38)으로의 천이부위(遷移部位)에 위치한다(도 10). 상기 천이부위는 다른 천이부위와 마찬가지로 브래킷(27b)의 단면(端面)과 동일한 만곡반경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상기 브래킷(27b)들이 사용위치에서 뿐만 아니라(도 8 및 도 9) 선회위치에서도(도 10) 결합부(7b) 속에서 반듯한 지지를 확실하게 하여준다.
상기 거울본체(2b)에 대한 힘의 작용이 없어지자마자 거울본체(2b)는 인장스프링(29)의 힘에 의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복귀선회운동을 할 때, 브래킷(27b)들이 결합부(7b)들의 바닥(35b)을 따라 복귀활주(復歸滑走)하여, 상기 브래킷(27b)들의 전단면(前端面)이 결합부(7b)들의 바닥(35b)으로부터 단벽(39)으로의 천이부위에 다시 위치한다(도 8 및 도 9). 그리하여, 상기 거울본체(2)가 장착된 거울받침대는 다시 양정(32) 높이만큼 거울다리(1) 쪽으로 하강한다. 동시에, 거울본체(2b)의 거울받침대의 맞은편(도시하지 않았음) 브래킷들이 거울다리(1b)의 베어링 받침(5)의 결합부(6)들 속으로 다시 결합된다.
반대로, 거울본체(2b)가 진행방향(F)에 대하여 반대쪽으로 파킹위치로 젖혀지면,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26)들은 베어링 받침(4)의 결합부(6)들 속으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들이 진행방향(F)으로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바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선회운동을 할 때 브래킷들은 점차로 상승하는 바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거울받침대와 거울본체(2b)가 양정(34) 높이만큼 (도 4) 거울다리(1b)로부터 떨어진다. 이때, 상기 브래킷(27b)들은 거울다리(1b)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거울본체(2b)가 파킹위치로부터 다시 사용위치로 선회하면, 상기 거울본체(2b)의 브래킷(26)들이 결합부(6)들의 바닥을 따라 복귀함으로써, 상기 거울본체(2b)가 양정(34) 높이만큼(도 4) 거울다리(1b) 쪽으로 접근한다. 그렇게 하여 브래킷(27b)들이 다시 결합부(7b)들 속으로 결합한다.
그밖에, 도 5 내지 도 10에 따른 외부백미러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실시된다.
상기 베어링 받침(4, 5, 5a, 5b) 덕택으로 상기 거울본체(2, 2a, 2b)가 양쪽 선회방향으로 선회 지지를 위한 중간 힌지조인트가 필요 없다. 그 결과, 외부백미러를 간단한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그밖에 이러한 구조 때문에 매우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외부백미러의 제조를 위한 생산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25)
- 거울다리에 거울본체를 장착하고, 그 거울본체를 상기 거울다리를 중심으로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게 되어있는 차량, 특히 자동차용 외부백미러에 있어서,상기 거울다리(1, 1a, 1b)에는 베어링(6, 7; 7a, 7b)들이 장치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6, 7; 7a, 7b)들 속으로 거울본체(2, 2a, 2b)의 베어링멤버(21, 22; 27a, 27b)들이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멤버(21, 22; 27a, 27b)들 중 한쪽의 베어링멤버들이 상기 거울본체(2, 2a, 2b)의 선회방향에 따라 상기 베어링 받침(4, 5; 5a, 5b)들로부터 해제되고, 한편 다른 쪽의 베어링멤버들은 상기 베어링 속에서 상기 거울본체(2, 2a, 2b)의 선회축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 7; 7a, 7b)들은 상기 베어링 받침(4, 5; 5a, 5b)들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받침(4, 5; 5a, 5b)들은 상기 거울다리(1, 1a, 1b)에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받침(4, 5; 5a, 5b)들은 상기 거울다리(1, 1a, 1b)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2항 내지 제4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받침(4, 5; 5a, 5b)들은 하나의 거울다리판(3)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 7; 7a, 7b)들은 상기 베어링 받침(4, 5; 5a, 5b)들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 7; 7a, 7b)들은 상기 베어링 받침(4, 5; 5a, 5b)들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멤버(21, 22)들은 굴대(선회축)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멤버(21, 22)들은 브래킷(26, 27)들의 자유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6, 27)들은 거울받침대(23)로부터 거울다리(1) 쪽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멤버(27a, 27b)들은 거울받침대의 브래킷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7항 내지 제11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 7; 7a, 7b)들은 상기 거울본체(2, 2a, 2b)의 베어링멤버(21, 22; 27a, 27b)들을 위한 베어링구멍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 7; 7a, 7b)들은 자동차 진행방향(F)에서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 비스듬하게 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거울본체(2, 2a, 2b)는 자동차의 진행방향(F)으로 또는 반대방향으로 선회될 때, 양정(32, 34) 높이만큼 거울다리(1, 1a, 1b)로부터 이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멤버(21, 22; 27a, 27b)들은 상기 거울본체(2,2a, 2b)가 선회운동을 할 때, 베어링(6, 7; 7a, 7b) 속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 7; 7a, 7b) 속에서 안내구멍(14, 20)이 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구멍(14, 20)들은 상기 베어링(6, 7) 안쪽으로 향하여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6, 7) 길이의 일부분이 갈고리노즈(11, 17)에 의하여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7항 내지 제18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a)는 컵 모양의 볼 소켓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멤버(27a)는 반구형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반구형 단부가 상기 결합부(7a)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멤버(27a)에는 적어도 하나의 양정(揚程)멤버(3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양정멤버(36)는 거울다리(1a)의 대향면(對向面)(37)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7항 내지 제18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b)는 활주팬(gliding pan)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7, 7b)는 자동차 진행방향(F)으로 또는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바닥면(35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35b)의 구배(勾配)는 상기 거울본체(2, 2b)의 양정(32, 34) 높이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022448.2 | 2000-05-09 | ||
DE10022448A DE10022448A1 (de) | 2000-05-09 | 2000-05-09 |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eise für Kraftfahrzeu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3619A true KR20010103619A (ko) | 2001-11-23 |
Family
ID=764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2657A KR20010103619A (ko) | 2000-05-09 | 2001-04-26 |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422707B2 (ko) |
JP (1) | JP2002002385A (ko) |
KR (1) | KR20010103619A (ko) |
AU (1) | AU780230B2 (ko) |
BR (1) | BR0101805A (ko) |
DE (1) | DE1002244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12946C (zh) * | 2001-10-02 | 2005-08-03 | 市光工业株式会社 | 车辆用镜装置 |
DE10359750B4 (de) | 2003-12-19 | 2007-10-25 | Dr.Ing.H.C. F. Porsche Ag | Auss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
DE102004032997B4 (de) * | 2004-07-08 | 2009-12-31 | Schefenacker Patents S.à.r.l. | Außenrü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Kraftfahrzeuge |
KR100853244B1 (ko) * | 2008-03-26 | 2008-08-20 |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미네랄 조성물 |
JP6704382B2 (ja) * | 2016-11-14 | 2020-06-03 | エスエムエル・パテンツ・エス・ア・エル・エル | 移動可能ヘッド組立体を伴う後方視界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369122A1 (fr) * | 1976-10-26 | 1978-05-26 | Renault | Retroviseur exterieur a commande a distance |
US4129365A (en) * | 1977-05-13 | 1978-12-12 | Sperry Rand Corporation | Wide angle anamorphic display projection system |
FR2639011B1 (fr) * | 1988-11-16 | 1991-03-01 | Manzoni Bouchot Sa | Retroviseur effacable autoverrouille en position parking et en position d'utilisation avec rappel anti-pincement |
DE19623885C2 (de) * | 1996-06-05 | 2002-09-26 | Magna Reflex Holding Gmbh |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Position eines Außenspiegels |
US5940230A (en) * | 1997-03-25 | 1999-08-17 | Harman Automotive, Inc. | Power folding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
DE29914501U1 (de) * | 1999-08-18 | 1999-10-21 | Reitter & Schefenacker GmbH & Co. KG, 73730 Esslingen | Inn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
-
2000
- 2000-05-09 DE DE10022448A patent/DE10022448A1/de not_active Withdrawn
-
2001
- 2001-04-24 AU AU38810/01A patent/AU780230B2/en not_active Ceased
- 2001-04-26 KR KR1020010022657A patent/KR200101036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5-01 JP JP2001134335A patent/JP2002002385A/ja active Pending
- 2001-05-04 US US09/849,891 patent/US642270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5-08 BR BR0101805-1A patent/BR0101805A/pt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0101805A (pt) | 2001-12-18 |
JP2002002385A (ja) | 2002-01-09 |
AU780230B2 (en) | 2005-03-10 |
DE10022448A1 (de) | 2001-11-15 |
US6422707B2 (en) | 2002-07-23 |
AU3881001A (en) | 2001-11-15 |
US20020006002A1 (en) | 2002-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931842B2 (ja) | 改良型可動傾斜路組立体 | |
US6926342B2 (en) | Mechanism for guiding a sliding door, a sliding door, and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such a mechanism | |
US6030025A (en) | Pivot mechanism for motor car doors | |
CN1058754A (zh) | 可旋转的横杆和套座连接件 | |
JP2008273510A (ja) | 車両の後部荷物室用カバーシステム | |
KR20010103619A (ko) | 자동차용 외부백미러 | |
NL1026198C2 (nl) | Verdraaibare trekhaak. | |
US4893716A (en) | Claw coupling for toy and model trains | |
JP2512590B2 (ja) | ワイパ用駆動機構 | |
JP7310762B2 (ja) | 洗車機 | |
US6848735B1 (en) | Stepwell cover apparatus | |
KR101977398B1 (ko) | 슬라이딩 도어 연결장치 | |
JP3360997B2 (ja) | 転落防止装置 | |
KR20050012732A (ko) | 리어 트렁크 내에 접어서 넣을 수 있는 자동차용 접이식루프 | |
KR100716302B1 (ko) |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 |
JP3863495B2 (ja) | 鉄道車両の外ホロ装置 | |
JP4054743B2 (ja) |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用摺動子 | |
JPS6329628Y2 (ko) | ||
KR102540882B1 (ko) | 차량용 스위블 시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KR0135008Y1 (ko) | 자동차용 시트트랙 구조 | |
RU2221706C2 (ru) | Ветровое стекло автомобиля | |
JPS594810Y2 (ja) | 自動車用ドアヒンジ | |
JPH0426158Y2 (ko) | ||
KR970005009B1 (ko) | 입체주차장 | |
JP2593801B2 (ja) | 鉄道模型用連接車の連結カプラー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