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383A - 데이터전송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전송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383A
KR20010101383A KR1020017008531A KR20017008531A KR20010101383A KR 20010101383 A KR20010101383 A KR 20010101383A KR 1020017008531 A KR1020017008531 A KR 1020017008531A KR 20017008531 A KR20017008531 A KR 20017008531A KR 20010101383 A KR20010101383 A KR 20010101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voltage value
battery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가세타쿠
테라시마가쯔히꼬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10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3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63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multipl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means for improving effici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휴대전화 등의 데이터전송장치(1)의 전원인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전압감시회로(7)와, 전지전압감시회로(7)에서 공급되는 검출전압치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때의 전송처리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상황판단부(8)를 갖춘다. 온도에 의한 전지특성의 열화에 의해 생기는 통신상태의 악화를 완화한다.

Description

데이터전송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최근 휴대가 가능하고, 또한 무선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데이터전송장치의 개발이 현저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휴대전화시스템 및 간이형 휴대전화기시스템(Personal Handyphone System:PHS)에 이용되는 휴대전화단말기가 급속히 보급하고 있다. 이와같은 휴대형단말은 일반적으로 중부하 방전에 견디고, 충전에 의한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갖추고, 장시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의 데이터전송장치 특히 휴대형단말기는 전지잔량이 감소하여 오면, 송신에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얻을 수 없고, 급속히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변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휴대형단말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량이나 단말이 놓여져 있는 상황에 따라서 데이터송신비트 속도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데이터송신비트 속도에 따른 파워로 송신을 행하는 것이지만, 전지잔량의 감소에 의한 전력부족 등에 관한 상기 송신파워로 송신을 행하고저 하기 때문이다.
또 휴대형단말은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내부저항이 온도에 따라서 변화한다. 예를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휴대형단말기를 사용하는 주위의 온도가 낮을때,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내부저항은 크게 되기때문에 데이터송신하는데 필요한 전지잔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지잔량이 저하하고 있을때와 같이 송신에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얻을 수 없는 것이다. 그때문에 종래의 휴대형단말기는 주위의 온도가 낮은 경우 통신품질이 열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통신불능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휴대가능하게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 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 2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제 3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 4실시의 형태로서 데이터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 5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 6실시의 형태로서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때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온도에 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내부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실정에 감안해서 제안된 것이고, 사용가능한 시간을 연장하고, 온도에 의한 전지특성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통신상태의 변화를 완화하는 데이터전송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전송장치는 휴대가 가능하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장치에 있어서,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제어하는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과,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전압검출수단과,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검출전압에 따라서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전송상황판단수단을 갖춘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전송장치는 전지전압검출수단에 있어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고, 전송상황판단수단에 있어서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을 제어하여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제어한다.
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전송장치는, 휴대가가능하게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부호화수단과,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전압검출수단과,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검출전압치에 따라서, 데이터부호화수단을 제어하는 전송상황판단수단을 갖춘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전송장치는 전지전압검출수단에 있어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고, 전송상황판단수단에 있어서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을 제어하여 데이터의 부호화처리를 제어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전송방법은,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방법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전송처리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전송방법은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전송처리를 제어한다.
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전송방법은,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방법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부호화 처리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전송방법은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부호화처리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터전송장치는 검출되는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전송처리, 또는 데이터부호화처리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전송장치는 예를들면 휴대전화시스템과 같은 휴대형단말기이고,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송신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수신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데이터전송장치의 제 1실시의 형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1)는 입출력회로(2)와,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와, 베이스밴드신호처리부(4)는 RF신호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전지전압감시회로(7)와, 상황판단부(8)와, 배터리(9)와, 안테나(10)를 갖춘다.
입출력회로(2)는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예를들면외부의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정보처리장치(11)로 출력한다. 또 패킷화된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11)에서 입력하고, 입력한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로 공급한다. 또한 이 정보처리장치(11)는 휴대형단말기등의 데이터전송장치(1)의 내부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는 내부에 패킷데이터를 축적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패킷데이터의 플로제어, 재송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상황판단부(8)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에 의거한 데이터송신비트 속도의 결정을 행한다. 이하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는 내부의 메모리의 상태를 감시하고, 메모리가 비어 있는 상태로 되면, 입출력회로(2)를 거쳐서, 정보처리장치(11)에 대해서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하고,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메모리에 격납한다. 메모리가 패킷데이터에서 만족하게 되면,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 대해서 패킷데이터를 출력한다. 패킷데이터의 송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동일한 패킷데이터를 재차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 출력한다. 패킷데이터의 송신이 성공한 경우에는 메모리를 클리어하고, 입출력회로(2)를 거쳐서 정보처리장치(11)에 대하여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하고, 정보처리장치(11)로부터의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메모리에 격납한다.
또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는 내부의 메모리가 비어있는 상태의 시간비율에 따라서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 대하여 지시하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에 관한 제어정보를 변화시킨다. 즉,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는 입출력회로(2)에서 공급되는 데이터량이 적게 되고, 메모리가 비어있는 상태의 시간비율이 큰경우에는 데이터송신비트 속도를 지연하고, 입출력회로(2)에서 공급되는 데이터량이 많고, 메모리가 비어있는 시간비율이 작은 경우에는 상황판단부(8)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송신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데이터송신비트 속도를 빠르게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와, 출력제어회로(13)를 갖는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는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하고, RF신호변환처리회로(5)로 공급한다.
출력제어회로(13)는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공급된다. 각 패킷데이터마다의 데이터송신비트 속도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에 따라서 데이터처리상태를 변화시키는 취지의 신호를 후술하는 RF신호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예를들면 출력제어회로(13)는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비트 속도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비트 속도에 따라서 출력파워를 변화시키는 취지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제어회로(13)는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가 증가한 경우 출력파워를 증가시키는 취지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로 공급하고,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가 감소한 경우, 출력파워를 감소시키는 취지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출력제어회로(13)는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가 있는 임계치보다도 작은 경우, 신호증폭기(6)를 바이패스동작으로 하고, 신호증폭기(6)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하는 등 신호증폭기(6)에 대하여 파워세이브상태로 천이하는 신호를 공급한다.
RF신호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서 공급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변조하고,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무선주파수)신호를 생성한다. RF신호변조회로(5)는 RF신호를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또 RF신호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신호에서 RF신호로 변조를 행하는 때의 변조처리상태를 변화시키는 취지의 신호를 촐력제어회로(13)에서 공급된다. RF신호변조회로(5)는 그 신호에 따라서 변조처리를 행한다.
신호증폭기(6)는 RF신호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한다. 또 신호증폭기(6)는 출력제어회로(13)에서 RF신호를 증폭하는 때의 증폭처리상태를 변화시키는 취지의 신호가 공급된다. 신호증폭기(6)는 이 신호에 따라서 증폭처리를 행한다. 증폭된 RF신호는 안테나(10)를 거쳐서 무선에 의해 외부로 송신된다.
전지전압감시회로(7)는 데이터전송장치(1)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인 배터리(9)의 전지전압을 검출하고, 이 전지전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황판단부(8)로 공급한다.
상황판단부(8)는 전지전압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배터리(9)의 전지전압과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상황판단부(8)는 전지전압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지전압이 목표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내리고, 전지전압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지전압이 목표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올리고,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로 공급한다. 단 상황판단부(8)에는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올려도 배터리(9)의 사용시간이 단축되지 않도록 상한치의 최대치가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 예를들면 송신비트속도를 1/2로 하여 송신하면, 단위비트당 에너지는 2배로 되기때문에 송신파워를 1/2로 하여도 동일한 오류율이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오류율을 얻기에 필요한 송신판워는 송신비트속도가 낮을수록 작게 된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각부를 갖춘 데이터전송장치(1)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2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먼저 도 2의 스텝(S1)에 있어서, 전지전압감시회로(7)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을 검출하고, 이 전원전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황판단부(8)로 공급한다.
스텝(S2)에 있어서, 상황판단부(8)는 전지전압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전압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목표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스텝(S3)으로 진행하고, 상황판단부(8)는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내리고,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 그 취지를 보고한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목표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스텝(S4)으로 진행하고, 상황판단부(8)는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올리고,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 그 취지를 보고한다. 이때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가 이미 최대치에 있을때에는 그대로 송신비트속도를 유지한다.
스텝(S5)에 있어서,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는 입출력회로(2)를 거쳐서 정보처리장치(11)에 대하여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한다.
스텝(S6)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1)는 입출력회로(2)를 거쳐서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 대하여 패킷화 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스텝(S7)에 있어서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를 결정하고,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 통지하는 동시에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 대하여 패킷화 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스텝(S8)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3)에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제어회로(13)는 스텝(S9)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가, 어느 임계치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정한다. 순식간에 송신비트속도가 임계치보다도 큰 경우 스텝(S10)에 있어서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에 따라서 출력파워를 변화시키는 취지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한편 출력제어회로(13)는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가 어느 임계치보다도 작은 경우 스텝(S11)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를 바이패스동작으로 하고, 신호증폭기(6)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하는 등 신호증폭기(6)에 대하여 파워세이브상태로 천이하는 신호를 공급한다.
다음에 스텝(S12)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는 패킷화된 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S13)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는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에서 생성한 베이스밴드신호를 RF신호변조회로(5)로 공급한다.
스텝(S14)에 있어서, RF신호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로 변조하고,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스텝(S15)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0)를 거쳐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과 같이 데이터전송장치(1)는 검출되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목표전압치와의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패킷화 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하고 있다. 즉 데이터전송장치(1)는 배터리(9)의 잔량이 있는 값을 하회(下回)하면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저하시켜서 소비전력을 절약한다. 이것에 의해 데아터전송장치(1)는 전지잔량이 저하한 때에 통신이 돌연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지의 전압에 따른 데이터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의 제어를 행함으로서 전지잔량이 적게 된 경우등에 있어서의 통신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전송장치의 제 2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2실시의 형태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20)는 기본구성을 도 1에 나타낸 제 1실시의 형태의 데이터전송장치(1)와 동일하지만, 데이터전송장치(20)의 케이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21)를 갖추는 점이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먼저 도 1에 나타낸 데이터전송장치(1)와 동일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데이터전송장치(20)는 입출력회로(2)와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와 베이스밴드신호처리부(4)와, RF신호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전지전압감시회로(7)와, 배터리(9)와, 안테나(10)와, 온도검출센서(21)와, 상황판단부(22)를 갖춘다.
온도검출센서(21)는 데이터전송장치(20)의 케이스체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케이스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후술하는 상황판단부(22)로 공급한다. 여기서의 데이터 전송장치(20)의 케이스체 온도와는 주위의 온도의 영향을 받아서 변화하는 데이터전송장치(20) 본체의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들면 데이터전송장치(20)가 낮은 주위온도 아래에서 유지되고 있을때 케이스체 온도는 주위의 온도에 맞춰서 저하한다.
상황판단부(22)는 온도검출센서(21)에서 공급되는 케이스체 온도를 나타내는 전기신호에 의거해서 목표전압치를 신규목표전압치로 변경한다. 상황판단부(22)는 전지전압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배터리(9)의 전지전압과,데이터전송장치(20)의 케이스체 온도에 따라서 변경된 신규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상황판단부(22)는 전지전압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지전압이 신규목표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내리고, 전지전압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지전압이 신규목표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데이터전송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올리고, 결정된 상한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로 공급한다. 단 상황판단부(22)에는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올려도 배터리(9)의 사용시간이 단축되지 않도록 상한치의 최대치가 설정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기능하는 구성요소로 이루는 데이터전송장치(20)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4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먼저 도 4의 스텝(S16)에 있어서, 전지전압감시회로(7)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을 검출하고, 이 전원전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황판단부(8)로 공급한다.
스텝(S17)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21)는 데이터전송장치(20)의 케이스체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케이스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황판단부(22)로 공급한다. 상황판단부(22)는 온도검출센서(21)에서 공급되는 케이스 체온도를 나타내는 전기신호에 의거해서 목표전압치를 신규목표전압치로 변경한다.
스텝(S18)에 있어서, 상황판단부(22)는 전지전압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신규목표전압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신규목표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스텝(S19)으로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내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신규목표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스텝(S20)으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올려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이때 송신비트속도의 상한치가 이미 최대치에 있을때는 그대로의 송신비트속도를 유지한다.
스텝(S21)에 있어서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는 입출력회로(2)를 거쳐서 정보처리장치(11)에 대하여 새로운 패킷데이터를 요구한다.
스텝(S22)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1)는 입출력회로(2)를 거쳐서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 대하여 패킷화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스텝(S23)에 있어서 데이터처리제어회로(3)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를 결정하고,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 통지하는 동시에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 대하여 패킷화 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에 스텝(S24)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3)에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공급되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출력제어회로(13)는 스텝(S25)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나타내는 데이터송신비트속도가 어느 임계치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정한다. 순식간의 송신비트속도가 임계치보다도 큰 경우 스텝(S26)에 있어서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에 따라서 출력파워를 변화시키는 취지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한편 출력제어회로(13)는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가 어느 임계치보다도 작은 경우 스텝(S27)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를 바이패스동작으로 하고, 신호증폭기(6)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하는등 신호증폭기(6)에 대하여 파워세이브상태로 천이하는 신호를 공급한다.
다음에 스텝(S28)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는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한다.
다음에 스텝(S29)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는 데이터처리제어회로(3)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에서 생성한 베이스밴드신호를 RF신호변조회로(5)로 공급한다.
스텝(S30)에 있어서, RF신호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신호처리회로(12)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로 변조하고,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스텝(S31)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0)를 거쳐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20)는, 온도검출센서(21)에 의해 케이스체 온도를 검출하고, 이 케이스체 온도에 따라서 신규 목표 전압치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20)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이 신규목표 전압치보다 하회하면 데이터의 송신비트 속도를 떨어뜨린다. 즉, 데이터 전송장치(20)는, 배터리(9)의 잔량이 있는 값을 하회하는 경우, 데이터의 송신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약한다. 또, 동시에 주위의 온도가 저하하면, 배터리(9)의 내부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전지 특성이 열화한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장치(20)는, 데이터의 송신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하여 통신품질이 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3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3실시형태로서 도 5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30)는, 기본구성을 도 1에 나타낸 제 1실시형태의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하지만, 데이터를 분할하는 분할회로(31)와, 분할되어서 공급되는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하기 위한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3) 및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4)와, 각각의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34)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고, 1개의 신호와 합성하는 합성회로(35)를 갖추고, 데이터처리 제어회로(36)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점이 상위하고 있다. 이것은, 고속인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해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코드채널을 이용하는, 소위 멀티코드 COMA방식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앞서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전송장치(30)는, 입출력회로(2)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 증폭기(6)와, 전지전압 감시회로(7)와, 배터리(9)와, 안테나(10)와, 출력제어회로(13)와, 분할회로(31)와, 제 1베이스밴드신호 처리회로(32)와,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3)와,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4)와, 합성회로(35)와, 진폭제어회로(36)와, 상황판단부(37)를 갖춘다.
분할회로(31)는, 입출력회로(2)에서 공급되는 패킷화된 데이터를 복수 채널,예를 들면 3채널로 분할하고, 각각 제 1베이스밴드신호 처리회로(32)와,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3)와,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4)로 공급하고, 이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 33, 34)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확산부호인 예를 들면 코드(1), 코드(2) 및 코드(3)에 의해 각각 확산변조하고, 이들 확산변조된 3채널의 신호를, 후술하는 합성회로(35)에 공급한다.
합성회로(35)는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34)로부터의 3개의 신호를 합성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하고, 진폭제어회로(36)로 공급한다.
진폭제어회로(36)는, 후술하는 상황판단부(37)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그 제어신호에 의거해서, 합성회로(35)에서 공급된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 즉 진폭제어한다.
상황판단부(37)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전압치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결정한다. 즉, 상황판단부(37)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검출전압치가 목표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내리고,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검출전압치가 목표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올리고,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진폭제어회로부(36)로 공급한다.
단, 상황판단부(37)에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값을 올려도, 배터리(9)의 사용 시간이 단축되지 않도록 최대치의 상한치가 설정되고 있다. 또, 상황판단부(37)에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값을 내려도, 통신품질을 손상하지 않독록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하한치가 설정되어 있다.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는, 이상과 같은 번위내에서, 상황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30)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6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도 6의 스텝(S32)에 있어서, 입출력회로(2)는, 정보처리장치(11)에서 패킷화된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데이터를 분할회로(31)에 공급한다.
스텝(S33)에 있어서, 분할회로(31)는, 입력회로(2)에서 입력한 패킷화된 데이터를 3개의 채널로 부할하고, 각 채널의 데이터를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3) 및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4)로 각각 공급한다.
스텝(S34)에 있어서,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 33, 34)는, 입력된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확산부호(코드 1, 코드 2, 코드 3)에 의해 각각 확산변조하고, 이들의 확산변조된 각 신호를 합성회로(35)에 공급한다.
스텝(S35)에 있어서, 합성회로(35)는,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34)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고, 얻은 합성신호를 진폭제어회로(36)에 공급한다.
스텝(S36)에 있어서, 전지전압 감시회로(7)는, 배터리(9)의 전압전압을 검출하고, 이 검출전압치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황판단부(37)에 공급한다.
스텝(S37)에 있어서, 상황판단부(37)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전압치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전압치보다도 낮은지어떤지를 판정한다. 검출전압치가, 목표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스텝(S38)으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내리고, 검출전압치가 목표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스텝(S39)으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올리고,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진폭제어회로(36)로 공급한다. 이 때, 합성신호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의 전압이, 이미 최대치일 때에는, 그 대로 합성신호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유지한다.
스텝(S40)에 있어서, 진폭제어회로(36)는, 상황판단부(37)에 있어서 결정된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진폭제어회로(36)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해서 합성신호의 진폭제한처리를 행하고, 이 합성신호를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스텝(S41)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진폭제어회로(36)에서 입력되는 합성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로 변조하고,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스텝(S42)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0)를 거쳐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30)는 검출되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전압치를 하회한 경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진폭제어회로(36)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30)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이 저하하면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내린다. 즉, 데이터 전송장치(3)는, 배터리(9)의 잔량이 있는 값을 하회하면,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약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30)는, 전지 잔량이 저하한때에 있어서도 통신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4실시형태로서 도 7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40)는, 기본 구성을 도 5에 나타낸 제 3실시형태의 데이터 전송장치(30)와 동일하지만, 데이터 전송장치(40)의 케이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41)를 갖추는 점에서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우선 도 5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3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40)는, 입출력회로(2)와, RF신호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전지전압 감시회로(7)와, 배터리(9)와, 안테나(10)와, 출력제어회로(13)와, 분할회로(31)와,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와,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3)와,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4)와, 합성회로(35)와, 진폭제어회로(36)와, 온도검출센서(41)와, 상황판단부(42)를 갖춘다.
온도검출센서(41)는, 데이터 전송장치(40)의 케이스체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케이스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후술하는 상황판단부(42)에 공급한다. 여기서의 데이터 전송장치(40)의 케이스체 온도는, 주위 온도의 영향을 받아서 변화하는 데이터 전송장치(40) 본체의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장치(40)가 낮은 주위 온도의 아래로 유지되어 있을 때, 케이스체 온도는, 주위의 온도에 맞춰셔 저하한다.
상황판단부(42)는, 온도검출센서(41)에서 공급되는 케이스체 온도를 나타내는 전기신호에 의거해서, 목표전압치를 신규 목표 전압치로 변경한다. 상황판단부(42)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배터리(9)의 전지전압과, 데이터 전송장치(40)의 케이스체 온도에 따라서 변경된 신규 목표 전압치를 비교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상황판단부(42)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지전압이, 신규 목표 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올리고,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진폭제어회로(36)로 공급한다.
단, 상황판단부(42)에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값을 올려도, 배터리(9)의 사용시간이 단축하지 않도록 최대치의 상한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 상황판단부(42)에는, 합성신호의 진폭의 값을 내려도, 통신품질을 손상하지 않도록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하한치가 설정되어 있다.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는, 이상과 같은 범위내에서, 상황에 따라서 변경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장치(40)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8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도 8의 스텝(S43)에 있어서, 입출력회로(2)는 정보처리장치(11)에서패키화된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데이터를 분할회로(31)로 공급한다.
스텝(S44)에 있어서, 분할회로(31)는, 입출력회로(2)에서 입력한 패킷화된 데이터를, 3개의 채널로 분할하고, 각각의 채널신호를 제 1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 제 2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3) 및 제 3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4)로 공급한다.
스텝(S45)에 있어서,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 33, 34)는, 입력된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확산부호(코드 1, 코드 2, 코드 3)에 의해 각각 확산변조하고, 이들 확삭변조된 각 신호를 합성회로(35)로 공급한다.
스텝(S46)에 있어서, 합성회로(35)는, 각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32∼34)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고, 얻은 합성신호를 진폭제어회로(36)로 공급한다.
스텝(S47)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41)는, 데이터 전송장치(40)의 케이스체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케이스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황판단부(42)로 공급한다. 상황판단부(42)는, 온도검출센서(21)에서 공급되는 케이스체 온도를 나타내는 전기신호에 의거해서, 목표 전압치를 신규 목표 전압치로 변경한다.
스텝(S48)에 있어서, 상황판단부(42)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신규 목표 전압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신규 목표 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스텝(S49)으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값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내리고, 검출전압치가 목표 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스텝(S50)으로 진행하고,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올리고,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진폭제어회로(36)에 공급한다. 이 때, 합성신호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압이, 이미 최대치에 있을 때는, 그 대로 합성신호의 최대치의 상한치 및 신호증폭기(6)의 전원전압을 유지한다.
스텝(S51)에 있어서, 진폭제어회로(36)는, 상황판단부(42)에 있어서 결정된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나타내는 전압신호를 입력한다. 진폭제어회로(36)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거해서 합성신호의 진폭제한처리를 행하고, 이 합성신호를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스텝(S52)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진폭제어회로(36)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위한 RF신호로 변조하여, 신호증폭기(6)에 공급한다.
스텝(S53)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0)를 거쳐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40)는, 온도검출센서(41)에 의해 케이스체 온도를 검출하고, 이 케이스체 온도에 따라서 신규 목표 전압치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40)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이 신규 목표 전압치를 하회한 경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진폭제어회로(36)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40)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이 저하하면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내린다.
즉, 데이터 전송장치(40)는 배터리(9)의 잔량이 있는 값을 하회하면,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약한다. 또, 동시에 주위이 온도가 저하할 때, 내부 저항의 증대에 의해 배터리(9)의 전지특성의 열화가 일어나는 경우, 데이터의 합성신호의 최대치의 상한치를 제어하여 통신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실시형태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50)는 기본구성을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하게 하지만, 음성신호 입력회로(51)와, 음성 CODEC(Coder/Decoder)회로(52)를 갖추는 점에서 특징으로 갖고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50)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 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전지전압 감시회로(7)와, 배터리(9)와 안테나(10)와, 음성신호 입출력회로(51)와, 음성CODEC회로(52)와, 상황판단부(53)를 갖춘다.
음성신호 입력회로(51)는, 외부에서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이 음성신호를 후술하는 음성CODEC회로(52)로 공급한다.
음성CODEC회로(52)는, 음성신호 입력회로에서 공급되는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부호화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로 공급한다.
상황판단부(53)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기신호가 검출전압치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 전압치를 비교하고, 음성CODEC회로(52)에 있어서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상황판단부(53)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검출전압치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 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내리고, 목표 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올려서 결정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음성CODEC회로(52)로 공급한다. 단, 상황판단부(53)에는,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올려도 배터리(9)의 사용시간이 단축되지 않도록 상한치의 최대치가 설정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하는 각 부를 갖추는 데이터 전송장치(50)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도 10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도 10의 스텝(S54)에 있어서, 전지전압 감시회로(7)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을 검출하고, 이 전원전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황판단부(53)에 공급한다.
스텝(S55)에 있어서, 상황판단부(53)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 전압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목표 전압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목표 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스텝(S56)으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내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목표 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스텝(S57)으로 진행하고, 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올려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이 때,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가, 이미 최대치일 때는, 그 대로 부호화비트 속도를 유지한다.
스텝(S58)에 있어서, 음성CODEC회로(52)는, 상황판단부(53)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무음상태를 포함하는 음성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인 프레임마다 부호화비트 속도를 결정하고, 또 상기 프레임마다 부호화비트 속도에 따른 송신비트 속도의 정보를 베이스밴드 처리회로(12)에 보내고, 상기 프레임마다 부호화비트 속도로 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로 출력한다.
스텝(S59)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3)는, 음성CODEC회로(52)에서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신호의 송신 비트 속도를 검출한다.
스텝(S60)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3)는, 부호화비트 속도의 정보를 검출한다. 음성 CODE회로(52)에 있어서 무음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61)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는, 스텝(S58)에 있어서 결정된 송신 비트 속도에 의거해서, 부호화된 음성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는, 이 베이스밴드 신호를 RF신호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또, 출력제어회로(13)는,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송신 비트 속도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이 송신 비트 속도에 따라서, 출력파워를 변화시키는 뜻의 신호를, 송신 증폭기(6)로 공급한다.
음성CODEC회로(52)에 있어서 무음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62)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3)는,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에의 출력공급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출력 제어회로(13)는,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에의 출력공급을 정지하고, 이들을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스텝(S63)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로 변조하고,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스텝(S64)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0)를 거쳐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50)는, 검출되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목표 전압치를 하회한 경우, 음성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음성CODEC회로(52)로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50)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이 저하하면 음성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를 내린다. 즉, 데이터 전송장치(50)는, 배터리(9)의 잔량이 있는 값을 하회하면, 음성데이터의 부호하 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약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50)는, 전지 잔량이 저하할 때에, 통신이 돌연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지 잔량에 따른 데이터 부호화비트 속도를 선택함으로써, 전지 잔량의 저하시에 있어서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6실시형태로서 도 11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60)는, 기본 구성을 도 9에 나타낸 데이터 전송장치(50)와 동일한 것으로 하지만, 데이터 전송장치(60)의 케이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61)를 갖추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앞서 도 9에 나타낸 데이터전송장치(5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의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데이터 전송장치(60)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4)와, RF신호변조회로(5)와, 신호증폭기(6)와, 전지전압 감시회로(7)와, 배터리(9)와, 안테나(10)와, 음성신호 입력회로(51)와, 음성CODEC회로(52)와, 온도검출센서(61)와, 상황판단부(62)를 갖춘다.
온도검출센서(61)는, 데이터 전송장치(60)의 케이스체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케이스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후술하는 상황판단부(62)로 공급한다. 여기서의 데이터 전송장치(60)의 케이스체 온도란, 주변 온도의 변화를 받아서 변화하는 데이터 전송장치(60) 본체의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장치(60)가 낮은 주변 온도하에서 유지되고 있을 때, 케이스체 온도에 맞춰서 저한다.
상황판단부(62)는, 온도검출센서(61)에서 공급되는 케이스체 온도를 전기신호에 의거해서, 목표전압치를 신규 목표 전압치로 변경한다. 상황판단부(62)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배터리(9)의 전지전압과, 데이터 전송장치(60)의 케이스체 온도에 따라서 변경된 신규 목표치를 비교하고,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결정한다.
즉, 상황 판단부(62)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지전압이, 신규 목표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내리고,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지전압이, 신규 목표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부호화비트속도의 상한치를 올리고, 결정된 상한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음성CODEC회로(52)로 공급한다. 단, 상황판단부(62)에는,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올려도, 배터리(9)의 사용시간이 단축되지 않도록 최대치가 설정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장치(60)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1)에서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는, 도 12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일련의 공정을 거침으로써,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우선, 도 12의 스텝(S65)에 있어서, 전지전압 감시회로(7)는, 배터리(9)의 전압전압을 검출하고, 이 전원전압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황판단부(62)로 공급한다.
스텝(S66)에 있어서, 온도검출센서(61)는, 데이터 전송장치(60)의 케이스체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케이스체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황판단부(62)로 공급한다. 상황판단부(62)는, 온도검출센서(61)에서 공급되는 케이스체 온도를 나타내는 전기신호에 의거해서, 목표 전압치를 신규 목표 전압치로 변경한다.
스텝(S67)에 있어서, 상황판단부(62)는, 전지전압 감시회로(7)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신규 목표 전압치보다도 낮은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신규 목표 전압치보다도 낮은 경우는, 스텝(S68)으로 진행하고, 음성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내린다. 한편, 전기신호가 나타내는 전압치가, 신규 목표 전압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스텝(S69)으로 진행하고, 음성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올려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이 때,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가, 최대치에 있을 때는, 그 대로 부호화비트 속도를 유지한다.
스텝(S70)에 있어서, 음성CODEC회로(52)는, 상황판단부(62)에 있어서 결정된 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무음 상태를 포함하는 음성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부호화 단위인 프레임마다 부호화비트 속도를 결정하고, 또 상기 프레임마다 부호화비트 속도에 따른 송신비트 속도의 정보를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에 보내고, 상기 프레임마다 부호화비트 속도로 음성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로 출력한다.
스텝(S71)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3)는, 음성CODEC회로(52)에서 출력되는 베이스밴드 신호의 송신비트 속도를 검출한다.
스텝(S72)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3)는 부호화비트 속도의 정보를 검출한다. 음성CODEC회로(52)에 있어서 무음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72)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는, 스텝(S70)에 있어서 결정된 송신비트 속도에 의거해서, 부호화된 음성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는, 이 베이스밴드 신호를 RF신호 변조회로(5)에 공급한다. 또, 출력제어회로(13)는, 송신하여야 할 송신비트 속도가 임계치보다도 작은 경우,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전송비트 속도에 따라서, 출력파워를 변화시키는 의미의 신호를,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음성CODEC회로(52)에 있어서 무음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S74)에 있어서, 출력제어회로(13)는,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에의 출력공급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출력제어회로(13)는, RF신호 변조회로(5) 및 신호증폭기(6)에의 출력공급을 정지하고, 이들을 휴지상태로 천이시킨다.
스텝(S75)에 있어서, RF신호 변조회로(5)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회로(12)에서 입력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송신하기 위한 RF신호로 변조하고, 신호증폭기(6)로 공급한다.
스텝(S76)에 있어서, 신호증폭기(6)는, RF신호 변조회로(5)에서 입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10)를 거쳐서, 증폭된 RF신호를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장치(60)는, 온도검출센서(61)에 의해 케이스체 온도를 검출하고, 이 케이스체 온도에 따라서 신규 목표 전압치를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60)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이 신규 목표 전압치를 하회한 경우, 음성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음성CODEDC회로(52)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장치(60)는, 배터리(9)의 전원전압이 저하하면 데이터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내린다. 즉, 데이터 전송장치(60)는, 배터리(9)의 잔량이 있는 값을 하회하면, 음성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약한다. 또, 동시에 주위의 온도가 저하함으로써 배터리(9)의 전지특성이 열화하는 경우, 음성데이터의 부호화비트 속도의 상한치를 제어하여 통신품질이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실시형태, 제 4실시형태 및 제 6실시형태에 나타낸 온도검출센서는, 데이터 전송장치의 케이스체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데이터 전송장치 내부에 다른 회로 등으로부터의 발열의 영향이 최소가 되는 개소에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휴대가 가능하게,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과,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전압 검출수단과, 전지전압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공급되는 검출전압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전송상황 판단수단을 갖춘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전송장치는, 전지전압 검출수단에 있어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고, 전송상황 판단수단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데이터의 전송속도로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처리를 제어하고 소비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시간이 연장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전지잔량에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처리를 제어함으로써, 전지잔량이 저하한 때에, 통신이 돌연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지잔량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를 변경함으로써, 전지잔량의 저하시에 있어서도 통신품질의 열화를 극력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자신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배터리의 전지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데이터 전송처리를 변경함으로써, 통신품질이 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휴대가 가능하게,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부호화수단과,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전압 검출수단과, 전지전압 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검출전압치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수단을 제어하는 전송상황 판단수단을 갖춘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전송장치는, 전지전압 검출수단에 있어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고, 전송상황 판별수단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처리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데이터의 부호화처리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서, 데이터의 부호화처리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시간이 연장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전지 잔량에 따라서 데이터이 부호화 처리를 제어함으로써, 전지잔량이 저하한 때에, 통신이 돌연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지잔량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처리를 변경함으로써, 전지 잔량의 저하시에 있어서도 통신품질을 일정 레벨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는, 자신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배터리의 전지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데이터 부호화처리를 변경함으로써, 통신품질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전송처리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데이터 전송방법은,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처리가 제어되고, 소비전력이 조절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이 보다 장시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전지 잔량에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처리가 제어되기 때문에, 전지 잔량이 저하한 때에, 통신이 돌연 단절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전지잔량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처리가 변경됨으로써, 전지 잔량의 저하시에 있어서도 통신품질을 일정 레벨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의하면, 자신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배터리의 전지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데이터 전송처리가 변경됨으로써, 통신품질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 처리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전송방법은,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처리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처리가 제어되고, 소비전력이 조절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이 보다 장시간 계속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방법에 의하면, 전지잔량에 따라서 데이터의 부호화처리가 제어되기 때문에, 전지잔량이 저하한 때에, 통신이 돌연 단절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전지잔량에 따라서 데이터 부호화처리가 변경됨으로써, 전지잔량의 저하시에 있어서도 통신품질의 열화를 극력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데이터 전송장치에 의하면, 자신의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주위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배터리의 전지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데이터 전송처리가 변경됨으로써 통신품질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4)

  1. 휴대가 가능하게,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장치에 있어서,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제어하는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과,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전압검출수단과,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검출전압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전송상황판단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을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전송상황판단수단은,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전압치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패킷화된 상기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이고,
    케이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은, 상기 온도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온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목표전압치를 신규목표전압치로 변경하고,
    상기 전송상황판단수단은,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전압과, 상기 신규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패킷화 된 상기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서 생성하여 얻은 베이스밴드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는 송신신호변조수단과.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복수채널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수단과.
    상기 복수채널의 데이터를 각각 다른 확산신호로 확산변조하는 복수의 베이스밴드신호처리수단과.
    상기 베이스밴드신호를 합성하고,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수단을 갖추고,
    상기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은,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상황판단수단은,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전압치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케이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은, 상기 온도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온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목표전압치를 신규목표전압치로 변경하고,
    상기 전송상황판단수단은,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전압치와, 상기 신규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전송처리제어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는 송신신호 변조수단과,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9. 휴대가 가능하게,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장치에 있어서,
    데이터부호화수단과,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지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지전압검출수단과,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검출전압치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부호화수단을 제어하는 전송상황판단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을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상황판단수단은,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전압치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부호화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부호화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케이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을 갖추고,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은, 상기 온도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온도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목표전압치를 신규목표전압치로 변경하고,
    상기 전송상황판단수단은, 상기 전지전압검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검출전압치와, 상기 신규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부호화수단은,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부호화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서 생성하여 얻은 베이스밴드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는 송신신호변조수단과,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장치.
  13.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방법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전송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과,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패킷화 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케이스체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에 의거해서 상기 목표전압치를 신규목표전압치로 변경하고,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신규전원전압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패킷화 된 데이터의 송신비트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베이스밴드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복수채널의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채널의 데이터를 각각 서로 다른 확산부호로 확산변조하고,
    상기 확산변조된 각 채널의 신호를 합성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사익 전원전압과,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에 의거해서 상기 목표전압치를 신규목표전압치로 변경하고,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신규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합성신호의 진폭의 최대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제어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21. 무선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전송방법에 있어서,
    전원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원전압에 따라서 데이터부호화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과, 미리 기억되어 있는 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데이터의 부호화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전송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에 의거해서 상기 목표전압치를 신규전압치로 변경하고,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신규목표전압치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데이터부화처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데이터의 전송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서 베이스밴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베이스밴드신호를 송신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송신신호를 증폭시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전송방법.
KR1020017008531A 1999-11-05 2000-11-06 데이터전송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 KR200101013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15886 1999-11-05
JP31588699 1999-11-05
PCT/JP2000/007786 WO2001033810A1 (fr) 1999-11-05 2000-11-06 Procede et appareil de transmission de donne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383A true KR20010101383A (ko) 2001-11-14

Family

ID=1807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531A KR20010101383A (ko) 1999-11-05 2000-11-06 데이터전송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43685A1 (ko)
KR (1) KR20010101383A (ko)
CN (1) CN1341319A (ko)
WO (1) WO20010338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01B1 (ko) * 2001-02-03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 및 그 통신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통신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0396A (ja) * 2004-08-06 2006-02-16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91455A (ja) * 2005-01-07 2006-07-20 Nec Corp 無線移動通信方法、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及び無線移動端末
US8050932B2 (en) * 2008-02-20 2011-1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ng speech COder operational rates
CN102810878B (zh) * 2011-05-30 2017-02-08 苏州润源电气技术有限公司 单体动力电池精确管理实现方法和系统及智能电池模块
US9131452B2 (en) 2013-10-25 2015-09-08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in a two-way device based on battery impedance
JP7424210B2 (ja) 2020-05-26 2024-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9107A (ja) * 1998-08-19 2000-03-03 Canon Inc バッテリ節電装置、バッテリ節電方法、及び記憶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01B1 (ko) * 2001-02-03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 및 그 통신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통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3810A1 (fr) 2001-05-10
CN1341319A (zh) 2002-03-20
EP1143685A1 (en)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486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비대칭 순방향 전력제어장치 및방법
KR960006142B1 (ko) 디지탈 이동전화 시스템에서 전력을 조절하는 방법
AU746139B2 (en) Multiple code channel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803716B2 (ja) Cdmaセルラー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回線制御装置
US7107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us information of forward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elective transmit diversity
US6909905B2 (en) Mobile communications control including change of bit rate based on traffic and transmit power
EP112289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JP3543773B2 (ja) セルラ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移動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電力制御方法
KR20010087259A (ko) 무선 통신 장치, 이동국 장치, 기지국 장치 및 송신 전력제어 방법
US7376437B2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KR10080051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제어 장치 및 그 송수신전력 제어 방법
JPH1141138A (ja) Cdma送受信機
KR20010101383A (ko) 데이터전송장치 및 데이터전송방법
US7376390B2 (en) Radio control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program,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9980080807A (ko) 이동 정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14839A (ko) 기지국 송신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cdma 이동 통신시스템
KR20010093228A (ko) 데이터 전송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
CN101442794B (zh) 一种控制无线终端发射功率的方法及无线终端
EP1411631B1 (en) Power amplification system and method
EP122474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nd a network element
KR100753283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20010049806A (ko) 과부하 전력 제어 방법
KR1006634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WO2004059885A1 (ja) 無線通信装置
KR100584134B1 (ko) 역방향 송출전력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