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025A - 기저귀 밀봉 시스템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직포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기저귀 밀봉 시스템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직포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025A
KR20010101025A KR1020017006222A KR20017006222A KR20010101025A KR 20010101025 A KR20010101025 A KR 20010101025A KR 1020017006222 A KR1020017006222 A KR 1020017006222A KR 20017006222 A KR20017006222 A KR 20017006222A KR 20010101025 A KR20010101025 A KR 20010101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acrylate
tap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049B1 (ko
Inventor
폰야쿠쉬에그버트아
융디이터
Original Assignee
캐롤린 에이. 베이츠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343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10102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캐롤린 에이. 베이츠,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캐롤린 에이. 베이츠
Publication of KR2001010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0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13/581Tab fastener elements combining adhesive and mechanical fast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side groups
    • C08F290/1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148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C09J2483/005Presence of polysiloxane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층 위에 실리콘 릴리즈 층을 포함하고, 실리콘 릴리즈 층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쪽 이면의 면은 감압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릴리즈 층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닌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것인 열가소성 중합체의 직포 섬유 또는 부직포 섬유의 섬유층을 포함하는 이면을 구비하고, 폴리에틸렌 필름 표면에 대해 6 N/2.54 cm 이상의 90°박리 접착력을 지니고, 1 N/2.54 cm 이하의 케일 테스트 값을 지니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이 접착 테이프는 기저귀와 같은 흡수성 물품용의 천과 같은 감촉의 밀봉 시스템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기저귀 밀봉 시스템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직포 접착 테이프{NON-WOVEN ADHESIVE TAPE FOR THE MANUFACTURING OF A DIAPER CLOSURE SYSTEM}
1회용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얇고,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이면 시트 필름, 이면 시트 필름 내부의 흡수성 코어 및 그 코어를 덮는 다공성 톱 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저귀는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고, 기저귀의 양 끝은 각각 정면과 배면으로 뻗게된다. 그러면, 각 측면의 기저귀의 인접한 가장자리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거나, 중첩되고, 감압 접착 테이프 또는 기계적 패스너(fastener) 테이프의 스트립이 두 가장자리 각각의 인접한 경계의 이면 시트에 부착되어, 기저귀를 밀봉시킨다.
1회용 물품에 이용되는 바람직한 밀봉 시스템은, 예컨대 후크와 루프 패스닝(fastening)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계적 패스너를 이용한다. 기계적 패스닝 시스템은 1회용 물품의 개폐에 반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지닌다. 기계적 패스너를 구비한 밀봉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5,019,073호 및 제5,176,671호, 그리고 유럽 특허 제324 578호, 제563 457호 및 제563 458호에 기술되어 있다.
기계적 패스너를 이용하는 밀봉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1회용 기저귀의 양 가장자리의 이면 시트 필름에 기계적 패스너를 부착시키는 접착 테이프를 이용한다. 지금까지, 중합체 필름 이면을 지닌 접착 테이프가 기저귀의 가장자리에 기계적 패스너를 부착시키는 데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플라스틱 필름 이면을 천과 같은 감촉을 주는 부직포 이면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중에서 부직포 이면이 바람직한 이유는 기저귀의 많은 다른 부분품, 특히 기저귀의 외면이 천과 같은 감촉을 지니기 때문이다.
밀봉 시스템 제조에 이용되는 접착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테이프 그 자체가 감겨 있는 롤로서 제공되기 때문에, 테이프의 접착층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쪽 이면 의 면에 릴리즈 코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저귀의 폴리에틸렌 면에 부착시키는 데 이용되는 접착층은 일반적으로 강력한 접착력, 예컨대 6 N/2.54 cm보다 큰 90°박리 접착력을 나타내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부직포 이면의 릴리즈 코팅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 중 어느 것도 기저귀의 밀봉 시스템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강력한 접착력을 이용하는 접착 테이프와 함께 사용하기에 전적으로 만족스럽지는 않다. 선행 기술의 릴리즈 코팅이 지닌 문제점은 릴리즈 코팅을 접착층으로 전달하여 접착층의 접착 성능에 영향을 주어서,풀기가 어렵고, 풀 때 테이프의 부직포 이면에 손상을 준다는 것이다.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는 기계적 밀봉 시스템의 적용은 기저귀 제조 라인상의모든 패스닝 및 릴리즈 구성요소의 라인내 적층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라인내 적층화는 원하는 제품의 제조 과정을 복잡하게 하고, 때로는 제조자에게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밀봉 시스템 패스닝 장치는 롤 형태로 제공되도록 개발되어왔다.
예비 적층화된 형태의 단일 밀봉 테이프 롤은 제조 라인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밀봉 테이프는 롤 너비가 제조할 기저귀 밀봉 테이프의 원하는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복합 테이프로서 기저귀에 도포된다. 밀봉 테이프는 원하는 너비의 밀봉 테이프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복합 테이프 롤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절단되어, 기저귀의 한쪽 면의 경계를 따라 적절한 위치에 부착된다. 이러한 밀봉 테이프의 경우 역시 예비 적층화 형태이기 때문에, 접착층은 테이프를 감을 경우 이면의 다른 면과 접촉하게 되고, 역시 이 경우에도 롤 형태의 접착 테이프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미국 특허 제4,696,854호는 유기 중합체 층과 경화된 실리콘 수지 층의 다공성 이중층 부직포 기판을 개시한다. 친수성 천연 또는 합성 감압 접착체로 유기 중합체 층을 코팅함으로써 그 자체가 감길 수 있는 접착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이중층 부직포 기판은 경화된 실리콘 수지 층 없이도 부직포와 거의 동일한 다공도를 지니기 때문에 이러한 접착 테이프는 의약품 형태로서 유용하다는 점도 개시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를 의약용으로 이용할 목적이라면, 사용되는 바람직한 접착제는 피부로부터 테이프를 통증없이 떼낼 수 있게 하는 매우 강력하지 않은 접착력을 지닌 감압 폴리아크릴 접착제이다.
미국 특허 제4,871,611호는 이와 유사하게 의약용을 목적으로 하는 부직포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이 미국 특허는 부직포 이면내로는 실질적으로 침투되지 않게 하면서 방사 경화성 폴리실옥산 수지 조성물로 한쪽 면의 부직포 기판을 코팅하고, 이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에서 예시된 코팅 조성물은 주로 100%의 폴리실옥산 수지를 함유한다. 미국 특허 제4,871,611호의 바람직한 실리콘 수지로는 골드슈미트 AG에서 시판하는 TEGOTM실리콘 아크릴레이트 RC-149, RC-300, RC-450 및 RC 802와 같은 (메트)아크릴화된 폴리디알킬실옥산이 있다.
국제 특허 공개 제88/7931호는 99 내지 70 중량%의 반응성 수지에 불연속상으로서 분산된 1 내지 30 중량%의 반응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릴리즈 코팅에 관한 것이다. 반응성 실리콘의 예로는 아크릴기, 머캡토기 또는 옥시란기를 지닌 폴리디메틸실옥산이 있다. 반응성 수지는 반응성 실리콘과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지닌 반응성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릴리즈 코팅은 종이 또는 중합체 필름 위에 제공되어, 예컨대 라벨을 생성할 수 있다.
국제 특허 공개 제95/23694호는 두가지의 다른 종류의 (메트)아크릴화된 실리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릴리즈 코팅에 관한 것이다. 반응성 실리콘의 예로는 상표명 TEGOTMRC 하에 골드슈미트 케미칼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실리콘이있다. 특히, 제2 종류의 실리콘의 일 예인 RC-705과 배합되어질 제1 종류의 실리콘의 일 예로서 TEGOTMRC-726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용도의 실리콘 릴리즈 코팅은, 예컨대 아크릴화된 또는 메타크릴화된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같은 반응성 올리고머를 추가로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국제 특허 공개 제96/5962호는 두가지 다른 종류의 (메트)아크릴화된 실리콘 및 특정 화학식의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사 경화성 실리콘 릴리즈 코팅을 개시한다. 실리콘의 예로는 둘다 골드슈미트 케미칼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RC-726 및 RC 708, 그리고 GE 실리콘스에서 시판하는 SL 5030이 있다. 아크릴화된 또는 메타크릴화된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같은 반응성 올리고머 또한 릴리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릴리즈 코팅은 종이, 비닐, PVC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유리, 강철, 알루미늄 및 부직포 섬유를 비롯한 다양한 기판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교시한다.
미국 특허 제5,562,992호는 2 내지 7%의 (메트)아크릴화된 실리콘 수지 및 90 내지 98%의 아크릴화된 또는 메타크릴화된 유기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또는 폴리아미노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사 경화성 실리콘 릴리즈 조성물을 개시한다. 실리콘의 예로는 모두 골드슈미트 케미칼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RC 450, RC 450N, RC 706, RC 707, RC 710, RC 720 및 RC 726이 있다. 릴리즈 코팅은 종이, 비닐, PVC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유리, 강철, 알루미늄 및 부직포 섬유를 비롯한 다양한 기판에 유용하다.
유럽 특허 제693889호는 루프 패스너 재료가 롤 또는 적층물로서 제공되는패스너 부분을 결합시킴으로써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루프를 포함하는 루프 패스너 재료를 개시한다. 롤 또는 적층물로서 보관될 때, 루프층과 접착층의 루프 사이의 접착력을 조절하기 위해 반응성 실리콘과 같은 릴리즈제로 루프를 코팅하는 것도 교시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직포 섬유 또는 부직포 섬유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을 구비한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이 이면은 섬유층 위에 실리콘 릴리즈 층을 포함하고, 실리콘 릴리즈 층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쪽 이면의 면은 감압 접착층을 포함하며, 이 실리콘 릴리즈 층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닌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 접착 테이프는 폴리에틸렌 필름 표면에 대해 6 N/2.54 cm 이상의 90°박리 접착력을 지니고, 1 N/2.54 cm 이하의 케일(Keil) 테스트 값을 지닌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접착 테이프 롤을 보관한 후에도 이면 재료를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풀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 테이프에서 요구되는 접착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는 흡수성 물품, 특히 기저귀의 밀봉 시스템의 제조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용도에서, 접착 테이프는 밀봉 시스템에 천과 같은 감촉을 주는 특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열가소성 중합체의 직포 섬유 또는 부직포 섬유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을 구비한 접착제 밀봉 테이프가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데, 상기 이면은 섬유층 위에 실리콘 릴리즈 층을 포함하고, 실리콘 릴리즈 층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쪽 이면의 면은 감압 접착층을 포함하며, 이 실리콘 릴리즈 층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닌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 접착제 밀봉 테이프는 폴리에틸렌 필름 표면에 대해 6 N/2.54 cm 이상의 90°박리 접착력을 지니고, 케일 테스트 값이 1 N/2.54 cm 이하이며,
접착제 밀봉 테이프의 제1 부분은 상기 감압 접착층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고,
접착제 밀봉 테이프의 제2 부분은 감압 접착층에 배치된 기계적 패스너를 지니고,
이 흡수성 물품은 또한 외면에 접착제 밀봉 테이프의 기계적 패스너와 체결될 수 있는 기계적 패스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접착제 밀봉 탭을 잘라낼 수 있는 롤 형태의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이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직포 섬유 또는 부직포 섬유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이면을 구비한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고, 이 이면은 섬유층 위에는 실리콘 릴리즈 층을 포함하고, 실리콘 릴리즈 층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쪽 이면의 면은 감압 접착층을 포함하며, 이 실리콘 릴리즈 층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닌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 접착제 밀봉 테이프는 폴리에틸렌 필름 표면에 대해 6 N/2.54 cm 이상의 90°박리 접착력을 지니고, 케일 테스트 값이 1 N/2.54 cm 이하이며,
이면의 제1 축 연장 부분은 감압 접착층 위에 배치된 기계적 패스너를 포함하고,
이면의 제2 축 연장 부분은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시키기 위한 노출된 감압 접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면의 섬유층에 경화성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고, 이렇게 도포된 실리콘 릴리즈 코팅을 화학선 방사 또는 열에 노출시킴으로써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직포 섬유 또는 부직포 섬유의 섬유층을 지닌 릴리즈 코팅된 이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경화성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니고,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인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고, 이 실리콘이 없는 유기 화합물의 점도는 25℃에서 500 mPa.s. 이상이며, 상기 폴리디알킬실옥산 대 상기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는 8:92 내지 35:65이다.
본 발명은 또한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니고,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인 폴리디알킬실옥산,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로서, 이 실리콘이 없는 유기 화합물의 점도는 25℃에서 500 mPa.s. 이상이고, 상기 폴리디알킬실옥산 대 상기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가 8:92 내지 35:65인 유기 화합물, 및
(iii) 선택적인 광-개시제
를 포함하는 릴리즈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니고,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인 폴리디알킬실옥산,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로서, 이 실리콘이 없는 유기 화합물의 점도는 25℃에서 500 mPa.s. 이상이고, 상기 폴리디알킬실옥산 대 상기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가 8:92 내지 35:65인 유기 화합물, 및
(iii) 선택적인 광-개시제
를 포함하는 릴리즈 코팅을 경화시켜서 얻은 릴리즈 코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직포 섬유 또는 부직포 섬유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이면(backing)을 지니고, 흡수성 물품의 기계적 밀봉 탭을 제공하기 위해 기저귀와 같은 흡수용 물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면의 섬유층에 제공되어 롤에서 접착제가 쉽게 풀리도록 할 수 있는 실리콘 릴리즈 코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 및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밀봉된 형태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밀봉 테이프 탭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기계적 패스너 패치를 포함하는 패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밀봉 테이프 탭의 바람직한 양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보관 중의 상태에서 본, 기저귀의 한쪽 가장자리에 부착된 밀봉 테이프 탭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밀봉 테이프 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의 이면은 열가소성 중합체의 직포 섬유 또는 부직포 섬유의 섬유층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NYLON 6 또는 NYLON 66과 같은 폴리아미드를 들 수 있다. 섬유층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임의의 기술을 통해 직포 또는 부직포 웹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직포 웹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기계적으로 얽힌 섬유 배열을 제조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 것들을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부직포 웹으로는 건조 레이드(카디드 또는 공기-레이드) 웹, 습윤 레이드 웹 및 중합체 레이드 웹을 비롯한 부직포 웹을 제조하기 위한 통상적으로 알려진 공정 중 임의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부직포 웹을 들 수 있다. 중합체 레이드 웹은 이면의 섬유층을 제조하기에 바람직하고, 스펀본딩 기술이나 용융-블로잉 기술 또는 이들을 조합한 기술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스펀본디드 섬유는 방적 돌기의 여러개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의 모세관으로부터 압출성형된 섬유의 직경이 급속히 감소되도록 필라멘트로서 주조된 열가소성 중합체를 압출성형하여 제조한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은 섬유이다. 스펀본디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이고, 통상 평균 직경이 7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이다. 용융-블로잉된 섬유는 일반적으로 이들의 직경을 줄이기 위해 주조된 열가소성 재료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는 고속의, 일반적으로 가온된 기체(예, 공기) 스트림으로 여러개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의 다이(die) 모세관을 통해 주조된 열가소성 재료를 주조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서 압출성형함으로써 제조한다.
그 후, 용융-블로잉된 섬유는 고속 기체 스트림에 의해 전달되고, 수집면에 침적되어 무작위적으로 분포된 용융-블로잉된 섬유 웹을 형성한다. 용융-블로잉된 섬유의 평균 직경은 1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웹 중 어떤 것은 한 종류의 섬유나 열가소성 중합체의 종류 및/또는 두께가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섬유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와 관련하여, 이면은 섬유층을 제조하는 데 이용되는 섬유의 종류 및/또는 특정 기술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 여러 섬유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특히 바람직한 양태와 관련하여, 이면은 스펀본디드 섬유에 의해 제조된 섬유층과 용융-블로잉된 섬유에 의해 제조된 섬유층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이면은 한층의 스펀본디드 섬유층, 한층 또는 두층의 용융-블로잉된 섬유층 및 한층의 스펀본디드 섬유층을 순서대로 포함할 수 있다. 스펀본디드 섬유층과 용융-블로잉된 섬유층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이면을 이용하는 것의 이점은 용융-블로잉된 섬유층이, 특히 용융-블로잉된 섬유층이 저점도인 경우, 접착제 코팅의 흡수에 대한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직포 웹 섬유를 오븐 또는 캘린더 롤을 이용한 열적 결합을 비롯한 공지된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켜서 향상된 웹 응집력을 제공한 다음, 이를 다시 매끈하게 하거나 엠보싱처리할 수 있다. 결합은 니들 펀칭 또는 스티치 결합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수화얽힘법(hydroentangling method) 또한 이용할 수 있다. 결합 정도는 일반적으로 섬유층의 다공도를 결정한다.
섬유층은 일반적으로 5 g/m2내지 1000 g/m2,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g/m2,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g/m2의 기본 중량을 지닌다. 특히 부직포 웹은 측정 기술에 매우 의존적인 두께보다는 기본 중량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층의 섬유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5 내지 35 ㎛이다. 본 발명의 실리콘 릴리즈 코팅은 이러한 미세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에 릴리즈 코팅을 제공하는 데 특히 적합하지만, 실리콘 릴리즈 코팅은 더 두꺼운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층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접착 테이프의 이면은 섬유층의 적층물과 중합체 필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중합체 필름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및 기타 폴리올레핀 필름을 들 수 있다. 중합체 필름 층은 일반적으로 두께가 10 내지 200 ㎛이고, 섬유층으로 접착제 코팅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 데 이로울 수 있다.
접착성 코팅이 섬유층으로 침투하는 데 대한 장벽으로서 중합체 필름 층을 제공하는 대신, 이들의 한쪽 면 위의 섬유층의 다공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온 롤로 섬유층을 캘린더링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면의 섬유층에는 실리콘 릴리즈 층이 제공된다. 실리콘 릴리즈 층은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닌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디알킬실옥산으로는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인 것을 들 수 있다. 디메틸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인 폴리디메틸실옥산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디알킬실옥산은 일반적으로 점도가 100 내지 500 mPa.s.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실리콘의 예들은 시판되며, 둘다 골드슈미트 케미칼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TEGOTMRC-902 및 RC-715를 들 수 있다.
폴리디알킬실옥산과의 반응을 위한 실리콘이 없는 유기 화합물은 일반적으로알킬화되거나 메타크릴화된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또는 아크릴화되거나 메타크릴화된 폴리아미노 화합물이다. 유기 화합물은 2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닌다. 유기 화합물은 또한 바람직하게 25℃에서 점도가 500 mPa.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에서 800 mPa.s. 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의 특정 예로는 벨기에에 소재하는 UCB 케미칼스에서 상표명 E 140로 시판하는 디트리메틸롤 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UCB에서 상표명 E 810로 시판하는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사토머에서 상표명 SR-444로 시판하는 변형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점도: 약 500 mPas), 사토머에서 상표명 CN-132로 시판하는 지방족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점도: 약 1000 mPas), 사토머에서 상표명 SR-348로 시판하는 에톡실화된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점도: 약 1100 mPas), UCB에서 상표명 E-150로 시판하는 비스페놀 A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점도: 약 1400 mPas)를 들 수 있다.
실리콘 릴리즈 층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쪽 이면의 면 위에는 감압 접착층이 제공된다. 접착 테이프의 접착층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감압 접착제는 기저귀용 접착 테이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압 접착제이다. 감압 접착제는 90°박리 접착력이 6 N/2.54 cm 이상인 접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90°박리 접착력은 접착층이 실리콘 릴리즈 층과 접촉한 후에 얻어지는 접착력이며, 즉 접착 테이프를 롤에서 푼 후 6 N/2.54 cm 이상의 90°박리 접착력을 보유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감압 접착층은 점착화제 수지의 함유에 의해 점착성이 변형된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고무 수지는 바람직하게 A 블록이 스티렌 단량체로부터 유도되고, B 블록은 이소프렌, 부타디엔 또는 이들의 수화된 형태로부터 유도되는 A-B-A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 제3,419,585호, 제3,676,202호, 제3,723,170호 및 제3,787,5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3,676,202호 및 제3,723,170호는 특정 점착화제의 이점을 비롯하여, B-블록이 이소프렌에서 유도되고, A-블록이 바람직하게 스티렌에서 유도될 경우의 이러한 접착제의 이점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3,519,585호 및 제3,787,531호는 특정 A-B 블록 공중합체와 특정 A-B-A 블록 공중합체를 유사한 감압 접착제 조성물 내에서 혼합하는 것의 이점을 개시한다.
특히 바람직한 접착제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5,019,071호 및 미국 특허 제5,300,057호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성분 및 수지 성분을 포함하며,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성분은 실질적으로 약 50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부의 선형 또는 방사형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A-B-A 블록 공중합체 및 약 10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40 중량부의 단순한 스티렌-이소프렌 A-B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된다. A-B-A 및 A-B 블록 공중합체 둘다에서, A-블록은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사체에서 유도된 것이며, B-블록은 이소프렌 단독으로 또는 소량의 다른 단량체와 함께 유도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A-B-A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 스티렌 또는 스티렌유사체로부터 유도된, 즉 중합된 A-블록(말단 블록) 및 이소프렌 단독으로 또는 소량의 다른 단량체와 함께 유도된 B-블록(중심 블록)으로 구성된 유형이다. 개개의 A-블록은 바람직하게 수 평균 분자량이 약 7,0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약 12,000 내지 30,000의 범위에 들며, A-블록은 바람직하게 약 10 내지 35 중량%의 블록 공중합체로 구성된다. 선형 A-B-A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 B-블록의 수 평균 분자량은 약 45,000 내지 180,000의 범위에 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형 공중합체의 분자량 그 자체는 약 75,000 내지 200,000 범위에 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형 A-B-A 블록 공중합체의 수 평균 분자량은 약 125,000 내지 400,000의 범위에 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하는 B-블록의 수 평균 분자량은 약 95,000 내지 36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방사형 A-B-A 중합체로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3,281,383호에 기술된 유형이 있으며, 다음의 일반식을 지닌다: (A-B-)(n)X, 여기서 A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사체로부터 중합된 열가소성 블록이고, B는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과 같은 접합된 디엔으로부터 중합된 탄성중합체 블록이며, X는 미국 특허 제3,281,383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작용성이 2 내지 4이거나, 가능하다면 "New Rubber is Backed by Stars"라는 표제하의 문헌[Chemical Week, 1975년, 6월 11일 발행, 페이지 35]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더 높은 작용성을 지닌 유기 또는 무기 연결 분자이다. "n"은 X의 작용성에 해당하는 수이다.
스티렌-이소프렌 유도된 A-B 블록 공중합체에서, 개개의 A-블록의 수 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약 7,000 내지 20,000이고, 블록 공중합체의 총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약 150,000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스티렌 및 이소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A-B 블록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 제3,787,531호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접착제 조성물의 탄성중합체 성분은 소량의 다른 더 많은 통상적인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은 약 25 중량%의 탄성중합체 성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이들은 천연 고무, 부타디엔, 이소프렌, 부타디엔-스티렌,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 고무, 부틸 고무 및 기타 탄성중합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접착제 조성물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당 약 20 내지 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중량부의 수지 성분을 함유한다. 수지 성분은 실질적으로 탄성중합체 성분을 위한 점착화제 수지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통상적인 점착화제 수지 또는 이러한 수지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탄화수소 수지, 로진 및 로진 유도체, 폴리테르펜 및 기타 점착화제를 포함한다.
접착층은 항산화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및 충전제 등과 같은 소량의 다양한 재료들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항산화제로는 2,5 디-t-아밀 히드로퀴논 및 디-t-부틸 크레솔이 있다. 유사하게, 알킬 디티오카바메이트의 아연염과 같은 통상적인 열 안정제를 이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미립자 혼합물은 소량의 충전제 및 아연 산화물, 알루미늄 수화물, 점토,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카본 블랙 등과 같은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100 ㎛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경화성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을 이면의 섬유층에 코팅하고, 이렇게 도포된 실리콘 릴리즈 코팅을 화학선 조사 또는 열에 노출시켜서 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경화성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니고,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인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실리콘이 없는 유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점도가 25℃에서 500 mPa.s. 이상이어야 하고, 폴리디알킬실옥산 대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8:92 내지 35:65,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30:70이다.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은 코팅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이면의 섬유층에 도포할 수 있다. 적합한 코팅 기술의 특정 예로는 롤러 코팅, 브러싱, 분무, 역 롤 코팅, 그라비어 코팅 및 다이 코팅이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용매가 없으며, 멀티 롤 코팅에 의해 도포된다. 실질적으로 용매가 없다라는 말은 코팅 조성물이 10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의 용매를 함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팅된 실리콘 릴리즈 조성물의 경화는 열이나, 예컨대 전자빔, UV광, x-선, 감마선 및 베타선과 같은 화학선 방사를 이용한 조사에 의해 광화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은 또한 열적 또는 광화학적 유리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한다. 자외선광과 함께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광화학적 유리 라디칼 개시제, 즉 광개시제의 예로는 벤질 케탈, 벤조인 에테르, 아세토페논 유도체, 케톡심 에테르, 벤조페논, 벤조 또는 티오크산톤 등이 있다.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 또는 3- 또는 4-브로모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페닐벤조페논, 벤조퀴논, 1-클로로안트로퀴논, p-디아세틸-벤젠, 9,10-디브로모안트라센, 1,3-디페닐-2-프로판, 1,4-나프틸-페닐케톤, 2,3-펜텐디온, 프로피오페논, 클로로티오크산톤, 크산톤, 플루오레논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시판되는 광개시제의 일 예는 미국 뉴욕주 호손에 소재하는 시바 가이기 코포레이션에서 상표명 Darocur 1173하에 시판한다. 또 다른 광개시제로는 이탈리아 알비짜테에 소재하는 램버티 스파에서 상표명 ESACURE KIP 100F로 시판하는 70%의 올리고 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 프로판과 30%의 2-히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 혼합물이 있다.
존재할 경우, 유리 라디칼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100 중량부당 1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100 중량부당 2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사-경화성 조성물은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의 모노메틸에테르, 페노티아진, 디-t-부틸 파라크레솔 등과 같은 통상적인 중합 억제제를 첨가함으로써 보관 중의 때이른 중합에 대해 안정화될 수 있다. 0.1 중량% 이하의 양의 안정제가 일반적으로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를 얻기 위해,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면의 반대쪽 이면의 면에는 접착층이 제공된다. 코팅시 접착제가 이면을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이면에 이러한 침투를 막기 위한 장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장벽 수단은 전술한 바 있으며, 적층화된 중합체 필름, 스펀본디드 및 용융-블로잉된 섬유층의 배합물을 포함하고, 섬유층의 한면을 고온 캘린더 롤로 처리한 이면을 포함한다.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코팅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접착층을 이면 위에 제공할 수 있거나, 접착층을 먼저 릴리즈 라이너에 코팅한 후, 이면 위에 적층화되도록 옮길 수 있다. 접착층을 이면 위에 도포하기 위한 적합한 코팅 기술로는 고온 용융 코팅 기술은 물론, 나이프 코팅, 다이 코팅, 분무, 커튼 코팅 및 플랫 베드 코팅과 같은 용매 또는 수계 코팅 기술이 있다.
접착층을 이면 위에 제공한 후, 그 위에 접착 테이프를 감아서 롤 형태의 접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흡수성 물품 위의 밀봉 시스템, 특히 기저귀의 밀봉 시스템 제조를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밀봉된 형태의 1회용 기저귀 (10)의 사시도이다. 기저귀는 내면 (11)과 외면 (12) 사이에 흡수성 코어 (13)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 (13)는 일반적으로 압착될 수 있고, 잘 맞고,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성이며, 액체와 특정 체액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일 수 있다.
기저귀의 외면 (12)은 액체에 불침투성이고, 얇은 가소성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탄성있는 액체 불침투성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외면(12)은 흡수성 코어에 흡수 및 함유된 삼출물이 침대 시트 및 속옷과 같은 기저귀 (1)가 접촉하는 물품을 오염시키는 것을 막는다.
기저귀의 내면 (11)은 잘 맞고, 감촉이 부드러우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성이다. 또한, 내면 (11)은 액체 침투성이어서, 액체가 그 두께를 쉽게 침투하게 한다. 적합한 내면 (11)은 다공성 거품, 그물 모양의 거품, 천공된 필름, 천연 섬유(예, 목재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은 광범위한 재료 또는 천연 및 합성 섬유의 배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것은 착용자의 피부를 흡수성 코어 (13)에 보유된 액체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소수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적합한 내면 (11)은, 예컨대 약 15 내지 25 g/m2인 스펀-본드 또는 카디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 (13)를 외면 (12)에, 예컨대 감압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기타 접착제, 초음파 결합 또는 열/압력 밀봉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외면 (12)과 내면 (11)을 외면 (12)과 내면이 고정된 중간 고정 멤버를 이용하여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내면 (11)과 외면 (12)을 다양한 수단, 예컨대 감압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또는 기타 접착제, 초음파 결합 및/또는 열 및/또는 압력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기저귀 (10)에 대한 상기 기술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기저귀 및 이들의 구성물에 대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문헌에 기술되어 있으며, 예컨대 유럽 특허 제0529681호, 미국 특허 제4036233호, 유럽 특허 제0487758호, 국제 특허 공개 제96/10382호, 미국 특허 제3800796호, 유럽 특허제0247855호 또는 미국 특허 제4857067호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테이프는 기저귀 제조 라인 상의 모든 패스닝 및 릴리즈 구성요소의 라인내 적층화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조자는 밀봉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모든 필요한 구성요소를 지닌 예비 적층물 형태로 존재하는 한개의 밀봉 테이프 롤을 이용하는 것이 종종 더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와 관련하여, 복합 접착제 밀봉 탭이 흡수성 물품, 특히 기저귀의 밀봉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절단될 수 있는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는, 예컨대 국제 특허 공개 제96/21413호에 기술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접착제 밀폐 탭 (20)은 섬유층을 포함하는 이면 (21)을 지닌다. 접착층 (24)은 이면 (21)의 패스닝 면 (22)에 도포된다. 본 발명의 실리콘 릴리즈 층은 이면 (21)의 뒷면 (23)에 제공된다.
이면 (21)은 접착층 (24)과 함께 제공되는 패스닝 면 (22)을 지닌다. 기계적 패스너 구성요소 (30)를 포함하는 패치 (26)는 이면 (21)의 제1 축 연장 부분 (25)까지 접착층 (24)에 배치된다. 이면 (21)의 제2 축 연장 부분 (31)은 제조 공정 중에 접착층 (24)에 의해 1회용 기저귀의 가장자리 부분 (14) 또는 의복 (10)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기계적 패스너 패치 (26)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 3에 도시된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접착층 (24)에 의해 이면 (21)에 부착될 수 있는 제1 면 (29)과 그 위에 기계적 패스너 구성요소 (30)가 제공되는 제2 면 (28)을 지닌 밑면 시트 (27)로 이루어 진다. 밑면 시트 (27) 및 기계적 패스너 구성요소 (30)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패스너 구성요소 (30)는 임의의 통상적인 기계적 패스너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적합한 패스닝 시스템은 구성요소 중 하나는 후크 재료이고, 다른 하나는 루프 재료인 두가지 연결 재료로 이루어진 후크 및 루프 패스너이다. 기계적 패스닝 시스템의 한 구성요소는 패치 (26)의 일부이고, 다른 구성요소는 1회용 기저귀 또는 의복 (10)의 외면 (12) 위의 표적 영역 (15) 위에 존재한다. 예컨대, 표적 영역 (15)은 기저귀 또는 의복의 크기가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도록 조절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저귀 (10)의 외면 (12)에 부착된 스트립일 수 있다. 표적 영역은 한개 이상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고, 기저귀의 전체적인 외면 (12)을 형성할 수 있다. 외면 (12)의 재료에 따라, 패스닝 시스템은 외면 (12)에 분리 가능하게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기계적 패스너 구성요소 (30)가 후크 재료를 포함할 경우, 이러한 후크 재료는 직포 또는 부직포 섬유로 이루어진 재료나 후크를 연결하는 다른 적합한 재료에 부착될 수 있다. 밀폐 시스템은 표적 영역 (15)과 함께 기계적 패스너 패치 (26)를 지닌 복합 접착제 밀폐 탭 (20)을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스페이서 (34)가 비접착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연장 부분 (25) 위의 패치 (26) 옆에 배열된 양태가 도시된다. 스페이서 (34)는 1회용 물품이 착용자에게 더욱 편안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접착층 (24)을 함유하지 않는 이면 (21)의 영역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대안으로, 중합체 필름 재료, 종이 또는 부직포 재료와 같은 스페이스 재료 (34)를 접착층 (24)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영역 (34)은, 예컨대 그리스, 탤컴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한 지정된 오염에 의해 비접착성으로 될 수 있다.
밀폐 테이프의 패스닝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두가지 이상의 다른 기계적 패스너 구성요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두가지의 다른 후크 재료를, 제1 구성요소의 후크가 제2 구성요소의 후크의 배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이용할 수 있었다.
역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접착제 밀폐 탭은 사용 후 1회용 물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접착제 부분 (36)을 포함한다. 또한, 복합 접착제 밀폐 탭 (20)은 쉽게 안으로 접을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중에 접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접착제 부분 (36)은 기계적 패스너 구성요소 (30)를 포함하는 패치 (26)와 가장자리 부분 (14) 사이의 덮히지 않은 접착층 (24)에 의해 형성된다. 릴리즈 테이프 (37)는 접착제 부분 (36) 위에 배치된다. 릴리즈 테이프 (37)는 접착제 부분 (36)을 덮고, 가장자리 부분 (14)으로부터 비접착 영역 (34)으로 연장된다. 릴리즈 테이프 (37)가 비접착 영역 (34)을 덮는 경우에도, 테이프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릴리즈 테이프의 다른 끝은 기저귀 (10)의 가장자리 부분 (14) 위에 제공된다. 릴리즈 테이프 (37)는 보관 및 운송 중의 오염으로부터 접착제 부분 (36)을 보호한다. 릴리즈 테이프 (37)로서, 3층, 즉 접착층과 비접착층을 포함하는 지지 시트로 이루어진 임의의 적절한 릴리즈 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운송 및 보관을 위해,밀폐 테이프를 접는 선 A를 따라 접고, 릴리즈 테이프 (37)를 내면 (11)에 부착시킨다. 사용하기 위해 접힌 밀폐 테이프를 열 경우, 릴리즈 테이프 (37)는 내면 (11)에 유지된다. 사용하는 동안, 접착제 부분 (36)의 개방된 접착제는 표적 영역 (15)에 부착되어, 기계적 패스닝 시스템을 지지한다. 사용 후, 기저귀 (10)는 밀폐 테이프 탭이 말아올려진 1회용 물품 (10)으로부터 여전히 바깥쪽으로 뻗는 구조로 접히거나 말아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접착제 부분 (36)을 표적 영역 (15) 또는 이면 시트 (12)의 이면 시트 외면 중 어느 하나에 부착하여, 휴지통에 쉽고 편리하게 버릴 수 있도록 1회용 물품 (10)이 말아올려진 형태가 되게 고정한다.
기저귀를 사용하는 동안의 힘의 분배를 위해, 중심 스트립 (38)을 릴리즈 테이프 (37)가 기저귀의 가장자리 (14)에 인접하는 선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접착제 밀폐 탭은 손가락 탭 (33)을 포함한다. 손가락 탭의 가능한 일 양태에서, 손가락 탭 (33)을 제조하는 데 이용되는 재료는 얇은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 부직포, 종이이다. 얇은 필름을 이면 (21)의 제1 축 연장 부분 (25)의 자유 말단 (32)에 있는 패스닝 면 (22)에 부착한다. 대안의 양태에서, 지지 시트 (21)의 자유 말단 (32)은 접착층 (24)이 없다. 제3의 대안의 양태에서, 지지 시트 (21)의 자유 말단 (32)을 접착층 (24)으로 완전히 코팅한 다음, 접는다.
예비 적층화된 복합 롤의 너비는 목적 용도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1회용 물품용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 롤의 너비는 약 30 내지 약 100 mm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 mm이다. 안정한 롤로 말아 올릴 수 있는 밀폐 테이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축 연장 부분 (25)은 스트립 너비의 55 내지 70%, 제2 축 연장 부분 (31)은 30 내지 45%를 차지한다. 손가락 리프트를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 리프트는 스트립의 총 너비의 8 내지 12%, 연장 부분 (25)은 46 내지 62%, 제2 축 연장 (31)은 30 내지 42%를 차지한다.
복합 접착제 밀폐 탭 (20)은 스톡 롤 (44)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사용시,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 (45)의 롤 (44)의 단편을 롤로부터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다. 라인이 테이프가 탭으로 절단된 곳을 나타내는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그 후, 이면 (21)의 패스닝 면 (22)을 기저귀 또는 의복 (10)의 가장자리 부분 (14)의 외면 (12)에 고정시킨다. 제1 축 연장 부분 (25)을 가장자리 부분 (14) 둘레로 접고, 밀폐 테이프를 도 5에서 도시된 접힌 형태로 배치시킨다. 이렇게 하면, 사용 직전의 상태가 된다. 밀폐 테이프는 사용 전 또는 제조 및 보관 중에 풀리지 않도록 접는다. 기저귀는 이러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판매될 것이다.
사용시, 본 발명의 복합 접착제 밀폐 탭 (20)을 포함하는 기저귀 (10)를 착용자 둘레로 배치한다. 기저귀 (10)를 몸에 맞추기 위해, 접힌 복합 접착제 밀폐 탭 (20)을 푸는데, 예컨대 손가락 탭 (33)을 잡은 다음, 테이프 (20)를 푼다. 그런 다음, 기계적 패스너 구성요소 (30)를 포함하는 연장 부분 (25)을 외면 (12)에, 바람직하게는 표적 영역 (15)에 고정시킨다. 착용자의 다른 쪽에도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면, 기저귀는 제자리에 확실히 위치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설명을 통해 더욱 상세히 기술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테스트 방법
섬유층 표면 위의 릴리즈 조성물 양의 측정
섬유층 표면 위에 존재하는 릴리즈 조성물의 양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소재하는 ASOMA 인스트러먼츠에서 시판하는 X-선 형광 분석기 모델 200T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테스트 방법은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에서 입수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두 부분, 즉 KM RC 005 A로서 유용한 보정 기술과 SM 316 A로서 유용한 측정 기술로 이루어진다.
보정 기술은 먼저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공지된 양의 UV 경화성 폴리디메틸실옥산(PDMS)(Th. 골드슈미트에서 상표명 TEGO-RC 726로서 시판함)을 코팅하고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5종 이상의 상이한 공지된 코팅 중량을 코팅하고, UV 경화시켜서, 이들의 x-선 형광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x-선 형광을 존재하는 PDMS의 양과 관련시키는 보정 곡선을 작성하였다.
측정 기술은 실리콘 원자의 x-선 형광을 이용한다. 표면 위에 약간의 미지의 양의 실리콘을 포함하는 테스트 기판을 x-선 형광에 노출시킨다. 형광의 절대 값을 측정하고, 보정 곡선으로부터 해당하는 PDMS의 양을 읽는다.
그런 다음, 표면 위의 릴리즈 조성물의 실제 양을 다음 식을 이용하여 측정된 PDMS 양으로부터 계산하였다.
표면 위의 릴리즈 조성물(g/m2)
= (코팅된 기판 위에서 측정한 g PDMS/m2- 비코팅된 기판 위에서 측정한 g PDMS/m2)/릴리즈 조성물에 대한 계수
이 식에 주입될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1. 코팅된 기판 위에서 측정한 g PDMS/m2는 형광 양을 존재하는 PDMS 양과 관련시키는 보정 곡선으로부터 읽는다.
2. 비코팅된 기판 위에서 측정한 g PDMS/m2는 릴리즈 조성물이 없는 섬유 웹에 대해 측정한 값이다("블랭크" 측정값에 해당함).
3. 계수는 UV-경화성 (메트)아크릴화된 실리콘 각각에 대해 테스트 방법에서 Th. 골드슈미트에 의해 주어진다("RC 수"). 이것은 실질적으로 PDMS인 UV-경화성 실리콘 부분이다. 이 계수는 항상 1.0 미만이며, 실리콘 함량이 더 낮은(아크릴레이트기가 더 많은) UV-경화성 실리콘의 경우 더 낮다. 릴리즈 조성물에 대한 계수는 이용된 재료 각각에 대한 양 및 계수를 이용하여 가중 평균 방식으로 계산한다. 폴리디메틸실옥산 단위를 포함하지 않은(실리콘 원자가 없는) 첨가물의 계수는 0이 된다.
90°박리 접착력
박리 접착력은 실시예에서 제조한 테이프 롤에서 푼 테이프의 일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테스트는 접착제가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릴리즈 재료와 접촉한 후 폴리에틸렌 필름에 부착하는 접착 테이프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 테스트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 필름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용융 지수가 3.5 g/10분이고, 밀도가 0.918 g/cm3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미국 테네시주 킹스포트 소재의 이스트만 케미칼 컴퍼니에서 시판하는 테나이트 1550P)를 용융 온도 182℃에서 통상의 코트행어 슬롯 압출성형 다이를 수직으로 아래로 통과시키면서 압출성형하였다. 다이에서 배출된 용융물을 거울 마무리 크롬 롤(8℃ 입구 물 온도) 및 실리콘 고무 롤(7℃ 입구 물 온도)에 의해 형성된 닙에 주입하여, 필름의 두께가 330 ㎛가 되게 하였다. 크롬 롤과 접촉하는 필름의 표면을 테스트 목적용으로 이용하였다. 박리 접착력 테스트용으로 이용되는 필름의 표면은 평균 표면 거침도 값 Ra가 1.4 ㎛, 평균 피크 대 밸리 높이 값 Rz가 12.5 ㎛였다. 거침도 값 Ra와 Rz는 독일 에틀링엔에 소재하는 UBM 메스테크닉 GmbH가 시판하는 모델 번호 UB-16의 레이저 프로필미터로 측정하였다. 도이치 인더스트리 노름(DIN) 4768 및 DIN 4762에 따라 이 기계를 이용하여 거침도 값을 계산하였다.
테스트용 기판은 먼저 폴리에틸렌 필름을 스테인레스 강철 테스트 플레이트 표면에 단단히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중 코팅된 접착 테이프(3M 컴퍼니에서 시판하는 테이프 410)로 테스트 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테스트 동안 박리 각도를 90°로 유지하도록 하는 특수한 형태로 개조된 장력 테스터를 이용하여 90°박리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장치의 형태는 피넷 테스트 메쏘드 2번(FINAT TEST METHOD NO.2), 표준 90°박리 테스트 방법[페데라시옹 엥떼르나씨오날르 데 파브리깡 쥐로뻬엔 제 프랑스포르마뙤르 다데지프 제 떼르모꼴랑쉬르 빠삐예 에 또뜨르 쉬뽀르(Federation Internationale des Fabricants Europeens et Transformateurs d' Adhesifs et Thermocollants sur Paspiers et autres Supports(FINAT))에서 입수 가능함]에 기술되어 있다. 기술된 FINAT 방법에 대한 몇가지 예외는 다음과 같다.
(1) FINAT 2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대체된 유리 기판을 필요로 한다.
(2) "표준 FINAT 테스트 롤러"를 2 kg 롤러로 대체하였다.
(3) 샘플을 FINAT 방법에 요구되는 200 mm/분으로 2회가 아니라, 각 방향으로 300 mm/분으로 아래쪽으로 1회 롤링하였다.
(4) 잔류 시간은 FINAT 방법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각각 20분 및 24 시간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0이었다.
길이 30 cm, 너비 2.54 cm인 테스트 테이프 샘플을 2 kg 롤러로 아래쪽으로 2회 롤링함으로써 테스트 플레이트의 폴리에틸렌 표면(제조과정 동안 크롬 롤과 접촉한 필름의 표면)에 부착시켰다. 테이프 끝 부분은 테스트 방법에 기술된 바와 같이 테스트 장치에 물리도록 자유롭게 두었다.
1분 미만의 잔류 시간 후, 300 mm/분의 속도로 테스트 테이프를 폴리에틸렌 기판으로부터 박리시켰다.
90°박리를 N/2.54 cm 단위로 기록하였다. 3개의 샘플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평균내었다.
롤 풀림력(초기 및 노후)
풀림력은 아쏘씨아시옹 데 드 뤼방 자또-아데지프(Association DesFabricants Europeens De Rubans Auto-Adhesifs)(AFERA) 4013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길이가 약 30 m, 너비가 5 cm인 접착 테이프 롤을 변형된 장력 테스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풀림 속도는 500 m/분이었다. 풀림력은 cN/2.54 cm 단위로 기록하였다. 3개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평균내었다.
제조하여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테이프 롤은 물론, 50℃의 가압된 공기 오븐에서 15일 동안 보관한 테이프 롤의 풀림력을 측정하였다.
90°릴리즈(변형된 케일 테스트)
이 테스트는 접착 테이프를 릴리즈 코팅된 표면에서 분리하는 데 요구되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2의 방법(롤 풀림도 포함)을 나타낸다.
너비 5 cm, 길이 10 cm인 테스트 테이프를 플레이트 위의 접착 면에 배치하고, 2 kg 롤러로 2회 롤링함으로써 강철 기판에 부착시켰다.
그런 다음, 너비 2.54 cm, 길이 10 cm인 테스트 테이프를 제2 테스트 테이프의 접착층이 제1 기판 테이프의 릴리즈 코팅에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테이프의 상부에 배치하였다. 테스트 테이프를 2 kg 롤러로 아래쪽으로 2회 롤링하였다.
그런 다음, 테이프 적층물을 70℃의 가압된 공기 오븐에 넣은 다음, 70℃로 가열하는 동안 450 g의 중량이 20 시간 동안 결합된 테이프 적층물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테스트 적층물을 오븐에서 꺼내어, 테스트 하기 전 24 시간 동안 23℃의 온도, 50%의 상대습도 조건에 두었다.
90°필 어드히젼 테스트(Peel Adhesion Test) 하에 기술된 90°박리 접착력 방법을 이용하여 300 mm/분의 속도로 제1 테이프의 이면으로부터 제2 테이프의 접착제를 박리시켰다.
각 재료를 3회 평가하여, 그 결과를 평균내었다. 데이터는 cN/2.54 cm 단위로 기록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된 재료
(메트)아크릴레이트-작용성 실리콘
RC 706은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가 상표명 TEGO RC-706으로 시판하는 작용성이 8:1(8.0)인 아크릴레이트-작용화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이다.
RC 708은 아크릴레이트-작용화된 폴리디메틸실옥산(RC-726, 작용성 108:6 또는 18)과 릴리즈 강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작용성 실리콘 수지인 MQ 수지의 70/30 중량:중량 혼합물이다. RC 708은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가 상표명 TEGO RC-708로 시판한다.
RC 711은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가 상표명 TEGO RC-711로 시판하는 작용성이 10:4(2.5)인 아크릴레이트-작용화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이다.
RC 715는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가 상표명 TEGO RC-715로 시판하는 작용성이 26:2(13.0)인 아크릴레이트-작용화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이다.
RC 726은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가 상표명 TEGO RC-726으로 시판하는 작용성이 108:6(18.0)인 아크릴레이트-작용화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이다.
RC-902는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가 상표명 TEGO RC-902로 시판하는 작용성이 56:4(14.0)인 아크릴레이트-작용화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이다.
"작용성"이란 디메틸 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로 정의된다.
유기 화합물
E 140 디트리메틸롤 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DMPTA), Mw = 438, 점도 = 1100 mPa.s., 벨기에 드로겐보스에 소재하는 UCB 케미칼스에서 상표명 E140으로 시판함.
E 810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 Mw = 약 1000, 점도 = 500 mPa.s., 벨기에 드로겐보스에 소재하는 UCB 케미칼스에서 상표명 E810으로 시판함.
SR 61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디아크릴레이트, 점도 = 약 50 내지 100 mPa.s., 프랑스 파리에 소재하는 크레이 밸리 사토머에서 상표명 SR 610으로 시판함.
HDDA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점도 = 약 10 mPa.s..
TPGDA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점도 = 약 15 mPa.s..
UV 중합 개시제
DAROCUR 1173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UV 광-개시제, 스위스 바젤에 소재하는 시바-가이기에서 시판함.
실시예 1
50 g/m2스펀 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웹(섬유 두께: 약 20 ㎛, 스코틀랜드 앵거스에 소재하는 돈 & 로에서 상표명 DALTEX 1050으로 시판함)을 먼저 열 엠보싱 처리하여 너비가 약 6 mm인 다이아몬드형 점이 열에 의해 결합된 무늬를 지닌 이면을 제조하였다. 엠보싱 처리된 총 영역은 19%였다. 그런 다음, 엠보싱 처리된 부직포를 폴리올레핀 혼합물[덴마크 링바이에 소재하는 FINA에서 상표명 PPC 5660으로 시판하는 75% 폴리프로필렌 및 보리얼리스에서 상표명 LE 7520으로 시판하는 25%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하는 30 g/m2필름으로 열 적층화시켰다.
30 중량%의 UV-경화성 실리콘(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에서 상표명 TEGO RC-715로 시판함), 70 중량%의 디트리메틸롤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DMPTA, Mw = 438, 점도 = 1100 mPa.s., UCB 케미칼스에서 상표명 E140으로 시판함) 및 3 중량%의 UV 중합 개시제(스위스 바젤에 소재하는 시바-가이기에서 상표명 DAROCUR 1173으로 시판함)의 혼합물을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프로펠러가 장착된 혼합기를 이용하여 23℃에서 10분 동안 이 세가지 성분들을 혼합하여 균일한 우유빛의 백색 현탁액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이 현탁액을 멀티-롤 코터를 이용하여 2.5 g/m2의 양으로 이면의 부직포 면에 도포하였다.
그런 다음, 코팅된 부직포 웹을 중간 압력 120 W/cm 수은 램프(미국 매릴랜드주 게이터스버그에 소재하는 퓨전 UV 시스템즈, 인코포레이션에서 모델 F-450으로 시판함) 아래로 통과시킴으로써 UV 광을 이용하여 불활성 대기(질소) 중에서 코팅을 경화시켰다. 램프에서 이면의 표면까지의 거리는 2.5 cm였다.
그런 다음, 감압 접착제 단일층을 반대쪽의 필름을 포함하는 이면의 면에 도포하였다. 접착제는 합성 블록 공중합체와 점착화제 수지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였으며, 35 g/m2의 양으로 드롭 다이(drop die)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고온-용융 코팅 기술을 통해 도포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접착 테이프를 롤로 감은 다음, 2.54 cm 너비의 더 얇은 롤로 쪼개었다.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성분들은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이렇게 제조한 롤을 풀어서 폴리에틸렌에 대한 접착력과 전단응력을 테스트하였다. 롤 풀림력도 측정하였다. 접착층과 실리콘 코팅된 섬유층간의 릴리즈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케일 테스트 또한 이용하였다.
접착 테이프 작용 및 특성은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실시예 2 및 3
릴리즈 조성물의 실리콘 양을 각각 20%와 10%로 줄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4
RC 715 대신에 RC-902(작용성 = 14, 점도 = 약 350 mPa.s.)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5
사용한 유기 화합물이 벨기에 드로겐보스에 소재하는 UCB 케미칼스에서 상표명 E810으로 시판하는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Mw = 약 1000, 점도 = 500 mPa.s.)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를 반복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릴리즈 코팅 조성물[30 중량%의 UV-경화성 실리콘(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에서 상표명 TEGO RC-715로 시판함), 70 중량%의 디트리메틸롤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DiTMPTTA, Mw = 438, 점도 = 1100 mPa.s., UCB 케미칼스에서 상표명 E140으로 시판함) 및 100 중량부당 UV 광 개시제의 릴리즈 조성물(스위스 바젤에 소재하는 시바-가이기에서 상표명 DAROCUR 1173으로 시판함) 3 중량부의 혼합물]을 이용하였다.
릴리즈 코팅을 필름 층이 존재하지 않는 부직포 이면에 도포하였다. 부직포는 너비가 약 6 mm인 다이아몬드형 점이 열에 의해 결합된 무늬를 지닌 열 엠보싱 처리된 50 g/m2스펀 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웹(섬유 두께: 약 20 ㎛, 스코틀랜드 앵거스에 소재하는 돈 & 로에서 상표명 DALTEX 1050으로 시판함)이었다. 엠보싱 처리된 총 영역은 19%였다.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하였을 때, 더 두꺼운 층의 감압 접착제를 릴리즈 조성물 반대쪽의 부직포 면에 도포하였다. 필름 장벽이 없기 때문에, 일부 접착제가 부직포로 침투되었을 때 더 많은 접착제가 도포되었다.
테이프 구성물은 표 1에 요약되어 있고, 접착 테이프의 특성은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비교예 1
릴리즈 코팅 조성물의 일부로서 사용된 유기 화합물이 RC 715 (메트)아크릴화된 실리콘과 배합된 70% 중량의 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점도 = 약 10 mPa.s.)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코팅시 릴리즈 조성물의 점도는 약38 mPa.s.였다.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고 경화시킨 후, 부직포 웹의 표면 위에서는 0.5 g/m2의 릴리즈 코팅만을 측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테이프 롤은 풀기가 어려웠으며, 이면에서 PSA 위로 섬유가 박리되었다. 이면은 손상되었고, 접착면은 섬유로 심하게 오염되었다.
비교예 2
RC 715와 배합된 또 다른 저점도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비교예 1을 반복하였다. 사용된 유기 화합물은 점도가 15 mPa.s.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PGDA)였다. 릴리즈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약 48 mPa.s.였다.
릴리즈 조성물은 부직포 표면에 유효 실리콘을 거의 남기지 않고, 부직포 웹으로 대부분 침투되었다(비교예 1에서와 동일).
이렇게 한 테이프 롤을 풀었을 때, 비교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면의 심한 박리화가 일어났다.
비교예 3
30 중량%의 RC-715 실리콘 대신에 30%의 시판되는 UV-경화성 실리콘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상표명 TEGO RC 708로 시판되는 실리콘 혼합물은 아크릴레이트-작용화된 폴리디메틸실옥산(RC-726, 작용성 108:6 또는 18)과 MQ 수지의 70/30 중량:중량 혼합물이다. MQ 수지는 사용된 릴리즈 조성물의 릴리즈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RC 708은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에서 상표명 TEGO RC-708로 시판된다.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혼합물을 70 중량%의 디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DMPTA, Mw = 438, 점도 = 1100 mPa.s., UCB 케미칼스에서 상표명 E 140으로 시판함)와 배합하였다.
케일 테스트를 통해 측정한 릴리즈 강도는 433 cN/2.54 cm였다. MQ 수지의 존재로 인해, 릴리즈 강도는 너무 높아서, 접착층이 벗겨져 나갈 때 부직포 이면이 박리되었다.
비교예 4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에서 상표명 TEGO RC-726으로 시판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작용성 폴리디메틸실옥산(작용성 = 18)을 이용하여 비교예 4를 제조하였다. 이 실리콘은 경화에 유용한 아크릴기의 수가 적어서, 경제적으로 적합한 라인 속도 및 미량의 산소에 노출된 상대적으로 열린 웹 상의 경화 조건하에서 급속히 경화되기가 어려웠다. 이렇게 얻은 실리콘 릴리즈 조성물은 효과적으로 경화되지 못하였고, 접착제가 릴리즈 층에서 분리되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면에 전달되었다.
테이프의 접착면은 비경화된 실리콘에 의해 오염되어진 후, 폴리에틸렌에 대해 만족스러운 접착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비교예 5
비교예 5는 UV-경화성 실리콘의 공급업자가 일반적으로 추천하는 두가지 실리콘 성분을 포함하는 릴리즈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어떠한 부가 유기 화합물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 추천된 조성물의 릴리즈 특성은 기저귀 산업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매우 침략적인 감압 접착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비교예 6
빠른 경화와 낮은 릴리즈 특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제조업자가 추천하는 표준 실리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노후된 후의 성능은 테이프 박리화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7
고 작용성(8.0)을 지닌 (메트)아크릴레이트-작용성 실리콘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이 실리콘은 독일 에센에 소재하는 Th. 골드슈미트 AG에서 상표명 TEGO RC-706으로 시판한다.
케일 테스트를 통해 측정한 과도한 고 분리 또는 고 릴리즈 강도를 관찰하였다. 실리콘의 고 아크릴 작용성으로 인해, 릴리즈를 제공하는 데 더 적은 실리콘이 이용 가능하였다.
비교예 8
RC 715 실리콘을 5 중량%만을 포함하는 릴리즈 조성물을 이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테스트는 릴리즈 코팅 조성물의 유효 총 중량(2.5 g/m2, 표 1 참조)이 경화 후 섬유 부직포 층의 표면에 존재하지만, 전체적인 실리콘 함량은 너무 낮아서 사용된 침략적인 고무/수지 접착제로부터 효과적으로 릴리즈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케일 테스트의 측정값은 132 cN/2.54 cm였다.
비교예 9 및 10
릴리즈 조성물이 표 1에 요약된 바와 같이 각각 40%의 RC 715와 70%의 RC715를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둘다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일 테스트를 통해 측정된 과도하게 높은 릴리즈 값은 나타낸다.
비교예 11
사용된 유기 화합물이 프랑스 파리에 소재하는 크레이 밸리 사토머에서 상표명 SR 610으로 시판하는 점도가 약 50 내지 100 mPa.s.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디아크릴레이트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코팅시 릴리즈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34 mPa.s.였고, 이에 따라 이것은 1.0 g/m2의 측정된 코팅 중량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경화 전에 웹에 의해 과도하게 흡수되었다. 섬유 웹의 표면에 불충분한 릴리즈 재료가 존재하기 때문에, 케일 테스트에 의해 측정된 분리력은 지나치게 높았다(120 cN/2.54 cm).
실시예 PSA(g/m2) 실리콘 화합물 유기 화합물 릴리즈 조성물
종류(중량%) 작용성 점도(mP.s) 종류(중량%) 점도(mP.s) 점도(mP.s) 평균 양(g/m2)
1 35 RC 715(30) 13 150 E 140(70) 1100 870 2.5
2 26 RC 715(20) 13 150 E 140(80) 1100 940 2.5
3 26 RC 715(10) 13 150 E 140(90) 1100 970 1.9
4 26 RC 902(30) 14 350 E 140(70) 1100 1077 2.5
5 26 RC 715(20) 13 150 E 810(80) 500 437 1.8
6 50 RC 715(30) 13 150 E 140(70) 1100 870 2.5
C1 26 RC 715(30) 13 150 HDDA(70) 10 38 0.5
C2 26 RC 715(30) 13 150 TPGDA(70) 15 48 0.5
C3 26 RC 708(30) N/A 3080 E 140(70) 1100 1610 2.0
C4 RC 726(30) 18 1190 E 140(70) 1100 1095 2.3
C5 26 RC 706(70) 8 150 RC 711(30) 580 270 1.5
C6 26 RC 715(70) 13 150 RC 711(30) 580 310 1.5
C7 26 RC 706(30) 8 150 E 140(70) 1100 576 1.2
C8 26 RC 715(5) 13 150 E 140(95) 1100 980 2.5
C9 26 RC 715(40) 13 150 E 140(60) 1100 630 1.3
C10 26 RC 715(70) 13 150 E 140(30) 1100 320 0.9
C11 26 RC 715(30) 13 150 SR 610(70) 50-100 134 1.0
F = 중합체 필름
NW = 열에 의해 엠보싱 처리된 부직포
실시예 90°박리N/2.54 cm 롤 풀림력cN/2.54 cm(초기) 롤 풀림력cN/2.54 cm(노후) 90°릴리즈(케일 테스트)cN/2.54 cm
1 8.1 20 78 36
2 7.5 20 55 75
3 6.8 32 75 73
4 6.9 7 40 21
5 8.2 19 94 70
6 7.6 12 98 60
C1 --- * * *
C2 --- * * *
C3 5.9 15 198 433*
C4 4.0 3** 23 12**
C5 4.0 40 * 580
C6 4.1 50 * 330
C7 --- --- --- 109
C8 5.5 24 92 132
C9 --- --- --- 109
C10 --- --- --- 117
C11 5.0 10 85 120
* 롤을 풀기 위한 시도에서 박리화된 테이프. 부직포로부터의 섬유가 접착면에 전달되었다.
** 실리콘 코팅은 불충분하게 경화되었다.
--- 측정하지 않음.

Claims (16)

  1. 실리콘 릴리즈 층을 지닌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제1 면과 위에 감압 접착층을 지닌 제1 면의 반대쪽의 제2 면을 지닌 이면을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릴리즈 층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닌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것인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섬유층을 포함하고, 폴리에틸렌 필름 표면에 대해 6 N/2.54 cm 이상의 90°박리 접착력을 지니고, 1 N/2.54 cm 이하의 케일(Keil) 테스트 값을 지니는 접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이면이 상기 섬유층 및 가소성 필름 층의 적층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접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폴리디알킬실옥산의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이고, 유기 화합물의 점도가 25℃에서 500 mPa.s. 이상인 것이 특징인 접착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디알킬실옥산이 폴리디메틸실옥산인 것이 특징인 접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접착층이 점착화제 수지를 포함하는 고무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접착 테이프.
  6. 제5항에 있어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접착 테이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롤 형태인 것이 특징인 접착 테이프.
  8. 실리콘 릴리즈 층을 지닌 섬유층과 위에 감압 접착층을 지닌 제1 면의 반대쪽의 제2 면을 지닌 이면을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릴리즈 층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닌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것인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섬유층을 포함하는 접착 테이프로서, 그 테이프는 폴리에틸렌 필름 표면에 대해 6 N/2.54 cm 이상의 90°박리 접착력을 지니고, 1 N/2.54 cm 이하의 케일 테스트 값을 지니며, 이면의 제1 축 연장 부분은 감압 접착층에 배치된 기계적 패스너를 포함하고, 이면의 제2 축 연장 부분은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시키기 위해 노출된 감압 접착층을 포함하는 흡수용 물품을 위한 복합 접착제 밀봉 탭을 절단할 수 있는 롤 형태의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
  9. 제8항에 있어서, 이면이 섬유층 및 중합체 필름의 적층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
  10. 제8항에 있어서,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폴리디알킬실옥산의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이고, 유기 화합물의 점도가 25℃에서 500 mPa.s. 이상인 것이 특징인 예비 적층화된 복합 테이프.
  11. 실리콘 릴리즈 층을 지닌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제1 면과 위에 감압 접착층을 지닌 제1 면의 반대쪽의 제2 면을 갖는 이면을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릴리즈 층은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닌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된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것인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섬유층을 포함하는 접착제 밀봉 테이프로서, 그 테이프는 폴리에틸렌 필름 표면에 대해 6 N/2.54 cm 이상의 90°박리 접착력을 지니고, 1 N/2.54 cm 이하의 케일 테스트 값을 지니고, 접착제 밀봉 테이프의 제1 부분은 감압 접착층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어 있고, 접착제 밀봉 테이프의 제2 부분은 감압 접착층에 배치된 기계적 패스너를 포함하며, 외면에 접착제 밀봉 테이프의 기계적 패스너와 연결될 수 있는 기계적 패스너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된 접착제 밀봉 테이프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12. 이면의 섬유층에 경화성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고, 이렇게 도포된 실리콘 릴리즈 코팅을 화학선 방사 또는 열에 노출시킴으로써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성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이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니고,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인 폴리디알킬실옥산, 및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 실리콘이 없는 유기 화합물의 점도는 25℃에서 500 mPa.s. 이상이며, 상기 폴리디알킬실옥산 대 상기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는 8:92 내지 35:65인 것인
    열가소성 중합체의 직포 섬유 또는 부직포 섬유의 섬유층을 포함하는 릴리즈 코팅된 이면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경화성 실리콘 릴리즈 코팅 조성물이 광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릴리즈 코팅을 화학선 방사에 노출시키는 것이 특징인 방법.
  14. 제12항에 정의된 방법에 의해 릴리즈 코팅된 이면을 제공하고, 실리콘 릴리즈 코팅을 포함하는 면의 반대쪽 이면의 면에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착제 코팅된 테이프의 제조 방법.
  15.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니고,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인 폴리디알킬실옥산,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 실리콘이 없는 유기 화합물의 점도는 25℃에서 500 mPa.s. 이상이고, 상기 폴리디알킬실옥산 대 상기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는 8:92 내지 35:65이며,
    (iii) 선택적인 광-개시제
    를 포함하는 릴리즈 코팅 조성물.
  16. (i)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기를 지니고, 디알킬실옥산 단위의 평균 수 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평균 수의 비가 10 내지 15인 폴리디알킬실옥산,
    (ii) 실리콘이 없고,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반응성 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 실리콘이 없는 유기 화합물의 점도는 25℃에서 500 mPa.s. 이상이고, 상기 폴리디알킬실옥산대 상기 유기 화합물의 중량비는 8:92 내지 35:65이며,
    (iii) 선택적인 광-개시제
    를 포함하는 릴리즈 코팅을 경화시켜서 얻은 릴리즈 코팅.
KR1020017006222A 1998-11-19 1999-11-02 기저귀 잠금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부직 접착 테이프 KR100582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8203867A EP1002846B1 (en) 1998-11-19 1998-11-19 Adhesive tape for a diaper closure system
EP98203867.1 1998-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025A true KR20010101025A (ko) 2001-11-14
KR100582049B1 KR100582049B1 (ko) 2006-05-24

Family

ID=823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222A KR100582049B1 (ko) 1998-11-19 1999-11-02 기저귀 잠금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부직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4) EP1440989A3 (ko)
JP (1) JP2002530512A (ko)
KR (1) KR100582049B1 (ko)
CN (2) CN1285693C (ko)
AR (1) AR021293A1 (ko)
AU (1) AU746133B2 (ko)
BR (1) BR9915505B1 (ko)
DE (1) DE69823518T2 (ko)
ES (1) ES2219841T3 (ko)
IL (2) IL142978A0 (ko)
WO (1) WO2000031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08394U1 (de) * 2000-05-10 2001-09-13 Coroplast Fritz Mueller Gmbh Auf sich selbst wickelbares Klebeband
JP4219710B2 (ja) * 2003-03-14 2009-02-04 株式会社槌屋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貼着加工方法
US20060154053A1 (en) * 2003-03-18 2006-07-13 Cain Miles S Adhesive fabric
EP1484041A1 (en) 2003-06-06 2004-1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stening film system and assembly comprising a fastening film system and a substrate
EP1543807A1 (en) 2003-12-18 2005-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osure tape tab for an absorbent article, prelaminated closure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losure tape tab
DE102004063599B4 (de) * 2004-12-30 2007-07-12 Bayer Innovation Gmbh Verkürzte Wundheilungsprozesse mittels neuartiger Faservliese
EP1679343A1 (en) * 2005-01-06 2006-07-12 A. Schulman Plastics Polymer compound
US7736352B2 (en) 2006-01-25 2010-06-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osure tape tab for absorbent article, prelaminated closure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losure tape
WO2007145996A2 (en) * 2006-06-06 2007-12-21 Dow Corning Corporation A silicone acrylate hybrid composition
US8614278B2 (en) 2006-06-06 2013-12-24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acrylate hybrid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569416B2 (en) 2006-06-06 2013-10-29 Dow Corning Corporation Single phase silicone acrylate formulation
GB2455962A (en) 2007-12-24 2009-07-01 Ethicon Inc Reinforced adhesive backing sheet, for plaster
JP5118213B2 (ja) 2008-03-05 2013-01-16 ケーシーアイ ライセンシ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被覆材および組織部位に減圧をかけ、組織部位から液体を捕集および収容するための方法
JP5297675B2 (ja) 2008-03-31 2013-09-2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止着テープおよびこの止着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DE202009007662U1 (de) * 2009-05-27 2009-08-27 Perick Management Gmbh Textiles Trägermaterial
EP2338452A1 (en) 2009-12-23 2011-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giene Article
US8814842B2 (en) 2010-03-16 2014-08-26 Kci Licensing, Inc. Delivery-and-fluid-storage bridges for use with reduced-pressure systems
CA2814374A1 (en) 2010-10-21 2012-06-14 University Of Massachusetts High capacity easy release extended use adhesive devices
FR2967365A1 (fr) * 2010-11-15 2012-05-18 Pascal Lutz Utilisation d'un film de protection temporaire pour proteger une surface metallique lors de la decoupe par faisceau laser
GB2488749A (en) 2011-01-31 2012-09-12 Systagenix Wound Man Ip Co Bv Laminated silicone coated wound dressing
GB201106491D0 (en) 2011-04-15 2011-06-01 Systagenix Wound Man Ip Co Bv Patterened silicone coating
US10940047B2 (en) 2011-12-16 2021-03-09 Kci Licensing, Inc. Sealing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a hybrid switchable drape
EP2802304B1 (en) 2011-12-16 2015-12-09 KCI Licensing, Inc. Releasable medical drapes
CN106313756A (zh) 2012-01-19 2017-01-11 马萨诸塞大学 可剥离的表面粘附装置
WO2014074372A1 (en) 2012-11-08 2014-05-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v-curable silicone release compositions
EP2919730B1 (en) 2012-11-16 2016-06-01 KCI Licensing, Inc. Medical drape with pattern adhesive lay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GB201222770D0 (en) 2012-12-18 2013-01-30 Systagenix Wound Man Ip Co Bv Wound dressing with adhesive margin
CN104981526B (zh) 2013-02-06 2017-07-04 马萨诸塞大学 具有可调节角的承重粘附材料
JP2016519178A (ja) 2013-03-14 2016-06-30 ユニバーシテイ・オブ・マサチユセツツ 塗布及び耐荷重用デバイス並びにその使用方法
EP2968012B1 (en) 2013-03-14 2017-04-26 KCI Licensing, Inc. Absorbent dressing with hybrid drape
KR20150130469A (ko) 2013-03-15 2015-11-23 유니버시티 오브 매사추세츠 고용량의 용이한 해제의 장시간 사용을 위한 접착제 폐쇄 장치
EP2803710A1 (en) * 2013-05-14 2014-1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film for graphics containing an anti-graffiti coating
US9187678B2 (en) * 2013-07-29 2015-11-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films via solventless extrusion processes
US10117978B2 (en) 2013-08-26 2018-11-06 Kci Licensing, Inc. Dressing interface with moisture controlling feature and sealing function
CN103479477B (zh) * 2013-09-21 2015-08-12 武汉纺织大学 一种非织造无接头环状弹性绷带的制备方法
US9554674B2 (en) 2013-10-08 2017-01-31 Liberty Hardware Mfg. Corp. Shower rod mounting assembly
EP3470030A1 (en) 2013-10-28 2019-04-17 KCI Licensing, Inc. Hybrid sealing tape
EP3062751B1 (en) 2013-10-30 2017-08-09 KCI Licensing, Inc. Condensate absorbing and dissipating system
US9956120B2 (en) 2013-10-30 2018-05-01 Kci Licensing, Inc. Dressing with sealing and retention interface
WO2015065615A1 (en) 2013-10-30 2015-05-07 Kci Licensing, Inc. Absorbent conduit and system
EP3821859A1 (en) 2013-10-30 2021-05-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ressing with differentially sized perforations
DE102013226568A1 (de) * 2013-12-19 2015-06-25 Evonik Industries Ag Silicon(meth-)acrylat-Partikel,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CA2940730C (en) 2014-02-28 2022-07-26 Kci Licensing, Inc. Hybrid drape having a gel-coated perforated mesh
US11026844B2 (en) 2014-03-03 2021-06-08 Kci Licensing, Inc. Low profile flexible pressure transmission conduit
WO2015168681A1 (en) 2014-05-02 2015-11-05 Kci Licensing, Inc. Fluid storag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597159B1 (en) 2014-06-05 2021-08-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ressing with fluid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O2016100098A1 (en) 2014-12-17 2016-06-23 Kci Licensing, Inc. Dressing with offloading capability
EP3047845B1 (de) * 2015-01-26 2017-06-28 Evonik Degussa GmbH Silikongele für insbesondere kosmetische Anwendungen
US11246975B2 (en) 2015-05-08 2022-02-15 Kci Licensing, Inc. Low acuity dressing with integral pump
WO2017040045A1 (en) 2015-09-01 2017-03-09 Kci Licensing, Inc. Dressing with increased apposition force
EP3892310A1 (en) 2015-09-17 2021-10-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Hybrid silicone and acrylic adhesive cover for use with wound treatment
TWI730984B (zh) 2015-09-18 2021-06-21 德商漢高智慧財產控股公司 可固化且光學透明之壓敏黏著劑及其用途
CN105342755A (zh) * 2015-10-08 2016-02-24 巴斯特医药科技(常州)有限公司 高透气硅胶片
US9958070B2 (en) 2015-12-18 2018-05-01 Velcro BVBA Membrane edge sealing
JP6494796B2 (ja) * 2016-02-23 2019-04-0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EP3263666B1 (de) * 2016-06-27 2018-06-27 Evonik Degussa GmbH Permeationsinhibierende trennbeschichtung
GB2596515A (en) * 2020-06-15 2022-01-05 Stephen Boyce Gerard Thermoplastic composite tape
WO2022081979A1 (en) * 2020-10-16 2022-04-21 Avery Dennison Corporation Adhesive tape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808A (en) * 1978-06-12 1980-05-06 Union Carbide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silicone release compositions
US5616629A (en) * 1994-08-24 1997-04-01 Avery Dennison Corporation Radiation-curable organopolysiloxane release compositions
DE69511105T3 (de) * 1995-01-14 2007-02-01 Minnesota Mining And Mfg. Co., Saint Paul Mehrschichtiges verschlus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10287A2 (en) 2006-10-11
CN1285693C (zh) 2006-11-22
DE69823518D1 (de) 2004-06-03
BR9915505B1 (pt) 2009-01-13
CN1326493A (zh) 2001-12-12
EP1002846A1 (en) 2000-05-24
BR9915505A (pt) 2001-08-07
KR100582049B1 (ko) 2006-05-24
CN1240799C (zh) 2006-02-08
EP1440989A3 (en) 2005-01-19
IL142978A0 (en) 2002-04-21
DE69823518T2 (de) 2005-04-07
EP1440989A2 (en) 2004-07-28
AU746133B2 (en) 2002-04-18
AU1907400A (en) 2000-06-13
IL142978A (en) 2006-10-31
EP1141158B1 (en) 2006-03-29
EP1002846B1 (en) 2004-04-28
JP2002530512A (ja) 2002-09-17
ES2219841T3 (es) 2004-12-01
EP1710287A3 (en) 2007-02-28
EP1141158A1 (en) 2001-10-10
WO2000031203A1 (en) 2000-06-02
CN1508204A (zh) 2004-06-30
AR021293A1 (es) 200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049B1 (ko) 기저귀 잠금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부직 접착 테이프
US5720739A (en) Controlled adhesion strip
US5629063A (en) Repositionable tape closure system for a thin film article
CA2687077C (en) Multi-layer assembly, multi-layer stretch relea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2687076C (en) Multi-layer assembly, multi-layer stretch relea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sembl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2381825C (en) Pattern coated adhesive article
US4643730A (en) Radiation curing formulations for polyethylene film reinforcement to provide refastenable pressure-sensitive tape closure system for disposable diapers
EP0906377A4 (en) COMPOSITE STICKER
KR100634139B1 (ko) 루프 고정 재료
WO2000005291A1 (en) Low noise unwi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GB2183174A (en) Breathable backing or release liner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MXPA01005040A (es) Cinta adhesiva no tejida para la fabricacion de un sistema de cierre para pañales
JP2003509085A (ja) ループ留め材料
WO2022123489A1 (en) Perforated tapes for medical applications
WO2022137062A1 (en) Dual-sided adhesive tapes with on-demand adhesion
CA2202636A1 (en) Repositionable tape closure system for a thin film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