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426A -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426A
KR20010100426A KR1020000023464A KR20000023464A KR20010100426A KR 20010100426 A KR20010100426 A KR 20010100426A KR 1020000023464 A KR1020000023464 A KR 1020000023464A KR 20000023464 A KR20000023464 A KR 20000023464A KR 20010100426 A KR20010100426 A KR 2001010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client
internet
web serv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원
김영태
Original Assignee
박창수
주식회사 지피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수, 주식회사 지피에스아이 filed Critical 박창수
Priority to KR102000002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0426A/ko
Publication of KR2001010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42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성을 이용하여 확보한 산소의 위치좌표를 데이터 베이스화한 웹 서버에서 산소의 위치에 대한 전자지도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산소의 위치와 경로확인, 벌초의 대행업무, 산소의 관리 및 정부의 토지이용계획의 변경에 의한 이장 공고 데이터 등을 제공하여 산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소의 위치를 GPS 위성을 이용하여 좌표화한 데이터를 웹 서버에서 데이터 베이스화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산소주변의 지형이 변화하더라도 산소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전자지도 서비스를 인터넷 망을 통해 받을 수 있고, 명절이나 제사때 행해지는 벌초의 대행업무를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에 신청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벌초장비를 대여하여 직접 벌초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산소들에 대한 정보를 그룹화한 데이터 베이스에 의해 족보관리가 가능해지며, 공공관청에서 토지이용계획안이나 이장공고 등이 공포될때 인터넷 환경에서 해당되는 지역의 토지정보를 보다 쉽게 검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Grave management system using satellite and internet}
본 발명은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성을 이용하여 확보한 산소의 위치좌표를 데이터 베이스화한 웹 서버에서 산소의 위치에 대한 전자지도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산소의 위치와 경로확인, 벌초의 대행업무, 산소의 관리 및 정부의 토지이용계획 변경이나 이장 공고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산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조시대로부터 유래된 유교관습에 의해 매장에 의한 장묘문화가 고착화되어 있으며, 매장위주의 장묘관행에 의해 산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산업 용지 및 생활공간의 축소 등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이 저해되며 국토 잠식의 주요한 원인이 되기고 한다.
보건복지부의 1999년 통계에 따르면 산소가 전 국토의 1%(99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20여만 기의 신설 산소로 여의도 면적의 1.2배 만한 국토가 산소로 탈바꿈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속해서 매장에 의한 산소는 증가하고 있으나, 연평균 1~2회 정도 성묘를 하는 비율이 69.3%, 전혀 하지않는 비율이 11.9%정도를 차지할정도로 성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세대를 내려갈수록 점차 산소의 위치를 잃어버려 무연고분묘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토지의 개발이 급속하게 이루어져 연고자가 모르는 사이에 지형이 바끼는 일도 발생한다.
결국, 위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면 산소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측량을 새로이 실시하거나, 공공관청을 방문하여 토지대장등을 열람하는 방법등을 사용하며, 이러한 확인과정은 매우 까다로운 절차와 비용이 소모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산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소의 절대적인 위치좌표를 위성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위치지도를 인터넷상에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초 신청시 벌초를 대행하여 이에 대한 전, 후 자료를 게시하여 사용자가 산소의 상황을 조회가능하게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술될 구성과 작용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웹 서버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이용 순서도.
도 4는 도 3의 순서도의 제 1 부분 순서도.
도 5는 도 3의 순서도의 제 2 부분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위치확인 화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의 족보확인 및 토지정보 검색 화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위치확인 화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벌초신청 화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영상 화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대여 화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의 족보확인 화면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지정보 확인 화면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코드와 항법 메세지에 의해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GPS위성군과, GPS위성군의 GPS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위성 수신기와, GPS위성 수신기에 수신된 GPS 위치 데이터를 입력받는 웹 서버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인터넷 망을 통해 웹 서버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웹 서버는 상기 입력된 GPS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소의 좌표를 표시하며, 산소의 위치가 나타나는 전자지도를 생성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클라이언트 화면에 나타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웹 서버는 인터넷 망과의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통신 모듈;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하는 데이터 입,출력 모듈; 산소의 위치데이터를 관리하는 산소 위치데이터 관리모듈; 벌초 신청을 관리하는 벌초신청 관리모듈; 산소의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을 관리하는 산소영상 관리모듈; 벌초용 장비의 대여에 관한 관리를 하는 장비대여 관리모듈; 회원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정보 관리모듈; 산소의 족보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산소족보 관리모듈; 산소가 해당되는 지역의 토지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토지정보 관리모듈;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술한 모든 모듈과 데이터 베이스를 제어하는 웹 제어부로 구성된다.
웹 서버의 관리자는 GPS위성 수신기를 가지고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와 동행하여 산소의 위치와 경로를 파악하며, 파악된 산소의 위치에서 GPS위치 데이터를 확보한 뒤,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해 GPS위치 데이터를 웹 서버에 입력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산소의 위치와 경로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가 형성된다.
그리고,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벌초 신청을 인터넷 망을 통해 접수받아 벌초 업무를 대행하고, 벌초 전, 후 산소의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웹 서버는 벌초장비의 대여서비스를 제공하고, 산소들의 족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족보정보를 제공하며, 산소가 해당되는 지역의 토지용도 및 이용계획 변경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 코드와 항법 메세지에 의해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GPS 위성군(10)과, GPS위성군(10)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산소의 위치 좌표를 표시하는 GPS 위성 수신기(30)와, 산소의 위치좌표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웹 서버(50)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인터넷 망을 통해 웹 서버(50)에 연결되는 클라이언트(9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GPS 위성군(10)은 3개의 예비 위성을 포함하여 총 24개의 위성으로 이루어지며, 고도 20,000km에서 적도면에 대해 55°의 기울기로 6개의 궤도를 동일한 간격으로 분포되어 12시간 주기로 지구를 선회하면서, GPS 위성 수신기(30)와 상호 규정된 소정 코드의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 데이터에는 위성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GPS 위성 수신기(30)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안테나(미도시)와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미도시) 및 처리된 데이터를 측위 연산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측위 연산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웹 서버(50)에는 GPS 위성 수신기(30)를 이용하여 측정한 산소의 GPS 위치 데이터가 입력되며, 소정 프로토콜에 의해 규약된 인터넷 망(70)을 경유하여 복수 개의 클라이언트(9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웹 서버(50)는 도 2와 같이 인터넷 망(70)과의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통신 모듈(100),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하는 데이터 입,출력 모듈(110), 산소의 위치데이터를 관리하는 산소 위치데이터 관리모듈(120), 벌초 신청을 관리하는 벌초신청 관리모듈(130), 산소의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을 관리하는 산소영상 관리모듈(140), 벌초용 장비의 대여에 관한 관리를 하는 장비대여 관리모듈(150), 회원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정보 관리모듈(160), 산소의 족보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산소족보 관리모듈(170), 산소가 해당되는 지역의 토지에 관한데이터를 관리하는 토지정보 관리모듈(180),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00) 및 상술한 모든 모듈과 데이터 베이스(200)를 제어하는 웹 제어부(190)로 구성된다.
데이터 베이스(200)는 산소의 위치데이터가 저장되는 산소위치 데이터 베이스(210)와, 벌초신청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벌초신청 데이터 베이스(220)와, 산소의 영상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산소영상 데이터 베이스(230)와, 회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240)와, 산소의 족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산소족보 데이터 베이스(250) 및 토지정보를 저장하는 토지정보 데이터 베이스(260)의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클라이언트 서버(90)는 인터넷 망(70)과 소정 프로토콜에 의해 연결되어 산소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50)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웹 서버(50)의 관리자가 클라이언트(90)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산소의 GPS위치좌표를 확보하여 웹 서버(50)에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웹 서버(9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GPS위성 수신기(30)를 지참하여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와 동행하여 산소의 위치와 경로를 확인하며, 위치가 확인된 산소에서는 GPS 위성 수신기(30)에 수신되는 GPS위성 좌표 데이터에 의해 산소위치에 대한 GPS좌표가 도출되어 산소에 대한 절대적인 위치좌표가 확보된다.
그후에 웹 서버(90) 관리자는 산소의 GPS위성 좌표 데이터를 웹 서버(50)의산소위치 관리모듈(120)을 통해 산소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0)에 입력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이때 카메라나 비디오 등의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확보한 산소의 영상은 디지털 데이터화되어 산소영상 관리모듈(140)를 통해 산소 영상 데이터 베이스(230)에 산소 코드와 함께 저장하며, 산소에 도달하는 경로 등의 부가적인 자료도 같이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웹 서버(50)에 로그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클라이언트(90)는 인터넷 망(70)을 통해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회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한다(단계 S1).
입력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웹 서버(50)의 통신모듈(110)을 통해 회원정보 관리모듈(160)에 전송되고, 회원정보 관리모듈(160)은 전송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상적으로 로그인되면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는 서비스 모드 선택화면이 출력되어 적절한 서비스 모드가 선택되며(단계 S2), 서비스 모드에는 위치확인 모드, 벌초신청 모드, 산소 영상확인 모드, 장비대여 모드, 산소족보확인 모드, 토지정보확인 모드가 있다.
그중에서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산소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 모드를 선택하면(단계 S3), 클라이언트(90)는 웹 서버(50)의 산소위치 관리모듈(120)에 연결되고, 산소위치 관리모듈(120)은 위치확인되어 웹 서버(50)측에 저장된 데이터가 있는지를 클라이언트(90)측에 물어보는 화면(미도시)을 표시한다(단계 S4).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기존에 위치확인되어 저장된 데이터가 존재함을 선택하면, 산소위치 관리모듈(120)은 클라이언트(90)에 산소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미도시)을 출력한다(단계 S5).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가 산소의 위치를 검색하기 위한 산소 고유의 코드 등을 단계 S5의 화면에 입력하면(단계 S6), 도 6과 같이 산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면이 클라이언트(90)에 나타난다(단계 S7).
도 6에서는 산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전자지도를 산소의 GPS 위성 좌표와 함께 나타내며, GPS 좌표화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경로도 같이 나타난다.
단계 S4에서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기존에 저장된 위치확인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선택하면, 산소위치정보 관리모듈(120)은 위치확인 신청서 작성화면(미도시)을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 나타낸다(단계 S9).
클라이언트(90)가 위치확인 위치확인 신청서 작성화면의 입력사항에 정상적으로 입력하여 산소위치정보 관리모듈(120)에 전송되면(단계 S10), 산소위치정보 관리모듈(120)에서는 산소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00)를 호출하여 위치확인 가능한 일자를 나타내는 화면을 클라이언트(90)에 나타낸다(단계 S11).
이후,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정보를 계속 검색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데 되며(단계 S8), 서비스 이용자가 정보검색을 계속할것을 선택하면 웹 제어부(190)는 단계 B를 수행하여 단계 S2의 서비스의 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이 클라이언트(90)에 나타나며, 더 이상 정보검색을 하지 않을 것을 선택하면 로그 아웃(단계 S12)의 단계를 거쳐 종료한다.
상술한 각 단계마다 나타나는 화면들의 출력 과정은 웹 서버(50)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소정의 코드를, 예를 들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하, "HTML"이라 칭함)"의 형태로 전송하고, 각각의 클라이언트(90)는 웹서버(5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코드를 해석하여 화면이 생성되며, 후술될 모든 화면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에 의해 생성된다.
도 4는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벌초신청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시 모드중에서 벌초신청 모드를 선택하면(단계 S21), 클라이언트(90)는 벌초신청 관리모듈(130)에 연결되며, 벌초신청 관리모듈(130)은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 도 7과 같이 벌초 신청서 화면을 나타낸다(단계 S22).
서비스 이용자가 도 7의 벌초 신청서 화면의 입력 사항을 정확하게 입력하여 전송 아이콘을 선택하면(단계 S23), 입력된 사항은 클라이언트(90)에서 벌초신청 관리모듈(130)로 전송되며, 벌초신청 관리 모듈(130)에서는 전송된 입력사항과 호출된 벌초신청 데이터 베이스(220)를 비교하여 벌초가능한 날을 결정하여 예상되는 비용과 기간 등이 기록된 견적서를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 나타나도록 하며, 서비스 이용자는 견적서를 결재하며(단계 S24), 정상적으로 견적서가 결재되면 웹 제어부(180)는 단계 C를 수행하여 정보검색을 계속할것인지를 판단하는 도 3의 단계 S11로 이행한다.
이때, 도 7의 벌초 신청화면은 벌초 완료 희망시기를 선택하는 선택 창과 벌초 전, 후의 영상을 회송요청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창이 구성되며,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산소영상 확인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산소영상 확인모드를 선택하면(단계 S31), 클라이언트(90)는 웹 서버(50)의 산소영상 관리모듈(140)에 연결되고, 산소영상 관리모듈(140)은 산소영상 조회화면(미도시)을 클라이언트 서버(90)의 화면에 나타낸다(단계 S32).
클라이언트(90)측의 사용자가 화면에 나타난 산소영상 조회화면에 산소의 코드를 입력하여 전송하면(단계 S33), 산소영상 관리모듈(140)은 산소영상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된 해당 산소 코드의 영상 데이터를 호출하여 도 8과 같이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 나타내며(단계 S34), 클라이언트(90)측의 사용자가 더 이상 정보검색을 하지 않을 것을 선택하면(단계 S8), 로그 아웃(단계 S12)의 단계를 거쳐 종료한다.
도 6은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벌초장비의 대여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클라이언트(90)측의 사용자가 벌초장비의 대여모드를 선택하면(단계 S35),클라이언트(90)는 장비대여 관리모듈(150)에 연결되어 장비대여 신청화면이 도 11과 같이 클라이언트(90) 화면에 나타난다(단계 36).
클라이언트(90)측의 사용자가 화면에 나타난 장비대여 신청화면의 입력사항을 기입하여 장비대여 관리모듈(150)에 전송하면(단계 S37), 장비대여 관리모듈(150)은 장비대여 데이터 베이스(240)을 호출하여 전송된 입력사항과의 수량, 대여일자 및 비용의 확인 과정을 거쳐 견적서 화면을 클라이언트 서버(90)의 화면에 나타내고, 클라이언트는 견적서를 결재하여 전송한다(단계 S38).
도 7은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산소족보정보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산소영상 확인모드를 선택하면(단계 S41), 클라이언트(90)는 웹 서버(50)의 산소족보 관리모듈(170)에 연결되고, 산소족보 관리모듈(170)은 산소족보 모드화면(미도시)을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 나타낸다(단계 S42).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산소족보 모드화면에 산소의 코드를 입력하여 전송하면(단계 S43), 산소족보 관리모듈(170)은 산소족보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된 해당 산소 코드의 족보데이터를 호출하여 도 12와 같이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 나타내며(단계 S44), 클라이언트(90)측의 사용자가 더 이상 정보검색을 하지 않을 것을 선택하면(단계 S8), 로그 아웃(단계 S12)의 단계를 거쳐 종료한다.
산소의 족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화는 관리자와 의뢰인이 산소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인 산소의 위치뿐만 아니라 한 가문의 전체 산소 위치를 모두 파악하여 산소족보 데이터 베이스(260)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비스로 인해 한 가문의 산소에 대한 족보차원의 관리가 가능해 산소의 이력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90)측의 서비스 이용자가 산소족보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토지정보 이용 모드를 선택하면(단계 S45),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는 토지정보 검색모드 화면이 출력되고(단계 S46), 클라이언트(90)측의 사용자가 산소의 코드를 입력하여 전송하면(단계 S47),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는 산소가 해당되는 지역에 대한 토지정보 화면이 도 13과 같이 출력되고(단계 S48), 클라이언트(90)측의 사용자가 더 이상 정보검색을 하지 않을 것을 선택하면(단계 S8), 로그 아웃(단계 S12)의 단계를 거쳐 종료한다.
토지정보 이용 모드는 웹 서버(50)의 관리자가 정부에서 발표되는 토지이용 계획안이나 이장공고 등의 대규모의 토지관련 계획을 토지정보 데이터 베이스(270)에 저장하면,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50)에 접속하여 토지정보 관리모듈(180)을 이용해 토지정보 데이터 베이스(270)로부터 산소가 해당되는 지역의 토지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이장공고나 토지관련 계획의 변경등을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토지정보 이용 모드는 웹 제어부(190)에서 토지정보 관리모듈(180)과 회원정보 관리모듈(160)을 컨트롤하여, 변경사항이 있는 토지정보에 해당하는 지역의 회원에게 변경된 토지정보를 개별적인 이메일등을 발송하는 통보 서비스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소의 위치를 GPS 위성의 위치좌표화하여 웹 서버에 저장해둠으로써, 산소주변의 지형이 변화하더라도 산소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전자지도 서비스를 인터넷 망을 통해 받을 수 있고, 명절이나 제사전에 행해지는 벌초의 대행업무를 인터넷을 통해 신청받는 웹 서버를 이용함으로써 인터넷 환경에서 편리하게 벌초신청이 가능해지며, 클라이언트가 벌초장비를 대여하여 직접 벌초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산소들에 대한 정보를 그룹화한 데이터 베이스에 의해 족보관리가 가능해지며, 공공관청에서 토지이용계획안이나 이장공고 등이 공포될때 인터넷 환경에서 해당되는 지역의 토지정보를 보다 쉽게 검색할 수 있다.

Claims (7)

  1. 소정의 코드와 항법 메세지에 의해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GPS위성군;
    상기 GPS위성군의 GPS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위성 수신기;
    상기 GPS위성 수신기에 수신된 상기 GPS 위치 데이터를 입력받는 웹 서버;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산소위치검색 모드를 선택되고, 위치검색할 산소의 코드를 입력되면,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화한 GPS 위치 데이터로 산소의 위치 좌표를 표시하는 전자지도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인터넷 망과의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통신 모듈;
    GPS 위치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하는 데이터 입,출력 모듈;
    산소의 위치 데이터를 관리하는 산소 위치데이터 관리모듈;
    산소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모든 모듈과 데이터 베이스를 제어하는 웹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벌초 신청모드가 선택되고, 벌초할 산소의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산소의 코드에 대응하는 벌초 견적서를 표시하는 벌초신청 관리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산소영상 확인모드가 선택되고, 영상확인할 산소의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산소의 코드에 대응하는 산소 영상을 표시하는 산소영상 관리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장비대여 모드가 선택되고, 대여할 장비의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장비의 코드에 대응하는 장비대여 견적서를 표시하는 장비대여 관리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토지정보 검색모드가 선택되고, 토지정보를 검색할산소의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산소의 코드에 해당하는 지역의 토지정보를 표시하는 토지정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산소족보 검색모드가 선택되고, 산소족보를 검색할 산소의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산소의 코드에 해당하는 지역의 토지정보를 표시하는 토지정보 관리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KR1020000023464A 2000-05-02 2000-05-02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KR20010100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464A KR20010100426A (ko) 2000-05-02 2000-05-02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464A KR20010100426A (ko) 2000-05-02 2000-05-02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426A true KR20010100426A (ko) 2001-11-14

Family

ID=4578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464A KR20010100426A (ko) 2000-05-02 2000-05-02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04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67A (ko) * 2000-09-22 2001-01-05 김웅기 장묘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3261A (ko) * 2002-01-07 2002-03-28 오승천 통합묘지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898382B1 (ko) * 2008-08-08 2009-05-18 김복래 전자 묘적부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323A (ko) * 1999-04-02 1999-09-06 이학성 묘지의검색시스템
KR20000000030A (ko) * 1999-04-30 2000-01-15 유진명 인공위성/지적/측지체계를이용한묘지정보관리시스템
KR20010097324A (ko) * 2000-04-21 2001-11-08 이명의 인공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위치 정보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323A (ko) * 1999-04-02 1999-09-06 이학성 묘지의검색시스템
KR20000000030A (ko) * 1999-04-30 2000-01-15 유진명 인공위성/지적/측지체계를이용한묘지정보관리시스템
KR20010097324A (ko) * 2000-04-21 2001-11-08 이명의 인공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위치 정보 검색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67A (ko) * 2000-09-22 2001-01-05 김웅기 장묘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23261A (ko) * 2002-01-07 2002-03-28 오승천 통합묘지정보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0898382B1 (ko) * 2008-08-08 2009-05-18 김복래 전자 묘적부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21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expressing geographically-referenced data
US76645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lanning using geographical data
US72665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lobal relief management
CN102792322B (zh) 利用相关联的地理空间数据的可视化信息组织
US20100328093A1 (en) Emergency Respond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0933216B1 (ko) 방역 지리정보시스템
Rafoss et al. Open geospatial technology standards and their potential in plant pest risk management—GPS-enabled mobile phones utilising open geospatial technology standards Web Feature Service Transactions support the fighting of fire blight in Norway
KR20000024414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생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404305B1 (ko) 디지털 수치 지도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및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10100426A (ko) 위성과 인터넷을 이용한 산소관리 시스템
KR100782150B1 (ko) 측지측량과 동시에 수치지도의 속성자료를 수정할 수 있는측지측량 방법
WO20091298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of inventory data of retail outlets
Kirkby Integrating a GIS with an expert system to identify and manage dryland salinization
JP2006268569A (ja) 伐採工事費用見積支援システム
JP2003148975A (ja) 地図情報作成方法及びシステム
EP3859618A1 (en) Job selection system and job selection method
RU2268486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и поиска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пользователей
KR20030060565A (ko) 인터넷 환경오염지리정보 관리서비스 모델
JP2007257311A (ja) 広域業務管理装置及び方法
Brovelli et al. Improving the Monitoring of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 Through Web Geo‐services: The Example of Large Structures Supervision
KR20050061240A (ko) 이미지가 링크된 가계도 작성서버 및 작성방법, 묘지관리서비스 제공방법
US9342206B1 (en) Fingerprint location indicator
Vasavi et al. Reflecting real-time monitoring of Agricultural equipment in Rythu Bharosa Kendra
JP5727427B2 (ja) 貸農地特定装置、貸農地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BR102018001027A2 (pt) Método e sistema para elaboração de base de dados cartográfica global multi-cam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