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370A -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370A
KR20010100370A KR1020000023310A KR20000023310A KR20010100370A KR 20010100370 A KR20010100370 A KR 20010100370A KR 1020000023310 A KR1020000023310 A KR 1020000023310A KR 20000023310 A KR20000023310 A KR 20000023310A KR 20010100370 A KR20010100370 A KR 20010100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spring
impact
disposed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757B1 (ko
Inventor
야마구치다다오
Original Assignee
가이 가즈오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이 가즈오,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이 가즈오
Priority to KR10-2000-002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75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유지할 스프링의 강도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낙하 등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가동자극(可動磁極)부재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동량이 큰 전자형 변환기를 얻기 위하여 비교적 얇은 스프링(77)으로 지지설치한 가동자극부재(23)를 여자코일(3)에 의해 구동하여 되는 것으로,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응력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고무, 혹은 스폰지 재질의 연탄성 규제부재(8, 88, 89)를 가동측 혹은 고정측에 배치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Electronic converter having superior antishock feature}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장치 등에 사용되는 전자형 변환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교적 얇은 스프링으로 지지설치한 가동전극체를 구비한 소위 진동발생형 구조의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電磁型)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체 무선통신장치의 코일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발음체(電磁發音體)가 있다. 즉, 수지제 케이스(1)의 중앙에 자극부재(2)를 고정하고, 그 주위에 여자코일(3)을 배치하고, 또한 그 주위에 계자 자석(4)을 배치하여 상기 자극부재(2)에 대향하여 전기자부재(5)를 고정설치한 다이어프램(6)을 상기 케이스(1)에 배치설치하여 되는 것이다.
최근의 이동체 통신장치는 발음에 의한 알림수단의 소음 문제로부터 진동에 의한 무음호출수단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이러한 진동발생수단으로는 소형직류모터의 출력축에 편심웨이트를 취부한 것, 또는 로터 자체를 편심시킨 편평형 코어리스 진동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모터를 사용하는 것은 진폭을 비교적 크게 취할 수 있고, 원심력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효율도 좋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에 있어서는 이러한 진동모터 대신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제2549375호 공보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형 변환기에 의해 음과 진동 모두를 얻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자극부재를 스프링체(7)의 중심부에 지지설치함으로써 가동자극부재(22)로 하고, 그 주위에 배치한 여자코일(3)에 저주파, 예컨대 100Hz의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가동자극부재(22)를 도면에 있어서 상하이동시켜 진동을 얻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자극부재(22)에 대향하여 전기자부재(5)를 고정설치한 다이어프램(6)을 상기 케이스(1)에 배치설치하여 되는 구성은 상기 도 3의 발음체만으로 구성된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전자형 변환기는 비교적 고주파, 예컨대 여자 코일(3)에 2 내지 3KHz의 전류를 줌으로써 전기자부재(5)를 고정설치한 다이어프램(6)을 진동시켜 발음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2 내지 3KHz에서 가동자극부재(22)는 진동체로서 기능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여자 코일(3)에 주는 전류의 주기에 따라 발음과 진동의 양기능을 모두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소형직류모터의 원심력과 같은 정도의 진동량을 얻기 위해서는, 가동자극부재(22) 자체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일부에 텅스텐합금 등의 보조웨이트를 부가하거나 하여 중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중량을 증가시킨 경우, 유지할 스프링의 강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낙하하였을 때 스프링체(7)가 변형하여 가동자극부재(22)의 소정의 위치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유지할 스프링의 강도를 증가시킨 경우, 입력을 크게 하지 않으면 큰 진폭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어, 효율적으로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유지할 스프링의 강도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낙하 등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가동자극부재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동량이 큰 전자형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구항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얇은 스프링으로 지지설치한 가동자극체를 여자코일에 의해 구동하여 되는 전자형 변환기에 있어서,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응력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제부재를 배치하면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충격시의 가동자극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응력한계를 초과하여 버리는 일이 없고, 따라서 진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중량을 증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구체적인 규제부재로는, 청구항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등의 연탄성(軟彈性)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충격시에 쇼크가 완화되어 가동부분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규제부재를 배치하는 장소는 청구항 3,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 고정측의 어느 쪽이어도 좋다.
청구항 3에 나타낸 발명과 같이 규제부재를 배치하는 장소를 가동측, 특히 상기 스프링으로 하면, 스프링의 진동음이 방지될 수 있다.
청구항 4에 나타낸 발명과 같이 규제부재를 배치하는 장소를 고정측으로 하면, 스프링의 형상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형 변환기의 제1실시형태의 주요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제2실시형태의 주요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전자발음체의 주요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전자형 변환기의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지제 케이스
1a 케이스의 뚜껑
4 계자 자석
5 전기자 부재
6 다이아프램
8 규제부재
23 가동자극부재
23b 계지홈
33 여자코일
33a 보빈
77 스프링
77a 지지부
도 1에 있어서, 가동자극부재(23)는 중앙에 텅스텐 합금제의 보조웨이트(23a)를 압입함과 함께 절삭가공한 계지(係支)홈(23b)을 구비하며, 이 계지홈(23b)에 지지부(77a)를 갖고서 힘을 가하여 넣어진 스프링체(77)에 의해 지지설치된다. 이 스프링체(77)에는 또한 상하로 돌출된 고무재질의 연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규제부재(8)가 끼워 넣어져, 낙하 등의 충격이 있어도 불필요하게 크게 상하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스프링체(77)의 상방의 움직임은 여자코일(33)을 권회한 보빈(33a)에 받쳐서 멈추게 되고, 하방의 움직임은 수지제 케이스(1)의 덮개(1a)에 의해 받쳐서 멈추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체(77)는 가동자극부재(23)를 상당히 무겁게 하여도 응력한계를 초과하지 않고 양호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다른 부재에 대하여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고무재질, 혹은 스폰지재질의 연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규제부재를 고정측에 배치한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연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규제부재는 분할하여 일부(88)를 코일보빈측에 다른 부분(89)을 덮개측에 배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낙하 등의 충격이 있어도 불필요하게 크게 상하이동하지 않게되며, 스프링체(77)의 가동자극부재(23)를 상당히 무겁게 하여도 응력한계를 초과하지 않고 양호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음에는 변함이 없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는 가동자극부재를 철 등의 강자성체로 구성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 가동자극부재를 자석으로 하여 주위에 배치한 자석 쪽을 철 등의 강자성체로 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구속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 충격시의 가동자극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응력한계를 초과하여 버리지 않고, 따라서, 진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량을 증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나타낸 발명과 같이 하면, 충격시에 쇼크가 완화되므로, 가동부분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청구항 3에 나타낸 발명과 같이 규제부재를 배치하는 장소를 가동측, 특히 상기 스프링으로 하면, 스프링의 진동음이 방지될 수 있다.
청구항 4에 나타낸 발명과 같이 규제부재를 배치하는 장소를 고정측으로 하면, 스프링의 구조가 제약을 받지 않는다.

Claims (4)

  1. 얇은 스프링으로 지지설치한 가동자극체를 여자코일에 의해 구동하여되는 전자형 변환기에 있어서,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응력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제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연탄성 부재인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가동측에 배치된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재는 고정측에 배치된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KR10-2000-0023310A 2000-05-01 2000-05-01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KR10050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310A KR100507757B1 (ko) 2000-05-01 2000-05-01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310A KR100507757B1 (ko) 2000-05-01 2000-05-01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370A true KR20010100370A (ko) 2001-11-14
KR100507757B1 KR100507757B1 (ko) 2005-08-10

Family

ID=4367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310A KR100507757B1 (ko) 2000-05-01 2000-05-01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7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7540A (en) * 1989-09-07 1992-04-21 Motorola, Inc. Electromagnetic resonant vibrator
JP2549375Y2 (ja) * 1991-05-17 1997-09-30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電磁型変換器
JPH08161399A (ja) * 1994-12-05 1996-06-21 Takenaka Komuten Co Ltd 環境評価装置
JP3748637B2 (ja) * 1996-10-14 2006-0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機器用振動発生装置
JP3538043B2 (ja) * 1998-11-26 2004-06-14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耐衝撃性良好な電磁型変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757B1 (ko)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379B1 (ko) 진동 발생장치
JP3830022B2 (ja) 多機能型発音体
KR100417017B1 (ko) 전기 신호를 휴대 전자 장치의 소자의 진동으로 변환하는다기능 컨버터
KR101242525B1 (ko) 햅틱 액추에이터
KR100990706B1 (ko)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KR20000012495A (ko) 진동 발생과 음향 발생의 겸용 장치를 구비하는 스피커
JP3538043B2 (ja) 耐衝撃性良好な電磁型変換器
KR20010060174A (ko) 진동 스피커
KR100953694B1 (ko) 박형 형상의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KR20160114313A (ko) 코어리스 햅틱 액추에이터
KR100439583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 스피커
KR100507757B1 (ko) 내충격성이 양호한 전자형 변환기
WO2006064750A1 (ja)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2004186912A (ja) 電気機械振動音響変換器及び携帯端末機器
JPH10165892A (ja) ペイジャー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0325881A (ja) 音声および低周波振動発生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1266793B1 (ko) 햅틱 엑추에이터
KR101198077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JPH1127921A (ja) ペイジャー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20020045666A (ko) 진동 스피커
JP2000166210A (ja) 発音振動体
JPH10108443A (ja) ペイジャー用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100356011B1 (ko) 신호 변환장치
KR20000021417U (ko) 통신기기용 진동/음향발생장치
JPH11207027A (ja) 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