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471A -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471A
KR20010099471A KR1020010061327A KR20010061327A KR20010099471A KR 20010099471 A KR20010099471 A KR 20010099471A KR 1020010061327 A KR1020010061327 A KR 1020010061327A KR 20010061327 A KR20010061327 A KR 20010061327A KR 20010099471 A KR20010099471 A KR 20010099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information
central control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일
Original Assignee
정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일 filed Critical 정경일
Priority to KR102001006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9471A/ko
Publication of KR2001009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4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간 통신이 가능한 양방향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에서 관제하는 버스노선안내 시스템과 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며, 버스노선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관제 시스템부와 외부에서 데이터를 요청, 수신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표시단말장치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데이터 송신 및 정보 수신을 위한 전송부, 수신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입·출력 및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자가상태를 진단하는 검침부, 태양열 전원을 공급하는 동력부로 구성되며, 중앙관제 시스템부는 자료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자료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의 요청에 따라 자료를 검색, 정보로 가공하는 논리제어부, 정보를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표시단말장치는 버스정류소에 설치되며, 외부사용자로부터 행선지를 입력받아 단말장치 위치 및 외부 입력된 행선지 등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중앙관제 시스템부에 전송하고, 중앙관제 시스템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버스노선을 검색, 최소경로로 가공하여 그 정보를 해당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표함으로써 외부 사용자가 원하는 행선지로 갈 수 있는 버스노선을 안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Device for guiding bus service rou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버스정류소에 설치되어 버스노선 안내를 자동으로 하는 전자식 버스노선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 자체의 저장매체를 이용한 정보 갱신의 불편 및 부가정보 제공의 한계, 외부 전원의 공급으로 인한 설비효율 저하 등 기존 장치의 단점을 보완·개선한 전자식 버스노선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버스노선안내 장치는 버스정류소에 설치하여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노선을 안내해주는 전자식 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20-176630-0000호에 승객이 원하는 지역의 스위치를 누름으로 해당 노선번호가 LED에 의해 표시되고, 저장매체로 이.이.피롬(EEPROM)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20-211785-0000호에는 경사진 안내부를 갖는 구조물 본체 안에 개구부를 두어 모니터 및 키보드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내부에 컴퓨터 본체를 설치하여 이로 하여금 버스노선안내를 하는 기술이 나타나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장치내부에 설치된 제한된 저장매체를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저장매체 특성에 따라 데이터의 추가 및 갱신, 부가 기능의 설치 등에 제약이 따르며, 정보가공을 위한 제어부 또한 장치 내부에 위치하므로 처리작업 효율의 저하, 구동전원의 필요로 인한 설비의 어려움, 생산단가의 상승 등 보완해야만 하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단말기의 기능을 입/출력 및 전송 기능으로 축소하여 그 효율을 극대화하고, 태양열을 축적, 이용함으로써 설비의 간편 및 자가진단을 통한 유지관리의 편의를 도모하며, 무선통신망을 통한 중앙관제 시스템으로 무한한 기능의 확장을 갖는 전자식 버스노선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노선 안내장치의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노선 안내장치에 있어서 중앙관제 시스템부의 개요를 도시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e 는 본 발명의 중앙관제 시스템부의 작업 순서를 도시한 시스템 플로우챠트,
도 4 는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의 외부 하우징을 정면, 측면, 상부 및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5는 표시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표시단말기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 는 표시단말기의 작업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무선통신망 7,13 : 논리 제어부
8,14 : 저장부 15 : 위치 데이터
51 : 외부 입력부 52 : 화면출력부
69 : 상단 무선통신기 100 : 표시단말기
110 : 중앙관제 시스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스노선 안내장치는 버스노선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관제 시스템부와, 외부 사용자로부터 원시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원시 데이터와 내부에 기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정형화된 데이터를 생성한 후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 시스템부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는 표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단말기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데이터의 송신 및 정보 수신을 위한 전송부와, 수신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데어터의 입,출력 및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자가진단을 위한 검침부, 및 태양열에 의한 전원을 공급하는 동력부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표시단말기의 크기는 사용자가 서서 이용하기에 적절한 높이로 형성되고, 단말기의 표시부를 덮는 덮개부가 구비되어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한다.
상기 표시단말기의 덮개부의 후방에는 태양열 전지를 구비하여 태양열을 시스템 자체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앙 관제 시스템부는 상기 표시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버스노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에 기록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정보를 생성시키는 논리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논리 제어부는 단말기 및 목적지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데이터 및 노선데이터, 경로데이터를 표본값으로 추출하여 논리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 안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노선 안내장치의 운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100)는 입력부(1)를 통해 외부사용자로부터 원시 데이터를 입력받고, 제어부(2)는 기 저장된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정형화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데이터는 전송부(3)를 통해 무선통신망(4)에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변조되어 중앙관제 시스템부(110)에 전송한다. 시스템부(110)에 전송된 데이터는 명령 처리를 위하여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도록 다시 복조되어 입력부(5)를 통해 시스템의 임시기억장치(6)로 이동한다. 논리제어부(7)는 입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저장부(8)에 기록된 버스노선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단말기(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표본값과 목적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표본값을 추출한다. 논리제어부(7)는 추출된 두 개의 표본값을 논리적인 비교과정을 수행하여 최적의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정보는 다시 출력부(9)를 통해 무선통신망(4)에 전송 가능하도록 변조한 후 해당 표시단말기(100)로 전송된다. 표시단말기(100)의 전송부(3)는 변조된 정보를 복조하여 표시부(10)를 통해 외부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버스노선 안내장치의 중앙관제 시스템부(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기억장치(12)에 저장하고 논리제어부(13)가 저장부(14)에 기록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정보를 생성한다. 논리제어부(13)는 단말기 및 목적지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데이터(15) 및 노선데이터(16), 경로데이터(17)를 표본값으로 추출하여 논리적인 비교과정을 수행한다.
각각의 위치데이터(15)에 해당되는 버스노선번호를 표로 작성하여 노선데이터(16)를 생성하고, 노선데이터(16)에 따라 동일 노선번호를 비교한다. 동일 노선번호가 검색되었을 경우 검색된 노선번호가 최종 정보로 가공되며, 검색되지 않았을 경우 각각의 노선번호에 따른 경로를 표로 작성하여 경로데이터(17)를 생성한 후 동일 또는 유사 경로를 비교한다. 경로비교 시 동일값 또는 유사값이 있을 경우 정확도에 따른 우선 순위에 따라 최종 정보로 가공하며, 해당되는 값이 없을 경우 명령 처리 순서에 따라 작업을 종료한다. 가공된 정보는 출력부(18)를 통하여 출력한다.
도 3a 내지 도 3e 는 중앙관제 시스템부(110)의 작업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먼저 표시단말기(100)에서 신호가 입력되면(121) 데이터의 입력을 대기한 상태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체크하며(122), 데이터 체크 결과가 정상이면 데이터를 임시 저장소에 일시 저장한다(123). 즉,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가 정상적인 기본적인 값으로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 저장된 데이터 타입을 체크하여(124) 정상의 데이터이면 단말기 상태를 체크하여(125) 단말기 상태가 정상이면 ⓔ의 상태로 넘어간다. 만일 단말기 상태가 정상이 아닌 에러인 경우 단말기에서 에러처리를 하고 처리된 결과를 임시 저장한(126) 후, 단말기 번호와 에러 메시지를 저장한다(127).
상기 단말기 상태 체크과정에서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상태를 체크한다(131). 체크한 데이터가 에러인 경우 데이터 에러 처리를 하고(132), 단말기로 에러 메시지를 송부함과 아울러 임시 저장소에 리셋한다(134).
한편, 상기의 과정 중 데이터 체크 과정(131)에서 데이터가 정상인 경우에는 도 3c 에 도시된 ⓖ의 과정으로 연결된다.
상기 도 3c를 참조하면, 정상적인 데이터가 접수되면 단말기의 논리제어부(도1의 7)가 현 위치값과 목적지 값으로 분류하여(136) 고유번호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임시 저장하고(137), 각각의 값에 대한 위치데이터 및 노선데이터를 저장부(도1의 8)로부터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비교값으로 저장한다(138).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경우(132) 출력부(도1의 9)를 통해 원시데이터와 함께 오류코드를 출력한다.
논리제어부(도1의 7)는 저장된 비교값을 논리적으로 비교하여(138) 동일값이 있을 경우 도 3d 의 ⓗ 의 과정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값을 찾은 후(143) 출력부를 통해 원시데이터와 함께 단말기로 전송하고,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기록한다. 즉 상기 저장되는 데이터는 외부요청에 대해 정상적으로 처리한 것에 대한 데이터이다.
만일, 동일값이 없을 시에는 경로데이터를 저장부(도1의 8)로부터 검색하여(도 3c 의 139) 데이터베이스의 필드에 비교값으로 저장한다
다음, 저장된 경로데이터의 값을 논리 비교하여(140) 동일값 또는 유사값(34)을 추출한 경우에는 과정 ⓘ 로 연결된다. 즉, 도 3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정 ⓘ 에 있어서는, 얻어진 데이터, 예컨데 단말기 데이터, 입력 데이터, 유사 데이터 추출 등의 데이터를 분류하여 걸러내는 과정이 이루어진다(147,148). 경로 데이터 비교과정을 거쳐 동일값 또는 유사값을 추출한 경우(147), 데이터의 정확도에 따라 정렬한다(148). 이때 정렬된 값 중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값(149)을 원시데이터와 함께 출력부(9)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값이 없거나 기타 오류의 경우 원시 데이터와 함께 오류코드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작업이 종료되면 저장부에 정상여부에 대한 기록을 한 후 임시 저장값을 초기화한다(142).
한편, 도 3e 에 도시한 과정 ⓘ 에 있어서, 동일값 또는 유사값을 데이터로 한 경우, 가장 최적화된 데이터를 분류하고(147), 데이터의 정련(걸러내는)과정을거쳐 단말기 데이터, 입력 데이터, 유사 결과물 데이터를 생성한다(149). 이후 얻어진 상기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고(150),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기록한(151) 다음, 임시 저장소에 리셋한다(152).
도 4는 표시단말기의 외부 하우징을 정면, 측면, 상하면의 방향에서 바라 본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표시단말기(100)는 지상에 고정설치되는 설치물로서 하부 본체부(95b)와, 상기 하부 본체부(95b)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95a) 및 본체부 전면으로 일정 길이 경사지게 돌출되어 나온 전면 덮개부(95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100)의 전체 크기는 사용자가 서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정도의 위치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표시단말기(100)는 단말기 하부 본체(95b)의 상부로 일정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의 상부 전면에 외부입력이 가능한 입력수단(52)과 화면출력수단(52)의 패널이 형성된 개구부(95a)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부 덮개부(95c)의 경사부 후면에는 태양열 전지(53)가 배열되어 있고, 상단 경사부 후면 우측부분에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54)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후면 상단에는 냉각 및 환기를 위한 환기창(55)과 잠금장치(56)가 부착된 개폐구가 달려있다. 표시단말기(100)의 하단부분에는 지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멍(57)이 뚫려있다.
도 5는 표시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표시단말기(1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100)는 제어부를 위한 주기판(61)과 내부 명령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62), 화면 표시를 위한 그래픽카드(63) 등 보조기판이 하나로 결합되어 있고, 데이터 전송로(64)를 통해 외부입력장치(65)를 연결하는 회로(66), 화면표시장치(67)를 연결하는 회로(68), 상단 무선통신기(69)와 연결하는 회로(70) 주기판(61)에 연결한다. 상단의 태양열 전지(71)에서 발전된 전기는 전원 전송로(72)를 통해 하단의 축전장치(73)에 저장되고, 축전장치(73)를 연결하는 회로(74)가 주기판(61)에 연결되어 안정된 전원을 공급한다.
도 6a 내지 도 6c 는 표시단말기(100)의 작업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는 먼저, 제어부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시간체크를 실시한다. 예컨데 20분 시간간격 상태를 유지하면서(81) 단말기의 정상여부를 확인하여(82) 정상이면 중앙 관제 시스템부(110)에 통보한다. 이때 단말기 상태의 체크를 수회(4회) 반복하도록 하며, 에러 가 발생된 경우에는 단말기의 화면 표시부에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이와 함께 중앙관제 시스템부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 도 6b를 참조하면, 체크한 시간이 정해진 시간 간격(20분)이 아닌 경우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하고(84), 외부 사용자가 원시데이터(85)를 입력하였을 시 임시저장매체에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외부 입력값과 내부 기본값을 저장한다(86). 임시로 저장된 값은 전송부를 통해 중앙관제 시스템부로 전송하고(87), 시스템으로부터 회신 여부를 체크하여 응답을 기다린다(88). 전송부를 통하여 시스템으로부터 응답이 있을 시(89) 그 값을 임시 저장된 값과 함께 출력형태로 변환한 후 단말기 화면표시부로 출력한다(90).
도 6c를 참조하면, 중앙관제 시스템부로 부터 일정시간(91), 예컨데 3분 이내에 응답이 없는 경우(91) 오류코드를 화면표시장치로 출력한다(92). 작업이 종료되면 임시 저장값을 초기화한다(93).
이상 전술한 기술 내용으로부터 자명하듯이, 본 발명의 버스노선 안내장치 및 그 표시단말기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교류 및 시스템과 단말장치로의 이원화된 특성을 통하여 기존의 장치자체에 내장된 제한적인 저장매체에 따른 기능적 한계의 단점을 극복하고, 태양열을 이용한 자체 동력의 공급 및 자가진단을 통해 설비 및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많은 기존 장치의 관리적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Claims (6)

  1. 버스노선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중앙관제 시스템부와,
    외부 사용자로부터 원시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원시 데이터와 내부에 기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정형화된 데이터를 생성한 후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 시스템부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하는 표시단말기를 구비하여,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및 정보 교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말기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데이터의 송신 및 정보 수신을 위한 전송부와, 수신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데어터의 입,출력 및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자가진단을 위한 검침부, 및 태양열에 의한 전원을 공급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 안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말기는 전체 크기가 사용자가 서서 이용하기에 용이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를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안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후방에 태양열을 공급받아 시스템 자체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태양열 전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 안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제 시스템부는 상기 표시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버스노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에 기록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정보를 생성시키는 논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 안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제어부는 단말장치 및 목적지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데이터 및 노선데이터, 경로데이터를 표본값으로 추출하여 논리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노선 안내 장치.
KR1020010061327A 2001-10-05 2001-10-05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 KR200100994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327A KR20010099471A (ko) 2001-10-05 2001-10-05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327A KR20010099471A (ko) 2001-10-05 2001-10-05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253U Division KR200258982Y1 (ko) 2001-10-04 2001-10-04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471A true KR20010099471A (ko) 2001-11-09

Family

ID=1971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327A KR20010099471A (ko) 2001-10-05 2001-10-05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9471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212A (ko) * 1997-07-15 1999-02-05 윤종용 버스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144194A (ja) * 1997-11-04 1999-05-28 Masahide Ichikawa バス停留場の車両運行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214087B1 (ko) * 1996-06-07 1999-08-02 서정욱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76641Y1 (ko) * 1999-10-09 2000-04-15 권혁수 버스 노선 안내기
KR20010036842A (ko) * 1999-10-12 2001-05-07 편동현 지피에스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의 위치 및 운행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10094259A (ko) * 2000-04-06 2001-10-31 한현구 지능형 개인 버스정보 시스템
JP2002358597A (ja) * 2001-06-01 2002-12-13 Oki Electric Ind Co Ltd バス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087B1 (ko) * 1996-06-07 1999-08-02 서정욱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90010212A (ko) * 1997-07-15 1999-02-05 윤종용 버스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144194A (ja) * 1997-11-04 1999-05-28 Masahide Ichikawa バス停留場の車両運行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176641Y1 (ko) * 1999-10-09 2000-04-15 권혁수 버스 노선 안내기
KR20010036842A (ko) * 1999-10-12 2001-05-07 편동현 지피에스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의 위치 및 운행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10094259A (ko) * 2000-04-06 2001-10-31 한현구 지능형 개인 버스정보 시스템
JP2002358597A (ja) * 2001-06-01 2002-12-13 Oki Electric Ind Co Ltd バス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6935B1 (en) Vehicle instrument panel computer interface and display
EP0207468B1 (en)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videotex
US20070177161A1 (en)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US68891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CN108196569B (zh) 一种通用无人机地面站
JP2007066585A (ja) 照明システム
CN101751545A (zh) 信息处理设备、显示切换方法和程序
KR200258982Y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
CN105574275A (zh) 一种复杂电子装备部组件接口信息图形化显示方法
US20060173616A1 (en) Vehicle mounted user interface device and vehicle mounted navigation system
KR20010099471A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버스노선안내 장치
KR20150130852A (ko) 무선통신에 의한 호텔의 객실관리시스템
CN111246640A (zh) 一种便于灵活布线的负载控制系统、负载系统及客控系统
CN201498026U (zh) 分级式门禁卡识别系统
KR100462362B1 (ko) 무선 주차 관제 시스템
CN101247560B (zh) 一种煤矿井下短信息终端及使用方法
EP0417321A1 (en) Electronic measuring apparatus having general-purpose processing unit
CN100417948C (zh) 一种能测试各类电器遥控器功能的方法和装置
CN112188390A (zh) 基于双频无线通信技术的移动读卡终端、通信方法及装置
JPH08275255A (ja) ホームバス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バスシステムにおけるリモート機器制御方法
CN210534987U (zh) 一种具有辅助寻车功能的遥控装置
CN201178474Y (zh) 一种煤矿井下短信息终端
CN220401977U (zh) 定位分站系统
CN219320778U (zh) 一种机电安装系统
KR100807318B1 (ko)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위치 안내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