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192A -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 - Google Patents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192A
KR20010099192A KR1020010055625A KR20010055625A KR20010099192A KR 20010099192 A KR20010099192 A KR 20010099192A KR 1020010055625 A KR1020010055625 A KR 1020010055625A KR 20010055625 A KR20010055625 A KR 20010055625A KR 20010099192 A KR20010099192 A KR 20010099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multimode
mode
optical attenuator
mode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606B1 (ko
Inventor
이두환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이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환 filed Critical 이두환
Priority to KR10-2001-005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6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9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192A/ko
Priority to US10/004,811 priority patent/US67284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2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y interference
    • G02F1/2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y interference in an optical waveguide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4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hermo-optic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2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y interference
    • G02F1/217Multimode interferenc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48Variable attenu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다중 모드 간섭 을 이용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롱 가이딩(strong guiding) PLC 도파로 구조의 광감쇄기에 있어서, 다중 모드 도파로와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단일 모드 도파로로 구성하여 입력 광신호를 다중 모드 간섭에 의한 위상변화 및 열광학 효과에 의한 위상변화로써 원하는 크기의 광전력을 분배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쇄기를 제안하는 바, 기존의 굽은 도파로를 모두 배제할 수 있어 제작허용 오차를 넓힐 수 있고, 임의의 광전력 분포를 얻기 위한 결합기의 길이가 짧아지며, 온도 조절용 인가 전압을 낮춤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Adaptive optical attenuator using multi-mode interference}
가변 광감쇄기는 통신용 광회로에 있어서, 광신호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중요한 광소자 중 하나로서,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system의 각 채널간의 광전력 균등화를 위한 Add/Drop 기능을 한다. 또한, EDFA(Erbium Doped Fiber Amplifier)의 총 전력이 변화할 경우, 파장에 따른 출력변화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Gain을 평탄화한다. 가변 광감쇄기는 수신단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수신단의 최대 신호 크기에 따라 수신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여 수신측에서 과부하가 인가되지 않게 한다.
종래의 광감쇄기의 기술은 광섬유를 이용한 섬유형이 사용되었으나, 이 기술은 제조 공정의 복합성뿐만 아니라 낮은 수율로 인한 고가격 및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PLC(Planar Lightwave Circuits)광감쇄기(한국특허공개번호, 특1999-0020073) 는 방향성 결합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자의 길이와 폭이 커지고, 낮은 제작 허용오차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향성 결합기로 인해 굽은 도파로를 여러 부분에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자의 길이가 더욱 길어지게 되고, 손실도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중 모드 간섭 이론을 이용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롱 가이딩(strong guiding) PLC 도파로 구조의 광감쇄기에 있어서,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제2 다중 모드 도파로, 그리고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제1 단일 모드 도파로와 제2 단일 모드 도파로로 구성하여 입력 광신호를 다중 모드 간섭에 의한 위상변화 및 열광학 효과에 의한 위상변화로써 원하는 크기의 광전력을 분배하여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감쇄기를 제안한다.
도 1은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의 제1 실시예.
도 2는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의 제2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2 : 제2 다중 모드 도파로
3 :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4 : 제2 단일 모드 도파로
5 : 제3 다중 모드 도파로 6 : 제4 다중 모드 도파로
7 : 제3 단일 모드 도파로 8 : 제4 단일 모드 도파로
9 : 온도 조절용 전극
광신호가 다중 모드 도파로에 입력되어 진행하면서 입력 광신호의 분배가 일어나고, 특정한 길이에서 모드간의 보강 간섭에 의하여 입력 광신호에서 여기된 파의 상을 재생시킨다. 이것은 자기상 맺힘이라고 하는 광 고유의 특성으로, 도파로의 진행 방향에 따라 주기적인 간격을 두고 한 개 내지는 여러 개의 상을 만들게 되는 현상이다(J. Lightwave Technol., vol.13 p.615, 1995.). 여기서, 쌍간섭(paired interference) 원리를 적용하여, K개의 출력파형을 얻을 수 있는 다중 모드 도파로의 최단거리는이며,이고,는 입력 광신호의 파장,은 각각 다중 모드 도파로의 유효 굴절률과 유효 폭이다.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PLC 도파로형 광감쇄기의 제1 실시예는 제1도에 보인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롱 가이딩(strong guiding) 도파로 구조의 제1 다중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d), 제2 다중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d), 그리고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제1 단일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d)와 제2 단일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d)로 구성이 되어 있다.
입력 광신호는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지점에 위치한 입력단에 전달되며, 상기 입력 광신호는 제1 다중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동안 쌍간섭(paired interference)에 의해 270° 위상의 차이를 갖고 50 : 50 비율로 분배되어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지점에 위치 한 출력단에 나타난다.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제2 단일 모드 도파로는, 열광학 효과에 의해서 유효 굴절률이 변화되도록,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다.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 2단일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각각의 광신호는 변화된 유효 굴절률에 의해 원하는 위상의 변화(0° ∼180°)를 갖는다. 가변된 위상의 광신호는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의 입력단에 전달되며, 입력된 각각의 광신호는 제2 다중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동안 쌍간섭(paired interference)에 의해 270° 위상의 차이를 갖고 50:50 비율로 분배되어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지점에 위치한 출력단으로 진행된다. 이때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각각의 광신호는, 열광학 효과에 의해 가변된 위상(0° ∼180°) 및 다중 모드 간섭에 의한 270° 위상이 합성되어 상쇄되거나 증가되어, 원하는 광전력 분포를 만들수 있다.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PLC 도파로형 광감쇄기의 제2 실시예는 제2도에 보인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롱 가이딩(strong guinding) 도파로 구조의 제1 다중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d), 제2 다중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d), 그리고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제1 단일 모드 도파로(길이, 폭두께 d)와 제2 단일 모드 도파로(길이, 두께 d)로 구성이 되어 있다.
입력광신호는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지점에 위치한 입력단에 전달되며, 상기 입력 광신호는 제1 다중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동안 일반간섭(generalinterference)에 의해 0° 위상의 차이를 갖고 50:50 비율로 분배되어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지점에 위치한 출력단에 나타난다.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는, 열광학 효과에 의해서 유효 굴절률이 변화되도록,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다.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각각의 광신호는 변화된 유효 굴절률에 의해 원하는 위상의 변화(0° ∼180° )를 갖는다. 가변된 위상의 광신호는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의 입력단에 전달되며, 입력된 각각의 광신호는 제2 다중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동안 쌍간섭(paired interference)에 의해 270° 위상의 차이를 갖고 50:50 비율로 분배되어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지점에 위치한 출력단으로 진행된다. 이때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각각의 광신호는, 열광학효과에 의해 가변된 위상(0° ∼180° ) 및 다중 모드 간섭에 의한 270° 위상이 합성되어 상쇄되거나 증가되어, 원하는 광전력 분포를 만들 수 있다.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PLC 도파로형 광감쇄기의 제3 실시예는 제3도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광감쇄기를 두 개 이상 조합으로 직렬 연결하여 추가의 광감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롱 가이딩(strong guiding) 도파로 구조의 제1 다중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제2 다중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그리고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제1 단일 모드 도파로(길이두께)와 제2 단일 모드 도 파로(길이두께)로 구성된 제1 광감쇄기와, 제3 다중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제4 다중 모드 도파로(길이두께), 그리고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제3 단일 모드 도파로(길이두께)와 제4 단일 모드 도파로(길이두께)로 구성된 제2 광감쇄기가 직렬형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입력 광신호는 제1 광감쇄기의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 입력단에 전달되며, 상기 입력 광신호는 제1 다중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동안 쌍간섭 또는, 일반 간섭에 의해 0° 또는 270° 위상의 차이를 갖고 50:50 비율로 분배되어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 출력단에 나타난다.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는, 열광학 효과에 의해서 유효 굴절률이 변화되도록,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다.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각각의 광신호는 변화된 유효 굴절률에 의해 원하는 위상의 변화(0° ∼180° )를 갖는다. 가변된 위상의 광신호는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입력단에 전달되며, 입력된 각각의 광신호는 제2 다증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동안 다중 모드 간섭에 의해 0° 또는 270° 위상의 차이를 갖고 50:50비율로 분배되어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출력단으로 진행된다. 이때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각각의 광신호는, 열광학 효과에 의해 가변된 위상( 0° ∼180° ) 및 다중 모드 간섭에 의하여 변화된 위상이 합성되어 상쇄되거나 증가되어, 원하는 광전력 분포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추가의 광감쇄를 위하여, 제1 광감쇄기의 출력 광신호는 제2 광감쇄기의 제3 다중 모드 도파로의 입력단에 전달되며, 상기 입력 광신호는 제3 다중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동안 다중 모드 간섭에 의해 0° 또는 270° 위상의 차이를 갖고 50:50 비율로 분배되어 제3 다중 모드 도파로의 출력단에 나타난다. 제3 다중 모드 도파로 각각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3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4 단일 모드 도파로는, 열광학 효과에 의해서 유효 굴절률이 변화되도록, 온도 조절용 전극이 부착되어 있다. 제3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4 단일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각각의 광신호는 변화된 유효 굴절률에 의해 원하는 위상의 변화(0° ∼180° )를 갖는다. 가변된 위상의 광신호는 제4 다중 모드 도파로의 입력단에 전달되며, 입력된 각각의 광신호는 제4 다중 모드 도파로를 진행하는 동안 다중 모드 간섭에 의해 270° 위상의 차이를 갖고 50:50 비율로 분배되어 제4 다중 모드 도파로의 출력단으로 진행된다. 이때 제4 다중 모드 도파로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각각의 광신호는, 열광학 효과에 의해 가변된 위상(0° ∼180° ) 및 다중 모드 간섭에 의한 위상이 합성되어 상쇄되거나 증가되어, 원하는 광전력 분포를 만들 수 있다.
광감쇄기를 구성함에 있어, 다중 모드 도파로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단일 모드 도파로 및 굽은 도파로를 모두 배제할 수 있어 제작허용 오차를 넓힐 수 있고, 임의의 광전력 분포를 얻기 위한 결합기의 길이가 짧아지며, 온도 조절용 인가 전압을 낮춤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Claims (8)

  1.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롱 가이딩(strong guiding) 도파로 구조의 광감쇄기에 있어서,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 일측에 입력 광신호를 직접 혹은 전송로를 통하여 커플링하며,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 반대측에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를 직접 연결하고,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의 다른 측에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어,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및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에서의 위상 변화 및 제1 단일 모드 도파로와 제2 단일 모드 도파로에 부착된 전극에 의한 열광학 효과로 가변된 위상의 합성으로, 소정의 광전혁 분포가 제2 다중 모드 출력만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및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길이는, 적용되는 광파장 및 도파로의 재질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및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각각의 입력단 및 출력단은 폭 방향에 대해 3등분점 또는 2등분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에 부착된 전극에 의한 열광학 효과로 가변되는 위상이 0°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
  5.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스트롱 가이딩(strong suiding) 도파로 구조의 광감쇄기에 있어서,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 일측에 입력 광신호를 직접 혹은 전송로를 통하여 커플링하며, 제1 다중 모드 도파로의 반대측에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를 직접 연결하고,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의 다른 측에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어,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및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에서의 위상 변화 및 제1 단일 모드 도파로와 제2 단일 모드 도파로에 부착된 전극에 의한 열광학 효과로 가변된 위상의 합성으로, 소정의 광전력 분포가 제2 다중 모드 출력단에 전달되도록 하는 광감쇄기를 소정의 개수 직렬로 추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
  6. 제5항에 있어서, 개개의 광감쇄기의 제1 다중 모드 도파로 및 제2 다중 모드 도파로의 길이는, 적용되는 광파장 및 도파로의 재질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
  7. 제5항에 있어서, 개개의 광감쇄기의 제1 다증 모드 도파로 및 제2 다중 모드도파로의 각각의 입력단 및 출력단은 폭 방향에 대해 3등분점 또는 2등분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
  8. 제5항에 있어서, 개개의 광감쇄기의 제1 단일 모드 도파로 및 제2 단일 모드 도파로에 부착된 전극에 의한 열광학 효과로 가변되는 위상이 0° ∼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감쇄기.
KR10-2001-0055625A 2001-09-10 2001-09-10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 KR10042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625A KR100424606B1 (ko) 2001-09-10 2001-09-10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
US10/004,811 US6728463B2 (en) 2001-09-10 2001-12-07 Optical attenuator using multi-mode interfer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625A KR100424606B1 (ko) 2001-09-10 2001-09-10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192A true KR20010099192A (ko) 2001-11-09
KR100424606B1 KR100424606B1 (ko) 2004-03-27

Family

ID=19714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625A KR100424606B1 (ko) 2001-09-10 2001-09-10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28463B2 (ko)
KR (1) KR100424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1352B1 (en) 2019-09-11 2020-09-01 Sicoya Gmbh Optica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97B1 (ko) 2005-08-08 2007-05-28 주식회사 리트로닉스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광 파장 분배/결합기
KR100721800B1 (ko) 2005-08-08 2007-05-28 주식회사 리트로닉스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 분배기
US9411100B2 (en) * 2013-09-20 2016-08-09 Alcatel Lucent Photonic lantern spatial multiplexers with mode selectivity
CN109917565A (zh) * 2019-02-18 2019-06-21 上海交通大学 基于硅-相变材料混合集成的多级光衰减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4986B2 (ja) * 1996-09-13 2003-08-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合分波回路
JPH10160951A (ja) * 1996-12-03 1998-06-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合分波回路
JPH10228007A (ja) * 1997-02-13 1998-08-25 Nec Corp 光導波路型電気制御可変アッティネータ
KR100237379B1 (ko) 1997-08-30 2000-01-15 이계철 파장분할다중 통신용 파장가변 광 드롭/패스 필터 시스템 구조
JPH1184434A (ja) * 1997-09-02 1999-03-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制御回路および動作方法
JP3568814B2 (ja) * 1999-02-18 2004-09-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可変光減衰器
KR100332530B1 (ko) * 2000-03-24 2002-04-17 안병엽 도파로의 다중모드 간섭을 이용한 스위치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1352B1 (en) 2019-09-11 2020-09-01 Sicoya Gmbh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28463B2 (en) 2004-04-27
US20030053788A1 (en) 2003-03-20
KR100424606B1 (ko) 200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4118A (en) Wavelength-varying multi-wavelength optical filter laser using a single pump light source
Offrein et al. Adaptive gain equalizer in high-index-contrast SiON technology
KR100680682B1 (ko) 비선형 사그낙 증폭기에 의한 이득 평탄화
EP0760111B1 (en) Method of filtering optical signals
KR100941983B1 (ko) 소수 모드 광섬유 및 스위칭가능한 모드 변환기들을 갖는조절가능한 분산 보상기
JP2000010129A (ja) 光ゲート装置、該装置の製造方法及び該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
US6421167B1 (en) Multiple function bandwidth management systems
US6317233B1 (en) Optical power equalizer in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variable attenuator for use therein
US6892021B2 (en) Dynamic gain equalization arrangement for optical signals
KR100424606B1 (ko)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
EP1226675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optical multiplexing/demultiplexing
JPH08234149A (ja) 電子−光学材料を使用した光フィルタ
CN108627919B (zh) 一种偏振不敏感的硅基光开关
KR100721800B1 (ko)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 분배기
KR20010110691A (ko) 동시 전송되며 다른 파장들을 갖는 광신호들의 분산을보상하기 위하여 광 결정체를 이용하는 방법
KR100301840B1 (ko) 광통신용가변광감쇠기
JP2020140001A (ja) モード分岐デバイス
KR100301839B1 (ko) 파장분할다중화광통신시스템의광출력등화장치
KR20000038939A (ko) 광대역 광소자용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소자
KR20070019302A (ko) 다중 모드 간섭을 이용한 가변 광 분배기
WO2007021041A1 (en) Variable optical distributors using multi-mode interference
WO2003038490A1 (en) Optical all-pass filter with gain compensation
US20030123830A1 (en) Optical amplifier with gain flattening filter
KR100367085B1 (ko) 광선로 손실변화 보상장치
KR100298418B1 (ko) 열광학 소자를 이용한 가변광감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