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099A -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 - Google Patents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099A
KR20010099099A KR1020010052637A KR20010052637A KR20010099099A KR 20010099099 A KR20010099099 A KR 20010099099A KR 1020010052637 A KR1020010052637 A KR 1020010052637A KR 20010052637 A KR20010052637 A KR 20010052637A KR 20010099099 A KR20010099099 A KR 20010099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retractor
shock absorber
lumbar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3547B1 (ko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김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10-2001-005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5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0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 A63B22/022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with variable resili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추부를 최소 20㎏ 이상의 힘으로 수직 반복 견인하면서 지속적으로 유산소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만든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두 개의 지면 받침대(10)와 두개의 수직기둥(20), 그 위의 상판(30), 상판에 부착된 연결봉(40)과 연결고리(50), 그리고 견인기(70), 견인기에 장치된 완충장치(60), 허리를 감싸는 견인조끼(100)와 견인기에 걸어서 연결하는 어깨밴드(110), 보행운동을 하는 트레드밀(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견인기(70)에 장치된 완충장치에는 스프링을 포함한 완충장치(60)가 있어 트레드밀(130) 위에서 직립보행 운동 시에 체중의 절반인 하반신 체중이 신체 중심점의 하방 왕복운동으로 요추부의 척추간을 넓혀주는 임계치인 20㎏ 이상의 견인력으로 척추간에 작용하도록 하면서도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에는 통증이나 상해를 방지하여, 견인상태에서 장시간의 유산소 보행운동이 가능하게 만들어 빈발하는 요통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 {Lumbar vertical repeating traction and aerobic walking device}
본 발명은 추간판탈출증(디스크)과 척추간 협착, 허리 근육의 약화, 근육과 인대의 경직으로 발생하는 혈액순환 장애 등의 원인으로 빈발하는 요통에서 견인과 유산소 운동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게 하여서 보다 쉽게 요통치료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요통은 운동부족으로 허리 기능이 약화되거나 생활 속의 과다한 부하로 인해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경직과 그에 따른 신경의 압박 및 원활하지 못한 혈액순환, 요추부를 지지하고 있는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 약화로 척추의 지지력이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협착과 그에 따른 신경의 압박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수술을 하게 되지만 대부분의 요통에서는 안정과 요추부의 단순 견인, 근육을 이완시키는 물리치료, 스트레칭 운동으로 구성된 운동치료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상의 방법은 척추간을 넓혀주는 적절한 강도의 견인력, 유산소 운동 및 허리근력 강화의 부재 등으로 빈발하는 요통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척추간의 협착을 해소하는 견인치료와 관련된 종래의 요통치료 방법에는 누워서 견인하는 수평식 견인과 수직식 견인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견인력이 중력에 반대로 작용하는 수직식이 수평식에 비하여 견인력이 강하여 효과가 좋다고는 하나 철봉과 같은 고정대에 스스로 매달리거나 매달아 놓는 단순 견인을 실시하여, 두 방법 모두 척추간을 넓혀주어 견인 효과를 낼 수 있는 임계치인 20㎏ 이상의 힘으로 견인이 될 때는 지속적인 견인 작용으로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에 과신장이 유발되어 견인의 긍정적 효과와는 별개로 요추부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에 통증과 상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요통환자를 위한 유산소 운동과 관련된 종래의 운동치료 기구는 누워서 다리를 조금씩 움직여 주는 것과 기계장치에 의한 수동적 자극만을 주로 하고 있어서 유산소 운동기구라고 하나 근본적으로 유산소 운동이 전혀 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추간판탈출증(디스크) 및 기타 여러 가지 척추 질환에 의한 요통 환자 치료에서 요추부를 견인함으로써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에 압박을 해소하여 요통을 일으키는 경직된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키고 척추의 정렬을 바르게 잡아주며, 좁아진 척추간을 넓히는 작용을 유도하고자 노력하였지만, 종래의 견인 방법은 견인력이 미약하여 척추간의 협착을 해소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거나 20kg 이상의 강한 견인을 하였을 때는 2-3분의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의 견인을 하였을 경우에서도 이미 약화된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에 과도한 과신장으로 통증을 유발하고 상해의 부담을 안겨주게 된다.
유산소 운동은 요추부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요추부에서 필요한 영양소와 산소의 공급을 원활히 하고 피로물질을 빠르게 제거하여 요통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서 권장되고는 있지만 종래의 요통치료 방법에서는 대부분 척추 견인과 간단한 체조, 철봉에 매달리는 등의 수동적인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어서 이러한 방법으로 유산소 운동의 좋은 효과를 얻기에는 많이 부족하며, 요통환자가 20-30분 이상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을 무리 없이 수행할 수 있는완전한 운동방법은 등산 같은 걷기 종류의 보행운동, 수영운동이 있으나 이 같은 운동을 요통환자가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조장치가 없어서 실제 요통환자에게는 유용하게 활용되지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의 척추 견인기와 유산소 운동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인 척추간을 넓혀주는 20㎏ 이상의 견인력으로 견인을 할 때 지속적인 견인으로 인한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에 과신장이 유발되어 통증과 상해가 발생하는 것과 수동적인 유산소 운동기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각각 극복하면서 척추간을 넓혀주는 충분한 견인력을 작용하면서도 견인과 휴식을 반복적으로 작용하도록 만든 수직 반복 견인과 유산소 보행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요추부 이상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수직 견인하여 요추부에 가해진 체중부담을 감소시키고, 단순 견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요추부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에 과신장으로 인한 통증과 상해를 방지하도록 하면서도 일반 성인이면 누구나 요추부 척추간을 넓혀줄 수 있는 20㎏ 이상의 힘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자신의 하반신 체중을 사용하여 견인함으로서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팽창된 디스크 내에 마이너스 압력을 만들어 팽창된 디스크를 다시 정상으로 복원시키며, 요추부가 상반신의 압력을 받지 않으면서 30분 이상 지속적인 보행운동을 실시하여 요추부에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충분한 유산소 운동이 되도록 하는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의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견인기 완충장치의 구성 부분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견인기 완충장치의 구성 부분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지면 받침대 20...수직기둥
30...상판 40...연결봉
50...연결고리 60...완충장치
70...견인기 80...걸림턱
90...밴드 지지대 100...견인조끼
110...어깨밴드 120...경사지지대
130...트레드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척추 수직 반복견인 유산소 운동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의 구성 사시도, 도 2는 전면도, 도 3은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견인기 완충장치 의 구성 부분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견인기 완충장치의 구성 부분 평면로서, 도 1, 2,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지면 받침대(10)의 가운데에 지면과 수직이 되게 두개의 수직기둥(20)을 세우고 그 위에 지면 받침대(10)와 직각으로 교차하게 횡으로 상판(30)을 고정하고, 지면 받침대(10)와 두개 수직기둥의 연결부와 두개 수직기둥과 상판의 연결부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경사지지대(120)를 두개 수직기둥의 양측면에 지면 받침대 및 상판과 연결하여 설치하고 구조물 사이에 트레드밀(130)을 설치한다.
또, 두개의 수직기둥에 의해 세 구획으로 나누어진 상판(30)의 각 구획의 가운데에 부착된 연결봉(40)에 연결고리(50)를 설치하고, 이 연결고리(50)에 완충장치(60)의 연결고리(60a)를 걸어서 연결한다. 견인기(70)에는 견인조끼(100)의 어깨밴드(110)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밴드 지지대(90)와 걸림턱(80)을 설치되어 그 사이에 견인조끼의 어깨밴드(110)를 위치시키고 상반신이 견인된 상태에서 트레드 밀(130) 위에서 유산소 보행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견인기(70)에 부착된 완충장치(60)는 도 4a와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완충장치 연결고리(60a), 중심축(60b), 덮게(60c), 탄성용수철(60d), 용수철 받침대(60e), 탄성조절나사(60f), 덮게 고정나사(60h), 소음방지캡(60g)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보행운동으로 하반신 체중이 작용할 때 신체 중심점 하방 왕복운동의 충격을 방지하고, 수직 반복 견인으로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 의 연부 조직에서 발생하는 통증과 상해를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견인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그 작용을 자세히 설명하면, 완충장치의 연결고리(60a)에 힘이 작용하면 완충장치 중심축(60b)을 상승시키고 이 때 완충장치 용수철(60d)이 압축이 되면서 상승작용을 억제하는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데, 완충장치 덮게(60c)는 덮게 고정나사(60h)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서 체중과 반대 방향의 힘을 모두 완충장치(60)가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완충장치의 중심축(60b)이 완충장치의 용수철(60d)내에서 압축강도 범위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한다.
요통환자가 요추부를 중심으로 상반신을 감싸는 견인조끼(100)를 착용하고 견인기(70)에 수직 견인한 상태에서 트레드밀(130) 위에 서서 직립 보행을 하게 되면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에는 체중부하가 없어지고, 견인조끼(100) 이하의 하반신 체중은 중력방향으로 작용하여 다리에 작용하는 체중이 절반으로 줄어 요통으로 다리 기능이 약화된 환자도 자신의 체중 절반인 하반신 체중만 지지하는 상태로 보행을 하기 때문에 장시간의 보행운동에서도 체중 부하로 발생하는 어려움이 없어지고, 상반신 체중만큼의 견인력이 견인기(70)에 걸려있으므로 요추부에는 디스크를 압박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압력이 없어진다.
그러므로 요통환자도 속도가 조절되는 트레드밀(130) 위에서 견인조끼(100)를 착용하고 상반신이 견인된 상태로 유산소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보행동작의 특성으로 나타나는 신체 중심점의 하방 왕복운동이 보행 시 자연스럽게 하반신 체중의 힘으로 요추부를 반복 견인하게 되면서 척추간을 넓혀줄 수 있는 임계치 20㎏ 이상의 견인력이 작용하고 이 때 척추신경을 눌러 요통을 발생시켰던 디스크 내부에 마이너스 압력이 발생하면서 팽창된 디스크가 다시 정상으로 복원되어 요통에서 벗어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동일한 힘으로 지속하는 단순 견인에서는 척추간을 넓혀줄 수 있는 임계치 20㎏ 이상의 견인을 2-3분만 지속하여도 요추부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을 과신장시켜서 통증과 상해를 일으키게 되는 것과 달리, 1분에 120보 속도로 30분을 걷게 되어도 척추에는 3600번의 수직 반복견인과 휴식이 작용하게 되어 임계치 20㎏ 이상의 강한 견인이 계속 작용하면서도 완충장치에 의해서 충격이 완화되고 짧은 순간에만 견인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근육, 인대의 연부 조직에는 전혀 부담을 주지 않고 요추부 척추간을 넓혀주며 강력한 견인력으로 척추의 정렬을 바르게 하고, 디스크 내에 마이너스 압력을 만들어 팽창된 디스크가 정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체중이 45kg 이상인 요통환자가 견인조끼(100)를 착용하고 견인조끼(100)의 어깨밴드(110) 길이를 조절하여 신장의 차이에서 생기는 높이를 조정해서 자신의 상반신 체중만큼 견인기(70)에 힘이 작용하도록 하고서 트레드밀(130) 위에 선 상태에서 직립보행을 하기만 하면, 보행 시에 신체 중심점의 반복적인 하방 왕복운동에 의해서 20㎏ 이상의 견인력이 작용하지만 요추부의 근육, 인대의 연부 조직이 과신장되는 통증이나 상해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척추간에는 20㎏ 이상의견인력을 제공하여 척추의 정렬을 바르게 하고, 팽창된 디스크 내에는 마이너스 압력을 만들어서 디스크가 정상으로 복원되도록 하면서 지속적인 보행운동으로 요추부의 근육, 인대의 연부 조직을 이완시키고, 유산소 운동으로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하는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서 요통을 빠르게 완화하고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상인도 이러한 보행운동을 통해서 운동부족으로 약화된 허리 기능을 쉽게 회복하여 요통의 원인인 척추의 협착, 디스크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에 의하면, 보행 시 자신의 하신반 체중만큼의 견인력이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신체 중심점의 하방 왕복작용에 의해서 휴식과 견인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견인기에 부착된 완충장치에 의해서 강한 힘이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에 전달될 때 충격을 완화하여서 척추간에는 강한 견인력으로 작용하면서도 요추부 근육, 인대의 과신장으로 인한 통증이나 근육 경직이 유발되지 않도록 해 준다.
요추부에 상반신의 체중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수직 반복견인과 유산소 보행운동을 지속하기 때문에 요통으로 정상보행이 불가능하였던 종래의 디스크, 척추협착증 등의 요통환자도 장시간 보행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유산소 운동의 효과는 요추부 근육, 인대의 연부 조직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혈행을 개선시켜서 요추부의 영양소 및 산소 공급과 노폐물의 제거가 원활해지고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이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빈발하는 디스크, 척추측만증 같은 환자가 위험이 따르고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수술 대신에 안전하고 보편적인 보행운동을 통해서 척추의 정렬을 바르게 잡고, 디스크가 팽창되면서 신경을 압박하였던 것을 수직 반복 견인으로 척추간을 넓혀주면서 마이너스 압력을 만들어 디스크가 정상으로 복원하여 요통을 완화시키고 치료할 수 있으며, 비만이나 노화에 의한 다리 기능의 약화로 보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에도 쉽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어 유산소 운동의 우수한 효과를 쉽게 얻도록 한다.

Claims (2)

  1. 두 개의 지면 받침대(10)와 두개의 수직기둥(20), 그 위의 상판(30), 상판에 부착된 연결봉(40)과 연결고리(50), 견인기 완충장치(60) 및 견인기(70)와, 상기 견인기(70)에 어깨밴드(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밴드 지지대(90)와 걸림턱(80)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어깨밴드(110)를 걸어서 견인상태에서 트레드밀(130) 위에서 직립 보행운동을 실시하는데 보행 시의 하반신체중이 신체 중심점의 하방 왕복운동에 의한 20㎏ 이상의 강한 견인력이 요추부에 작용할 때, 상기 견인기(70)에 부착된 완충장치(60)가 하반신 체중의 견인력이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척추간 반복견인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견인기(70)를 상판에 부착된 연결봉(40)과 연결고리(50)에 의해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완충장치(60) 고장 시 견인기(70)만을 쉽게 분리하여 수리 혹은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
KR10-2001-0052637A 2001-08-29 2001-08-29 척추 수직 반복견인 유산소 운동기 KR100453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637A KR100453547B1 (ko) 2001-08-29 2001-08-29 척추 수직 반복견인 유산소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637A KR100453547B1 (ko) 2001-08-29 2001-08-29 척추 수직 반복견인 유산소 운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717U Division KR200271305Y1 (ko) 2001-08-31 2001-08-31 척추 수직 반복견인 유산소 운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099A true KR20010099099A (ko) 2001-11-09
KR100453547B1 KR100453547B1 (ko) 2004-10-20

Family

ID=1971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637A KR100453547B1 (ko) 2001-08-29 2001-08-29 척추 수직 반복견인 유산소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5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259A (ko) * 2003-03-19 2004-09-24 김광수 하중감량 런닝머신
WO2007058512A1 (en) * 2005-11-21 2007-05-24 Klmed Co., Ltd. Gait trainer providing exercise prescription
US10799409B2 (en) 2016-12-30 2020-10-13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ubject support apparatuses
KR20220078015A (ko) 2020-12-02 2022-06-10 주식회사 휴스파인 사용자 신체 맞춤형 요추 견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407B1 (ko) 2008-02-15 2010-05-28 (주)키네스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
KR101059834B1 (ko) 2009-07-24 2011-08-29 조영휘 다기능 운동기구
KR20220012504A (ko) 2020-07-23 2022-02-04 전태하 요추 견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7239B (sv) * 1979-01-26 1983-03-21 Rolf Carlmark Hengstellning for avlastning med oppningseffekt a ryggdiskar
IT1230136B (it) * 1989-04-28 1991-10-14 Ausimont Srl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perfluoroalchenil solfonil fluoruri.
JPH0356457U (ko) * 1989-10-05 1991-05-30
JPH0615658U (ja) * 1992-08-04 1994-03-01 オージー技研株式会社 免荷歩行訓練装置
JP3292648B2 (ja) * 1995-12-07 2002-06-17 株式会社松本設計 歩行訓練器具
KR200223333Y1 (ko) * 1999-02-04 2001-05-15 박상태 디스크 환자용 물리치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259A (ko) * 2003-03-19 2004-09-24 김광수 하중감량 런닝머신
WO2007058512A1 (en) * 2005-11-21 2007-05-24 Klmed Co., Ltd. Gait trainer providing exercise prescription
KR100750597B1 (ko) * 2005-11-21 2007-08-20 박승훈 운동 처방 기능을 포함하는 걷기 운동 기구
US10799409B2 (en) 2016-12-30 2020-10-13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ubject support apparatuses
KR20220078015A (ko) 2020-12-02 2022-06-10 주식회사 휴스파인 사용자 신체 맞춤형 요추 견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3547B1 (ko)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2518A (en) Therapeutic spinal traction apparatus and multipurpose exercise systems and methods
JP3180637U (ja) ストレッチャー
RU2768670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US10912702B2 (en) Method of passive mechanotherapy and exercise machine for implementation thereof
CA2393152A1 (en) Device for providing accupressure back massage
CN106580630A (zh) 一种坐姿正脊按摩椅
Liebenson Spinal stabilization training: the transverse abdominus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0453547B1 (ko) 척추 수직 반복견인 유산소 운동기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US20060073956A1 (en) Motorized inversion gravity machine for the body
KR200271305Y1 (ko) 척추 수직 반복견인 유산소 운동기
KR100960407B1 (ko) 척추 수직 반복 견인 유산소 운동기
US5785667A (en) Gymnastic implement
US2006005221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habiliting and retraining of the neck musclature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1282206B1 (ko) 척추교정기
KR100978991B1 (ko) 자이로모션을 응용한 3차원 척추 근골격 운동기
KR200329856Y1 (ko) 중력을 이용한 고정식 척추 치료장치
RU2701781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риобретенных патолог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вследствие смещения центра тяжести человека
RU2252000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0633735B1 (ko) 척추 치료 장치
Haynes Rolling exercises designed to train the deep spinal muscles
US20240065923A1 (en) Massa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