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062A -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062A
KR20010098062A KR1020000022689A KR20000022689A KR20010098062A KR 20010098062 A KR20010098062 A KR 20010098062A KR 1020000022689 A KR1020000022689 A KR 1020000022689A KR 20000022689 A KR20000022689 A KR 20000022689A KR 20010098062 A KR20010098062 A KR 20010098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ood
valve plate
discharge port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3286B1 (ko
Inventor
박원규
Original Assignee
박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규 filed Critical 박원규
Priority to KR2020000012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794Y1/ko
Priority to KR1020000022689A priority patent/KR1003532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9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정된 시간에 맞춰 일정량의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에 의하면, 저장통(20)의 투출구(21)를 개폐하는 밸브수단(30)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작동함으로써, 소정량의 먹이가 먹이통(11)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매번 일정한 양의 먹이(A)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외출을 하거나 휴가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때에도 애완동물을 동물병원 등에 위탁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A feed automatic feeder for pet}
본 발명은 먹이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된 시간에 맞춰 애완동물에게 소정량의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가정에서 개나 고양이 등 다양한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주인은 경험을 통해 먹이 양이나 주는 시간을 정하고 있어서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출을 하거나 휴가 등으로 인해 장기간 집을 비울 경우에는 먹이를 줄 수 없기 때문에, 애완동물을 동물병원 등에 위탁하게 된다.
그러나, 애완동물 위탁 시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며, 각 애완동물의 식성이나 습관이 달라 적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일정양의 먹이를 먹이통에 투출시켜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수단과 구동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먹이 자동 공급장치의 전기적인 구성만을 개략적으로 보인 제어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투출구가 닫힌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와 도 7은 도 4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개도조절레버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6과 도 8은 먹이 투출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하우징 20..저장통
21..투출구 30..밸브수단
31..밸브플레이트 40..구동수단
41..랙 42..피니언
43..모터 50.안내관
60..제어수단 70..개도조절레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먹이통에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먹이가 저장되며 하단에 투출구가 마련된 저장통과, 저장통내의 먹이를 먹이통으로 안내하도록 일단이 투출구의 개방부와 연통되며 타단이 먹이통에 연결된 안내관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투출구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를 갖춘 밸브수단과, 밸브플레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밸브플레이트는 투출구의 개방부 직하부에 배치되되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투출구의 개방부와 연통되도록 후단부에 연통공이 마련되며, 밸브수단은 밸브플레이트 양측이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쌍의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구동수단은 밸브플레이트의 선단에 마련된 랙과, 밸브플레이트를 이동시키도록 랙과 이물림되어 작동하는 피니언이 회전축에 마련되며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구동수단의 구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을 갖춘 콘트롤패널과, 조작버튼을 통해 설정된 시간에 이르면 투출구의 개방부와 밸브플레이트의 연통공이 일치되도록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며 소정시간 경과 후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밸브수단의 상부에는 투출구의 개방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개도조절레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개도조절레버는 중심부위가 축결합되어 소정각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도조절레버의 일단에 투출구의 측면에 일부 절결되어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가로홈을 통해 들어오고 나가는 판상의 폐쇄부가 마련되고, 개도조절레버의 타단에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우징 외부로 연장된 파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설정된 시간에 맞춰 저장통에 저장된 먹이를 먹이통으로 소정량 낙하 투출시켜, 애완동물에게 자동적으로 먹이를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는 하단 일측에 먹이통(11)이 마련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수용 설치되며 하단에 투출구(21)가 형성된 저장통(20)과, 투출구(21)를 개폐하는 밸브수단(30)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과, 투출구(21)를 통해 떨어지는 먹이(A)를 먹이통(11)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50)과, 구동수단(4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6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돔(DOME)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저장통(21)과 밸브수단(30) 및 구동수단(40)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판(1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 하단에는 설치 바닥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외향플랜지부(12)가 일체로 구성되며, 여기에 먹이통(11)이 마련되어 안내관(50)을 통해 떨어지는 먹이(A)가 모이게 된다. 미설명부호 "14"는 하우징(10) 최상부에 마련되어저장통(21) 상부를 덮는 덮개로써, 덮개(14)를 열고 저장통(21)에 먹이(A)를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15"는 구동수단(40)과 제어수단(6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코드이다.
저장통(21)은 먹이(A)가 점차 빠져나감에 따라 자중에 의해 저부에 모이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게 이루어진 역원뿔형상으로 마련되며, 이의 최하단에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통형상의 투출구(21)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수단(30)은 투출구(21) 최하부, 즉 투출구(21)의 개방부(21a)에 밀착되면서 가로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하며 후단부에 연통공(32)이 천공된 밸브플레이트(31)와, 밸브플레이트(31)가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33)를 구비한다. 밸브플레이트(31)는 직사각판상으로 마련되며, 후단의 연통공(32)은 투출구(21)의 개방부(31a)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직경(D1)을 갖도록 천공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33)는 설치판(13) 상부에 설치되는데, 여기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34)(35)이 대칭되게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 투출구(21)의 개방부(21a)가 동일높이로 위치된다. 한쌍의 가이드레일(34)(35)에는 밸브플레이트(31)의 일측면(31a)과 타측면(31b)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밸브플레이트(31)는 가이드레일(34)(35)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밸브수단(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은 밸브플레이트(31)의 선단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 마련된 랙(41)과, 설치판(13) 상부에 설치되며 랙(41)과 이물림결합되면서 회전하도록 회전축(44) 선단에 피니언(42)이 장착된모터(43)를 구비한다. 모터(43)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되는데, 모터(43)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 시 이의 회전력이 랙(41)과 피니언(42)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밸브플레이트(31)가 움직이게 된다. 이 모터(43)의 구동은 제어수단(60)에 설정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데, 밸브플레이트(31)가 전진하여 연통공(32)과 투출구(21)의 개방부(21a)가 일치될 때까지 모터(43)가 구동되도록 설정된다.
한편, 연통공(32)과 투출구(21)의 일치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은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며, 랙(41)과 피니언(42)의 기어 비와 모터(43) 회전수 제어를 통해 투출구(21)와 연통공(32)의 일치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모터(43) 회전수를 1회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밸브수단(30)의 상부측에는 밸브수단(30)의 작동 시 빠져나가는 먹이량이 조절되도록 투출구(21) 개구 단면적을 가변시키는 개도조절레버(70)가 설치된다. 개도조절레버(70)는 가이드부재(33) 상부에 소정각도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중심부위가 축(71)결합되며, 일단에 투출구(21) 측면을 관통하여 일부가 수용되는 판상의 폐쇄부(72)가 마련된다. 그리고 개도조절레버(70)의 타단은 하우징(10) 외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파지부(7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개도조절레버(70)의 설치를 위해 투출구(21) 측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일부가 절결되어 폐쇄부(72)가 자유롭게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 가로홈(22)이 개방되게 마련되며, 하우징(10)에는 개도조절레버(70)의 파지부(73)가 외부로 연장되도록 안내홈(16)이 마련된다. 이 때, 안내홈(16) 역시 가로방향으로 마련된다. 따라서파지부(73)를 잡고 개도조절레버(70)를 좌측방향(화살표 L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로홈(22)을 통해 투출구(21)내로 수용되는 폐쇄부(72)의 면적이 최대로 되며, 우측방향(화살표 R방향)으로 최대 회전시키면 투출구(21)에서 폐쇄부(72)가 벗어나 투출구(21) 개구면적이 최대로 된다.
그리고 안내관(50)은 일단(51)이 투출구(21)의 개방부(21a)와 연통되며, 타단(52)이 먹이통(11) 측면에 연통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투출구(21)를 통해 떨어지는 먹이를 먹이통(11)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 때, 안내관(50) 일단은 직경이 확장된 확관부(51)로 이루어져, 투출구(21)의 개방부(21a)와 연통공(32)을 통해 떨어지는 먹이(A)가 전부 안내관(50)으로 들어오게 된다.
또한,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수단(60)은 하우징(10)에 설치되며, 먹이 공급장치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에 맞춰 소정시간 모터(43)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수단(60)은 마이콤(62)이 내장되며 다수의 조작버튼(61)이 마련된 콘트롤패널(63)과, 콘트롤패널(63)의 상부에 마련되어 조작버튼(61)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64)를 구비한다. 그리고 마이콤(62)의 입력측에는 조작버튼(6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출력측에는 디스플레이부(64)와 모터(4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조작버튼(61)을 통해 인위적으로 설정된 먹이 공급시간이 디스플레이부(64)에 표시되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모터(43)가 구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마이콤(62)에서는 투출구(21)의 개방부(21a)와 연통공(32)이 일치되는 방향으로 모터(43)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며, 투출구(21)의 개방부(21a)와 연통공(32)이 일치되면 모터(43) 구동을 소정시간 정지시킨 후 다시 투출구(21)를 폐쇄하도록 모터(43)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러한 모터(43) 제어는 마이콤(62)에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43)가 정방향으로 구동한 후 정지하는 소정시간은 대략 5초 정도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5초 동안 먹이(A)가 투출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것은 작동설명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먹이 자동 공급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저장통(20)에 다량의 먹이(A)가 투입되어 있고 작동시간이 오전 7시와 오후 5시로 설정되어 있으며, 개도조절레버(70)를 좌측방향으로 조작한 경우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때에는 밸브플레이트(31)에 의해 투출구(21)의 개방부(21a)가 폐쇄되어 있으며, 아울러 개도조절레버(70)의 폐쇄부(72)가 가로홈(22)내로 최대 삽입되기 때문에, 투출구(21)의 개구면적이 줄어든다.
이와 같이 설정된 상태에서 오전 7시에 이르게 되면, 제어수단(60)의 마이콤(62)에서는 모터(43)가 정방향으로 1회전되도록 전류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랙(41)과 이물림된 피니언(42)이 회전하여 밸브플레이트(31)가 가이드레일(34)(35)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것에 의해 투출구(21)의 개방부(21a)와 밸브플레이트(31)의 연통공(32)이 일치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출구(21)와 연통공(32)이 일치되면 저장통(20)에 저장된 먹이(A)는 안내관(50)을통해 먹이통(11)으로 적정량 투출된다. 이러한 먹이 투출시간은 약 5초(투출구와 연통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모터(43) 구동이 정지되는 시간) 동안 수행된다.
계속하여, 모터(43) 구동이 정지된 후 5초가 지나면 제어수단(60)의 마이콤(62)에서는 모터(43)가 역방향으로 1회전되도록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밸브플레이트(31)가 가이드레일(34)(35)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가며,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출구(21)의 개방부(21a)는 완전하게 폐쇄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인 오전 7시에 구동수단(40)이 1회 동작되어 적정량의 먹이(A)가 먹이통(11)으로 자동 투출됨으로써, 이를 애완동물이 먹을 수 있다. 그리고 오후 5시에 이르게 되면, 이와 같은 동작이 또다시 수행되어 동일한 양의 먹이(A)가 먹이통(11)으로 공급된다.
다음에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개도조절레버(70)를 우측방향(화살표 R방향)으로 조작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때에는 개도조절레버(70)의 폐쇄부(72)가 가로홈(22)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투출구(21)의 개방면적이 최대인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43)가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5초동안 투출구(21)의 개방부(21a)와 밸브플레이트(31)의 연통공(32)이 일치되면, 이 때에는 개도조절레버(70)를 통해 투출구(21)의 개도를 일부 폐쇄한 경우보다 많은 양의 먹이(A)가 먹이통(11)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5초가 경과한 후에는 모터(43)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투출구(21)의 개방부(21a)가 닫혀 먹이 공급이 중지된다.
따라서, 먹이(A) 섭취량이 많지 않은 작은 애완동물인 경우에는 전자에 기술한 바와 같이, 개도조절레버(70)를 조작하여 투출구(21) 개도를 일부 폐쇄하며, 먹이 섭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큰 애완동물인 경우에는 후자에 기술한 바와 같이 개도조절레버(70)를 조작하여 투출구(21) 개도면적을 최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에 의하면, 저장통의 투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작동함으로써, 소정량의 먹이가 먹이통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매번 일정한 양의 먹이를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외출을 하거나 휴가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때에도 애완동물을 동물병원 등에 위탁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먹이통(11)에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0)내에 설치되어 먹이(A)가 저장되며 하단에 투출구(21)가 마련된 저장통(20)과, 상기 저장통(20)내의 먹이(A)를 상기 먹이통(11)으로 안내하도록 일단이 상기 투출구(21)의 개방부(21a)와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먹이통(11)에 연결된 안내관(50)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투출구(21)의 개방부(21a)를 개폐하는 밸브플레이트(31)를 갖춘 밸브수단(30)과, 상기 밸브플레이트(3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과, 상기 구동수단(4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31)는 상기 투출구(21)의 개방부(21a) 직하부에 배치되되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투출구(21)의 개방부(21a)와 연통되도록 후단부에 연통공(32)이 마련되며,
    상기 밸브수단(30)은 상기 밸브플레이트(31) 양측(31a)(31b)이 미끄러짐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쌍의 가이드레일(34)(35)이 마련된 가이드부재(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선단에 마련된 랙(41)과, 상기 밸브플레이트(31)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랙(41)과 이물림되어 작동하는 피니언(42)이 회전축(44)에 마련되며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0)은 사용자가 상기 구동수단(40)의 구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61)을 갖춘 콘트롤패널(62)과, 상기 조작버튼(61)을 통해 설정된 시간에 이르면 상기 투출구(21)의 개방부(21a)와 상기 밸브플레이트(31)의 연통공(32)이 일치되도록 상기 모터(43)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며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모터(43)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마이콤(6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단(30)의 상부에는 투출구(21)의 개방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개도조절레버(7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도조절레버(70)는 중심부위가 축(71)결합되어 소정각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도조절레버(70)의 일단에는 상기 투출구(21)의 측면에 일부 절결되어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가로홈(22)을 통해 들어오고 나가는 판상의 폐쇄부(72)가 마련되고,
    상기 개도조절레버(70)의 타단에는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연장된 파지부(7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KR1020000022689A 2000-04-28 2000-04-28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KR100353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130U KR200198794Y1 (ko) 2000-04-28 2000-04-28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KR1020000022689A KR100353286B1 (ko) 2000-04-28 2000-04-28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689A KR100353286B1 (ko) 2000-04-28 2000-04-28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130U Division KR200198794Y1 (ko) 2000-04-28 2000-04-28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062A true KR20010098062A (ko) 2001-11-08
KR100353286B1 KR100353286B1 (ko) 2002-09-18

Family

ID=196674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130U KR200198794Y1 (ko) 2000-04-28 2000-04-28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KR1020000022689A KR100353286B1 (ko) 2000-04-28 2000-04-28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130U KR200198794Y1 (ko) 2000-04-28 2000-04-28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879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07A (ko) * 2000-09-07 2001-01-05 서기열 애완동물용먹이통 내장 먹이자동배출장치
CN104542321A (zh) * 2013-10-11 2015-04-29 旺艾科技股份有限公司 分料机构及其组成的投料装置与混料装置
CN111466304A (zh) * 2020-04-28 2020-07-31 王生贵 一种畜牧用具有限量喂料功能的饲养装置
CN112293280A (zh) * 2020-10-30 2021-02-02 张文学 一种宠物智能喂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671B1 (ko) 2013-12-24 2016-01-12 주식회사 볼레디 반려동물을 자동으로 운동시키고 먹이를 제공할 수 있는 팻 케어 시스템
KR101584670B1 (ko) 2013-12-24 2016-01-12 주식회사 볼레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펫 케어 시스템
KR101829536B1 (ko) 2016-06-17 2018-02-19 이창현 사료저장통에 설치된 사료 공급장치
KR102482183B1 (ko) * 2020-07-16 2022-12-28 주식회사 반려동물 애완동물 훈련용 클리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567Y1 (ko) * 1999-10-04 2000-03-15 최철수 사료 자동 급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07A (ko) * 2000-09-07 2001-01-05 서기열 애완동물용먹이통 내장 먹이자동배출장치
CN104542321A (zh) * 2013-10-11 2015-04-29 旺艾科技股份有限公司 分料机构及其组成的投料装置与混料装置
CN111466304A (zh) * 2020-04-28 2020-07-31 王生贵 一种畜牧用具有限量喂料功能的饲养装置
CN112293280A (zh) * 2020-10-30 2021-02-02 张文学 一种宠物智能喂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794Y1 (ko) 2000-10-02
KR100353286B1 (ko)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4524B1 (ko) 반려동물의 행동에 기초하여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펫 케어 시스템
US6694917B1 (en) Feeding apparatus
US8701595B2 (en) Pet food dispenser
KR101404523B1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US4422409A (en) Automatic animal feeding apparatus
KR200198794Y1 (ko)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US6631695B2 (en) Fodder mixing and feeding the fodder,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odder using the same
CN211091241U (zh) 动物用自动喂食装置
US20060207511A1 (en) Feeder and a feeding method protecting feedstuff from moisture
JP2003516722A (ja) 飼料自動供給装置
KR101612776B1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팻 케어 시스템
CN209732259U (zh) 一种智能宠物喂食器
KR101584671B1 (ko) 반려동물을 자동으로 운동시키고 먹이를 제공할 수 있는 팻 케어 시스템
KR200188527Y1 (ko) 자동제어에 의한 사료 혼합공급장치
CN113875623A (zh) 一种宠物投食装置
KR200173567Y1 (ko) 사료 자동 급이기
KR200226954Y1 (ko)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 공급장치
CN214071194U (zh) 宠物定点排便训练装置
KR101584670B1 (ko)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펫 케어 시스템
CA2431277C (en) Feeding apparatus
KR200440806Y1 (ko) 사료 공급장치
CN201199843Y (zh) 宠物自动喂食机
CN2796367Y (zh) 一种自动宠物喂食器
CN216452575U (zh) 一种宠物投食装置
CN218681066U (zh) 一种智能宠物喂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