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683A - 문자 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자 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683A
KR20010096683A KR1020010043209A KR20010043209A KR20010096683A KR 20010096683 A KR20010096683 A KR 20010096683A KR 1020010043209 A KR1020010043209 A KR 1020010043209A KR 20010043209 A KR20010043209 A KR 20010043209A KR 20010096683 A KR20010096683 A KR 20010096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text
image template
text me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1601B1 (ko
Inventor
주선희
임재용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선희
임재용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희, 임재용, 김종현 filed Critical 주선희
Publication of KR2001009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601B1/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각 휴대형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주고받는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받거나 출력할 수 있게 해주며, 앨범이나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해주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은 유선 인터넷 즉 월드와이드웹(WWW)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자화 지원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이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인쇄 시스템 또는 외부 인쇄 시스템으로 하여금 문자메시지들을 인쇄하게 하여, 문자메시지들이 앨범 또는 다이어리와 같이 바인딩된 출력물 형태로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이용자가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쇄 시스템이 선택된 문자메시지를 토대로 바인딩된 출력물을 생성하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출력 시스템{Method for Supporting Printing-out of Short Messages and Printing System Suitabl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 서버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한 인터넷 서버 시스템 및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사람들이 교우나 친지에게 안부를 전하고 이들과 교감을 나눔에 있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해온 수단은 편지이다. 편지는 원격지에 있어 자주 만나지 못하는 사람들끼리 뿐만 아니라 가까운 친구나 연인끼리 교분을 나누고 애틋한 우정이나 감정을 전달하는 데에도 널리 활용되어 왔다. 수신인은 여러 통의 편지를 한 곳에 모아 보관해두고, 이따금 각 편지의 내용을 다시 읽어보거나 단지 봉투만을 훑어보면서 송신자와의 인연 전개 과정 또는 과거 어느 한 순간에서의 교감이나 사건에 대한 추억을 떠올리고 이러한 기억을 유지해왔다. 추억을 간직하는데 사용되어온 또 다른 전통적인 매체로서 사진을 들 수 있다. 각 개인은 자신이 가족이나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 찍은 사진을 앨범에 저장해두고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 훑어보면서 과거의 기억을 회상하곤 한다.
그런데, 최근의 통신 기술의 발전은 인간 사이의 전통적인 의사 전달 방식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은 원하는 상대방과 언제 어디서나 육성으로(또는 화상과 함께) 통화를 할 수 있게 해주고 있으며 필요한 즉시 원하는 용건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이 각 이용자의 의사전달 욕구를 즉각적으로 충족시켜주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음성을 통한 의사전달은 미묘한 감정 또는 마음 깊은 곳의 진솔한 심정을 충분히 그리고 여유있게 표현하기는 어렵다는 일반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휴대형 전화기 사용자들간에 단문메시지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단문메시지 서비스(SMS)는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 수십 자 이내의 단문을 손쉽고 저렴하게 송수신할 수 있게 해준다. SMS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 중에는 업무상 필요한 내용도 있고 제반 사업자가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지 메시지 등도 있지만, 친구 또는 연인끼리 교감을 주고받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즉, 각 휴대형 전화기 사용자는 단문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친구 또는 연인에게 우정이나 사랑의 감정을 함축적으로 전하고, 마찬가지로 상대방으로부터 이러한 내용의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메시지가 즉시성과 신속성 측면에서 편리하고 송신자 및 수신자에게 있어 상당한 만족감 및 감동을 줄 수 있기는 하지만, 단문메시지를 송수신되는 과정에서 갖게 되는 교감은 오랜 시간동안 간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자메시지를 주로 이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하루에 십여 회 이상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와 대략 비슷한 횟수만큼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단말기의 메시지 보관함에 할당된 메시지 저장 용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단지 몇 일동안만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통신 수단인 편지나 기록매체인 사진 앨범 등에 비추어 단문메시지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만 그 감흥이 유지될 수 있을 뿐이며, 각 단말기 사용자가 주위 사람들과 교분을 나누고 축적해온 경과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유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각 이용자에게도 아쉬움을 줄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의 즉흥성과 피상성을 초래하게 되고 건조하고 조급함이 앞서는 문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휴대형 단말기를 통신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에 접속시켜 단문메시지 데이터를 컴퓨터에 백업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통신 케이블을 보유한 사람은 전체 단말기 소지자 중 극소수에 불과할 뿐이다. 아울러 4∼5일마다 단말기에 저장된 메시지나 데이터를 컴퓨터에 백업하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휴대형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주고받는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받거나 출력할 수 있게 해주며, 앨범이나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해주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 사용자가 주고받는 문자메시지를 앨범이나 다이어리와 같은 출력물로 제작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그가 지정하는 타인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문자메시지들을 인쇄할 수 있는 출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시스템과 그 네트웍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문 서비스 센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문 서비스 센터에서의 메시지 추출을 위한 단문 서비스 센터와 활자화 지원 시스템의 연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크립트 프로그램 및 컴포넌트 소프트웨어의 구체적인 예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는 테이블들의 종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인쇄 서브시스템의 접속 방식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인쇄 서브시스템의 접속 방식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인쇄 서버에 적재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일 예를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활자화 지원 시스템에 의한 활자화 지원 서비스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전형적인 서비스 제공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
도 11은 메시지 선택안내 페이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이용자가 개별 메시지별로 레이아웃 포함 여부를 선택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선택된 메시지 목록의 일 예를 보여주는 화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출력 레이아웃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와 그 네트웍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형 단말기에 적재되어 실행되는 메시지 업로드 프로그램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도 16의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WTA 서버로 문자메시지 목록이 업로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9는 도 18의 실시예가 변형된 업로드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은 유선 인터넷 즉 월드와이드웹(WWW)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자화 지원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이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인쇄 시스템 또는 외부 인쇄 시스템으로 하여금 문자메시지들을 인쇄하게 하여, 문자메시지들이 앨범 또는 다이어리와 같이 바인딩된 출력물 형태로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이용자가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쇄 시스템이 선택된 문자메시지를 토대로 바인딩된 출력물을 생성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자메시지는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메시지이다. 여기서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이라 함은 단문메시지 전송을 매개하는 단문 서비스 센터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의 단문 서비스 센터로부터 받아들여 저장 수단에 저장한 후, 이용자가 이를 토대로 레이아웃 형태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이용자는 문자메시지들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선택된 단문메시지 레코드들만이 레이아웃과 바인딩된 출력물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활자화 지원 시스템이 받아들여 유지하는 문자메시지 정보는 송신자 식별자, 수신자 식별자 및 메시지 내용 등의 필드들을 포함하며, 이용자는 이러한 필드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인쇄할 메시지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이용자로 하여금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복수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소정의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출력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를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인쇄 시스템이 상기 레이아웃을 인쇄하여 바인딩된 출력물을 생성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다수의 템플릿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다수의 템플릿을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한 후, 선택된 템플릿을 문자메시지에 결합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게 된다. 이미지 템플릿은 문자메시지 단위로 마련되어서, 레이아웃을 형성함에 있어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이 복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에 동일하게 부가될 수 있다. 이때, 템플릿이 하나만 존재하거나 선택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에 적용되는 템플릿과 송신된 메시지에 적용되는 템플릿의 색상을 차별화하거나 그 상대적 위치를 달리해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미지 템플릿이 인쇄용지 페이지 단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시스템은 활자화 지원 시스템에 인터넷이나 랜을 통해 접속되며,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인쇄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인터넷이나 랜을 통해서 인쇄 시스템에 제공하게 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쇄 시스템이 직접 활자화 지원 시스템의 저장 수단에 연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인쇄 시스템은 활자화 지원 시스템의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서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직접 접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자메시지는 무선 인터넷 서버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인터넷을 통해 송수신되는 것이다.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상기 단문메시지를 무선 인터넷 포털 서버 또는 상기 포털 서버에 접속될 수 있는 무선인터넷 서버(아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 서버"로 약칭함)로부터 받아들여 저장 수단에 저장한 후, 이용자가 이를 토대로 레이아웃 형태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용자는 문자메시지들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선택된 단문메시지 레코드들만이 레이아웃 및 바인딩된 출력물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활자화 지원 시스템이 받아들여 유지하는 문자메시지 정보는 송신자 식별자, 수신자 식별자 및 메시지 내용 등의 필드들을 포함하며, 이용자는 이러한 필드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인쇄할 메시지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자화 지원 시스템이 레이아웃을 생성하는데 사용하는 문자메시지는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다. 즉,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기가 송수신한 다수의 문자메시지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받아들여 저장 수단에 저장한 후, 단말기 사용자가 이를 토대로 레이아웃 형태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메시지일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무선 인터넷 서버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인터넷을 통해 송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를 받아들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문자메시지들을 인쇄할 수 있는 형태로 인터넷을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이용자가 문자메시지들을 인쇄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자메시지는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메시지이다. 여기서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이라 함은 단문메시지 전송을 매개하는 단문 서비스 센터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상기 단문메시지를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의 단문 서비스 센터로부터 받아들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문자메시지들 중 일부만이 출력 레이아웃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활자화 지원 시스템이 받아들여 유지하는 문자메시지 정보는 송신자 식별자, 수신자 식별자 및 메시지 내용 등의 필드들을 포함하며, 이용자는 이러한 필드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레이아웃에 포함될 메시지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이용자로 하여금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복수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소정의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출력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이 레이아웃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다수의 템플릿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다수의 템플릿을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한 후, 선택된 템플릿을 문자메시지에 결합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게 된다. 이미지 템플릿은 문자메시지 단위로 마련되어서, 레이아웃을 형성함에 있어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이 복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에 동일하게 부가될 수 있다. 이때, 템플릿이 하나만 존재하거나 선택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에 적용되는 템플릿과 송신된 메시지에 적용되는 템플릿의 색상을 차별화하거나 그 상대적 위치를 달리해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미지 템플릿이 인쇄용지 페이지 단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자메시지는 무선 인터넷 서버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인터넷을 통해 송수신된다.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상기 단문메시지를 무선 인터넷 서버로부터 받아들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문자메시지들 중 일부만이 선택적으로 레이아웃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활자화 지원 시스템이 받아들여 유지하는 문자메시지 정보는 송신자 식별자, 수신자 식별자 및 메시지 내용 등의 필드들을 포함하며, 이용자는 이러한 필드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조건을 부여함으로써 인쇄할 메시지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활자화 지원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문자메시지는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다. 즉,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기가 송수신한 다수의 문자메시지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받아들인 후, 인터넷을 통해 휴대형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메시지일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는 무선 인터넷 서버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인터넷을 통해 송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두 가지 경우 모두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를 받아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출력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기가 송수신한 다수의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레코드 단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시스템에 적어도 선택적으로 연동되어 동작한다. 출력 시스템은 활자화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문자메시지 정보와 상기 이미지 템플릿 정보를 받아들여 출력하는데, 시스템 운영자는 출력된 레이아웃을 앨범 또는 다이어리와 같이 바인딩된 출력물 형태로 제본하게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출력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접근 수단, 레이아웃 생성 수단 및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 접근 수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미출력된 레코드를 확인하고, 미출력된 레코드에 관한 문자메시지 정보와 이미지 템플릿 정보를 받아들인다. 레이아웃 생성 수단은 문자메시지 정보와 이미지 템플릿을 결합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며, 출력 수단은 상기 레이아웃을 출력한다. 레이아웃 출력이 완료된 후, 데이터베이스 접근 수단은 데이터베이스에 출력 완료 정보를 기입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출력 수단은 서로 다른 용지가 적재된 복수의 프린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우, 데이터베이스 접근 수단을 통해 받아들인 용지 크기 데이터를 토대로 레이아웃 수단은 복수의 프린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레이아웃이 인쇄되도록 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시스템과그 네트웍 환경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IS-95A 내지 IS-95C 표준 및 GSM 표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에 양립될 수 있는 표준에 근거하여 구성되는 무선전화망(20)에 연동되어 동작한다. 무선전화망(20)에 가입된 휴대형 단말기들(10a, 10b)은 무선전화망(20)을 통해 서로 통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무선전화망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문자메시지는 서로 다른 서비스망에 가입된 단말기들간에도 송수신될 수 있으며, 별도의 단문실체(Short Message Entity: SME, 38)로부터 휴대형 단말기들(10a, 10b)에 제공될 수도 있다.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이와 같은 문자메시지 특히 다수의 단문메시지 각각에 대한 정보(예컨대, 메시지 내용, 송신자, 수신자 및 송신 또는 수신 시각 데이터)를 무선전화망(20)으로부터 받아들이고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해둔 후, 메시지 목록을 그대로 또는 별도로 마련되는 이미지 템플릿(50)을 부가하여 단말기(10a, 10b) 소유자에게 제공한다.
즉,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이용자가 송수신한 단문메시지 전체 또는 일부 선택된 단문메시지의 목록을 월드와이드웹(WWW)을 통해서 단말기(10a, 10b) 소유자가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90)에 제공한다. 특히,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화면을 장식하기 위한 템플릿을 단문메시지 목록에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활자화 지원 시스템(40) 운영자 또는 이와 제휴한 별도의 사업자는 단문메시지 목록과 템플릿이 결합된 레이아웃을 직접 컬러 프린터로 출력하여 앨범이나 다이어리 형태로 제본하고, 이를 이용자 또는 이용자가 지정하는 제3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이 무선전화망(20)으로부터 단문메시지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무선전화망(20)에서의 단문메시지 전송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무선전화망(20)은 중앙교환기(Central Gateway Switch: CGS, 22)를 위시한 다수의 무선교환기(24a ∼ 24n)와, 적어도 하나의 본 가입자 위치등록기(HLR, 미도시됨) 및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VLR, 미도시됨)와, 단문 서비스 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28)를 포함한다. 무선교환기(24a ∼ 24n) 각각에는 다수의 기지국(26)이 접속되어 있어서, 휴대형 단말기들(10a, 10b)간 또는 휴대형 단말기와 유선 전화기간의 통신을 매개한다. SMSC(28)는 휴대형 단말기들(10a, 10b)간 그리고 기타 SME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 특히 간단한 문자열을 제한된 크기의 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 단문서비스를 수행한다.
단문서비스와 관련하여, 각각의 무선교환기(24a ∼ 24n)는 IS-637 단문서비스용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처리 기능과, 단문 서비스 센터(28)의 대표번호 식별 및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VLR은 단문메시지 발신가입자 인증기능과, 단문서비스 가입자 정보 검색 기능과, 발착신시 착신 단문서비스 센터로의 라우팅 기능을 수행한다. HLR은 이동가입자 정보 관리 기능, 라우팅 정보 관리 기능, 단문서비스 과금 분류 기능, 단문서비스 인증 기능, 및 착신단말의 수신 가능 통보 기능을 지원한다. SMSC(28)는 교환기와 HLR 및/또는 VLR과 공통선(SS No.7) 신호 방식으로 접속되고, 이를 기반으로 SMS M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실시간 메시지 전달 특성인저장/전달(Store-and-Forward)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망에서 단문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을 단말기(10a)에서 단말기(10b)로 전달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단말기(10a)에서 전송된 단문메시지는 IS-637 프로토콜에 규정된 바와 같이 베어러 데이터(Bearer Data)에 포함되어 MSC(24a)로 전송된다. MSC(24a)는 단문메시지를 SMSDPP(SMS Delivery point-to-point) 형식으로 변환하여 SMSC(28)로 전송한다. SMSC(28)는 단문메시지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HLR에 가입자 위치 정보를 조회하여 수신자 단말기(10b)가 위치한 지역의 MSC(24n)으로 전송하여, MSC(24n)가 단말기(10b)에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빈번한 HLR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방지하기 위하여 SMSC(28)가 VLR로부터 가입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위에서는 동일한 전화망에 가입된 단말기들(10a, 10b)간에 단문메시지가 송수신되는 예를 기술하였지만, 서로 다른 전화망에 가입된 단말기들간에 송수신되는 단문메시지나 외부 SME(38)로부터 단문서비스센터(Short Message Service System: SMSS, 30)를 경유하여 단말기에 송신되는 메시지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단말기들(10a, 10b)에 송신되는 메시지도 SMSC(28)를 통해서 송신되거나 수신된다. 결국 무선전화망(20)을 통해 송수신되는 모든 문자메시지는 SMSC(28)를 경유하게 되며, 적어도 일시적으로 SMSC(28) 내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무선전화망(20)으로부터 단문메시지 정보를 받아들임에 있어서 SMSC(28)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받아들이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MSC(28)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SMSC(28)에 따르면, SMSC(28) 내에 있는 프로그램 모듈이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등록된 회원이 송수신하는 단문메시지를 필터링하여 이를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제공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SMSC(28)는 지능형 플랫폼(100) 상에서 구현되는 SMS 서비스 로직(102), 단문 DB(104), 활자화 지원 시스템 회원 DB(106), 필터링 모듈(108) 및 데이터통신 모듈(110)을 포함한다. 지능형 플랫폼(100)은 고장감내형 유닉스 컴퓨팅 서버에 공통선(SS No.7) 신호 방식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송수신 능력과, 교환 기능을 일부 독립시킨 IP 능력, 그리고 데이터망 서비스 접속 능력을 구비한다. SMS 서비스 로직(102)은 SMS 응용서비스별 단문메시지의 저장/전달 제어 기능, 메시지 종류별 전송방식 분류, SME의 위치정보 및 수신가능상태 파악 및 단문 데이터베이스 접근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MS 서비스 로직(102)은 각 서비스별 인터페이스 모듈들(미도시됨)을 통해 복잡 다양한 외부망에 접속될 수 있다. 단문 DB(104)는 각 단말기 소유자가 송수신하는 단문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활자화 지원 시스템 회원 DB(106)는 본 발명의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등록된 각 회원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필터링 모듈(108)은 활자화 지원 시스템 회원 DB(106)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토대로 단문 DB(104) 내에서 각 회원이 송신 또는 수신하는 메시지들을 검색하여 검색된 레코드에 대한 정보 즉, 각 메시지 내용, 송신자 및 수신자 정보, 그리고 송수신 시각 데이터를 데이터통신 모듈(110)을 경유하여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SMSC(28)는 X.25 또는 이더넷 프로토콜로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접속되며, 데이터통신 모듈(110)은 이러한 프로토콜에 적합한 네트웍 어댑터가 될 수 있다. 새로운 단문메시지가 접수될 때마다, SMS 서비스 로직(102)이 필터링 모듈(108)에 해당 메시지를 제공하여 필터링 모듈(108)이 선택적으로 수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의 실시예에서 SMSC(28)가 직접 회원 관련 단문메시지를 필터링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별도의 필터링 서버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은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SMSC(28)와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의 연동 방식을 보여준다. 필터링 서버(120)는 회원 DB(122)를 참조하여 단문 DB(104) 내에서 각 회원이 송수신하는 메시지들을 검색하여 검색된 레코드 정보를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제공한다. 필터링 서버(120)는 SMS 서비스 로직(102)을 경유하지 않고서 ODBC, JDBC 또는 SQL-Net과 같은 공지의 연동 수단에 의해 직접 단문 DB(104)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각 단말기 사용자의 활자화 지원 시스템(40) 회원 가입 정보가 HLR에 직접 등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회원 DB(106, 122)가 불필요하게 되며, 필터링 모듈(108) 또는 필터링 서버(120)는 HLR에 등록된 회원 정보를 토대로 단문 DB(104)를 검색하게 된다. 특히, 도 2나 도 3은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이 무선전화망(20)을 운영하는 통신사업자가 아닌 다른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그렇지만,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이 위 통신사업자에 의해 직접 운영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SMSC(28)가별도의 필터링 작업을 행하지 않고서 SMSC(28)를 경유하는 모든 레코드 특히 모든 포인트-투-포인트 단문메시지 레코드를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통신사업자가 직접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을 운영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서비스 제공에 따른 요금을 무선전화망(20)을 통해 이용자에게 청구하게 된다. 즉,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모든 이용자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였다가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무선통신망(20)의 과금센터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의 웹 서버(42)는 무선통신 사업자의 IWF(Interworking Function, 32)를 통해 무선통신망의 중앙교환기(22) 또는 여타의 교환기(24a∼24n)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WF(32)는 외부의 서버가 유선통신망을 통해 무선 교환기에 접속될 수 있게 해주는 게이트웨이로서, 무선통신 분야의 당업자에게 주지된 장치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활자화 지원 시스템(40) 운영자가 서비스 제공에 따른 요금을 무선통신 사업자를 경유하지 않고서 직접 또는 신용카드사 등을 통해 이용자에게 청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웹 서버(42)와,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다수의 이미지 템플릿(50) 및 광고 이미지(52)와, 응용 프로그램(58)과, 데이터베이스 서버(48)와, 인쇄 서브시스템(70)을 포함한다. 아울러,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응용 프로그램(58)이 SMSC(28)로부터 메시지 정보를 받아들이고 IWF(32)를 통해 무선전화망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상기 망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게 해주는 제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4)와, 웹 서버(42)가 인터넷을 통해 TCP/IP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제2 네트웍 인터페이스(56)를 포함한다. 그밖에도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제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6)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허브(미도시됨) 및 라우터(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웹 서버(42)는 예컨대 넷스케이프사(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의 넷스케이프 엔터프라이즈 서버나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 Corporation)의 인터넷 인포메이션 서버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TML)로 된 다수의 웹 문서들(44)을 포함하거나 이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웹 문서들(44)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예컨대 도 1의 70)에 전송되어 웹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문서들로서, 각 문서 파일은 화면 단위로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랭귀지(HTML)로 작성되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웹 문서들(44)의 예로는 예컨대 회원가입을 위한 화면들과, 서비스 소개 화면, 메시지 선택 화면, 템플릿 선택 화면, 앨범 배송지 입력 화면 등을 구현하기 위한 페이지들을 들 수 있다.
웹 문서들(44) 중 일부는 VBscript와 같은 서버 스크립트(46)를 포함하는 액티브 서버 페이지(Active Server Page: ASP)로 되어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ASP 파일들은 PHP 스크립트들을 포함하는 PHP 파일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 밖의 다른 스크립트 언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웹 문서들(44) 중 일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90)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예컨대 자바스크립트를포함할 수 있으며, 아울러 CGI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은 ASP 파일들 내에 있는 서버 스크립트(46)에 의해 구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스크립트(46)들은 회원 가입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된 메시지들을 호출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될 수 있게 해주고, 이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템플릿(50)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될 수 있게 해준다. 이용자의 선택하는 바에 따라, 메시지들과 템플릿(50)은 해당 ASP 파일에 삽입되어 웹 페이지가 동적으로 생성되며, 생성된 페이지는 클라이언트에 제공된다. 아울러, 이용자가 앨범 제작 및 배송을 원하는 경우, 서버 스크립트(46)들은 이용자가 입력하는 앨범 배송지 주소가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될 수 있게 해준다. 광고 이미지들(52)을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템플릿(50)과 메시지들이 결합된 레이아웃 내에 또는 앨범 표지에 이들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금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은 이러한 스크립트 프로그램 이외에 별도의 컴포넌트 프로그램 모듈 또는 객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60)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도 5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한편, 시스템 운영을 위한 객체로는 예컨대 각 스크립트 프로그램들(46) 또는 컴포넌트 소프트웨어(60)가 ODBC(Open DataBase Connectivity) 규약(64)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서버(48)를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액티브엑스 데이터베이스 객체(62, ActiveXDatabase Object: 이하 "ADO"로 약칭함) 등을 들 수 있다. ADO(62)는 스크립트 프로그램들(64)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밖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호출될 때, ODBC 규약(64)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접근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수정 또는 삭제하거나 호출한 프로그램에 제공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48)는 오라클이나 인포믹스 또는 MS SQLserver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서버(48)가 JDBC와 같은 여타의 연동 수단에 의해 프로그램들에 연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크립트 프로그램(46) 및 컴포넌트 소프트웨어(60)의 구체적인 예와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되는 테이블들의 종류를 보여준다.
먼저,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있어서, 회원 테이블(200)은 각 회원의 사용자명(ID), 패스워드, 회원등록일, 주소, 전자메일 어드레스, 레이아웃 생성 일지 및 요금 청구/납부 내역과, 최근 제작한 앨범의 레이아웃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광고주 테이블(202)은 광고주로 등록된 각 업체의 명칭, 담당자 성명 및 연락처, 광고 이미지(52) 저장 위치, 홈페이지 주소 및 광고료 청구/지급 내역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과금 테이블(204)은 서비스 제공에 따른 과금 데이터와 무선전화 사업자와의 정산 내역을 저장한다. 과금 테이블(204)이 둘 이상의 테이블로 분할되어 서비스 제공에 따른 과금 데이터와 무선전화 사업자와의 정산 내역이 별도의 테이블에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메시지 테이블(206)은 SMSC(28)로부터 획득한 메시지 레코드들을 저장한다. 메시지 테이블(206)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레코드는 송신자 식별자(전화번호또는 이름이나 전자메일 어드레스), 송/수신 시각, 메시지 내용, 수신자 식별자(또는 이름이나 전자메일 어드레스), 송신자가 해당 레코드를 출력한 적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1 플래그, 수신자가 해당 레코드를 출력한 적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제2 플래그 등의 필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자/수신자 식별자는 SMSC(SMSC)가 제공하는 소스 데이터에 표시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SMSC(28)로부터 각 소스 레코드를 받은 직후에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이 회원 테이블(200)에 기록된 정보를 참조하여 송신자 또는 수신자 식별자를 회원 ID로 변경한 후 메시지 테이블(206)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송신자/수신자 식별번호는 원칙적으로 회원 ID로 표시되고, 미가입회원 또는 타 통신망에 가입된 사람의 식별자만이 전화번호나 성명으로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기타 SME를 경유한 단문메시지의 경우 송신자 식별자가 전자메일 어드레스로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이용자는 웹 상에서 특정 상대방 식별자를 성명으로 일괄해서 변경등록할 수도 있다.
템플릿 테이블(208)은 각 템플릿에 대한 종류(예컨대 메시지 단위 템플릿인지, 페이지 단위의 템플릿인지 여부) 및 버전과, 하드디스크 내에서의 저장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은 이용자의 앨범 제작 주문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은 각 주문에 대한 주문 시각, 회원 ID, 템플릿 종류, 인쇄할 메시지 레코드, 용지 크기, 광고 이미지 포함 여부, 배송지 주소 및 수신자 성명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밖에 이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트랜잭션 테이블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스크립트 프로그램(46) 중에서, 메시지 조회 모듈(240)은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이용자와 관련된 모든 메시지들 또는 특정 기간동안 또는 특정 상대방과 송수신한 메시지들을 메시지 테이블(206)로부터 독출하여, 웹 서버(42)로 하여금 이들 메시지들을 클라이인트에 제공하도록 하게 된다. 메시지 선택 모듈(242)은 이용자가 일부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된 메시지들 중 일부를 레이아웃을 위해 선택한 경우, 해당 메시지들에 관한 정보를 임시 테이블에 저장한다. 템플릿 선택 모듈(244)은 이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이미지 템플릿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레이아웃 생성 모듈(246)은, 이용자가 템플릿 선택을 완료한 후, 선택된 템플릿과 임시 테이블에 저장된 레코드들을 결합하여 출력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생성된 레이아웃을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요금 계산 모듈(248)은 각 이용자의 서비스 세션이 종료될 때마다 또는 서비스 세션 중에 각 단계별로 해당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요금을 계산하여 과금 테이블(204) 또는 별도의 트랜잭션 테이블에 저장한다. 앨범 생성 모듈(250)은, 이용자가 앨범 제작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메시지들에 관한 정보 및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에 저장함으로써, 인쇄 서브시스템(70)이 이를 인쇄할 수 있게 해준다. 배송지 선택 모듈(252)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앨범 배송지 주소와 수신자 성명 등을 받아들이고 이를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에 저장한다.
회원 등록 모듈(254)은 인터넷을 통해 회원 등록 신청을 받아들이고, 회원 정보를 회원 테이블(200)에 저장한다. 회원 테이블(200)에 저장된 회원 정보는 회원등록된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회원정보 수정 모듈(256)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광고주 등록 모듈(258)은 앨범에 광고를 게재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등록신청을 받아들이고 해당 광고주에 대한 정보를 광고주 테이블(202)에 저장한다. 광고주의 광고 이미지는 광고주에 의해 직접 업로드되어 광고이미지 저장 모듈(260)에 의해 하드디스크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광고 이미지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로그인 모듈(262)은 일반 이용자 또는 광고주가 접속하고자 할 때 ID와 패스워드를 확인한 후, HTTP응답의 헤더에 쿠키 설정 정보를 포함시켜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쿠키가 설정되도록 한 후 접속을 허용한다. 쿠키의 설정 및 해제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60) 중에서, 메시지 관리 모듈(280)은 SMSC(28)로부터 메시지 소스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를 메시지 테이블(206)에 저장한다. 아울러, 메시지 관리 모듈(280)은 관리자로 하여금 저장된 메시지들 중 일부를 삭제하거나 별도의 저장 장치에 백업할 수 있게 해준다. 템플릿/이미지 관리 모듈(282)은 관리자로 하여금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이미지 템플릿(50) 및 광고 이미지(52)의 저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해주고, 각 이미지들의 위치를 템플릿 테이블(208)에 저장한다. 과금 관리 모듈(284)은 과금 테이블(204)에 저장된 과금 레코드를 토대로 수익을 집계할 수 있게 해주고, 무선전화 사업자 등과의 정산에 필요한 자료를 생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에 따른 요금은 무선전화 사업자의 청구서에 병합되어 청구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스템 운영자가 직접 또는 신용카드사나 직불카드사 또는 여타의전자결제 수단에 의해 이용자에게 청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가 온라인으로 제공받는 메시지들이나 또는 템플릿을 토대로 생성된 레이아웃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영자 내지 관리자가 별도의 플러그-인(286)을 제작하여 이를 회원들에게 배포하고, 메시지 목록이나 레이아웃이 이러한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 상에서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은 메시지 목록이나 레이아웃이 제공될 때 활성화되어 이들을 표시하게 된다.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은 별도의 안내 메시지나 설명이 없이 메시지 목록이나 레이아웃만을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이용자가 표시된 화면을 인쇄하고자 할 때 안내 메시지나 설명이 없이 해당 콘텐츠만을 간명하게 출력할 수 있게 해준다.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은 마우스로 끌어 복사하거나 붙이기 작업(Drag-and-drop)을 하지 못하도록 메시지 선택창 및 기능선택버튼 이외의 화면영역에서는 마우스 좌측 버튼을 비활성화시키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플러그-인은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서브시스템(70)은 이용자가 자신이 생성한 레이아웃대로 앨범을 제작해서 배송해줄 것을 신청한 경우, 해당 레이아웃을 출력한다. 인쇄 서브시스템(70) 운영자는 출력된 레이아웃에 이용자가 선택한 표지를 부가하여 제본하고, 제본된 앨범을 이용자가 지정한 주소지에 발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서브시스템(70)은 활자화 지원 시스템(40) 운영자에 직접 운영된다.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쇄 서브시스템(70)이 활자화 지원 시스템(40) 운영자가 아닌 별도의 인격체에 의해 운영될 수도 있다. 인쇄 서브시스템(70)이 활자화 지원 시스템(40) 운영자에 의해 직접 운영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인쇄 서브시스템(70)이 웹 서버(42)나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지만 각 지점이나 대리점, 또는 고객 서비스 센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인쇄 서브시스템(70)은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가 운영하는 "티티엘존(TTL-Zone)"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인쇄 서브시스템(70)의 접속 방식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서브시스템(7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 서버(300)를 구비한다. 상기 인쇄 서버(300)는 TCP/IP 프로토콜에 의해 관리자 모드로 웹 서버(42)에 접속되어, 레이아웃을 받아들이고 레이아웃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 서브시스템(70)은 복수의 컬러 프린터(302, 304)를 구비한다. 각각의 프린터(302, 304)에는 크기가 다른 용지가 적재되어서, 인쇄 서버(300)가 각 레이아웃별로 해당 이용자가 선택한 크기의 용지에 인쇄를 할 수 있다. 인쇄를 완료한 후에 그리고 제본된 앨범을 배송한 후에, 인쇄 서버(300) 관리자는 웹 서버(42)에 해당 작업의 완료를 보고하게 된다.,
한편, 인쇄 서브시스템(70)이 웹 서버(42)가 아닌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직접 접속되어 스케줄링 데이터, 메시지 및 템플릿(또는 템플릿 종류 정보)을 받아들이고, 직접 레이아웃을 재생성하여 출력을 할 수도 있다. 도 7은 이와 같은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웹 서버(42)의 부하를 경감시키고인쇄 서버(320)의 기능을 확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인쇄 서버(320)에 적재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일 예를 보여준다. 데이터 펫칭 유닛(342)은 ODBC, JDBC 또는 여타의 데이터베이스 연동 수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연동되며,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에 미처리된 레코드가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미처리된 레코드가 있는 경우, 데이터 펫칭 유닛(342)은 해당 레코드와 관련된 메시지들 및 템플릿(또는 템플릿 종류 정보)을 받아들이고 이를 레이아웃 유닛(344)에 제공한다. 레이아웃 유닛(344)은 데이터 펫칭 유닛(342)으로부터의 메시지들 및 템플릿을 토대로 이용자가 선택한 바와 같은 레이아웃을 재생성하고, 생성된 레이아웃을 출력 유닛(346)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이용자가 지정한 용지 크기 데이터가 출력 유닛(346)에 제공되어, 용지 크기에 적합한 프린터에서 인쇄가 진행되도록 하게 된다. 제어/보고 유닛(340)은 프로그램 실행의 전반적 진행을 제어하고, 인쇄가 완료된 후,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에 인쇄 완료 정보를 기록한다. 데이터 펫칭 유닛(342) 및 제어/보고 유닛(340)은 하나의 모듈 또는 객체로 제작되어 합체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에 도시된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의한 활자화 지원 서비스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먼저 이용자가 접속하면(제400단계), 웹 서버(42)는 해당 이용자가 가입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402단계). 회원이 아닌 경우, 웹 서버(42)는 회원가입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회원 가입 절차를 밟도록 한다(제404단계). 제406단계에서 이용자가 회원 가입을 신청하면, 웹 서버(42)는 회원가입을 처리하고 해당 회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48)의 회원 테이블(200)에 저장한다(제408단계). 회원등록이 완료되면, 웹 서버(42)는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을 이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해준다(제410단계). 상기 해당 회원의 전화번호를 도 2의 SMSC(28) 또는 도 3의 필터링 서버(120)에 통보하여, 향후 해당 회원이 송수신하는 단문메시지가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제공될 수 있게 한다(제412단계). 여기서, 해당 회원이 최근에 송수신한 메시지들 중 단문 DB(104)에 저장되어 있는 것들이 일단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웹 서버(42)는 회원 등록 과정에서 이용자에게 "자신이 송수신하는 메시지를 무선전화망(20)으로부터 확보하여 자신에게 그리고 송수신 상대방에게 온라인으로 또는 앨범 형태로 제공하는 것에 동의하고, 각 레코드 확보 사실에 대해 별도로 통지받지 않아도 된다는 것에 동의한다"는 약관 또는 동의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이용자의 동의를 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통신비밀 또는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강행법규가 있는 경우 이러한 약관 제시 및 동의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제402단계에서 접속된 이용자가 기존 가입 회원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이용자가 제404단계 내지 제412단계의 회원등록 절차를 밟은 후에, 웹 서버(42)는 해당 이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쿠키를 설정한 후 서비스 메인 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해당 이용자에 대해 등록된 단문메시지 총 개수와 기존에 출력한 메시지 개수 또는 신규 메시지 개수가 안내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제414단계).
다음에는 이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된다(제416단계 내지제460단계). 로그인 후에 이용자가 메뉴 상에서 선택할 수 있는 주요 기능으로는 "1. 전체 메시지 보기", "2. 미출력 메시지 보기", "3. 출력 레이아웃 생성", "4. 저장된 레이아웃 다시 보기", "5. 앨범 만들기" 등이 포함된다. 이용자가 상기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웹브라우저로부터 웹 서버(42)에 해당 HTML 또는 ASP 파일에 대한 요구 신호가 송신되고, 웹 서버(42)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해당 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기능이 실현되게 한다. 한편,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과정 진행 중에 이용자는 시스템에서 로그아웃하거나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먼저 제416단계에서 이용자가 "1. 전체 메시지 보기" 기능을 선택하면, 웹 서버(42)는 메시지 테이블(206) 내에서 상기 이용자가 송신자 또는 수신자로 설정되어 있는 레코드를 모두 추출하고(제418단계), 추출된 단문메시지 목록을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하여 클라이언트(9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제420단계).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단문메시지 목록은 시스템(40)이 회원등록시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하는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다.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은 컴퓨터 운영시스템이 제공하는 Drag-and-drop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이용자는 이 기능을 사용해서 다른 워드프로세서로 복사할 수 없다. 한편,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을 사용하는 대신에 또는 이와 병행하여, 운영자는 제422단계의 표시 단계에서 표시되는 레코드 수에 상응한 과금을 할 수도 있다.
제422단계에서 메시지 목록이 표시될 때 목록 하단에는 "레이아웃 생성" 기능 선택버튼이 제공된다. 표시된 메시지 목록을 본 후, 이용자는 "레이아웃 생성" 버튼을 눌러서 제428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제424단계). 한편, 이용자는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에 의한 메시지 목록 표시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종료 버튼을 눌러서 메뉴 선택 페이지로 복귀할 수 있다(제426단계).
제416단계에서 이용자가 "2. 미출력 메시지 보기" 기능을 선택하면, 웹 서버(42)는 메시지 테이블(206) 내에서 상기 이용자가 송신자 또는 수신자로 설정되어 있는 레코드들 중 아직 출력된 적이 없는 메시지들을 모두 추출하고(제420단계), 추출된 단문메시지 목록을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하여 클라이언트(9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제420단계). 이러한 경우에도 "1. 전체 메시지 보기" 기능을 선택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424단계 내지 제426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제416단계에서 이용자가 "3. 출력 레이아웃 생성" 기능을 선택하면, 웹 서버(42)는 메시지 선택메뉴 페이지를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해서 이용자가 메시지 선택 방식을 고른 후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제428단계). 메시지 선택은 개별 단문메시지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송수신 상대방의 전화번호, ID, 성명, 전자메일 어드레스 등의 입력 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송수신 시기에 대한 조건이 추가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메시지 선택이 완료되면, 웹 서버(42)는 템플릿 선택메뉴 페이지를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해서 이용자가 템플릿 선택 방식을 고른 후 템플릿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제430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템플릿은 개별 레코드를 장식하기 위한 레코드용 템플릿과, 화면 또는 페이지 단위로 출력물을 장식하기 위한 페이지용 템플릿을 포함한다. 이용자는 다양한 레코드용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템플릿으로 모든 레코드를 동일한 방식으로 장식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다양한 페이지용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템플릿으로 모든 페이지를 장식할 수도 있다. 아울러, 두 개의 메시지용 템플릿을 선택하여 수신 단문메시지와 송신 단문메시지를 별개의 패턴으로 장식할 수 있으며, 송수신 상대방에 따라 별도의 메시지용 템플릿으로 장식할 수도 있다. 레코드용 템플릿과 페이지용 템플릿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템플릿 선택이 완료되면, 웹 서버(42)는 선택된 단문메시지 레코드들과 템플릿을 결합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고(제432단계), 생성된 레이아웃을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하여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에 의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게 된다. 레이아웃 표시 화면 하단(바람직하기로는, 출력된 하드카피 상에서 레이아웃과 함께 인쇄되지 않을 만큼 마지막 레코드로부터 하방으로 충분히 이격된 부분)에는, "출력" 버튼과 "앨범 제작" 버튼이 제공된다. 표시된 레이아웃을 확인한 후, 이용자는 "출력" 버튼을 눌러서 프린터로 레이아웃을 인쇄할 수 있다(제434단계 및 제436단계). 한편, 이용자는 "앨범 제작" 버튼을 눌러서 제458단계로 진행하여 앨범 제작을 신청할 수 있다(제438단계). 이용자는 종료 버튼을 눌러서 메뉴 선택 페이지로 복귀할 수 있다(제440단계). 이때, 해당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가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 또는 별도의 레이아웃 테이블에 저장되는데(제442단계),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인쇄 서브시스템(70)이 인쇄하지 않도록 플래그가 표시된다.
제416단계에서 이용자가 "4. 저장된 레이아웃 다시 보기" 기능을 선택하면, 이전에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되어 있는 레이아웃이 클라이언트(90)에 제공된다(제444단계). 즉, 이용자의 요구에 응답하여 웹 서버(42)는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 또는 별도의 레이아웃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레이아웃을 제공하게 되며, 제공된 레이아웃은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는 각 이용자에 대해 최근 생성된 하나의 레이아웃만이 저장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이용자에 대해 여러 개의 레이아웃이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444단계에서 웹 서버(42)는 저장된 레이아웃들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한 후 이용자가 선택하는 하나의 레이아웃을 제공하게 된다.
레이아웃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용자는 그 내용을 확인한 후 "출력" 버튼을 눌러서 프린터로 레이아웃을 인쇄할 수 있다(제446단계 및 제448단계). 이러한 저장된 레이아웃 출력 기능은 컬러 프린터를 보유하지 않은 이용자가 사전에 레이아웃을 생성해둔 후, 전문 출력소나 여타의 컬러 프린터 설치 장소에서 저장된 레이아웃을 인쇄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이용자는 레이아웃 표시 화면상에서 "앨범 제작" 버튼을 눌러서 제458단계로 진행하여 앨범 제작을 신청할 수 있다(제450단계). 레이아웃을 점검한 후 또는 인쇄 작업을 완료한 후, 이용자는 표시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종료 버튼을 눌러서 메뉴 선택 페이지로 복귀할 수 있다(제452단계).
도 9b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레이아웃 표시 화면에 "갱신" 버튼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용자가 "갱신" 버튼을 눌러서 레이아웃 갱신을 요구하는 경우, 웹 서버(42)는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 또는 별도의 레이아웃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 선택 조건을 확인한 후, 메시지 테이블(206) 내에서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단문메시지들을 다시 검색하여 레이아웃을 갱신하게 된다. 갱신된 레이아웃은 클아이언트(90)에 제공됨과 아울러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된 레이아웃을 업데이트하게 된다.
제416단계에서 "5. 앨범 만들기" 기능을 선택한 후, 이용자는 단문메시지 및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한 후 곧바로 앨범 제작을 신청할 수 있다. "5. 앨범 만들기" 기능 선택에 응답하여, 웹 서버(42)는 메시지 선택메뉴 페이지를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해서 이용자가 메시지 선택 방식을 고른 후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제454단계). 메시지 선택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메시지 선택이 완료되면, 웹 서버(42)는 템플릿 선택메뉴 페이지를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해서 이용자가 템플릿 선택 방식을 고른 후 템플릿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제456단계). 템플릿 선택이 완료되면, 웹 서버(42)는 선택된 단문메시지 레코드들과 템플릿을 결합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하여 이용자 확인을 구한 후, 앨범 표지 형태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제458단계).
앨범 표지 역시 여러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쇄 서브시스템(70) 운영자가 사전에 인쇄된 형태로 이러한 표지를보유하게 된다. 웹 서버(42)가 제시하는 표지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표지에 대한 정보는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 또는 임시 트랜잭션 테이블에 저장된다. 한편, 표지 선택 과정에서 이용자는 앨범의 표지에 인쇄할 제목을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제목은 표지에 직접 인쇄될 수도 있고 스티커 형태로 출력되어 앨범의 측면 및 정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지 형태 선택 과정에서 웹 서버(42)가 광고 삽입 여부를 질의할 수도 있다. 이용자가 동의하는 경우, 웹 서버(42)는 광고 허용 사실을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에 기록함으로써, 인쇄 서브시스템(70)이 해당 주문에 따른 앨범 제작시 광고를 삽입하도록 하게 된다. 광고는 표지의 겉쪽이나 안쪽에 인쇄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앨범 내용물 사이에 광고지가 삽입될 수도 있으며, 각 단문메시지 레코드 사이 또는 각 쪽의 상단이나 하단에 제공될 수도 있다. 광고가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시스템 운영자는 해당 앨범에 대한 요금을 할인해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9b를 참조하면, 이용자가 표지 선택을 완료한 후에 웹 서버(42)는 이용자에게 배송지 주소 및 수신자 성명/전화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 이용자가 이들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제460단계 및 제462단계), 선택된 레코드에 대한 정보, 템플릿에 대한 정보, 광고 허용 정보와 함께, 수신자 정보가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에 저장된다(제464단계). 이에 따라, 인쇄 서브시스템(70)은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레이아웃을 출력하고 표지를 부가한 후 제본하여 수신자에게 배송을 할 수 있게 된다. 작업을 완료한 후, 이용자는 표시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종료 버튼을 눌러서 메뉴 선택 페이지로 복귀할 수 있다(제466단계).
도 10a 내지 도 10c는 전형적인 서비스 제공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용자의 "앨범 만들기" 기능 선택에 응답하여, 웹 서버(42)는 메시지 선택안내 페이지를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해서 이용자가 메시지 선택 방식을 고른 후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제500단계). 메시지 선택안내 페이지의 일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메시지 선택은 이용자가 전체 메시지 목록을 보면서 개별 단문메시지별로 레이아웃을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송수신 상대방의 전화번호, ID, 성명, 전자메일 어드레스 등의 입력 조건을 지정하여 지정된 상대방만을 레이아웃에 포함시키거나 제외시킬 수 있다(제502단계). 입력조건을 지정하여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메시지를 송수신한 시각을 검색 조건으로 추가할 수 있다.
개별 메시지별로 레이아웃 포함 여부를 선택하기를 원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에는 도 12의 화면이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는 각 메시지 레코드별로 받은 메시지인지 혹은 보낸 메시지인지의 표시와, 송수신 상대방 식별자, 메시지 내용 및 송수신 시각이 표시된다. 도 12의 화면 상에서 이용자는 레이아웃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레코드를 일일이 선택하게 된다. 선택을 완료한 후 "선택완료" 버튼을 누르면, 웹 서버(42)는 선택된 메시지를 카운트하고 그 개수를 클라이언트(90)에 알려주는데, 이때 도 13과 같이 선택된 메시지들을 다시 보여줄 수도 있다(제504단계). 도 13의 화면 상에서 이용자는 다시 일부 메시지들을 제외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화면에서 입력조건 지정 방식으로 메시지를 선택하기를 택한 경우에는, "입력완료" 버튼을 누른 후에 도 13의 화면이 곧바로 표시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 및 도 13의 화면은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을 통해서 표시된다. 이러한 플러그-인(286)에 따르면, 마우스 왼쪽 버튼은 화면 상에서 각 레코드에 대한 선택표시란과, "선택완료", "템플릿 선택", "창 닫기" 등의 버튼을 선택할 때에만 활성화되며, 마우스를 사용하여 Drag-and-drop 기능을 수행할 수는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플러그-인(286)이 사용되지 않고서 도 12 및 도 13의 화면이 웹브라우저 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은 도 12 또는 도 13의 화면 제공시에 이용자로부터 일정액 또는 레코드에 비례한 요금을 청구할 수 있다.
도 13의 화면 내용을 확인한 후 이용자가 "템플릿 선택" 버튼을 누르면, 웹 서버(42)는 템플릿 선택안내 페이지를 클라이언트(90)에 제공하여 해서 이용자가 템플릿 선택 방식을 고른 후 템플릿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제506단계).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템플릿에는 레코드용 템플릿과 페이지용 템플릿이 있는데, 제508단계에서는 이용자로 하여금 레코드용 템플릿과 페이지용 템플릿 중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용자가 레코드용 템플릿을 사용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 레코드용 템플릿의 모든 종류가 이미지 형태로 나열된다(제510단계). 이중 이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제512단계), 웹 서버(42)는 해당 템플릿을 사용하는 경우의 레이아웃 샘플을 제공한 후 이용자에게 확인을 요구하게 된다(제514단계). 이용자가 레이아웃형태에 만족하여 이를 사용할 것을 확인하면(제516단계), 제518단계로 진행하여 레이아웃 생성을 준비한다. 한편, 이용자가 페이지용 템플릿을 사용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제510단계 내지 제516단계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518단계 내지 제524단계가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레이아웃 제공 및 앨범 작성은 유료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웹 서버(42)는 레이아웃 생성에 앞서 이용자에게 레이아웃이 유료로 제공됨을 안내한다(제526단계). 제528단계에서 이용자가 안내 메시지를 읽은 후 레이아웃 생성을 희망하는 경우, 웹 서버(42)는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과금 데이터를 트랜잭션 테이블 또는 과금 테이블에 저장한다(제530단계). 클라이언트(90)의 화면에 표시되는 레이아웃들의 예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용자가 하나의 템플릿 형태만을 선택한 경우, 받은 메시지와 보낸 메시지는 서로 다른 색상의 템플릿으로 표시되거나 들여쓰기 또는 여타의 배치가 다르게 레이아웃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용자는 제528단계에서 레이아웃 생성을 선택하지 않고 서비스 메인화면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레이아웃 역시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을 통해 표시된다. 이때, 플러그-인(286)의 인쇄 모듈이 활성화되어, 이용자는 원하는 용지 크기를 설정한 후 화면에 표시된 레이아웃을 프린터를 사용해서 출력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이아웃이 pdf 파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레이아웃이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프린터 출력시 하나의 레코드가 두 쪽으로 쪼개져 출력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있다.
레이아웃 상의 마지막 레코드로부터 하방으로 충분히 이격된 부분에는, "출력" 버튼과 함께, "복귀" 및 "앨범 제작" 버튼이 제공된다. 제532단계에서 이용자가 "복귀" 버튼을 누르는 경우, 시스템(40) 측에서는 해당 레이아웃이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되고 클라이언트(90) 측에서는 레이아웃 표시화면이 닫히면서 브라우저상에 서비스 메인화면이 표시된다(제534단계). 한편, 제532단계에서 이용자가 "앨범 제작"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제536단계 내지 제550단계의 주문 처리 과정이 수행된다.
제536단계에서 웹 서버(42)는 이용자에게 해당 레이아웃을 앨범으로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는 앨범 주문을 중단하고 제532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이용자가 안내 메시지를 읽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표지 선택 페이지가 클라이언트(90)에 제공되어 이용자가 앨범 표지 형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제540단계). 이때 광고 삽입 여부를 함께 선택할 수도 있다. 이용자가 앨범 표지를 선택하여 결정하면(제542단계), 웹 서버(42)는 이용자에게 배송지 주소 및 수신자 성명/전화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제544단계). 이용자가 이들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제546단계), 선택된 레코드에 대한 정보, 템플릿 정보, 광고 허용 정보와 함께, 앨범 수신자 정보가 인쇄 스케줄링 테이블(210)에 저장된다(제548단계). 이어서, 웹 서버(42)는 주문이 접수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대략적인 앨범 도달 시기 등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게 된다(제550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이 무선전화망의 SMSC(28)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확보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소스 데이터가 이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될 수도 있다. 도 16은 이와 같은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6의 실시예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600)은 WAP을 기반으로 무선인터넷을 통해 휴대형 단말기(10a, 10b)들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WTA 서버(602)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WTA 서버(602)는 휴대형 단말기(10a, 10b)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메시지를 업로드하고자 할 때 상기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함으로써, 웹 서버(604)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무선전화망(20)의 중앙교환기(22) 또는 어느 하나의 무선교환기(24a ∼ 24n)에는 무선인터넷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가 접속되는데, 이러한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의 일 예로서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가 운영하는 'n-TOP' 서버를 들 수 있다.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에는 다수의 정보제공(CP) 서버들이 접속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600)의 WTA 서버(602)는 일종의 CP 서버로서 WAP 게이트웨이 서버(35)에 접속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자화 지원 시스템(600)은 무선전화망(20) 운영자나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 운영자가 아닌 제3자에 운영된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활자화 지원 시스템(600)이 무선전화망(20) 운영자나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 운영자에 운영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WTA 서버(602)는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에 합체되어 운영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서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에 의해 제공되는 WAP 메뉴에는 문자메시지 업로드를 위한 메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휴대형 단말기(10a, 10b)에는 문자메시지 업로드 메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메시지 업로드 프로그램이 적재되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메시지 업로드 프로그램의 일 예를 보여준다. 데이터 독출부(680)는 단말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들을 받아들이고, 패킷타이저(682)는 문자메시지들에 대해 일정한 형태의 패킷을 형성하며, 송신부(684)는 형성된 패킷을 무선인터넷을 통해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를 경유하여 WTA 서버(602)로 송신한다. 아울러, 휴대형 단말기(10a, 10b)가 일부 문자메시지만을 선택하여 업로드할 수 있게 해주는 선택부(686)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 업로드 프로그램은 단말기 제조업체가 제조하여 판매하는 단계에서 적재될 수도 있고, WTA 서버(602)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8은 도 16의 실시예에서 휴대형 단말기(10a, 10b)로부터 WTA 서버(602)로 문자메시지 목록이 업로드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자신의 단말기에서 메시지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송수신 메시지들을 업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형 단말기(10a, 10b) 사용자는 WAP 메뉴 상에서 문자메시지 업로드 메뉴를 선택하여 WTA 서버(602)에 메시지 업로드를 요구할 수 있다(제690단계). WTA 서버(602)가 상기 요구에 응답하면(제692단계), 메시지 업로드 프로그램은 메시지 보관함으로부터 문자메시지들을 독출하여 패킷화하고, 생성된 패킷들을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를 경유하여 WTA 서버(602)로 송신한다(제694단계). 이어서, WTA서버(602)는 수신된 패킷들을 해제하여 문자메시지들을 보관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48)의 메시지 테이블에 저장하게 된다.
도 18의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시지 보관함 용량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을 때 메시지 업로드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확인을 구한 후 문자메시지들을 업로드하게 된다. 도 19는 이와 같은 업로드 방법을 보여준다. 사용자에 의한 문자메시지 송신 이벤트가 발생한 후에(제700단계), 프로그램은 해당 문자메시지를 메시지 보관함에 보관하고 메시지 공간의 메모리 공간을 확인하게 된다(제704단계 및 제706단계). 만약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여 추가적인 메시지 저장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제708단계), 메시지 업로드 프로그램은 WTA 서버(602)에 메시지 업로드를 요구한다(제710단계). WTA 서버(602)가 상기 요구에 응답하면(제712단계), 프로그램은 메시지 보관함으로부터 문자메시지들을 독출하여 패킷화하고, 생성된 패킷들을 WAP 게이트웨이 서버(620)를 경유하여 WTA 서버(602)로 송신한다(제714단계). 한편,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후에도(제702단계), 메시지 송신시와 마찬가지로 제704단계 내지 제714단계가 유사하게 실행된다.
문자메시지 업로드가 완료된 후에 메시지 업로드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확인을 구한 후 송수신된지가 오래된 메시지들을 일부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9의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시지 업로드 프로그램이 WTA 서버(602)에 메시지 업로드를 별도로 요구하지 않고서 곧바로 패킷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WTA 서버(602) 상에서 설치되어 동작하는 데몬 프로그램은 상기 패킷을 식별하고 이를 해제한 후 데이터베이스 서버(48)에 저장한다.
도 16 및 도 19와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웹 서버(604)가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의 내용과 그 실행 과정은 도 1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상의 설명에서는 문자메시지를 주고받는 단말기로서 휴대형 음성통신 전화기(10a, 10b)를 예시하였지만, 단말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문자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여타의 휴대형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문메시지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서비스와 셀 브로드캐스팅(Cell Broadcasting) 서비스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는 셀 브로드캐스팅 서비스에 의한 단문메시지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SMSC(28)로부터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에 제공되는 소스 데이터에는 셀 브로드캐스팅 서비스되는 단문메시지가 포함되지 않는다. 아울러,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이 회원과 관련된 모든 단문메시지 데이터를 받아들인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또는 회원에게 제공할 때 이러한 셀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제외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무선전화망의 액세스 채널, 페이징 채널 또는 통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메시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타의 문자메시지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WAP 서버 즉, WAP 게이트웨이 서버나WTA 서버를 경유하여 송수신되는 문자메시지 역시 본 발명에 의해 활자화가 지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활자화 지원 시스템은 문자메시지를 WAP 서버로부터 받아들이거나, 또는 WAP 서버를 경유하여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될 수 있다. WAP 서버에 의해 매개되어 송수신되는 문자메시지를 받아들인 후 활자화 지원 시스템이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거나 앨범을 제작하는 과정은 위에서 기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메시지 목록 또는 레이아웃을 출력하기 위해 활자화 지원 시스템(40)이 별도로 제공하는 메시지 표시 플러그-인(286)이 사용되었지만, 액티브-엑스(Active-X) 컨트롤과 같은 여타의 표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순히 웹브라우저 상에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휴대형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주고받는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받거나 출력할 수 있게 해준다. 아울러, 본 발명은 휴대전화 사용자가 자신이 송수신한 문자메시지에 대해 앨범이나 다이어리와 같이 바인딩된 출력물 형태로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 사용자들은 음성통신 또는 영상통신을 통해서 통신 상대방과 즉각적인 의사전달을 하는 것과 별도로, 순간적인 감정이나 미묘한 감정 또는 마음 깊은 곳의 진솔한 심정을 충분히 그리고 여유있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주고받은 후 그 자취를 영구히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가까운 친구나 연인과 주고받은 문자메시지들을 활자화해두고 이를 통해 상대방과의 인연 전개 과정 또는 과거 어느 한 순간에서의 교감이나 사건에 대한 기억을 간직하고 추억을 떠올릴 수 있게 되며, 오랜 이력에 대한 기억을 기반으로 교우관계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게 된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의 즉시성과 편의성이 초래하는 부작용 예컨대 대인관계의 즉흥성 및 피상성을 보완하여, 상대방에 대한 이해심에 기반하며 은근하고 깊이있는 인간관계가 유지되고 확산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58)

  1. (a)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다수의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및
    (b) 이용자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소정의 인쇄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를 토대로 바인딩된 출력물을 생성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에 대한 송신자 식별자, 수신자 식별자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복수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b2)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쇄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소정의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가
    (b2a) 두 개 이상의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b3)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쇄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문자메시지 단위로 마련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인쇄용지 페이지 단위로 마련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은 상기 이용자가 상기 무선전화망의 무선접속표준에 따른 액세스 채널, 페이징 채널 및 통화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전화망의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문메시지인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의 단문 서비스 센터로부터 받아들이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유선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인쇄 시스템에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시스템을 직접 상기 저장 수단에 연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인쇄 시스템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1. (a) 무선 인터넷 서버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다수의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무선 인터넷 서버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및
    (b) 이용자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소정의 인쇄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를 토대로 바인딩된 출력물을 생성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에 대한 송신자 식별자, 수신자 식별자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복수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b2)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쇄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소정의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가
    (b2a) 두 개 이상의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b3)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쇄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문자메시지 단위로 마련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인쇄용지 페이지 단위로 마련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유선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인쇄 시스템에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시스템을 직접 상기 저장 수단에 연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인쇄 시스템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19. (a) 휴대형 단말기가 송수신한 다수의 문자메시지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한 후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소정의 인쇄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를 토대로 바인딩된 출력물을 생성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복수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b2)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쇄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소정의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가
    (b2a) 두 개 이상의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b3)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쇄 시스템이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문자메시지 단위로 마련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인쇄용지 페이지 단위로 마련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은 상기 이용자가 상기 무선전화망의 무선접속표준에 따른 액세스 채널, 페이징 채널 및 통화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전화망의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문메시지인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이 무선 인터넷 서버를 경유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인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문자메시지를 상기 무선 인터넷 서버를 경유하여 받아들이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유선 인터넷을 통해서 상기 인쇄 시스템에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시스템을 직접 상기 저장 수단에 연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인쇄 시스템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29. (a)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다수의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및
    (b) 이용자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에 대한 송신자 식별자, 수신자 식별자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복수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b2) 상기 복수의 문자메시지에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및
    (b3) 상기 레이아웃을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가
    (b2a) 두 개 이상의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b2b)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복수의 문자메시지에 부가하여 상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문자메시지 단위로 마련되며,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복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에 부가하여 상기 레이아웃을 형성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인쇄용지 페이지 단위로 마련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은 상기 이용자가 상기 무선전화망의 무선접속표준에 따른 액세스 채널, 페이징 채널 및 통화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전화망의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문메시지인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의 단문 서비스 센터로부터 받아들이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7. (a)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무선통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및
    (b) 이용자가 상기 문자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가
    복수의 이미지 템플릿을 마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이미지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b2)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과 상기 문자메시지를 결합하는 단계; 및
    (b3)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과 결합된 상기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39. (a) 무선 인터넷 서버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다수의 문자메시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무선 인터넷 서버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및
    (b) 이용자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에 대한 송신자 식별자, 수신자 식별자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복수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b2) 상기 복수의 문자메시지에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및
    (b3) 상기 레이아웃을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가
    (b2a) 두 개 이상의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b2b)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복수의 문자메시지에 부가하여 상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문자메시지 단위로 마련되며,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복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에 부가하여 상기 레이아웃을 형성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4.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인쇄용지 페이지 단위로 마련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5. (a) 무선 인터넷 서버에 의해 매개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무선 인터넷 서버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및
    (b) 이용자가 상기 문자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가
    복수의 이미지 템플릿을 마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이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이미지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b2)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과 상기 문자메시지를 결합하는 단계; 및
    (b3)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과 결합된 상기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7. (a) 휴대형 단말기가 송수신한 다수의 문자메시지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일부의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중 복수의 문자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b2) 상기 복수의 문자메시지에 이미지 템플릿을 부가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및
    (b3) 상기 레이아웃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가
    (b2a) 두 개 이상의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템플릿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및
    (b2b)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복수의 문자메시지에 부가하여 상기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문자메시지 단위로 마련되며,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을 상기 복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에 부가하여 상기 레이아웃을 형성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51.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템플릿이 인쇄용지 페이지 단위로 마련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은 상기 이용자가 상기 무선전화망의 무선접속표준에 따른 액세스 채널, 페이징 채널 및 통화 채널을 포함하는 채널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전화망의 기지국에 송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문메시지인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53.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문자메시지 각각이 무선 인터넷 서버를 경유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인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문자메시지를 상기 무선 인터넷 서버를 경유하여 받아들이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55. (a) 휴대형 단말기가 송수신한 문자메시지를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받아들이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문자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가
    복수의 이미지 템플릿을 마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b)단계가
    (b1)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이미지 템플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b2)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과 상기 문자메시지를 결합하는 단계; 및
    (b3) 상기 선택된 이미지 템플릿과 결합된 상기 문자메시지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57. 휴대형 단말기가 송수신한 다수의 문자메시지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템플릿에 대한 정보를 레코드 단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문자메시지 활자화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문자메시지 정보와 상기 이미지 템플릿 정보를 받아들여 출력하는 출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미출력된 레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미출력된 레코드에 관한 상기 문자메시지 정보와 상기 이미지 템플릿 정보를 받아들이는 데이터베이스 접근 수단;
    상기 문자메시지 정보와 상기 이미지 템플릿을 결합하여 레이아웃을 생성하는 레이아웃 생성 수단; 및
    상기 레이아웃을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레이아웃 출력이 완료된 후 데이터베이스 접근 수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출력 완료 정보를 기입하는 출력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서로 다른 용지가 적재된 복수의 프린터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아웃 수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 수단을 통해 받아들인 용지 크기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프린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레이아웃이 인쇄되도록 하는 출력 시스템.
KR1020010043209A 2001-07-13 2001-07-18 문자 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출력 시스템 KR100841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42511 2001-07-13
KR1020010042511 2001-07-13
KR20010042654 2001-07-14
KR1020010042654 2001-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683A true KR20010096683A (ko) 2001-11-08
KR100841601B1 KR100841601B1 (ko) 2008-06-26

Family

ID=2663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209A KR100841601B1 (ko) 2001-07-13 2001-07-18 문자 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6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692B1 (ko) * 1999-12-21 2002-07-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단말기에 의해 송수신 되는 문자 메시지를 인터넷을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100361170B1 (ko) * 2000-02-10 2002-11-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그림 문자를 전송하는 시스템과 방법
KR20000054088A (ko) * 2000-05-22 2000-09-05 서수길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KR100366435B1 (ko) * 2000-07-31 2002-12-31 (주)시스윌 이미지 문자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016442A (ko) * 2000-12-11 2001-03-05 권준성 문자메세지를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601B1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95456A1 (en) Content publishing over mobile networks
US8380786B2 (en) Subscribing to mobile media sharing
US91611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cellular text messaging services
US20050164691A1 (en) Method and system of over-the-air activation and modification of a mobile phone
US20060212818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
US20070011248A1 (en) Web publishing arrangement
JP5280619B2 (ja) 通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2061252B1 (ko) 1회 스캔으로 쌍방 간에 전자명함이 교환되는 qr코드를 이용한 전자명함 교환 방법 및 시스템
TWI242359B (en) Method us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to subscribe electronic newspaper and structure thereof
JP2003085089A (ja) ホームページ作成・更新方法、及びそのために用いられるホームページ作成・更新用記入シート、ファクシミリ装置、ctiサーバ、ウェブサーバ、又はサーバ装置及びホームページ作成・更新ファクシミリ通信システム
EP1297667B1 (en) Electronic greeting card
JP3678660B2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881678A1 (en) Media Sharing Service
KR100841601B1 (ko) 문자 메시지 활자화 지원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출력 시스템
EP1317124A1 (en) Image data improvement for wireless transmitted digital image data
US87445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invocation and response with a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ransmitted code content recognition
KR20060027770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송되는 모바일 초대장 제공 시스템및 방법
WO2001084403A1 (fr) Systeme et methode de gestion d'informations
WO2007098649A1 (fr) Système de gestion de réseau et procédé de transmission de carte à messages courts, de cartes d'informations ou de cartes de visite
KR100716734B1 (ko) 개인 피알(pr)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101101966B1 (ko) 다중수신자 지정메시지 발송시스템 및 방법
EP20734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ail communication using mobile devices, in particular mobile phones, on basis of at least one of mobile phone numbers and graphics or image personalization technology
JP2004118796A (ja) 携帯電話用ホームページ作成機能を備えたサーバーコンピュータ
KR20040087355A (ko) 온오프라인통합명함시스템
JPWO2008038399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