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241A - 개선된 울림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용 무선 전화 - Google Patents

개선된 울림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용 무선 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241A
KR20010095241A KR1020010017479A KR20010017479A KR20010095241A KR 20010095241 A KR20010095241 A KR 20010095241A KR 1020010017479 A KR1020010017479 A KR 1020010017479A KR 20010017479 A KR20010017479 A KR 20010017479A KR 20010095241 A KR20010095241 A KR 20010095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ing
delay line
output signal
sign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비드 무스띠
에띠엔느 까리르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9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2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acoustic signal generation device)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안한다. 이러한 장치는 디지털 입력 신호(in)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입력 유닛(IU)을 대개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디지털 입력 신호의 N개의 샘플들을 수신하여, 이 샘플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들을 저장하고 지연하도록 적응되는 지연 라인(DL)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변형된 데이터 값을 형성하기 위해서 지연 라인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두 개의 지연된 데이터 값들을 결합하도록 적응되는 연산 유닛(AU)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은 지연 라인에 다시 로딩되어서 값(N)만큼 지연되며, 이러한 변형된 데이터 값들은 출력 신호(s)를 또한 함께 형성하며, 이러한 출력 신호(s)의 주파수 내용은 다른 세기들을 갖는 하모닉(harmonic)을 가지고 발생되며 풍부하게되는(enriched) 신호의 기본 주파수를 포함한다. 결국, 휴대용 장치는, 출력 신호를 사용자의 귀에 듣기에 유쾌하게(pleasantly) 소리가 나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출력 신호를 기초하여 음악 사운드를 발생하도록 적응되는 출력 유닛(OU)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또는 이동 전화에 응용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울림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용 무선 전화{PORTABLE CORDLESS TELEPHONE HAVING AN IMPROVED RINGING DEVICE}
본 발명은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장치는, 예컨대 DECT 유형의 디지털 원격통신 시스템이나 GSM 유형의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일 수 있다.
일본 특허 명세서(제 9101786A 호)는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를 통해서 멜로디가 비록 최소한의 메모리 수단들만 사용될지라도 디지털 신호 처리기의 도움으로 생성될 수 있다. 멜로디 생성 디바이스는, 음표들과 같은 멜로디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갖는다. 후속적으로, 제어기가 이 음표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사운드 생성기는 음표들의 주파수를 갖는 주기적인 소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엔빌로프(envelope) 생성기는 엔빌로프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엔빌로프 신호는 멜로디를 생성하기 위해서 소스 신호와 결합된다.
음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는, 열악한 음악적 반향(poor musical sonority)을 가지며, 그러므로 사용자가 듣기에 유쾌하지 않은 멜로디를 생성한다는 결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쾌한(pleasant)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용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에 포함된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acoustic signal generation device)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개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신호 생성 방법에 대한 블록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L : 지연 라인 DU : 유닛 지연 라인
AV : 평균 유닛 AU : 연산 유닛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 디지털 입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유닛과;
- 초기에 N개의 디지털 입력 신호 샘플을 수신하기 위한 지연 라인으로서, 상기 값(N)은 발생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에 의존하며, 상기 샘플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들을 저장하고 지연하기 위한 지연 라인과;
- 변형된 데이터 값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지연 라인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두 개의 지연된 데이터 값들을 결합하기 위한 연산 유닛(arithmetic unit)으로서,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은 상기 지연 라인에 다시 저장되고, 기간(N)만큼 지연되어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들이 출력 신호를 함께 또한 형성하는, 연산 유닛과;
-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를 제안한다.
이러한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는 초기에 지연 라인에 유입된 디지털 입력 신호의 주파수 내용이 연산 유닛 덕택에 간단한 방식으로 변형되게 한다.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의 출력에서 얻어진 사운드의 음질(timbre)이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에 추가되는 하모닉(harmonic)의 존재로 인해 더 풍부해짐(enricher)을 알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는 듣기에 더 유쾌한 멜로디를 생성하게 하며, 이러한 발생된 사운드들은, 사인파 신호들에 기초하는 음악적으로 열악한 품질을 갖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종래의 휴대용 장치들에 비교해서 자연의 사운드에 더 가깝게 된다.
본 발명은,
- 발생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 제공되어야할 출력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및 지연 라인의 최대 길이에 기초해서 업-샘플링 주파수를 계산하기 위한 업-샘플링 수단으로서, 상기 데이터는 그에 따라 결정된 업-샘플링 주파수에서 상기 지연 라인과 연산 유닛에 의해 처리되는, 업-샘플링 수단과;
- 상기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를 출력 유닛에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업-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를 다운-샘플링하기 위한 다운-샘플링 수단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를 또한 제안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를 통해서, 지연 라인의 내용을 최적화하여, 그에 따라 연산 유닛과 함께 지연 라인을 통해 디지털 입력 신호를 생성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의 함수로써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 및 좀더 상세한 다른 양상들은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서 더 뚜렷하게 분명해질 것이며, 이러한 설명은 예를 통해서 수반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장치는 안테나, 스크린, 이어폰, 마이크로폰, 키보드 및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휴대용 장치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와 같은 울림 디바이스와 제한된 계산 자원을 갖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휴대용 장치에도 응용될 수 있다.
도 2는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의 동작 원리를 예시한다. 이러한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는 주로,
- 디지털 입력 신호(in)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입력 유닛(IU)으로서, 예컨대 기준 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인, 입력 유닛(IU)과;
- 지연 라인(DL)으로서,
o 초기에 N개의 디지털 입력 신호 샘플들로 로딩되며, 상기 값(N)은 발생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에 의존하고,
o 상기 샘플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들을 저장하며 순환방식으로 지연하도록 적응되는 지연 라인(DL)과;
- 변형된 데이터 값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지연 라인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두 개의 지연된 데이터 값들을 결합하도록 적응되는 연산 유닛(AU : Arithmetic Unit)으로서,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은 상기 지연 라인으로 다시 로딩되며, 상기 기간(N)만큼 지연되어서 이러한 변경된 데이터 값들은 출력 신호(s)를 또한 함께 형성하며, 이러한 출력 신호(s)의 주파수 내용은 다른 세기들을 갖는 하모닉을 가지고 발생되고 풍부하게 되는 신호의 기본 주파수를 포함하는, 연산 유닛(AU)과;
- 출력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향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유쾌한 음악 사운드를 발생하도록 적응되는 출력 유닛(OU)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IU)은 기준 신호(in)를 저장하는 메모리(MEM)를 포함한다. 이 기준 신호는, 평균값이 0이며 백색 잡음을 나타내는 샘플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신호는 주 지연 라인(DL)의 입력 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주 지연 라인은 초기에 N개의 디지털 입력 신호 샘플들로 로딩될 수 있지만, 또한 지연된 샘플들(Sn-N)을 연산 유닛에 제공하도록 상기 샘플들을 저장하고, 기간(N)만큼 지연할 수 있다. 사용되는 주 지연 라인의 길이(N)는 플레이될 음표의 주파수(fp)를 나타낸다. 예컨대, 기본 주파수(fc3)가 130.80Hz인 음표(C3)를 플레이하기 위해서, 필요한 샘플들의 개수(N)는 Fe/fc3, 즉 244개의 샘플이다.
연산 유닛(AU)은, 하나의 유닛 길이를 갖는 유닛 지연 라인(DU)과, 평균 유닛(AV)을 포함하며, 이 평균 유닛(AV)은 샘플 순간(n)에서 주 지연 라인으로부터의 샘플들(Sn-N)과 유닛 지연 라인으로부터의 샘플들(Sn-N-1)을 수신한다. 그러면, 평균 유닛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출력 신호(s)의 샘플(sn)에 대한 데이터 값을 결정한다:
sn= C지속x (sn-N+ sn-N-1)
여기서, C지속은 지속 상수이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통해서, 다른 세기들을 갖는 기본 주파수(fp)의 하모닉을 포함하는 기본 주파수(fp)의 음향 신호를 얻을 수 있으며, 여기서 음향 신호는 악기들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의 품질에 가까운 사운드 품질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속 상수는 1/2 또는 이 값에 매우 근접한 값이며, 이러한 값의 결과로,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의 출력은 기타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를 닮은 사운드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두 개의 지연된 샘플들의 결합으로 제한되기보다는, 다른 지연 라인들로부터 필요하게되거나 평균 유닛에 의해 얻어진 함수의 변형에 의해서 두 개 이상의 지연된 샘플들의 임의의 결합에 적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응하는 해결책은 이것이 작은 계산 용량을 필요로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가청의 신호로 변환되기 위해서, 연산 유닛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출력 유닛(OU)에 인가된다. 이 출력 유닛은,
- 디지털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와;
- 특히, 잡음에 의해 야기된 아날로그 출력 신호에서의 원치 않는 주파수를 제거하는 저역 필터(LPF)와;
- 상기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MP)와;
- 원하는 음악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확성기(SPK)를 직렬로 포함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선된 버전을 도시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 메모리(MEM)에 저장된 기준 신호(in)는 16비트로 인코딩된 128개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백색 잡음을 나타낸다. 이 기준 신호는 0의 평균값을 가지며, 메모리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이것은 주어진 응용에 대해 한번만(once and for all) 고정된다.
기준 신호는 한번 이상 지연 라인(DL)으로 로딩되며, 이 지연 라인의 최대 길이(Nmax)는 응용에 의해 또한 지시되며, 예컨대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 최대 길이(Nmax)는 256개의 샘플과 같으며, 이러한 샘플들은, 즉 사운드 진폭은 16비트로인코딩된다.
연산 유닛(AU)은 출력 신호(s[Fe])를 출력 유닛(OU)에 주어진 샘플링 주파수(Fe)로 제공해야 하며, 본 경우에 이 샘플링 주파수는 32kHz이다. 만약 지연 라인과 연산 유닛에 의한 데이터 처리가 샘플링 주파수(Fe)에서 이뤄진다면, 고주파수의 음표들은 지연 라인의 작은 부분을 사용할 것이며, 지연 라인 및 연산 유닛의 결합에 의한 처리에 의해 초래된 음향 신호는 고품질을 갖지는 않을 것이다. 실제로, 주파수(fp)를 갖는 음표를 생성하기 위해서 입력 유닛에 의해 지연 라인에 제공된 샘플들의 개수(N)는,
N = Fe/fp이며, 여기서 /는 나눗셈이며, 이것은 가장 근접한 정수로 사사오입되는(round off) N에 대한 값을 산출한다.
주파수(fp)가 증가할 때, 샘플들의 개수(N)는 감소하며, 이러한 결과로 지연 라인은 점점 더 작은 한도로 채워지며, 그에 따라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음표들은 덜 만족스럽게 처리된다. 따라서, 기본 주파수(fD5)가 587.40Hz인 음표(D5)를 재발생시키기 위해서, 샘플들의 개수(N)는 Fe/fD5, 즉 54개의 샘플들이 될 것이며, 여기서 이러한 값은 지연 라인의 최대 길이(Nmax)의 1/4보다 더 작은 값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목적은 지연 라인 및 연산 유닛에 의한 데이터 처리의 주파수를 생성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fp)의 함수로서 다이내믹하게 적응하며, 지연 라인의 최대 길이(Nmax) 및 출력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Fe)에 의해 부여되는 제한에 대한 참작이 우리어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고 주파수에 대한 지연 라인의 채움이 최적화되게 하며, 그에 따라 상기 주파수의 사운드 품질이 개선되게 한다.
이를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는 업-샘플링 수단(US)을 포함한다. 이러한 업-샘플링 수단은 데이터가 샘플링 주파수(Fe)보다 더 높은 업-샘플링 주파수(Few)로 처리되게 하여, 더 정밀한 결과 데이터를 얻게 한다. 이를 위해 업-샘플링 수단은 곱셈 인자(K)를 계산하며, 이 곱셈 인자(K)를 통해서 샘플링 주파수(Fe)를 업-샘플링 주파수(Few)로 전환할 수 있다, 즉 Few = K x Fe. 상기 업-샘플링 수단은 다음의 방식으로 지연 라인의 최적화된 채움을 보증한다, 즉 N이 업-샘플링 주파수(Few)에 대응하는 샘플들의 개수일 때, 이것은
N = Few/fp를 통해서 산출된다. 인자(K)는 값(N)을 최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계산되며, 이 값이 Nmax 이하로 유지되도록 주의해야 한다. 실제적인 이유들로인해, 인자(K)는 제 2 실시예에서 2의 거듭제곱과 같도록 선택된다, 즉
K = 2i이고, 여기서는 정수이며,
= 임계값(log2(fp x Nmax/Fe))
과 같이 계산되며, 여기서 임계값(x)은 x의 사사오입된 정수값을 산출하는 함수이며, log2(x)는 밑이 2인 x의 로그값을 산출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주파수(fD5)가 587.40Hz인 음표(D5)를 재발생시키기 위해서, 인자(K)의 값은 4이며, 이것은 128kHz의 업-샘플링 주파수에 대응하며, 샘플들의 개수(N)는 32kHz의 샘플링 주파수(Fe)로 사용될 수 있었던 54개의 샘플 대신에Few/fD5, 즉 217개의 샘플들과 같다. 당업자에게는, 예컨대 K = fp x Nmax/Fe와 같이 2의 거듭제곱과는 다른 인자(K)가 마찬가지로 가능함이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해결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계산 수단보다 더 복잡한 계산 수단을 필요로한다.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는 또한 다운-샘플링 수단(DS)을 포함하며, 이 다운-샘플링 수단(DS)은 업-샘플링 주파수(Few)로 샘플링되었던 출력 신호(s[Few])가 다운-샘플링되게 하여서 샘플링 주파수(Fe)로 샘플링되었던 출력 신호(s[Fe])를 얻게 한다. 인자(K)는 2의 거듭제곱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다운-샘플링 수단은 연속 데시메이션(decimation) 필터를 포함한다.
이 제 2 인코딩 방법의 목적은 감소하는 진폭을 갖는 음표와 연장음표(pause) 사이의 변환음(transition)들 동안에 기생음 영향(parasitic effects)을 피하는 것이며, 여기서 변환음은 클리킹(clicking) 사운드에서 변환음 자체를 명확하게 드러낸다.
실제로, 지연 라인은, 음표의 기본 주파수(fp)와 상관없이 메모리(MEM)로부터의 N개의 데이터 값들로 초기화된다. 그러한 결과로, 주어진 음표에 대해서, 지연 라인(DL)으로 로딩된 디지털 입력 신호(in)의 샘플들의 개수(N)는 128의 배수와는 다를 것이며, 여기서 디지털 입력 신호는 평균값이 0인 128개의 샘플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지연 라인은 0이 아닌 평균값을 갖는 샘플들을 포함하며, 이때 생성된 출력 신호(s)는 직류성분(d.c.)을 가지며,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감소하는 진폭을 갖는 신호와 연장음 사이의 변환음에서 클리킹 사운드로서 감지된다. 이러한 원치 않는 d.c 성분을 억압하기 위해서,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는 정정 수단(CM)을 포함하며, 이 정정 수단(CM)은 지연 라인에 존재하는 데이터 값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며, 업-샘플링 주파수 또는 샘플링 주파수에서 샘플링된 출력 신호의 데이터 값들로부터 이 평균값을 뺀다.
따라서,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는 악기에 의해 발생된 사운드 품질에 가까운 준-자연(quasi-natural) 사운드 품질을 가지며, 그리하여 현재 시장에서 이용 가능한 휴대용 전화와 같은 종래의 울림 디바이스들에 의해 생성된 것보다 사용자의 귀에 훨씬 유쾌하게 되는 멜로디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디지털 입력 신호(in)로부터 음향 신호(s)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방법은,
- N개의 디지털 입력 신호 샘플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들을 표에 저장하는 단계(STO)로서, 상기 값(N)은 발생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에 의존하는, 저장 단계(STO)와;
- 상기 표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을 지연하는 단계(DEL)와;
- 변형된 데이터 값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지연된 값들을 결합하는 단계(COM)로서,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은 상기 표에 다시 저장되며, 상기 값(N)만큼 지연되며, 이러한 변형된 데이터 값들은 출력 신호를 함께 또한 형성하는, 결합 단계(COM)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 발생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 출력 신호가 제공되게 되는 샘플링 주파수 및 표의 최대 길이에 기초하여 업-샘플링 주파수가 계산되는 업-샘플링 단계(US)로서, 상기 데이터의 처리는 상기 저장 및 결합 단계에 의해 그에 따라 결정된 상기 업-샘플링 주파수에서 이뤄지는, 업-샘플링 단계(US)와;
- 상기 샘플링 주파수(s[Fe])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업-샘플링 주파수(s[Few])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가 다운-샘플링되는 다운-샘플링 단계(DS)를 더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다른 단계들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좀더 상세하게 구현된다.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이러한 단계들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래밍 메모리에 포함된 지시(instruction) 세트는 집적회로가 음향 신호 생성 방법의 다른 단계들을 수행하게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지시 세트는, 예컨대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운반체를 판독함으로써 프로그래밍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시 세트는 또한, 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청구항에서의 임의의 참조부호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동사 "포함하다" 및 이것의 활용어에 대한 사용이 청구항에서 한정된 것 이외의 임의의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로 기재된 요소 또는 단계는 상기 요소 또는 단계가 복수개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용 장치가 듣기에 더 유쾌한 사운드를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acoustic signal generation device)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로서,
    상기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는,
    - 디지털 입력 신호(in)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유닛(IU)과;
    - 초기에 N개의 디지털 입력 신호 샘플을 수신하기 위한 지연 라인(DL)으로서, 상기 값(N)은 발생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에 의존하며, 상기 샘플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들을 저장하고 지연하기 위한 지연 라인(DL)과;
    - 변형된 데이터 값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지연 라인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두 개의 지연된 데이터 값들을 결합하기 위한 연산 유닛(AU)으로서,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은 상기 지연 라인에 다시 저장되고, 기간(N)만큼 지연되어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들이 출력 신호(s)를 함께 또한 형성하는, 연산 유닛(AU)과;
    - 상기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출력 유닛(OU)을,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는,
    - 발생될 상기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 제공되어야할 출력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및 상기 지연 라인(DL)의 최대 길이에 기초해서 업-샘플링(up-sampling)주파수를 계산하기 위한 업-샘플링 수단(US)으로서, 상기 데이터는 그에 따라 결정된 업-샘플링 주파수에서 상기 지연 라인과 연산 유닛(AU)에 의해 처리되는, 업-샘플링 수단(US)과;
    - 상기 샘플링 주파수(s[Fe])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를 상기 출력 유닛에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업-샘플링 주파수(s[Few])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를 다운-샘플링(down-sampling)하기 위한 다운-샘플링 수단(DS)을,
    또한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라인에 존재하는 상기 데이터 값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데이터 값에서 이 평균값을 빼기 위한 정정 수단(CM)을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샘플링 순간(n)에서의 상기 출력 신호 샘플의 데이터 값(sn)은 N만큼 지연된 데이터 값(sn-N)과 N+1만큼 지연된 데이터 값(sn-N-1)의 평균값과 같은, 휴대용 장치.
  5. 디지털 입력 신호(in)로부터 음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 초기에 N개의 디지털 입력 신호 샘플을 수신하기 위한 지연 라인(DL)으로서, 상기 값(N)은 발생될 상기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에 의존하며, 상기 샘플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들을 저장하고 지연하기 위한 지연 라인(DL)과;
    - 변형된 데이터 값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지연 라인으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두 개의 지연된 데이터 값들을 결합하기 위한 연산 유닛(AU)으로서,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은 상기 지연 라인에 다시 저장되고, 기간(N)만큼 지연되어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들이 출력 신호를 함께 또한 형성하는, 연산 유닛(AU)과;
    - 상기 발생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 제공되어야할 출력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 및 지연 라인의 최대 길이에 기초해서 업-샘플링(up-sampling) 주파수를 계산하기 위한 업-샘플링 수단(US)으로서, 상기 데이터는 그에 따라 결정된 업-샘플링 주파수에서 상기 지연 라인과 상기 연산 유닛에 의해 처리되는, 업-샘플링 수단(US)과;
    - 상기 샘플링 주파수(s[Fe])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를 상기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적응된 출력 유닛(OU)에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업-샘플링 주파수(s[Few])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를 다운-샘플링(down-sampling)하기 위한 다운-샘플링 수단(DS)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라인에 존재하는 상기 데이터 값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데이터 값에서 이 평균값을 빼기 위한 정정 수단(CM)을 포함하는,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
  7. 제 5항에 있어서, 샘플링 순간(n)에서의 상기 출력 신호 샘플의 데이터 값(sn)은 N만큼 지연된 데이터 값(sn-N)과 N+1만큼 지연된 데이터 값(sn-N-1)의 평균값과 같은, 음향 신호 생성 디바이스.
  8. 음향 신호로 변환될 출력 신호(s[Fe])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입력 신호(in)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 N개의 디지털 입력 신호 샘플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들을 표에 저장하는 단계(STO)로서, 상기 값(N)은 상기 발생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에 의존하는, 저장 단계(STO)와;
    - 상기 표에 저장된 데이터 값들을 지연하는 단계(DEL)와;
    - 변형된 데이터 값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지연된 값들을 결합하는 단계(COM)로서,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은 상기 표에 다시 저장되며, 상기 값(N)만큼 지연되어, 상기 변형된 데이터 값들은 상기 출력 신호를 함께 또한 형성하는, 결합 단계(COM)와;
    - 상기 발생될 음향 신호의 기본 주파수, 출력 신호가 제공되게 되는 샘플링 주파수 및 상기 표의 최대 길이에 기초하여 업-샘플링 주파수를 계산하기 위한 업-샘플링 단계(US)로서, 상기 데이터의 처리는 상기 저장 및 결합 단계에 의해 그에 따라 결정된 상기 업-샘플링 주파수에서 이뤄지는, 업-샘플링 단계(US)와;
    - 상기 샘플링 주파수(s[Fe])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업-샘플링 주파수(s[Few])로 샘플링된 출력 신호를 다운-샘플링하는 단계(DS)를,
    포함하는 디지털 입력 신호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라인에 존재하는 상기 데이터 값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데이터 값에서 이 평균값을 빼기 위한 정정 단계(CM)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입력 신호 처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샘플링 순간(n)에서의 상기 출력 신호 샘플의 데이터 값(sn)은 N만큼 지연된 데이터 값(sn-N)과 N+1만큼 지연된 데이터 값(sn-N-1)의 평균값과 같은, 디지털 입력 신호 처리 방법.
  11. 휴대용 장치로 로딩될 때, 상기 휴대용 장치가 제 8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지시(instruction)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10017479A 2000-04-04 2001-04-02 개선된 울림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용 무선 전화 KR200100952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4289A FR2807255A1 (fr) 2000-04-04 2000-04-04 Radiotelephone portatif a sonnerie amelioree
FR0004289 2000-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241A true KR20010095241A (ko) 2001-11-03

Family

ID=884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479A KR20010095241A (ko) 2000-04-04 2001-04-02 개선된 울림 디바이스를 갖는 휴대용 무선 전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63246B2 (ko)
EP (1) EP1161076A1 (ko)
JP (1) JP2002006845A (ko)
KR (1) KR20010095241A (ko)
CN (1) CN1168340C (ko)
FR (1) FR28072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222B1 (ko) * 2002-10-05 2005-07-05 주식회사 코맥스 전화기의 호출음 발생 장치
KR101329308B1 (ko) * 2006-11-22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성분 보강 방법 및 그 장치, 오디오신호의 기본 주파수 계산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7733A1 (en) * 2002-04-25 2003-10-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dio bandwidth extending system and method
US20050175185A1 (en) * 2002-04-25 2005-08-11 Peter Korner Audio bandwidth extending system and method
WO2003092255A1 (en) * 2002-04-25 2003-11-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dio bandwidth extend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9783A (en) * 1983-02-02 1987-03-1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Wavetable-modification instrument and method for generating musical sound
US5295178A (en) * 1990-12-03 1994-03-15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radio base station
US5390244A (en) * 1993-09-10 1995-02-14 Poly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odic signal detection
JP3729524B2 (ja) * 1994-12-21 2005-12-21 ソニー株式会社 音響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3283163B2 (ja) * 1995-10-04 2002-05-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Dspによるメロディ発生装置
GB2313017A (en) * 1996-05-09 1997-11-12 Motorola Israel Ltd Signal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246761B1 (en) * 1997-07-24 2001-06-12 Nortel Networks Limited Automatic volume control for a telephone ringer
JP3082739B2 (ja) * 1998-03-27 2000-08-28 日本電気株式会社 Isdnターミナルアダプ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222B1 (ko) * 2002-10-05 2005-07-05 주식회사 코맥스 전화기의 호출음 발생 장치
KR101329308B1 (ko) * 2006-11-22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성분 보강 방법 및 그 장치, 오디오신호의 기본 주파수 계산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1076A1 (fr) 2001-12-05
US6763246B2 (en) 2004-07-13
JP2002006845A (ja) 2002-01-11
CN1168340C (zh) 2004-09-22
FR2807255A1 (fr) 2001-10-05
CN1324200A (zh) 2001-11-28
US20010034252A1 (en)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75185A1 (en) Audio bandwidth extending system and method
JP2002156975A (ja) 音生成装置及び方法
US6763246B2 (en) Portable cordless telephone having an improved ringing device
JP4527715B2 (ja) Midiファイルの再生の最適化
KR20050057040A (ko) 사운드 신시사이저
JP3513414B2 (ja) フォルマント・シフト補償音響シンセサイザおよびその操作方法
KR100598209B1 (ko) Midi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4157295A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演奏データの補正方法
KR100535428B1 (ko) 음원 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전화 단말
US7151215B2 (en) Waveform adjusting system for music file
EP1519619B1 (en) Loudspeaker sensitive sound reproduction
JP3788564B2 (ja) メロディ音発生装置
EP1357733A1 (en) Audio bandwidth extending system and method
JP2008304670A (ja) 電子音源装置
KR20050087368A (ko) 무선 단말기의 벨소리 처리 장치
JP2000165238A (ja) D/a変換装置
JP3661627B2 (ja) エフェクタ搭載端末装置
JP4306944B2 (ja) 楽音再生装置
JP2008009031A (ja) 音源処理装置、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電子機器
KR20030061091A (ko) 통신 단말기의 키음 발생 장치
JP2968847B2 (ja) 雑音発生装置
JPH0537371A (ja) D/a変換装置
JP2002006852A (ja) 音声信号発生方法、音声信号発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19101390A (ja) Fm音源を使った、cdに替わる音楽再生方法
JP2005537506A (ja) サウンド・シンセサ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