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811A -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 Google Patents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811A
KR20010094811A KR1020000018098A KR20000018098A KR20010094811A KR 20010094811 A KR20010094811 A KR 20010094811A KR 1020000018098 A KR1020000018098 A KR 1020000018098A KR 20000018098 A KR20000018098 A KR 20000018098A KR 20010094811 A KR20010094811 A KR 2001009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microphone
lid
main bod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
Original Assignee
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 filed Critical 박용
Priority to KR102000001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4811A/ko
Publication of KR2001009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사용자 귀의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귀의 입구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및 집음(集音)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한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구성되어 음향기기에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상기 연결잭과 본체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상기 본체가 진동판, 진동판에 부착된 원통 모양의 코일을 포함하고, 사람의 귀에 꽂을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음파를 전기적인 음향 신호로 바꾸어주는 귀 삽입형 마이크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Insert microphone/circumaural type microphone}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로폰을 사용자 귀의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귀의 입구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및 집음(集音)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한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 기술의 마이크로폰 및 이어폰/헤드폰등의 음향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어폰/헤드폰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Microphone)은 음파에 의해 진동판을 진동시켜 음파에 비례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음향변환소자를 말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폰은 변환 방식 및 지향성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변환 방식에 따른 종류로는 전자기형,정전기형,저항형으로 나눌 수 있고, 전자기형으로는 다이나믹 마이크로폰,리본 마이크로폰,마그네틱 마이크로폰등이 있다.
다이나믹 마이크로폰은 진동판에 부착된 원통 모양의 코일을 자기장속에 넣은 것으로 구조는 다이나믹 스피커와 동일하고, 음파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하게 되면 코일이 자기장속을 움직여 발전이 된다.
그리고 리본 마이크로폰은 고력 알루미늄과 티탄등으로 만든 두께 수㎛ ~ 수십㎛의 얇은 리본을 자기장속에 넣고 음파를 이 리본으로 직접받아 그 진동에 따라 리본에 발전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그리고 마그네틱 마이크로폰은 진동판을 강자성체로 만들며, 자성체의 쌍극,영구 자석 및 고정 코일을 좁은 간극을 사이로 하여 두고, 진동판이 진동하여 간극이 증감될때 고정 코일에 발전이 일어나는 구조를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정전기형은 크게 콘덴서 마이크로폰, 일렉트릭마이크로폰,압전마이크로폰등이 있는데, 여기서,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정밀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여 음을 측정하는 표준기로 사용된다.
그리고 저항형은 탄소 마이크로폰이 있는데, 동작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음의 방향에 따라 감도가 달라지는 정도를 지향성이라 하는데, 이 지향성을 기준으로 마이크로폰을 나누면, 전지향성(무지향성),양지향성,단일 지향성,초지향성 마이크로폰등이 있다.
이와 같이 음파를 전기적 진동으로 바꾸는 마이크로폰과 반대의 개념으로 전기적 진동을 음파로 바꾸는 변환기의 일종인 이어폰/헤드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어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어폰은 귀에 밀착시켜 장착함으로써 귀에 직접 음이 전해지도록한 기구이다.
귀에 장착하는 방식에 따라 삽입 이어폰(insert earphone), 귀에 거는식(supraaural type) 이어폰, 귀덮개식(circumaural type) 이어폰으로 나눌 수 있다.
이어폰은 음성 신호의 전류 방향이나 크기가 달라지는 것에 의해 자기력의 강.약이 발생되고 이 자기력의 강.약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되어 발생된 음압이 귀에 전해진다.
그 구성은 본체 내부에 음성 신호의 전류 방향이 크기에 따라 자기력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1)을 포함하는 코일 단자(2)가 구성되고, 코일(1)이 감겨진 중심에 위치하는 철심(3)이 구성된다.
그리고 진동판(4),마그넷(5),베이크판(6)이 구성되는 알루미늄 프레임(7)이 본체의 가장 외곽에 위치된다.
그리고 본체의 일측에는 실제 귀에 접하는 부분으로 돌기 형태의 커버(8)가 구성된다.
이어폰 본체는 신호선으로 연결된 잭(9)에 의해 음향기기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이어폰을 하나 또는 두개를 머리에 걸칠 수 있도록 밴드를 구성한것이 헤드폰(headphone)이다.
이와 같은 이어폰/헤드폰을 이용하면 귀에만 소리가 전달되므로 외부 소음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2a내지 도 2e는 종래 기술의 이어폰, 헤드폰, 이어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이어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헤드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서로 각각의 기능을 갖고 따로 사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도 2d는 마이크로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 역시 별개로 사용되는 구조이다.
도 2c는 마이크로폰과 이어폰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이어 마이크로폰의 구조로써, 이어폰(또는 헤드폰) 한개와 마이크로폰 하나가 결합되거나, 이어폰(또는 헤드폰) 두개와 마이크로폰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으로 소리를 들으며 입으로 말을 하면 입 가까이 있는 마이크로폰에 소리가 절달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마이크로폰, 이어폰/헤드폰 또는 이어 마이크로폰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마이크로폰과 이어폰(또는 헤드폰)이 별개로 사용되는 경우, 마이크로폰이 항상 입 가까이에 위치하고, 이어폰(또는 헤드폰)이 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한다.
이는 사용자의 행동의 제약을 가져온다.
왜냐하면, 마이크로폰의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 상대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크기가 달라져 의사 전달의 정확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특히 동시 통역이 필요한 회의 석상에서는 그 문제가 더욱 커진다.
또한, 이어폰(또는 헤드폰)과 마이크를 결합한 이어 마이크로폰의 경우에도 고개를 바르게한 정자세의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고개를 숙이거나 고개를 좌우로 돌리는 경우에는 마이크로폰의 위치가 달라져 상대에게 전달되는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공통적으로 마이크로폰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 잡음에 대해 자유롭지 못하다.
특히 증권 객장 또는 은행등에서 주로 이어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데 이경우에는 고객과의 상담시에 외부 잡음에 의해 업무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마이크로폰, 이어폰(또는 헤드폰) 또는 이어 마이크로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로폰을 사용자 귀의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귀의 입구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및 집음(集音)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한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어폰/헤드폰의 구성도
도 2a내지 도 2e는 종래 기술의 이어폰, 헤드폰, 이어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의 구성도
도 3은 사람의 귀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구성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하우징 구성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구성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어폰 겸용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사용중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연결잭 42. 귀 삽입형 마이크부
43. 증폭부 44. 덮개식 마이크부
45. 이어폰 46. 헤드폰
47. 이어폰/귀 삽입형 마이크 전환 스위치
48. 헤드폰/덮개식 마이크 전환 스위치
51. 하우징 52. 음파/전기적 음향 신호 변환 수단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은 일단에 구성되어 음향기기에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상기 연결잭과 본체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상기 본체가 진동판, 진동판에 부착된 원통 모양의 코일을 포함하고, 사람의 귀에 꽂을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음파를 전기적인 음향 신호로 바꾸어주는 귀 삽입형 마이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은 마이크를 사용자의 귀의 내부에 위치시키거나 최대한 귀에 밀착시켜 소리 전달을 공기의 진동이 아닌 사용자의 귀 자체(특히 고막)의 진동을 이용한 것으로, 사람의 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사람의 귀의 구조도이다.
사람의 청각계는 먼저, 귀 또는 귓바퀴라고 하는 외이도(31)가 있다. 외이도는 소리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막(32)이 있는데 고막(32)은 중이쪽에 움푹한 모양으로 펼쳐진 깔때기 모양의 막으로 고유 진동수를 갖지 않고 넓은 범위의 진동수의 외래 음파에 대해 균등하게 공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막 안쪽에 3개가 구성되는 청소골(33)은 고막(32)의 진동을 내이의 림프 진동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음압을 약 20배 정도 높인다.)
그리고 고막(32)의 내외의 기압을 균등하게 하여 고막(32)이 쉽게 진동하도록하는 유스타키오관(34)이 구성되고, 귀의 가장 안쪽 내이에는 고막(32)의 진동을 신경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전정 기관(35),달팽이관(36),반고리관(37)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람의 귀의 구조를 이용하여 고막의 진동(사용자의 말에 의해 울리는 진동)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폰으로 소리가 전달되도록한 것으로 고막의 진동 이외에 사용자의 목가 귀사이의 피부 조직의 진동을 이용한 것이다.
물론, 외부 공기의 진동에 의한 소리 역시 집음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폰을 귓속에 삽입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귀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한 귀 삽입 마이크로폰과 덮개식 마이크로폰이다.
사람이 말을 하면 소리는 목젓을 울려 입밖으로 나오는데, 이때에 귀와 입 그리고 코를 통하여 몸밖으로 소리가 울려나온다. 이때에 귀를 통하여 울려나오는 소리는 고막을 울리게 되는데 이 진동은 귀 내부에 위치시킨 본 발명의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은 종래에 입에 대고 사용하던 개별 마이크로폰의 역할을 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일단에 음향기기에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41)이 구성되고, 타단에 이어폰과 같이 사람의 귀에 꽂을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로 귀 삽입형 마이크부(42)가 구성된다. 연결잭(41)과 귀 삽입형 마이크부(42)사이에는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 라인이 구성된다.
귀 삽입형 마이크부(42)는 진동판, 진동판에 부착된 원통 모양의 코일을 포함하는 음파/전기적 음향 신호 변환 수단에 의해 음파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하게 되면 코일이 자기장속을 움직여 발전이 되도록 하여 사람의 소리를 전기적인 음향 신호로 바꾸어준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귀 삽입형 마이크부(42) 대신에 음집 수단이 구성되는 돌출부의 반대쪽에 귀에 밀착시킬 수 있고 외부 잡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밴드를 구성한 덮개식 마이크부(44)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연결 라인의 중간 부분 또는 연결잭(41) 또는 덮개식 마이크부(44)의 밴드 내부에 전기적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43)를 더 구성하여 음질을 향상시킨 것이다.
그 구성은 일단에 음향기기에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41)이 구성되고, 타단에 이어폰과 같이 사람의 귀에 꽂을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로 귀 삽입형 마이크부(42)가 구성된다. 연결잭(41)과 귀 삽입형 마이크부(42)사이에는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 라인이 구성된다.
그리고 귀 삽입형 마이크부(42)에 의해 집음 변환된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43)가 연결 라인의 중간 부분 또는 연결잭(41)에 더 구성된다.
여기서, 귀 삽입형 마이크부(42) 대신에 음집 수단이 구성되는 돌출부의 반대쪽에 귀에 밀착시킬 수 있고 외부 잡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밴드를 구성한 덮개식 마이크부(44)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식 마이크부(44)로 구성을 하는 경우에는 덮개식 마이크부(44)에 의해 집음 변환된 전기적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43)를 밴드 내부에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은 음의 집속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하우징을 구성할 수 있다.
즉, 귀 삽입형 마이크부(42) 또는 덮개식 마이크부(44)가 구성되는 본체는 하우징(51)의 중심에 음파/전기적 음향 신호 변환 수단(52)이 구성되고, 그를 중심으로 하여 전면 외측으로 갈수록 일정 곡률을 갖고 확대되도록 하우징(51)을 구성하여 음의 집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본체의 일단에는 귀의 일측에 대응되는 귀 삽입형 마이크부(42)를 구성한 것이고, 본체의 타단에는 귀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이어폰(45)을 구성한 것이다.
즉, 도 7a에서와 같이, 일단에 구성되어 음향기기에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41) 그리고 상기 연결잭(41)과 본체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 라인이 구성되고, 본체가 진동판, 진동판에 부착된 원통 모양의 코일을 포함하고, 사람의일측 귀에 꽂을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음파를 전기적인 음향 신호로 바꾸어주는 하나의 귀 삽입형 마이크부(42) 그리고 타측 귀에 꽂을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하나의 이어폰(4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도 7b에서와 같이, 귀 삽입형 마이크부(42) 대신에 음집 수단이 구성되는 돌출부의 반대쪽에 귀에 밀착시킬 수 있고 외부 잡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밴드를 구성한 덮개식 마이크부(44)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귀 삽입형 마이크부(42) 또는 덮개식 마이크부(44)에 의해 집음 변환된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43)가 연결 라인의 중간 부분 또는 연결잭(41)에 더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덮개식 마이크부(44)인 경우에는 덮개식 마이크부(44)에 의해 집음 변환된 전기적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43)를 밴드 내부에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도 8a에서와 같이, 귀의 일측에 대응하는 이어폰(45)과 귀의 타측에 대응하는 귀 삽입형 마이크부(42)를 선택적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한 이어폰/귀 삽입형 마이크 전환 스위치(47)를 더 구성한 것이다.
물론, 제 4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8b에서와 같이, 귀 삽입형 마이크부(42) 대신에 음집 수단이 구성되는 돌출부의 반대쪽에 귀에 밀착시킬 수 있고 외부 잡음을 차단할 수 있는 밴드를 구성한 덮개식 마이크부(44)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귀 삽입형 마이크부(42) 또는 덮개식 마이크부(44)에 의해 집음 변환된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43)가 연결 라인의 중간 부분 또는 연결잭(41)에 더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덮개식 마이크부(44)인 경우에는 덮개식 마이크부(44)에 의해 집음 변환된 전기적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43)를 밴드 내부에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6에서와 같이, 귀 삽입형 마이크부(42) 또는 덮개식 마이크부(44)가 구성되는 본체는 하우징(51)의 중심에 음파/전기적 음향 신호 변환 수단(52)이 구성되고, 그를 중심으로 하여 전면 외측으로 갈수록 일정 곡률을 갖고 확대되도록 하우징(51)을 구성하여 음의 집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의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어폰 겸용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의 사용중인 상태도이다.
즉, 사용자의 일측 귀에 귀 삽입 마이크부(42)가 외이도 내측에 장착되고, 이어폰(45)이 타측의 귀의 외이도 내측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귀에 장착한 상태에서 음의 수신시에는 이어폰(45)쪽으로 이어폰/귀 삽입형 마이크 전환 스위치(47)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목소리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이어폰/귀 삽입형 마이크 전환 스위치(47)를 조절하여 귀 삽입 마이크부(42)가 선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은 미니 카세트,MP3 등의 음향 기기 그리고 MP3가 결합된 이동 전화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적용예 이외에도 모든 유,무선의 통신 수단 및 방송 장비등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마이크로폰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마이크로폰을 항상 입 가까이에 위치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
이는 사용자의 행동을 자유롭게 하여 사용 효율을 높인다.
둘째, 마이크로폰의 위치가 고정되어 상대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크기가 일정하여 의사 전달의 정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특히 동시 통역이 필요한 회의석상에서의 의사 전달 효과는 더욱 증대된다.
셋째, 마이크로폰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잡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필요한 음만의 집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일단에 구성되어 음향기기에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
    상기 연결잭과 본체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진동판, 진동판에 부착된 원통 모양의 코일을 포함하고, 사람의 귀에 꽂을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음파를 전기적인 음향 신호로 바꾸어주는 귀 삽입형 마이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에 귀 삽입형 마이크부 대신에 돌출부의 반대쪽에 귀를 감싸는 밴드를 구성한 덮개식 마이크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3. 제 1 항에 있어서, 귀 삽입형 마이크부 또는 덮개식 마이크부에 의해 집음 변환된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가 연결 라인의 중간 부분 또는 연결잭에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4. 제 2 항에 있어서, 덮개식 마이크부에 의해 집음 변환된 전기적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가 밴드 내부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귀 삽입형 마이크부 또는 덮개식 마이크부가 구성되는 본체는 하우징의 중심에 음파/전기적 음향 신호 변환 수단이 구성되고, 그를 중심으로 하여 전면 외측으로 갈수록 일정 곡률을 갖고 확대되어 음을 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6. 일단에 구성되어 음향기기에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잭 상기 연결잭과 본체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한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
    본체가 진동판, 진동판에 부착된 원통 모양의 코일을 포함하고, 사람의 일측 귀에 꽂을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음파를 전기적인 음향 신호로 바꾸어주는 하나의 귀 삽입형 마이크부 그리고 타측 귀에 꽂을 수 있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로 구성되어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하나의 이어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7. 제 6 항에 있어서, 본체의 일단에 귀 삽입형 마이크부 대신에 돌출부의 반대쪽에 귀를 감싸는 밴드를 구성한 덮개식 마이크부가 구성되고, 이어폰 대신에 귀를 감싸는 밴드를 갖는 헤드폰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8. 제 6 항에 있어서, 귀 삽입형 마이크부 또는 덮개식 마이크부에 의해 집음변환된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가 연결 라인의 중간 부분 또는 연결잭에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9. 제 6 항에 있어서, 귀의 일측에 대응되는 귀 삽입형 마이크부와 귀의 타측에 대응되는 이어폰을 선택적으로 절환 선택하는 이어폰/귀 삽입형 마이크 전환 스위치가 연결 라인의 중간 부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귀 삽입형 마이크부 또는 덮개식 마이크부가 구성되는 본체는 하우징의 중심에 음파/전기적 음향 신호 변환 수단이 구성되고, 그를 중심으로 하여 전면 외측으로 갈수록 일정 곡률을 갖고 확대되어 음을 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KR1020000018098A 2000-04-07 2000-04-07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KR20010094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098A KR20010094811A (ko) 2000-04-07 2000-04-07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098A KR20010094811A (ko) 2000-04-07 2000-04-07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811A true KR20010094811A (ko) 2001-11-03

Family

ID=1966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098A KR20010094811A (ko) 2000-04-07 2000-04-07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48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60B1 (ko) 2006-12-22 2008-08-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분리형 음향 입/출력 장치
CN103475982A (zh) * 2013-05-15 2013-12-25 重庆帅能科技有限公司 耳道麦克风及其使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60B1 (ko) 2006-12-22 2008-08-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분리형 음향 입/출력 장치
CN103475982A (zh) * 2013-05-15 2013-12-25 重庆帅能科技有限公司 耳道麦克风及其使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5249B2 (en) Ear canal signal converting method, ear canal transducer and headset
KR101176827B1 (ko) 오디오 장치
US5001763A (en) Electroacoustic device for hearing needs including noise cancellation
EP0412902B1 (en) Electroacoustic device for hearing needs including noise cancellation
JP4541111B2 (ja) 骨伝導スピーカの使用方法及び骨伝導受話装置の使用方法
CA1213349A (en) Telephone hearing aid
JP4401396B2 (ja) 音出力装置
EP0567535B1 (en) Improved hearing apparatus
US20020039427A1 (en) Audio apparatus
US20200322712A1 (en) In-ear headphone device with active noise control
JP5886126B2 (ja) イヤホンと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KR100934273B1 (ko) 진동형 이어폰
GB2082020A (en) Ear speaker
KR101092958B1 (ko) 이어셋
JPS6113440B2 (ko)
JP2003032768A (ja) ヘッドホン
JP2008270879A (ja) 受話装置
JPH0626328U (ja) トランシーバ
JP3045032B2 (ja) ヘッドホン
JP6421360B2 (ja) インナーイヤホン
KR20010094811A (ko) 귀 삽입/덮개식 마이크로폰
KR20010008806A (ko) 접촉형 스피커
JPH08195994A (ja) 骨伝導イヤホンマイク
KR20120000147A (ko) 방음 마이크 헤드셋
WO2023053958A1 (ja) 振動子及び聴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