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467A -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 엔진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 엔진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467A
KR20010094467A KR1020000017060A KR20000017060A KR20010094467A KR 20010094467 A KR20010094467 A KR 20010094467A KR 1020000017060 A KR1020000017060 A KR 1020000017060A KR 20000017060 A KR20000017060 A KR 20000017060A KR 20010094467 A KR20010094467 A KR 20010094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pply
fuel
cylinder
solenoi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템스
김영민
정원봉
Original Assignee
홍순철
(주)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철, (주)템스 filed Critical 홍순철
Priority to KR102000001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4467A/ko
Publication of KR2001009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46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 F02M63/0017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엔진에 있어서 매우 컴팩트하면서도 각 기통별로 연료 공급을 매우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스 엔진에서 빠른 응답성과 정밀한 공기-연료비 제어를 통한 엔진 성능향상 및 배기저감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각 기통별 연료 공급(MPI: Multipoint Injection) 방식에 있어서, 엔진의 최대 출력을 만족하고 또한 연료 공급압력이 낮을 때도 충분히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서 인젝터의 용량이 크게 결정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연료공급량이 작은 구간과 피드백에 의한 연료량 보정 제어의 정밀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각 기통별로 대-소 두개의 연료공급구를 개폐할 수 있는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쌍으로 구성되어 연료공급량이 작은 구간과 피드백에 의한 정밀제어는 작은 연료공급구의 솔레노이드로 제어하여 정밀도를 높이면서도 큰 연료공급구가 있어 최대 연료공급량을 만족할 수 있는 가스 연료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 엔진 연료공급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oint gaseous fuel sequential injection}
본 발명은 가스엔진의 기통별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입구가 공통이며 여러개의 연료 솔레노이드 밸브가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연료출구는 각 기통별로 분기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각 기통별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기통별로 대-소 두개의 연료공급구를 개폐할 수 있는 두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어 연료공급량이 적은 구간에서의 정밀한 공기-연료비 제어를 할 수 있으면서 최대 연료공급량을 만족할 수 있는 각 기통별 두 개의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가스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응답성과 정밀한 공연비 제어를 위해서 도 1의 (a)와 같이 실린더별 하나씩의 인젝터로 구성된 기통별 연료공급(MPI: Multipoint Injection) 방식이 가솔린엔진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료량 제어특성은 도 1의 (b)와 같이 솔레노이드의 펄스폭 제어로 이루어지며 연료공급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펄스폭인 무효분사 기간이 필요하며 분사량이 매우 작을 때 선형성이 나쁜 구간이 존재하게 되나 엔진운전에 필요한 최소분사량이 이 구간보다 크게 사용되어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가스엔진의 경우는 연료가 압축성이기 때문에 연료의 온도와 압력에 따라 연료공급량이 달라져 연료 공급압력이 낮을 때도 최대 출력을 만족할 수 있는 연료량을 공급하기 위해서는(LPG의 경우 엔진이 충분히 예열이 되기 전에는 기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므로 연료 공급압이 낮음) 인젝터의 용량이 크게 결정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연료공급량이 작은 구간에서 펄스폭제어에 따른 연료공급 특성이 선형성과 제현성이 떨어지게 되고 피드백에 의한 연료량 보정 제어의 정밀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가스인젝터의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며 정밀한 공연비 제어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현재까지 많이 상용화되어 있는 가스 연료공급 방식은 여러개의 솔레노이드 밸브(0N/OFF 밸브와 펄스폭제어 밸브)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터링 밸브에 의해 모든 실린더에 공급될 연료량을 통합제어하고 연료는 트로틀 밸브전에서 공급되거나(TBI: Throttle Body Injection) 또는 메터링 밸브에서 각 기통별로 연료라인이 분기되어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료공급 방식의 문제점은 열리는 솔레노이드 밸브 수의 변화에 따라 유량계수의 변화에 의해 연료공급량 특성에서 선형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메터링 밸브의 정밀한 연료 공급특성 데이터가 요구되고, ON/OFF 밸브와 펄스폭제어 밸브의 조합으로 연료량이 제어될때 작동되는 ON/0FF 밸브 수가 변화할 때 연료공급량의 불연속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연료가 계속 연속적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희박연소방식의 경우 매우 중요한 분사시기 변화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가스엔진의 연료 공급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형성이 우수하여 연료량제어가 용이한 펄스폭제어로 이루어지는 기통별 연료 공급방식에 있어, 종래와 같이 각 기통별로 하나의 인젝터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대-소 두개의 연료공급구를 개폐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두개가 한 쌍으로 되어 있어 연료공급량이 적은 구간과 피드백에 의한 정밀제어는 작은 연료공급구의 솔레노이드로 제어하여 정밀도를 높이면서도 큰 연료공급구가 있어 최대 연료공급량을 만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형태의 가스인젝터와 같이 독립적으로 설계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연료공급시스템의 부피가 커지고 시스템의 가격이 높아지기 때문에 연료공급구와 체임버가 공통이며 오리피스와 솔레노이드가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연료출구는 각 기통별로 분기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각 기통별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어 매우 컴팩트하면서 각 기통별 연료량의 독립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기통별 연료공급방식 및 연료공급장치의 제어특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기통별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주요 단면도(Section A, B, C)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통별 연료공급방식 및 연료공급장치의 제어특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 본체 2. 제 2 본체
3. 제 3 본체 4. 여닫음용 판
5. 연료차단 고무판 6. 지지점
7. 연료공급 오리피스 8. 연료차단 피스톤
9. 연료차단 스프링 10. 솔레노이드
11. 연료분기 고무판 12. 연료입구
13. 공통체임버 14. 연료출구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통별 가스 연료 공급방식에 있어, 가스 연료는 공통의 연료입구(12)를 통해 공통 체임버(13)내로 공급되며 기통별로 대-소 두개의 연료공급 오리피스(7A, 7B)와 여닫음용 판(4)이 있어, 여닫음용 판(4)의 한쪽끝은 지지점(6)에 의해 지지되며 한쪽끝은 연료공급 오리피스(7)를 여닫을 수 있도록 씰링용 고무판(5)으로 이루어져 있어 솔레노이드(10)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피스톤(10)을 누르고 있는 스프링(9)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로 연료공급 오리피스(7)는 닫혀 있으며 솔레노이드(10)가 작동하면 솔레노이드에 의해 발생된 토크가 스프링(9)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를 이기고 여닫음용 판(4)을 들어올리게 되면 연료가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연료공급 오리피스(7)와 솔레노이드(10)는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기통별로 공급될 수 있도록 대-소 연료공급 오리피스(7A, 7B)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기통별로 제어된 연료는 씰링용 고무판(11)으로 대-소연료공급 오리피스(7A, 7B)를 한쌍으로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연료공급량이 적은 구간에서는 작은 연료공급 오리피스(7B)의 펄스폭제어로 연료공급량이 제어되며 연료공급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 큰 연료공급 오리피스(7B)의 펄스폭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져 충분하게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엔진의 흡입공기량에 비례한 분사량과 분사시기의 제어는 공기량 센서와 엔진의 캠센서와 크랭크각센서로부터 ECM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연료 공급장치는, 연료의 비압축성으로 인해 크게 설정된 인젝터 용량으로 인해 연료공급량이 적은 구간에서 공기-연료비의 정밀제어의 어려움이 있는 기통별 연료 공급방식에 있어, 매우 컴팩트하면서도 각 기통별로 대-소의 연료공급구를 개폐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두개가 쌍으로 되어 있어 연료공급량이 적은 구간에서도 정밀한 공기-연료비 제어를 할 수 있는 기통별 가스 연료 공급방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모든 운전 구간에서 엔진성능향상 뿐 아니라 배기저감효과를 극대화하는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2)

  1. MPI(Multipoint Injection) 가스 연료 공급 방식에 있어, 연료 입구는 공통이며 연료공급 오리피스가 각 기통별로 방사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닫음용 판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장력과 솔레노이드의 인력에 의한 토크에 의해 연료를 차단/공급하며, 제어된 연료는 기통별로 독립적으로 분기된 연료출구를 통해 공급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스 연료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각 기통별 연료공급 오리피스가 대-소 두 개씩 쌍으로 구성되어 있어 있으며, 연료 공급량이 작은 구간에서는 작은 연료공급 오리피스 솔레노이드 밸브의 펄스폭제어로 연료 공급량이 제어되며, 연료 공급량이 큰 구간에서는 큰 연료공급 오리피스 솔레노이드 밸브와의 조합에 의해 연료량이 제어되도록 한다.
KR1020000017060A 2000-03-30 2000-03-30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 엔진 연료공급장치 KR20010094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060A KR20010094467A (ko) 2000-03-30 2000-03-30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 엔진 연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060A KR20010094467A (ko) 2000-03-30 2000-03-30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 엔진 연료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119U Division KR200193563Y1 (ko) 2000-03-30 2000-03-30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엔진 연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467A true KR20010094467A (ko) 2001-11-01

Family

ID=1966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060A KR20010094467A (ko) 2000-03-30 2000-03-30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 엔진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44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343B2 (en) Spark-ignition engine controller
EP1878892A2 (en) Spark ignition type multi-cylinder engine
US6634333B2 (en) Direct injec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106792A3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TE91752T1 (de) Steuereinrichtung fuer elektro-hydraulisch betaetigte kraftstoffeinspritzventile.
CA2039459C (en) Intake port pressure control system for engine induction system
EP1515031A3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ark-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7639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SU58481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озировани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дл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EP3415745A1 (en) Engine control device
DE50201747D1 (de) Brennkraftmaschine mit zumindest zwei einlassventilen pro zylinder
JP3897311B2 (ja) ガス弁
US6918383B2 (en) Fuel control system
KR200193563Y1 (ko)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엔진 연료공급장치
KR20010094467A (ko) Mpi용 독립분사식 가스 엔진 연료공급장치
DE602004001760D1 (de) Gaszufuhr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zum Ansaugkrümmer verbundenen Druckminderventil
US4365598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51213B1 (ko) 린번 엔진의 스월 제어 밸브 구조
US20140261333A1 (en) Engine control system having a variable orifice
JP2004286012A (ja) 圧縮着火内燃機関
JPH0717785Y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7293305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9990053360A (ko) 차량의 흡입 공기량 2단 가변 제어장치
JPH09291868A (ja) 燃料噴射式多気筒エンジン
JP2005320871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