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699A - 메모리 모듈 커넥터 - Google Patents

메모리 모듈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699A
KR20010093699A KR1020010015742A KR20010015742A KR20010093699A KR 20010093699 A KR20010093699 A KR 20010093699A KR 1020010015742 A KR1020010015742 A KR 1020010015742A KR 20010015742 A KR20010015742 A KR 20010015742A KR 20010093699 A KR20010093699 A KR 20010093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lever
insulator
substrate
memory modu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195B1 (ko
Inventor
모리데루유키
에사키아키라
Original Assignee
야마우라 유우조우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우라 유우조우,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우라 유우조우
Publication of KR20010093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195B1/ko

Links

Abstract

메모리 모듈 커넥터의 이젝터 레버가 기판으로부터의 돌출높이를 낮게하는 것이다.
인슐레이터에 개폐가능하게 지지된 이젝터 레버가 본조립위치외에 가조립 위치를 설계하며 이젝터 레버의 가조립 위치에서 최대열림각을 본조립 위치에서 이탈위치의 열림각보다 크게하고, 이 가조립위치에서 납땜함으로써 납땜시에 이젝터 레버의 높이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 메모리 모듈 커넥터.

Description

메모리 모듈 커넥터 {memory module connector}
본 발명은 메모리 모듈을 삽탈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표면에 복수정렬한 랜드를 가지는 판형상의 메모리 모듈을 삽탈하는 커넥터는 인슐레이터에 메모리 모듈을 삽탈하는 삽탈 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삽탈 홈에 복수의 콘택트를 설치한다.
각 콘택트는 삽탈 홈에 삽입된 메모리 모듈의 랜드에 접촉하는 접촉각과 기판에 납땜된 납땜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에는 삽탈 홈의 양단부 근방에 위치시켜 한쌍의 이젝터 레버가 개폐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이젝터 레버는 닫힘(잠금위치)위치에서는 삽탈 홈에 삽입된 메모리 모듈을 닫고,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회동하면 동 메모리 모듈을 탈출시킨다.
상기 메모리 모듈 커넥터는 종래, 이젝터 레버가 잠금위치에 있거나 이탈 위치에 있더라도 인슐레이터로부터 기판위로 크게 돌출되어있다.
이로인해 기판위에 인슐레이터의 콘택트군을 납땜할 때, 이젝터 레버가 방해가 되며, 기판 조립설비나 검사설비에 따라서는 높이가 제한되는 수가 있기 때문에 이젝터 레버가 걸려서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물론 기판위에 인슐레이터의 콘택트군을 납땜한 후,이젝터 레버를 조립하면 이 문제는 피할수 있으나, 조립인원의 증가, 암(Arm)관리등 또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슐레이터의 콘택트군을 기판에 납땜할 때 이젝터 레버가 방해가 되지 않는 메모리 모듈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발명에 의한 메모리 모듈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며 메모리 모듈잠금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인슐레이터와 이젝터 레버의 걸어맞춤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인슐레이터와 이젝터 레버의 이탈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평면도 이다.
도 6 은 인슐레이터와 이젝터 레버의 가조립위치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상태로부터 이젝터 레버를 중간위치로 열어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중간위치로부터 이젝터 레버를 가조립위치의 최대열림각 위치로 열어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 은 도 6 의 상태에서 이젝터 레버를 본조립위치로 이동시킨상태(잠금위치)의 정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본조립위치(잠금위치)에서 이젝터 레버를 이탈위치로 열어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DIMM(메모리 카드 모듈) 11 : 고정용 오목부
20 : 인슐레이터 21 : 삽탈 홈
22 : 레버 지지부 24 : 콘택트
26 : 레버 삽입홈 26 a : 칸막이 벽
26 b : 세로벽 26 c : 삽입 홈
26 d : 회동 지점 구멍 26 e : 안내벽
26 f : 스토퍼 벽 26 g : 공간
26 h : 규제면 26 k : 스토퍼 벽
26 t : 테이퍼 면 30 : 이젝터 레버
31 : 분할 각(脚) 32 : 공간부
33 : 회동 지점 돌기 34 : 걸고리부재
35 : 잠금 돌기 36 : 강제 이탈 돌기
37a 37b : 본조립 위치 열림 위치 규제면
38 : 본조립 위치 규제면 39 : 딤플(Dimple)
40 : 기판
본 발명의 메모리 모듈 커넥터는 이젝터 레버에 본조립위치외에 가조립위치를 설치하고, 이젝터 레버의 가조립 위치에서의 최대 열림각을 본조립위치에서의 이탈위치의 열림각보다 크게하고, 가조립위치에서 납땜하면, 이젝터 레버가 방해가 되지 않는 것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표면에 복수로 정렬한 랜드를 가지는 판형상의 메모리 모듈을 삽탈하는 삽탈 홈을 갖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삽탈 홈에 설치되는 접촉각과 기판에 납땜되는 납땜각을 구비하며 상기 삽탈 홈에 삽입된 메모리 모듈의 랜드와 기판상의 랜드를 도통시키는 복수의 콘택트와; 인슐레이터에 상기 삽탈 홈의 양단부 근방으로 위치시켜 개폐가능하게 지지된 이젝터 레버를 가지는 메모리 모듈 커넥터에 있어서 한쌍의 이젝터 레버에 삽탈 홈에 삽입된 메모리 모듈을 잠금시키는 잠금위치와, 탈출시키는 이탈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가능한 본조립위치와, 상기 본조립위치의 이탈위치보다 이젝터 레버의 최대 열림각이 큰 가조립위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젝터 레버의 본조립위치에 있어서 이탈위치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는 통상, 인슐레이터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다.
본 발명에서는,동일 이젝터 레버의 가조립위치에 있어서 최대열림각위치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를, 인슐레이터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이젝터 레버와 인슐레이터에는 각각, 그 한쪽과 다른쪽에 본조립위치에서 서로 걸어맞춘 회동 돌기와 회동 지점구멍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조립 위치에서는 이들의 회동 돌기와 회동 지점구멍을 걸어맞추지 않고,예를 들면 이젝터 레버와 인슐레이터를 서로 마찰 접촉시킬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DIMM(듀얼 인라인 메모리 모듈용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으로, 도 1 과 도 2 는 완성상태(잠금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메모리를 내장한 판형상의 DIMM(10)은 그 양측부에 고정용 오목부(11)를 가지며, 삽입단부의 안밖으로 메모리에 도통하는 다수의 랜드(단자, 도시하지 않음)가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다.
합성수지제의 인슐레이터(20)는 평면의 대략 장방형의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 DIMM(10)의 삽탈 홈(21)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삽탈 홈(2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위치되고 레버 지지부(22)가 기판 직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대략 " コ "자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좌우 레버 지지부(22)에는 각각 삽탈 홈(21)에 삽입된 DIMM(10)을 잠그고 또한 이탈시키는 이젝터 레버(30)가 개폐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삽탈 홈(21)에는 DIMM(10)의 랜드(12)에 대응하는 다수의 콘택트(24)가 정렬유지되어 있다. 각 콘택트(24)는 삽탈 홈(21)의 내면양측에 각각 설치하는, DIMM(10)의 랜드(12)와 접촉각(24a)과, 기판(40)에 설치되는 납땜각(24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20)에는 그 길이방향의 양측에 여러쌍의 고정걸이부재(25)가 돌출되어 있다. 이 고정걸이부재(25)는, 일단부가 기판(40)에 따른 납땜부이며, 타단부는 인슐레이터(20)내에 눌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24)의 납땜각(24b)과 고정걸이부재(25)의 납땝부는 각각, 기판(40)상의 신호랜드(도시하지 않음)와 더미 패드(Dummy Pad)로 리플로(Reflow)납땜에 의해 표면에 재치시킨다.
인슐레이터(20)의 레버 지지부(22)와 이젝터 레버(30)와의 걸어맞춤구조를 도 3 이하에 설명한다.
레버 지지부(22)와 이젝터 레버(30)는 각각 인슐레이터(20)의 좌우에 한쌍이 구비되어 있으며 대칭형상을 이루고 있다.
레버 지지부(22)는 세로방향(기판(40)과 직교하는 방향)의 레버 삽입 홈(26)을 갖고 있으며 상기 레버 삽입 홈(26)의 대략 절반의 중심에 삽탈 홈(21)과 평행한 방향의 칸막이 벽(26a)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레버 지지부(22)에는 전후의 한 쌍의 세로벽(26b)과 칸막이 벽(26a)에 의해 2개의 삽입 홈(26c)이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삽입 홈(26c)의 상부는 연통해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홈(26c)의 측부는 이젝터 레버(30)를 열기위해 개방되어 있다.
각 세로벽(26b)에는 상기 내측부(하부)의 칸막이 벽(26a)과 대향하는 벽면에 원형의 회동 지점 구멍(凹부)(26d)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로부터 회동 지점구멍(26d)을 향하여 세로 방향의 안내벽(홈)(26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세로벽(26b)의 내면에는 안내 홈(26e)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테이퍼면(26t)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면(26t)은 삽입 홈(26c) 하부의 폭을 좁게한다.
게다가 각 세로벽(26b)의 입구에는 다른쪽의 세로벽(26b)을 향하는 방향으로 스토퍼벽(26f)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벽(26f)의 삽탈 홈(21)측의 공간(26g)은 삽탈 홈(21)으로 통하고 있다. 또한 칸막이 벽(26a)의 삽탈 홈(21)측의 세로면은 DIMM(10)의 좌우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면(26h)을 구성하고 있다.
이젝터 레버(30)는 레버 삽입 홈(26)의 삽입 홈(26c)에 대응하는 한쌍의 분할각(31)과 상기 한쌍의 분할각(31)의 사이에 위치하고 칸막이 벽(26a)에 마찰접촉하는 공간부(마찰접촉부)(32)를 가지고 있으며, 한쌍의 분할각(31)에는 각각, 공간부(32)의 반대측으로 돌출시켜, 회동 지점구멍(26d)에 대응하는 원형의 회동 지점돌기(33)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이젝터 레버(30)에는 회동지점 돌기(33)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걸고리부재(34)가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부재(34)의 내측에 DIMM(10)의 고정용오목부(11)에 개폐시키는 잠금돌기(35)가 형성되어있다.
한편 이젝터 레버(30)의 회동지점돌기(33)측의 단부에는 한쌍의 분할각(31)을 접속하는 강제 이탈 돌기(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분할각(31)에는 상기 강제 이탈 돌기(36)의 전후에 본조립위치에서의 열림위치 규제면(37a, 37b)과 상기 규제면(37a,37b)의 사이에 위치하는 닫힘 위치 규제면(38)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분할각(31)의 외면에는 각각, 레버 지지부(22)의 안내홈(26e)(회동지점구멍(26d))에 걸려서 가조립위치의 최대열림각위치의 클릭위치를 정하는 딤플(39)이 형성되어 있다. 딤플(39)의 높이는 도면에서는 과장되게 그려져 있다.
도 6 이나 도 10 에서는 인슐레이터(20)의 레버 지지부(22)를 반쯤 맞춘상태를 나타내며 칸막이벽(26a)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본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가조립 납땜 본조립을 하여 사용한다. 우선 도 6 과 같이 이젝터 레버(30)를 세로로 길게하여 그 강제 이탈돌기(36)측을 우선하여 레버 지지부(22)의 레버 삽입 홈(26)에 밀어넣는다. 다시 말하면 한쌍의 분할각(31)을 삽입홈(26c)에 넣고 공간부(32)를 칸막이벽(26a)과 합치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이젝터 레버(30)를 밀어 넣으면, 각 분할각(31)이 칸막이 벽(26a)과 세로벽(26b)사이의 삽입 홈(26c)에 삽입되고, 회동 지점 돌기(33)가 세로벽(26b)과 마찰 접촉한다.
이젝터 레버(30)의 삽입 위치는 최초에 회동 지점 돌기(33)가 테이퍼면(26t)에 접하는 위치에서 규제된다. 도 6 은 가조립 위치를 보여준다.
이젝터 레버(30)는 도 6 의 가조립 위치에서 열림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작과 도 6 의 위치에서 더욱 밀어넣고 본조립위치로 회동시키는 어떠한 동작이라도 가능하다.
우선 이젝터 레버(30)를 도 6 의 가조립 위치에서 열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지점돌기(33)가 테이퍼면(26t)위에 위치한 채, 바로 딤플(39)이 레버 지지부(22)의 외벽에 접속한다(도7). 이러한 상태에서 이젝터 레버(30)에 강한 힘을 가하면 딤플(39)이 세로벽(26b)를 밀어 넓혀서 삽입홈(26c)의 내부로 진입하고 이윽고 안내홈(26e)(회동 지점구멍22d)에 도달한다.
그러면 세로벽(26b)을 밀어 넓혔던 힘이 없어지고,이젝터 레버(30)가 최대 열림각 위치로 유지된다(도8).
이때, 이젝터 레버(3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은, 위치 규제면(37a)이 스토퍼벽(26f) 에 맞닿아 규제된다. 상기 이젝터 레버(30)를 가 조립위치에서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는 이젝터 레버(30)의 기판(40)으로부터의 높이는, 기판(40)에서 레버 지지부(22)까지의 높이(H)보다 낮거나 같다(도 8).
이와 같이 이젝터 레버(30)를 가조립 상태로 한 인슐레이터(20)를 기판(40)위에 쌓고 콘택트(24)의 납땜각(24b)및 고정걸이부재(25)를 기판(40)위의 랜드에 납땜한다. 이 가조립 상태에서는 이젝터 레버(30)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가 레버 지지부(22)의 높이 이하이므로 기판 조립 설비로 인한 제약을 받지않고 납땜작업을 할수 있다.
납땜작업이 끝난 인슐레이터(20)와 기판(40)은, 기판 조립 설비로부터 꺼내고 가로 방향의 이젝터 레버(30)를 걸고리부재(34)를 통하여 기판 수직상태로 회동시킨다. 다시 말하면 도 6 의 상태로 돌아간다.
그리고 도 6 과 같이 이젝터 레버(30)가 완전히 서있는 상태에서 이젝터 레버(30)를 레버 지지부(22)로 밀어넣으면 회동지점돌기(33)가 테이퍼면(26t)을 넘어 안내벽(26e)으로 안내되면서 회동지점구멍(26d)에 도달하여 서로 걸려서 본조립상태가 된다(도9).
다시 말하면 회동지점돌기(33)가 회동지점구멍(26d)에 끼워지게 되며 이젝터 레버(30)는 회동지점구멍(26d)(회동지점돌기33)을 중심으로 한 회동운동이 가능해진다.
도 9 의 상태에서는 이젝터 레버(30)의 본조립위치 규제면(38)과 세로벽(26b)의 저부와의 맞닿음에 의해서도 본조립위치가 규제된다.
상기 본조립 상태에서는 이젝터 레버(30)를 도 9 의 잠금위치와 도 10 의 이탈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시킬수 있다. 이젝터 레버(30)의 잠금 돌기(35)는 잠금 위치에서 인슐레이터(20)의 삽탈 홈(21)에 삽입되어 DIMM(10)의 고정용오목부(11)에 걸려 DIMM(10)을 빠지지 않게 한다.
한편 이젝터 레버(30)를 잠금 위치에서 이탈위치로 회동시키면 강제 이탈돌기(36)가 DIMM(10)의 아래부분을 밀어올려 삽탈 홈(21)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본조립상태에서의 이젝터 레버(30)의 최대 열림 위치(각)는 본조립위치 열림 위치 규제면(37a)과 (37b)가 각각, 스토퍼 벽(26K)과 세로벽(26b)의 저부에 맞닿는 위치에서 규제된다(도 10). 상기 본조립 위치에서의 이젝터 레버(30)의 열림각은 도 8 에 나타내는 이젝터 레버(30)의 가조립 위치에서의 열림각보다 작고, DIMM(10)을 이탈시키는 이상으로 불필요한 회동은 방지된다. 이젝터 레버(30)는 인슐레이터(20)에서 벗겨내야 하는 경우에는 이젝터 레버(30)을 세게 잡아당기면 되고 다시 조립할 때는 상기 순서대로 조립하면 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이젝터 레버(30)의 본조립 위치에서 회동 지점 돌기(33)와 회동지점구멍(26d)을 걸어맞추고 가조립 위치에서는 회동돌기지점(33)을 테이퍼면(26t)위에 위치시켜 이젝터 레버(30)와 레버 지지부(22)를 마찰 접촉시켰지만 가조립위치에서의 이젝터 레버(30)의 지지구조는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세로벽(26b)에 가조립 위치에서 회동지점돌기(33)와 걸어맞춘 회동지점구멍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 가조립위치에서의 회동지점구멍을 설치할 경우,본조립위치에서의 회동지점구멍(26d)보다 얕게 하는 것이 좋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DIMM용 커넥터에 적용한 것이나,본 발명은 판모양의 메모리 모듈을 취급하는 커넥터라면 어떠한 타입이라도 적용할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리 모듈을 삽입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그 이젝터 레버를 가조립위치로 유지시킴에 따라 기판으로 부터의 돌출높이를 줄이고 콘택트 군을 기판에 납땜하는 기판 조립설비나 검사설비의 제약을 받는 일은 없다.

Claims (3)

  1. 표면에 복수 정렬한 랜드를 가지는 판형상의 메모리 모듈을 삽탈하는 삽탈 홈을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삽탈 홈에 설치되는 접촉각과 기판에 납땜된 납땜각을 갖추고 해당 삽탈 홈에 삽입된 메모리 모듈의 랜드와 기판상의 랜드를 도통시키는 복수 콘택트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상기 삽탈 홈의 양단부 근방에 위치시켜 개폐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이젝터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이젝터 레버는 상기 삽탈 홈에 삽입된 메모리 모듈을 잠그는 잠금위치와 탈출시키는 이탈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가능한 본조립위치와 상기 본조립위치에 있어서의 이탈위치보다 이젝터 레버의 최대열림각이 큰 가조립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메모리 모듈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젝터 레버의 본조립위치에서의 이탈위치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는 인슐레이터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으며, 동 이젝터 레버의 가조립위치에서의 최대 열림각에서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는 인슐레이터의 기판으로부터의 높이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젝터 레버와 인슐레이터는 그 한쪽과 다른쪽에 본조립위치에서 서로 걸어맞추는 회동돌기와 회동지점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모듈 커넥터.
KR10-2001-0015742A 2000-03-29 2001-03-26 메모리 모듈 커넥터 KR100400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1265A JP2001283976A (ja) 2000-03-29 2000-03-29 メモリモジュールコネクタ
JP?2000-091265 2000-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699A true KR20010093699A (ko) 2001-10-29
KR100400195B1 KR100400195B1 (ko) 2003-10-01

Family

ID=1860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742A KR100400195B1 (ko) 2000-03-29 2001-03-26 메모리 모듈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283976A (ko)
KR (1) KR100400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57B1 (ko) * 2002-01-09 2004-10-14 정운영 모듈 장착용 소켓
KR100704002B1 (ko) * 2005-04-07 2007-04-09 김태완 모듈 테스트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88Y1 (ko) 2009-02-09 2011-03-21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메모리 모듈 테스트 소켓의 이젝트 장치
KR101101273B1 (ko) 2009-06-11 2012-01-10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메모리 모듈 테스트 소켓의 원터치 이젝트 장치
JP2019114409A (ja) 2017-12-22 2019-07-11 富士通株式会社 表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表面実装基板の製造方法
US10790603B2 (en) * 2019-02-01 2020-09-29 Intel Corporation Connector with relaxation mechanism for latc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9154A (en) * 1978-04-10 1979-06-26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US4345809A (en) * 1980-06-09 1982-08-24 Sugden Mary L Circuit board ejector and guide
KR950006025B1 (ko) * 1987-09-19 1995-06-07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무삽입력 코넥터
JP2896845B2 (ja) * 1994-04-18 1999-05-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3117360B2 (ja) * 1994-04-28 2000-12-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イジェクト機構付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57B1 (ko) * 2002-01-09 2004-10-14 정운영 모듈 장착용 소켓
KR100704002B1 (ko) * 2005-04-07 2007-04-09 김태완 모듈 테스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0195B1 (ko) 2003-10-01
JP2001283976A (ja) 200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1097B1 (en) Socket connector with latch locking member
US4383724A (en) Bridge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pins
US6234817B1 (en) Blind-mate, floatable connectors assembly
KR100609798B1 (ko) 전기 요소용 소켓
US4275944A (en) Miniature connector receptacles employing contacts with bowed tines and parallel mounting arms
US6168445B1 (en) Two-part electrical connector
US5558528A (en) Connector with ejector
US1001460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holder
CN107768913B (zh) 用于互连系统的防退出闩扣
US11196195B2 (en) Interconnect system having retention features
US4556268A (en) Circuit board connector system having independent contact segments
KR100400195B1 (ko) 메모리 모듈 커넥터
US773616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air of load levers
US5885095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ounting hardware and protective cover
US20050260885A1 (en) Flexible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4580341A (en) Electrical connector
EP0855763B1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US4496205A (en)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multi-pin arrays
US6116957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wo circuit boards
US20040077229A1 (en)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an adjustable pin header assembly
GB2039160A (en) Sockets for receiving electrical devices
JP2005312994A (ja) 遊技機の基板ボックス
US6893278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flexible substrates
US6217362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elements
JPS621578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