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126A - 전동 공구 등으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및 이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 Google Patents

전동 공구 등으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및 이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126A
KR20010093126A KR1020017006747A KR20017006747A KR20010093126A KR 20010093126 A KR20010093126 A KR 20010093126A KR 1020017006747 A KR1020017006747 A KR 1020017006747A KR 20017006747 A KR20017006747 A KR 20017006747A KR 20010093126 A KR20010093126 A KR 20010093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blade
blade mechanism
flange
ring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802B1 (ko
Inventor
스즈키고우이치
Original Assignee
이와가미 미치아키
산교다이아몬드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가미 미치아키, 산교다이아몬드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가미 미치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9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6Quick mount and release means for disc-like wheels, e.g. on powe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6Bushings;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기판의 중심부에 장착구멍을 갖는 회전 칼날기구에 장착되고, 전동 공구 등의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장착하는 장착 부재에 있어서, 너트로서 기능하는 외부 플랜지와, 이 외부 플랜지의 플랜지 배면의 사이에 회전 칼날기구를 끼워서 지지하고,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 단면을 갖는 박스 너트형 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 칼날기구에 장착한 경우, 이 외부 플랜지의 원통부에 설치한 O링을 통해서 상기 외부 플랜지, 상기 회전 칼날기구 및 상기 박스 너트형 링을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연삭 작업시에, 전동 공구 회전축과 장착 부재의 허용 오차가 초래하는 진동이 미연에 방지된다.

Description

전동 공구 등으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및 이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Member for attaching rotary cutting element to electrically powered tools or the like and rotary cutting tool having same attaching member attached thereto}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경취재(硬脆材), 타일이나 기와 등의 요업 재료 및 합성 고무, 합성 수지, 금속 등을 절단한다든지, 연삭이나 연마 가공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블레이드나 다이아몬드 컵 휠 등의 회전 칼날기구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들의 소위 회전 칼날기구는 통상 강철제의 원형 기판의 외주부에 다이아몬드 숫돌입자나 cBN 숫돌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초 숫돌입자 숫돌부를 형성하고, 이 원형 기판의 중심부에 전동 공구 등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이 설치되며, 전동 공구 부속의 내부 플랜지나 외부 플랜지 등의 장착 지그를 통해서 전동 공구의회전축에 장착되고, 전동 공구의 회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연삭이나 연마 등의 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 회전 칼날기구의 전동 공구로의 장착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공구의 회전축(101)에 전동 공구 부속의 내부 플랜지(102)를 삽입 통과시키고, 다음에 회전 칼날기구(103)의 장착구멍을 삽입 통과하며, 그 후, 동일 전동 공구 부속의 외부 플랜지(104)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장착함으로써, 내부 플랜지(102)와 외부 플랜지(104)로 회전 칼날기구(103)를 끼워서 지지하는 형태로 전동 공구에 장착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전동 공구 부속의 장착 지그인 플랜지 부재를 이용하여 전동 공구로의 장착을 행하고 있고, 회전 칼날기구 각각의 치수에 정밀도 좋게 맞춘 것이 아니라, 범용성을 가미하여 어느 정도의 허용 오차가 인정되고 있기 때문에, 그것에 기인하여 전동 공구의 주축과 회전 칼날기구의 사이에서 미묘한 진동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회전 칼날기구의 연삭 작용면이 피삭재(被削材)의 피가공 개소에 부드럽게 접촉하지 않고, 피가공 개소를 때리는 말하자면 두들김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자에게 불쾌한 진동을 줄 뿐만 아니라, 회전 칼날기구의 수명을 단축하는 동시에, 가공 정밀도의 저하에 연결된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피삭재가 다르거나 가공 작업이 변경되는 경우 등에는, 적정한 회전 칼날기구로 변환할 필요가 있지만, 그 때에는 외부 플랜지를 전동 공구의 주축에서 떼어낸 후, 회전 칼날기구를 교환한다고 하는 작업을 반복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플랜지 부재나 장착 공구를 분실할 우려도 있었다. 따라서, 각각의회전 칼날기구에 실질적으로 플랜지 부재가 장착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근래 이와 같은 회전 칼날기구도 개발되어 일부는 시장에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회전 칼날기구에 플랜지 부재를 장착하고, 다른 기종의 전동 공구에 정밀도 좋게 장착되는 구조로 하기 위해서는, 설계상 부품수가 증가하여 비용면에서 고가가 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회전 칼날기구를 전동 공구에 착탈할 때에 이용하는 공구는 전용의 스패너 또는 줄무늬형 렌치(pin face wrench)로 한정되고, 만일 분실한 경우나 플랜지 부재의 걸어맞춤 구멍이 손상된 경우, 착탈 불가능에 빠질 우려도 남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다이아몬드 블레이드나 다이아몬드 컵 휠 등의 회전 칼날기구를 전동 공구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로서, 회전 칼날기구 각각에 일체로 장착되고, 또한 전동 공구로의 착탈이 용이하며 정밀도 좋게 장착되는 장착 부재와, 이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를 저 비용으로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장착 부재의 너트로서 기능하는 외부 플랜지의 플랜지부가 전동 공구로의 착탈시에, 다수의 공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멍키 스패너 등의 범용 공구로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한 회전 칼날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를 들면 컵 휠 등에 의한 연삭 작업에 있어서, 회전 칼날기구의 숫돌면과 피삭재의 심한 접촉에 의해서 초래되는 진동과 소음을 크게 저감시키고, 작업자의 불쾌감의 해소와 작업 환경의 개선을 도모하는동시에, 가공 정밀도의 향상을 촉진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는 원형 기판의 중심부에 장착구멍을 갖는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의 회전 칼날기구에 장착되고, 전동 공구 등의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장착되는 장착부재로서, 너트로서 기능하는 외부 플랜지와, 이 외부 플랜지의 플랜지 배면의 사이에 회전 칼날기구를 끼워서 지지하고,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 단면을 갖는 박스 너트형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칼날기구에 장착한 경우, 상기 외부 플랜지의 원통부의 외주면에 설치한 홈에 끼워 맞춘 O링을 통해서 상기 외부 플랜지, 상기 회전 칼날기구 및 상기 박스 너트형 링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착 부재는 기본적으로 외부 플랜지, O링 및 박스 너트형 링의 3점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외부 플랜지 및 박스 너트형 링은 대단히 심플하게 설계할 수 있고, 재질도 통상 시판의 연철로 충분하며, 용이하게 가공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O링도 시판의 것을 적당히 선택 가능하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으로 입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는 상기 외부 플랜지가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의 배면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원통부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에 전동 공구 회전축의 숫나사와 나사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너트로서 기능하기 위한 형상이 스패너, 줄무늬형 렌치, 육각 렌치, 드라이버 등의 공구의 적어도 한 종류 이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에는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구멍을 삽입 통과하는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와, 이 원통부의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O링을 끼워 맞추기 위한 홈이 설치되어 있고, 이박스 너트형 링은 그 내부 직경면이 전동 공구의 회전축에 삽입 통과하는 제1 가이드부와, 외부 플랜지의 원통부 외주면에 끼워 맞추는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이 제2 가이드부의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 플랜지의 원통부 외주면에 설치된 홈에 끼워 맞춘 O링을 파지하는 갈고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외부 플랜지의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에 장착한 회전 칼날기구를 상기 외부 플랜지와 박스 너트형 링의 사이에 끼워서 지지하고, 일체화하는 동시에, 정밀도 좋게 장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는 또한 상기 박스 너트형 링의 상기 회전 칼날기구의 배면과 접촉하는 플랜지 단면에는 완충재를 장전하기 위한 적어도 1조의 둥근 고리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장전한 완충재에 의해 회전 칼날기구의 배면을 가압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특히 컵 휠이나 오프셋형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의 연삭 가공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완충재의 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완충재로서는 수지나 고무 등의 탄성재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는 회전 칼날기구가 원형 또는 컵형상 기판의 칼날부 또는 주요 작용면에 다이아몬드 숫돌입자 또는 cBN 숫돌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숫돌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아몬드 톱 블레이드, 다이아몬드 컵 휠, 오프셋형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의 초 숫돌입자 공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광범위에 걸친 다양한 초 숫돌입자 공구에 적용할 수 있고, 회전 칼날기구마다 장착 공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들 초 숫돌입자 공구는 콘크리트나 석재로 대표되는 경취재나 타일이나 기와 등의 요업 재료 및 합성 고무, 합성 수지, 금속, 각종 건축재료 등의 연삭이나 연마 가공에 널리 사용되는 공구로, 일반적으로는 핸디 타입 전동 공구에 장착 부재를 통해서 장착되고, 각각의 작업에 사용된다.
또, 본 발명에서의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는 상기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삭재나 가공 작업의 변경시에, 회전 칼날기구의 변환을 요하는 경우가 있어도 대단히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전동 공구 부속의 플랜지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그 보관 관리상의 비용이나 번거로움도 해소된다. 또한, 회전 칼날기구와 장착 부재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 공구 회전축과의 진동도 해소되고, 그것에 기인한 두들김 현상도 미연에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서의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는 회전 칼날기구가 원형 또는 컵형상 기판의 칼날부 또는 주요 작용면에 다이아몬드 숫돌입자 또는 cBN 숫돌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숫돌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아몬드 톱 블레이드, 다이아몬드 컵 휠, 오프셋형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의 초 숫돌입자 공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의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는 회전 칼날기구가 컵형상 기판의 배면에 탄성재를 개재시켜서, 이 탄성재를 피복하는 커버와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컵 휠이다. 이것에 의해서, 회전 칼날기구의 기판과 커버를 장착 부재로 일체로 하였을 때, 상기 컵형상 기판과 커버 사이에 개재하는탄성재가 내장하는 탄발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컵 휠의 공전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재로서는 수지나 고무 등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탄성재를 피복하는 커버는 이 탄성재보다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원형 또는 컵형상 기판의 외주부에 다이아몬드 숫돌입자(砥粒)나 cBN(입방결정 질화 붕소) 숫돌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초 숫돌입자 숫돌부(超砥粒砥石部)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아몬드 휠이나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의 회전 칼날기구를 전동 공구 등의 회전축에 효율적으로 착탈하기 위한 장착 부재 및 이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은 외부 플랜지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 도3은 박스 너트형 링의 단면도, 도4는 회전 칼날기구와 장착 부재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5는 장착 부재를 장착한 회전 칼날기구의 정면도, 도6은 도5의 B-B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7은 장착 부재를 장착한 컵 휠의 정면도, 도8은 도7의 C-C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9는 장착 부재를 장착한 컵 휠의 단면도, 도10은 도9에서의 박스 너트형 링의 정면도이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1은 장착 부재를 장착한 컵 휠의 단면도, 도12는 도11에서의 박스 너트형 링의 정면도이다. 도13은 종래의 회전 칼날기구의 전동 공구 등으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구성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회전 칼날기구 장착 부재는 기본적으로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외부 플랜지(1)와, 도3에 나타내는 박스 너트형 링(6)으로 이루어 진다. 본 예에서의 외부 플랜지(1)는 기존의 24㎜ 스패너에 대응하는 시판의 육각의 공구 강철재를 소재로서 사용하고, 선반에 의한 절삭 가공에 의해서 성형된 플랜지부(11)와, 원통부(4)로 이루어지며, 이 플랜지부(11)에는 걸어맞춤 구멍(2)이 형성되고, 스패너 외에, 줄무늬형 렌치에 의한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플랜지부(11)의 형상을 예를 들면 박스 너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육각 렌치에 대응한다든지, 직선의 홈을 설치함으로써 드라이버에 대응한다든지 적당히 선택이 가능하다.
외부 플랜지(1)의 플랜지부(11)의 안쪽에서 뒤쪽으로 돌출하여 원통부(4)가 형성되고, 이 원통부(4)는 플랜지부의 배면(11a)에 접하는 측에 회전 칼날기구(8)가 삽입 통과되는 동시에, 회전 칼날기구(8)의 장착 위치가 되는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10)와, 그것에 연결하는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10)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외주면부(10a)로 이루어지고, 외주면부(10a)의 소정의 위치에는 홈(5)이 형성되며, 이 홈(5)에는 O링(9)이 끼워 맞춰진다. 또한, 외부 플랜지(1)의 중심부의 내주면에는 전동 공구의 회전축의 숫나사에 나사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3)가 형성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박스 너트형 링(6)은 시판의 둥근 봉 공구 강철재로부터 선반에 의한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한 것으로, 그 내부 직경면을 전동 공구 회전축에 삽입 통과하는 제1 가이드부(20)와, 외부 플랜지(1)의 원통부(4)에 삽입 통과하는원통부의 외주면부(10a)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부 직경의 제2 가이드부(21)가 형성되고, 이 제2 가이드부(21)의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갈고리(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스 너트형 링(6)은 외부 플랜지(1)의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10)에 끼워 넣어서 세트한 회전 칼날기구(8)를 플랜지부의 단면(22a)에서 가압 접촉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전동 공구의 스핀들 절결부의 거리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고, 종래의 전동 공구의 부속 부품으로서 이용되고 있었던 내부 플랜지와, 어댑터(와셔)를 합한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플랜지(1)의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10)에 회전 칼날기구(8)를 끼워 넣고, 외부 플랜지(1)의 원통부(4)의 외주면에 설치한 홈(5)에 O링(9)을 끼워 맞추고, 또한, 박스 너트형 링(6)을 가압하여 세트한 경우, 박스 너트형 링(6)의 제2 가이드부(21)의 선단의 주위에 설치된 갈고리(7)는 O링(9)을 가압하도록 파지하기 위해, O링(9)의 탄발력의 작용으로 플랜지부의 단면(22a)은 회전 칼날기구(8)를 강하게 가압한다. 이 때문에, 외부 플랜지(1), 회전 칼날기구(8) 및 박스 너트형 링(6)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외부 플랜지(1) 및 박스 너트형 링(6)은 통상 시판의 연철 등의 금속을 기계 가공함으로써 제조되지만, 녹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 가공을 실시한다든지, 혹은 놋쇠 등의 내식성 금속을 이용하거나, 피삭재나 목적으로 하는 작업에 의해서 교환되는 회전 칼날기구에 따라서 내열성 수지 등을 적당히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O링(9)은 유압 배관용 등으로서 통상 기판의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하면 좋고, 예를 들면 JIS B2401 P16의 O링을 사용할 수 있다. 치수 등에대해서는 외부 플랜지(1)의 원통부(4)에 설치하는 홈(5)(예를 들면, 폭 2.4㎜, 깊이 약 1㎜)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또한, O링(9)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박스 너트형 링(6)의 제2 가이드부(21)의 선단의 내주면에 설치된 갈고리(7)에 의해서 파지되고, 회전 칼날기구(8)의 고정에 그 탄발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회전 칼날기구(8)에 장착부재가 일체로 고정된 후에는 특별한 부하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재질적으로 특별한 배려는 필요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의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는 회전 칼날기구에 상기의 장착 부재를 장착한 것이다. 본 예의 회전 칼날기구는 도4 내지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강철제 기판의 외주면에 다이아몬드 숫돌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숫돌부(105)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아몬드 톱 블레이드(50)이고, 주로 석재나 콘크리트 등의 경취재나 주조한 강철 등의 금속의 절단 가공에 널리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장착 부재를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및 도8 중 도1 내지 도6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한다. 즉, 그 다른 점은 회전 칼날기구로서 다이아몬드 톱 블레이드(50) 대신에 컵 휠(8a)을 사용한 점 및 외부 플랜지(1)의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10)의 폭 치수를 크게 한 점에 있다. 컵 휠(8a)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컵형상을 한 강철제 기판(8)의 외주부에 다이아몬드 숫돌입자를 주성분으로 한 숫돌부(10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판(8)의 배면에 탄성재(16)를 개재시켜서 이 탄성재(16)를 피복하는 커버(17)와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탄성재(16)는 두께 2㎜의 시판의 발포 고무를 이용하고, 그 형상은 본 예에서는 컵형상 기판의 형상에 거의 유사한 컵형상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커버(17)는 본 예에서는 탄성재(16)를 거의 덮을 수 있는 두께 1㎜의 강철제로 하였지만,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탄성재의 탄발력을 확보하여 연삭시의 저항에 의해 공전을 방지하는 것 만의 강도가 보증되면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탄성재(16)는 미리 커버(17)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외부 플랜지(1)의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10)의 폭 치수는 컵 휠(8a)의 3층 구조의 두께와 동등 또는 그것보다 조금 작은 치수이다. 이것에 의해, 박스 너트형 링(6)의 플랜지부의 단면(22a)이 커버(17)의 배면을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예에 의한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컵 휠(8a)을 수중에 있는 전동 공구에 장착하고,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연삭에 이용한 결과, 전동 공구 회전축과 회전 칼날기구 장착 부재와의 진동에 기인하는 두들김 현상이 현저하게 경감하여, 진동과 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소하고, 가공 정밀도가 우수한 연삭 작업이 용이해졌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장착 부재를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 및 도10 중, 도1 내지 도6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한다. 즉, 그 다른 점은 회전 칼날기구에 컵 휠(8b)을 사용한 점 및 박스 너트형 링의 플랜지부의 단면(22a)에 1조의 둥근 고리형상의 홈(19)을 형성하고, 이 홈(19)에 완충재로서의 O링(13)을 끼워 맞춘 점에 있다. 즉, 박스 너트형 링(6a)의 플랜지부의 단면(22a)은 외부 플랜지(1)의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10)에 끼워 넣어진 컵 휠의 기판(8)의 배면을 이 O링(13)을 통해서 가압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특히 컵 휠이나 오프셋형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의 연삭 가공시에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O링(13)의 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예에 의하면 완충재로서의 O링(13)이 1개이기 때문에, 컵 휠(8b)의 연삭 작업시의 저항에 의한 공전이 염려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외부 플랜지(1)의 소정의 개소에 스프링 핀(18)을 세트하고, O링(13)을 가압 접촉하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한, 이 박스 너트형 링(6a)의 저부와, 외부 플랜지(1)의 원통부(4)의 선단면의 간극(B)에 대해서 박스 너트형 링(6a)의 플랜지부의 단면(22a)과, 회전 칼날부의 배면의 간극(A)이 B에 대해서 A가 커지도록 설계함으로써, O링(13)이 쓸모없게 부서지는 경우가 없다. 이 때문에, O링(13)의 탄발력이 유지되어 완충 효과가 잔류한다. 이와 같이 본 예에 의한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컵 휠을 수중에 있는 전동 공구에 장착하고,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연삭에 이용한 결과, 완충재로서 기능하는 O링(13)의 작용에 의해, 진동 억제 효과와 소음 방지 효과가 동시에 초래된다고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장착 부재를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1 및 도12 중, 도10 내지 도1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한다. 즉, 그 다른 점은 박스 너트형 링의 플랜지부의 전단면(22a)에 2조의 둥근 고리형상의 홈(19a, 19b)을 형성하고, 이 홈(19a, 19b)에 완충재로서의 O링(13, 13)을 끼워 맞춘 점에 있다. 이것에의해 완충재로서의 O링(13)을 2개 장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제3 실시예에서 염려된 연삭 작업시의 저항에 의한 공전의 두려움이 해소되고, 스프링 핀(18)은 불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이 박스 너트형 링(6b)의 저부와, 외부 플랜지(1)의 원통부(4)의 후단면의 간극(B)에 대해서 박스 너트형 링(6b)의 플랜지부의 전단면(22a)과 회전 칼날기구(8)의 배면의 간극(A)이 B에 대해서 A가 크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재인 O링(13)의 탄발력이 잔류하는 동시에, 2개의 O링(13)의 사이에 공기의 체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한층 완충 효과가 발휘되어 우수한 진동 억제 효과와 소음 방지 효과가 동시에 초래된다.
본 발명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는 전동 공구에 대한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이나 떼어냄이 간단하게 되고, 피삭재나 가공 작업의 변경에 따라서 회전 칼날기구를 교환하는 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되며, 작업 능률의 향상에 현저하게 기여한다. 또, 전동 공구로의 장착 부재가 회전 칼날기구 각각에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장착 부품의 분실 방지 등 보관 관리상의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부재는 저렴한 값으로 입수가 용이한 시판의 소재를 사용하여, 대단히 간략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대단히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플랜지의 너트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다수의 공구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 본 발명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는 특히 컵 휠이나 오프셋형 블레이드 등의 연삭 가공시의 진동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는 종래 널리 이용되고 있었던 전동 공구 부속의 내부 플랜지나 외부 플랜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착 부재 및 이 장착 부재를 통해서 전동 공구에 장착된 회전 칼날기구와 달리,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가 회전 칼날기구 각각에 대해서 정밀도 좋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한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연삭 작업시에, 전동 공구 회전축과 장착 부재의 허용 오차가 초래하는 진동이 미연에 방지되고, 그것에 기인하는 불쾌한 두들김 현상이 효과적으로 해소된다. 따라서, 회전 칼날기구의 공구로서의 수명 성능이 향상하는 동시에, 우수한 가공 정밀도가 보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컵 휠을 전동 공구에 장착하여 연삭을 행하면, 우수한 진동 억제 효과와 방음 효과가 동시에 초래되고, 석재나 콘크리트 부재 등의 연삭에 높은 유용성이 기대된다.

Claims (7)

  1. 원형 기판의 중심부에 장착구멍을 갖는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의 회전 칼날기구에 장착되고, 전동 공구 등의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장착되는 장착 부재에 있어서, 너트로서 기능하는 외부 플랜지와, 이 외부 플랜지의 플랜지 배면과의 사이에 회전 칼날기구를 끼워서 지지하고,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 단면을 갖는 박스 너트형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칼날기구에 장착한 경우, 이 외부 플랜지의 원통부의 외주면에 설치한 홈에 끼워 맞춘 O링을 통해서 상기 외부 플랜지, 상기 회전 칼날기구 및 상기 박스 너트형 링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랜지가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의 배면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원통부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에 전동 공구 회전축의 숫나사와 나사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너트로서 기능하기 위한 형상이 스패너, 줄무늬형 렌치, 육각 렌치, 드라이버 등의 공구의 적어도 일종 이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에는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구멍을 삽입 통과하는 회전 칼날기구 장착부와, 이 원통부의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O링을 끼워 맞추기 위한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박스 너트형 링은 그 내부 직경면을 전동 공구의 회전축에 삽입 통과하는 제1 가이드부와, 외부 플랜지의 원통부 외주면에 끼워 맞추는 제2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이 제2 가이드부의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 플랜지의 원통부 외주면에 설치된 홈에 끼워 맞춘 O링을 파지하는 갈고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 박스 너트형 링의 상기 회전 칼날기구의 배면과 접촉하는 플랜지 단면에는 완충재를 장전하기 위한 적어도 1조의 둥근 고리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장전한 완충재에 의해 회전 칼날기구의 배면을 가압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칼날기구가 원형 또는 컵형상 기판의 칼날부 또는 주요 작용면에 다이아몬드 숫돌입자 또는 cBN 숫돌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숫돌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아몬드 톱 블레이드, 다이아몬드 컵 휠, 오프셋형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의 초 숫돌입자 공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5. 제1항에 기재된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회전 칼날기구가 원형 또는 컵형상 기판의 칼날부 또는 주요 작용면에 다이아몬드 숫돌입자 또는 cBN 숫돌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숫돌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다이아몬드 톱 블레이드, 다이아몬드 컵 휠, 오프셋형 다이아몬드 블레이드 등의 초 숫돌입자 공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회전 칼날기구가 컵형상 기판의 배면에 탄성재를 개재시키고, 이 탄성재를 피복하는 커버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컵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KR1020017006747A 1999-11-12 2000-11-10 전동 공구 등으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및 이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KR100628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54199 1999-11-12
JP99-322541 1999-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126A true KR20010093126A (ko) 2001-10-27
KR100628802B1 KR100628802B1 (ko) 2006-09-26

Family

ID=1814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747A KR100628802B1 (ko) 1999-11-12 2000-11-10 전동 공구 등으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및 이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07913B2 (ko)
KR (1) KR100628802B1 (ko)
WO (1) WO2001036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5155B1 (fr) 2004-09-10 2006-12-08 Essilor Int Outil de polissage comportant un plateau d'entrainement et un patin amovible pour la finition d'une lentille ophtalmique
JP5184250B2 (ja) * 2008-08-01 2013-04-17 株式会社ディスコ 切削装置
CN107756202B (zh) * 2016-08-15 2023-12-08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砂光机
JP6769680B2 (ja) * 2016-11-11 2020-10-14 株式会社ディスコ フランジ機構
JP6936118B2 (ja) * 2017-11-10 2021-09-15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交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6435Y2 (ko) * 1976-11-09 1980-10-30
JPS55179760U (ko) * 1979-06-13 1980-12-24
JPS5834759A (ja) * 1981-08-18 1983-03-01 Shinichi Yokoyama 防震安全オフセツト砥石
JPS6146151U (ja) * 1984-08-30 1986-03-27 ノリタケダイヤ株式会社 回転砥石取付装置
US4729193A (en) * 1986-12-22 1988-03-08 Eugene Gant Cutting disk mounting assembly
JPH0518050Y2 (ko) * 1987-03-03 1993-05-13
US5024026A (en) * 1989-07-17 1991-06-18 American Saw & Mfg. Company Segmental grinding wheel
JPH0985618A (ja) * 1995-09-28 1997-03-31 Makita Corp 電動工具における回転体の取付構造
US6142858A (en) * 1997-11-10 2000-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up pad for abrasive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07913B2 (ja) 2011-06-22
KR100628802B1 (ko) 2006-09-26
WO2001036157A1 (fr) 200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802B1 (ko) 전동 공구 등으로의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및 이장착 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CN110202440B (zh) 一种用于小径管焊接坡口加工工具
KR100767879B1 (ko) 회전 칼날기구의 장착 부재 및 이 장착 부재를 장착하여이루어지는 회전 칼날기구
KR200373648Y1 (ko)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홀더 착탈구조
US20140206266A1 (en) Never lost Grinder Nut
KR200376952Y1 (ko) 핸드 그라인더의 연마홀더 착탈구조
KR20210041140A (ko) 그라인더용 원통형 연마휠 장착구조
CN215700872U (zh) 一种便于安装的砂轮罩壳冲压件
JP3016312U (ja) ホーニング・リーマ
CN216504367U (zh) 抛光机磨具安装结构
CN210524817U (zh) 一种磨头便于更换的超硬轴套加工用磨床
KR102532662B1 (ko) 핸드그라인더의 연마디스크 교체시스템
CN220944775U (zh) 一种卡接式砂轮固定盘
CN212170108U (zh) 一种金刚石金属砂轮
CN209954461U (zh) 一种研磨机的夹筒组件
CN216803014U (zh) 一种角磨机用防松动磨片安装机构
KR102505476B1 (ko) 핸드 그라인더의 가공디스크 착탈장치
CN211639482U (zh) 一种复合砂轮
CN210452333U (zh) 一种减震组合磨盘
KR102291638B1 (ko) 연마패드 장착용 그라인더 홀더
KR100647469B1 (ko) 커터용 아버
KR102417270B1 (ko) 핸드 그라인더
JP2007152538A (ja) ディスクグラインダーの接続工具
CN210756429U (zh) 一种机械加工切角刀片夹具
CN210010833U (zh) 配合机器人打磨毛刺用多方向浮动动力磨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