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748A -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 Google Patents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748A
KR20010092748A KR1020010031626A KR20010031626A KR20010092748A KR 20010092748 A KR20010092748 A KR 20010092748A KR 1020010031626 A KR1020010031626 A KR 1020010031626A KR 20010031626 A KR20010031626 A KR 20010031626A KR 20010092748 A KR20010092748 A KR 20010092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t
driver
band
pist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재
Original Assignee
김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재 filed Critical 김학재
Priority to KR1020010031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2748A/ko
Publication of KR2001009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748A/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시 목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이고, 착용자가 졸아서 턱이 그 장치에 접촉하였을 때 그 착용자에게 피부에 다소 강한 충격을 주는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한편, 잠을 깨울 수 있는 향기를 방사하므로서 졸음을 완전히 퇴치함은 물론이고, 상기 목 보호대에 핸드폰의 이어폰을 착탈할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하여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통화를 할 수 있게 한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착용자의 턱이 접촉할 때 청각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착용자의 턱 아래에 밴드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경보수단이 부설된 목 보호대에 있어서, 양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테이프 파스너가 형성된 밴드의 중앙부에 구비되면서 그 개구된 상단에 작동캡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소정량의 발향부재가 내재되고, 그 개구된 상단에 그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뚜껑이 장착된 향수 케이스와; 상기 향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향기 유입공이 구비된 실린더의 상단이 뚜껑을 관통하여 작동캡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 상단의 일부가 뚜껑의 상단으로 돌출되어지되, 피스톤의 상단에 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그 내부의 향기가 배출호스를 따라 작동캡의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향기 유출공이 형성된 향기발생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장착홈에 유로홈과 그 하단 일측으로 걸림홈이 연결되어진 슬리브가 내설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작동캡으로출몰할 수 있는 침봉이 탄설된 격발통체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격발통체 하단의 걸림턱과 슬리브의 하단 사이에 스프링부재가 탄설되며, 상기 격발통체의 안내홈 상하에 침봉을 관통한 돌기를 유로홈 또는 걸림홈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턱이 구비된 격발수단과; 상기 피스톤에 기판이 관통하고, 상기 기판에 구비된 스위치가 뚜껑의 상면과 대응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음향과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경보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상기 기판에 작동캡의 동작으로 스위치가 온되어 휴대폰으로 음성을 송신 할 수 있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밴드의 일측에 상기 스피커와 연결된 이어폰의 헤드가 장착될 수 있는 이어폰 걸이구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Protection device of neck}
본 발명은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돌시 목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이고, 착용자가 졸아서 턱이 그 장치에 접촉하였을 때 그 착용자에게 촉각 및 청각, 그리고 후각을 통해 경보를 줄 수 있는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많은 교통사고는 장거리 운전중에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는 졸음운전과 도로상의 부주의에 의해서 야기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많은 운전자들은 운전중 졸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극제를 먹지만 문제는 매일 장거리를 운전하는 트럭 및 버스 운전자들은 별 소용이 없다.
따라서, 운전중 졸고 있는 운전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경보를 줄 수 있는어떤 종류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특히 사람이 자거나 졸기 시작할 때 자연적으로 사람의 턱이 아래로 수그러진다고 알려져 있는바, 이때 운전자가 착용하고 운전자의 턱이 수그러질 때 경보를 알려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래서, 근자에는 미국 특허번호 5,568,127호, 그리고 이와 동일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998-082270호에 개제된 바와 같은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가 출현하였으며, 이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착용자의 목주위를 잡아주는 밴드(12)와; 착용자의 턱 아래의 밴드(12)에 의해 지지되어 턱이 접촉시 축각 및 청각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수단(16); 등을 포함하며, 상기 경보수단 (16)은 턱 바로 아래 밴드(12)의 상부 모서리 위로 돌출되고, 상부가 구형인 돔(3 4)과 밴드(12)내에 지지되며, 하측은 확장된 바디와 턱으로 상부가 구형인 돔(34)을 누름으로써 작동되는 소리발생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12)가 경보수단(16)의 하측 바디를 홀딩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중앙부(38)와, 후크와 루프 테이프 파스너(52)(54)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1 2)의 반대쪽 끝의 경계를 정하는 한 쌍의 스트랩(50)과, 상기 스트랩(50)과 중앙부 (38)사이의 중간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간부는 수직방향으로 견고하고 외측으로는 외관을 장식한 지지부재(60)와, 상기 지지부재(60)와 인접하며 내측으로 외관을 장식한 섬유상의 라이닝(62)과, 상기 지지부재(60) 및 상기 지지부재(60)에 인접한 라이닝(62)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상에 각각 연장된 상부 및 하부 모서리 가드(64)(6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50)은 밴드(12)를 착용자의 목 주위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서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부(38)는 상기 경보수단(16)의 하부 바디(36)가 위치하는 곳에 상부 전방 지지부(42), 중간부 후방 지지부(44) 및 하부 전방 지지부(46)의 경계를 명확히 하도록 잘려지고, 평행하고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한쌍의 슬롯(40)을 구비한 수직벽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벽은 이에 대하여 아래 방향으로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경보수단(16)의 하부 바디( 36)와 바닥단부와 맞물리는 하부 지지탭(4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소리발생수단은 중공 탄성중합체 볼(22)과, 상부가 구형인 돔(34)을 형성하는 부분과, 적어도 상기 볼(22)의 하단부 일부분에 배치된 기계적 노이즈메이커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계적 노이즈메이커는 탄성중합체 볼(22)의 공기 흡입 및 배출용 개구(24)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 공기로 작동되는 플루트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리발생수단은 상부가 구형인 돔(34)을 누르면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스피커(68)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돔은 한쌍의 상부접촉판(84)(86)을 포함하며 하부 바디는 한쌍의 마주 보는 하부접촉판(90)(92)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목 보호대는 기계적 또는 전자기적 경고음만 발생되기 때문에 매우 단조로워 운전자의 졸음을 완전히 퇴치하지 못하므로 근본적으로 졸음을 퇴치할 수 있는 더욱 강력한 졸음방지수단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충돌시목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이고, 착용자가 졸아서 턱이 그 장치에 접촉하였을 때 그 착용자에게 피부에 다소 강한 충격을 주는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한편, 잠을 깨울 수 있는 향기를 방사하므로서 졸음을 완전히 퇴치함은 물론이고, 상기 목 보호대에 핸드폰의 이어폰을 착탈할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하여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통화를 할 수 있게 한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목 보호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보호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 보호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의 (a)와 (b)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밴드 120:본체
121:유도홈 122:슬라이드홈
123:작동캡 126:향기 방출공
127:설치공 129,129a:충격흡수부재
130:향수 케이스 131:뚜껑
140:향기발생수단 141:실린더
142:향기 유입공 143:피스톤
144:장착홈 148:스프링
150:격발수단 151:슬리브
154:침봉 155:스프링
156:격발통체 157:스프링부재
160:경보수단 161:기판
162:스위치 163:음향수단
164:발광수단 170:자석부재
180:옥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턱이 접촉할 때 청각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착용자의 턱 아래에 밴드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경보수단이 부설된 목 보호대에 있어서, 양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테이프 파스너가 형성된 밴드의 중앙부에 구비되면서 그 개구된 상단에 작동캡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소정량의 발향부재가 내재되고, 그 개구된 상단에 그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뚜껑이 장착된 향수 케이스와; 상기 향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향기 유입공이 구비된 실린더의 상단이 뚜껑을 관통하여 작동캡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 상단의 일부가 뚜껑의 상단으로 돌출되어지되, 피스톤의 상단에 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그 내부의 향기가 배출호스를 따라 작동캡의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향기 유출공이 형성된 향기발생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장착홈에 유로홈과 그 하단 일측으로 걸림홈이 연결되어진 슬리브가 내설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작동캡으로 출몰할 수 있는 침봉이 탄설된 격발통체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격발통체 하단의 걸림턱과 슬리브의 하단 사이에 스프링부재가 탄설되며, 상기 격발통체의 안내홈 상하에 침봉을 관통한 돌기를 유로홈 또는 걸림홈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턱이 구비된 격발수단과; 상기 피스톤에 기판이 관통하고, 상기 기판에 구비된 스위치가 뚜껑의 상면과 대응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음향과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경보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밴드의 적소에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석부재, 또는 옥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밴드의 일측에 이어폰 걸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 보호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며,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 보호대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양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테이프 파스너(111)(112)가 형성된 밴드(110)의 중앙부에 역원추형상의 본체(120)가 설치되는데, 상기 본체(120)의 개구된 상단 양측벽에 유도홈(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121)과 연결되는 슬라이드홈(122)이 그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본체(120)의 개구된 상단에 유도홈(121) 및 슬라이드홈(122)과 대응되는 걸림턱(124)이 구비된 작동캡(123)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캡(123)의 적소에는 향기 방출공(126) 및 발광소자 설치공 (1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캡(123)의 상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129)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캡(123)의 내측 상면에는 본체(120) 상단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129a)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향수 케이스(130)는 그 내부에 소정량의 발향부재가 내재되고, 그 개구된 상단에 그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뚜껑(131)이 나사 결합되는데, 상기 뚜껑(131)의 중앙에 관통공(132)이 형성된다.
상기 향수 케이스(130)에 설치되는 향기발생수단(140)은 향기 유입공(142)이 구비된 실린더(141)의 상단이 뚜껑(131)의 관통공(132)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41)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143) 상단의 일부가 뚜껑(131)의 상단으로 돌출되어지되, 상기 피스톤(143)의 상단에 장착홈(144)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141)의 하단에 피스톤(143)의 동작에 의해 그 내부의 향기가 배출호스(145)를 따라 작동캡(123)의 향기 방출공(126)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유출공(146)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143)의 상단이 작동캡(123)의 저면 끼움부( 125)에 끼움 고정되는데, 이때 피스톤(143) 상단의 걸림턱(147)과 뚜껑(131)의 사이에 스프링(148)이 탄설되어 실린더(141)를 하방으로 가압하였을 때 상기 스프링(148)이 탄압된 상태가 된다.
상기 피스톤(143)의 장착홈(144)에 설치되는 격발수단(150)은 유로홈(152)과그 하단 일측으로 걸림홈(153)이 연결되어진 슬리브(151)가 내설되고, 상기 슬리브 (151)의 내부에 작동캡(123)의 중앙 통공(128)으로 출몰할 수 있는 침봉(154)이 스프링(155)에 의해 탄설된 격발통체(15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격발통체(156) 하단의 걸림턱(156a)과 슬리브(151)의 하단 사이에 스프링부재(157)가 탄설되며, 상기 격발통체(156)의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홈(156b) 상하에 침봉 (154)을 관통한 돌기(154a)를 유로홈(156c) 또는 걸림홈(156d)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턱(156e)이 구비된다. 즉, 도 5의 (a)와 같이 외부로 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침봉(154)을 관통한 돌기(154a)가 안내홈(156b) 상부의 경사턱(156e)에 의해 측방으로 밀리면서 걸림홈(156d)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도 5의 (b)와 같이 외부로 부터 힘이 가해지면 슬리브(151)가 하방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걸림홈(156d)에 걸린 돌기(154a)가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안내홈(156b) 하부의 경사턱(156e)에 의해 유로홈(156c)으로 측방으로 밀리면서 스프링(155)에 의해 탄압된 침봉(154)이 유로홈(156c) 상단으로 격발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143)에 기판(161)이 관통하고, 상기 기판(161)에 구비된 스위치(162)가 뚜껑(131)의 상면과 대응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162)의 동작에 따라 음향수단(163)과 발광수단(164)에 의해 경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경보수단 (1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경보수단(160)의 기판(161)에는 상기 스위치(162)의 동작에 따라 핸드폰으로 음성을 송신할 수 있는 스피커(165)가 설치되고 상기 밴드(110)의 적소에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석부재(170), 또는 옥부재(18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110)의 일측에 이어폰의 헤드(166)부분을 안정되게 걸수 있게 이어폰 걸이구(113)가 형성되는데, 상기 이어폰의 줄은 코일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목 보호대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의 목에 본체(120)가 턱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목 보호대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밴드(110) 양측의 테이프 파스너(111)(112)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목 보호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졸게되면, 도 5의 (b)와 같이 운전자의 턱이 작동캡(123)을 누르게 되고, 이때 작동캡(123)이 슬라이드홈 (122)을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본체(120) 내부의 슬리브(151)가 하방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걸림홈(156d)에 걸린 돌기(154a)가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안내홈(156b) 하부의 경사턱(156e)에 의해 유로홈(156c)으로 측방으로 밀리면서 스프링(155)에 의해 탄압된 침봉(154)이 유로홈(156c) 상단으로 격발되어 작동캡(123)에 밀착된 운전자의 턱에 충격을 주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143)이 하강하면서 실린더(141) 내부로 유입된 향기를 유출공(146)을 통해 펌핑을 하게 되며, 이렇게 펌핑된 향기는 배출호스(145)를 따라 작동캡(123)의 향기 방출공(126)으로 배출되어 운전자의 정신을 맑게 한다.
또한, 작동캡(123)이 하강하게 되면, 경보수단(160)의 기판(161)이 하강하면서 이에 설치된 스위치(162)가 본체(120) 내부의 뚜껑(131)에 접촉됨과 동시에 음향수단(163)으로 부터 강력한 음향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기판(161)의 발광수단(164)이 동시에 발광하기 때문에 운전석 옆에 앉은 사람이 운전자의 졸음여부를 손쉽게 알 수 있다.
상기 밴드(110)의 적소에 자석부재(170)와 옥부재(180)가 설치되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므로서 긴장감을 해소하여 졸음운전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110)의 일측에 이어폰 걸이구(113)가 형성되어 이어폰의 헤드(165) 부분을 안정되게 걸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휴대폰의 신호가 울리게 되면, 도 6과 같이 걸이구(113)에 장착된 이어폰의 헤드(165)를 귀게 꽂은 다음, 턱으로 작동캡(123)을 누르게 되는데, 이때 기판(161)의 스위치(162)가 동작되면서 휴대폰과 연결되기 때문에 휴대폰을 받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운전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돌시 목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이고, 착용자가 졸아서 턱이 그 장치에 접촉하였을 때 그 착용자에게 피부에 다소 강한 충격을 주는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한편, 잠을 깨울 수 있는 향기를 방사하므로서 졸음을 완전히 퇴치함은 물론이고, 상기 목 보호대에 핸드폰의 이어폰을 착탈할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하여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통화를 할 수 있게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려온 휴대폰 전화를 불필요한 동작없이 간편하게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운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착용자의 턱이 접촉할 때 청각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착용자의 턱 아래에 밴드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 경보수단이 부설된 목 보호대에 있어서,
    양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테이프 파스너가 형성된 밴드의 중앙부에 구비되면서 그 개구된 상단에 작동캡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소정량의 발향부재가 내재되고, 그 개구된 상단에 그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뚜껑이 장착된 향수 케이스와;
    상기 향수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향기 유입공이 구비된 실린더의 상단이 뚜껑을 관통하여 작동캡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피스톤 상단의 일부가 뚜껑의 상단으로 돌출되어지되, 피스톤의 상단에 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그 내부의 향기가 배출호스를 따라 작동캡의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향기 유출공이 형성된 향기발생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장착홈에 유로홈과 그 하단 일측으로 걸림홈이 연결되어진 슬리브가 내설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작동캡으로 출몰할 수 있는 침봉이 탄설된 격발통체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격발통체 하단의 걸림턱과 슬리브의 하단 사이에 스프링부재가 탄설되며, 상기 격발통체의 안내홈 상하에 침봉을 관통한 돌기를 유로홈 또는 걸림홈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턱이 구비된 격발수단과;
    상기 피스톤에 기판이 관통하고, 상기 기판에 구비된 스위치가 뚜껑의 상면과 대응토록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음향과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경보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적소에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석부재, 또는 옥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작동캡의 동작으로 스위치가 온되어 휴대폰으로 음성을 송신 할 수 있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밴드의 일측에 상기 스피커와 연결된 이어폰의 헤드가 장착될 수 있는 이어폰 걸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KR1020010031626A 2001-06-07 2001-06-07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KR20010092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626A KR20010092748A (ko) 2001-06-07 2001-06-07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626A KR20010092748A (ko) 2001-06-07 2001-06-07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08143U Division KR200195726Y1 (ko) 2000-03-22 2000-03-22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748A true KR20010092748A (ko) 2001-10-26

Family

ID=1971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626A KR20010092748A (ko) 2001-06-07 2001-06-07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2748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994A (ja) * 1992-12-04 1994-06-21 Mitsubishi Cable Ind Ltd 居眠り警告装置
JPH082284A (ja) * 1994-06-22 1996-01-09 Honda Access Corp 車両の運転者居眠り防止装置
KR19980017571A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의 졸음운전방지 장치 및 방법
KR19980076676A (ko) * 1997-04-11 1998-11-16 박수태 졸음방지기
US5907282A (en) * 1997-04-29 1999-05-25 Chris W. Turto Physiology monitoring sleep prevention system
US6107922A (en) * 1999-07-14 2000-08-22 Bryuzgin; Andrey Driver sleep or fatigue alarm
KR200195726Y1 (ko) * 2000-03-22 2000-09-15 김학재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994A (ja) * 1992-12-04 1994-06-21 Mitsubishi Cable Ind Ltd 居眠り警告装置
JPH082284A (ja) * 1994-06-22 1996-01-09 Honda Access Corp 車両の運転者居眠り防止装置
KR19980017571A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자동차의 졸음운전방지 장치 및 방법
KR19980076676A (ko) * 1997-04-11 1998-11-16 박수태 졸음방지기
US5907282A (en) * 1997-04-29 1999-05-25 Chris W. Turto Physiology monitoring sleep prevention system
US6107922A (en) * 1999-07-14 2000-08-22 Bryuzgin; Andrey Driver sleep or fatigue alarm
KR200195726Y1 (ko) * 2000-03-22 2000-09-15 김학재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127A (en) Drowsiness warning device and neck support
US5712619A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personal alarm
US6031460A (en) Child locating system
US7868770B2 (en) Warning device for drivers and the like
CN104799641B (zh) 安全智能头枕
US7106191B1 (en) Child distance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US5578992A (en) Personal safety alarm and timekeeping device
US4520351A (en) Passive personal alarm device
US5005002A (en) Hand held safety siren
WO2018111614A1 (en) Wearable multi-functional personal security device
KR102110153B1 (ko) 졸음퇴치 시스템 및 방법
KR200195726Y1 (ko)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KR20010092748A (ko) 졸음경보장치가 부설된 목 보호대
US20090189772A1 (en) Stay-alert device
US6285287B1 (en) Alarm device
US5939989A (en) Electronic switch utilized in, for example, a drowsiness warning device
KR200472744Y1 (ko) 도난방지 휴대폰 케이스
EP3421339B1 (en) Road safety electronic sound system for quiet vehicles
KR100240436B1 (ko) 졸음 경보장치 및 목 보호대
KR101537382B1 (ko) 호신용 호루라기
CN204698241U (zh) 安全智能头枕
CN1322639A (zh) 驾驶员疲劳报警兴奋器
CN219999564U (zh) 装有便捷报警蜂鸣器的头戴式降噪耳机
CN2501335Y (zh) 能自动呼救及警示之安全帽
JP2018102920A (ja) 警笛及び発信器を一体化したカード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