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201A -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 Google Patents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201A
KR20010091201A KR1020000012642A KR20000012642A KR20010091201A KR 20010091201 A KR20010091201 A KR 20010091201A KR 1020000012642 A KR1020000012642 A KR 1020000012642A KR 20000012642 A KR20000012642 A KR 20000012642A KR 20010091201 A KR20010091201 A KR 2001009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building
layer
interio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주복
Original Assignee
엄주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주복 filed Critical 엄주복
Priority to KR102000001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1201A/ko
Publication of KR2001009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liquid gases or supercritical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보수할때 일반 스치로폴 단열 판넬(1)의 양면에 순차적으로 1차 방수층(2, 2'), 고무성분과 접착제성분이 혼합된 겔상도막방수층(3, 3'), 폴리에스테르부직포(4, 4') 및 2차 방수층(5, 5')들이 적층되어 있는 다기능성 판넬(f)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내외벽, 옥상 및 내부바닥면을 보강 및 방수처리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다 간소화된 공정으로 신·구 건축물 내외벽의 방수성, 단열성, 방음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A reinforcing and water-proof process for the wall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을 신축하거나 보수할때 건물의 내외벽, 옥상 및 내부 바닥면 등을 보강 및 방수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콘크리트구조물은 대기중 탄산가스, 산성비, 바람, 자외선 등에 의하여시간이 경과할 수록 점차 노화되어 균일이 발생하거나 단열, 방수 등의 기능이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구조물은 적당한 시기에 이들을 보수해 주어야만 계속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주로 콘크리트구조물을 보수시 부식된 부분을 긁어내고, 여기에 다시 콘크리트나 몰탈을 다시 부착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해 왔으나, 이 경우 보수후 5~6년 정도만 경과하면 다시 보수부분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들뜸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시에는 철근(b)이 배열된 거프집(h)에 단순히 콘크리트(c)만을 타설하였기 때문에 방수성, 단열성, 방음성 등의 다기능성을 구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의 내외벽 등을 보강 및 방수처리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신축 건물의 옥상을 보강 및 방수처리하는 종래방법으로,
첫째, 도 2 (a)와 같이 거프집(h)에 스치로폴(a)과 철근(b)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콘크리트(c) 위에 탑코팅층(d)을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탑코팅층(d)은 몰탈 또는 방수제가 코팅된 층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경비는 절감되지만 표면 방수층이 보호층 없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어서 방수하자 및 조기 열화가 많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단열, 보온 및 방음기능이 극히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
둘째, 도 2 (b)와 같이 거프집(h)에 스치로폴(a)과 철근(b)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다음, 그 위에 1차적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콘크리트(c) 위에 방수쉬트(e)를 적층한 후, 그 위에 다시 2차적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그 위에 탑코팅층(d)을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건축물에 과도한 하중을 주는 문제가 있고, 진동이나 울림시 균열에 의한 영향으로 쉬트와 누름층 사이에 접착 이완이 발생될 수 있으며, 누수발생시 부분 식별이 어렵고, 보수가 곤란하며, 공정이 복잡한 것에 비하여 방수, 단열, 누수 기능이 낮은 문제가 있다.
셋째, 도 2 (c)와 같이 거프집(h)에 스치로폴(a), 철근(b), 1차 콘크리트 (c), 겔상도막방수층(g), 방수쉬트(e), 2차 콘크리트(c) 및 탑코팅층(d)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수쉬트(e)는 아스팔트 고무성분에 부직포를 함침시켜 제조한 쉬트 이다. 상기 방법은 방수성능은 우수하나 공정이 번거롭고, 건축물에 과도한 하중을 주는 문제가 있고, 누수 식별이 어렵고 누수시 보수공사가 어렵다. 또한 슬라브 두께에 비해 단열 및 방음성이 나쁘다.
다음으로 기존 건물의 옥상을 보수하는 종래 방법으로는, 첫째 도 7 (a)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i)에 접착프라이머(j), 3개층의 우레탄수지 코팅층(k) 및 탑코팅층(d)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는 방법, 둘째 도 7 (b)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i)에 접착프라이머(j), 방수쉬트(e), 단열코팅층(l) 및 탑코팅층(d)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는 방법, 셋째 도 7 (c)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i)에 접착프라이머(j), 방수쉬트(e), 프라이머(j), 탄성도막방수층(n), 규사살포층(m) 및 탑코팅층(d)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는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방법들은 단일 재질이 한정된 도막 두께로 형성되므로 바탕 균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별도의 보강 및 보호층이 없어 대기 환경변화나 공해물질 등에 대한 내구성(내약품성)이 약하고, 균열에 취약하며 통기성 및 방수성도 미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서 공정이 간소하고, 건물의 옥상, 내외벽 및 내부 바닥면의 방수성, 단열성, 보온성, 방음성, 내충격성 및 내약품성 등을 모두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의 보강 및 방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성 판넬(f)의 단면도 이다.
도 2 (a)~(c)는 종래 신축 건물 옥상의 보강 및 방수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신축 건물 옥상의 보강 및 방수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신축 건물 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신축 건물 내부 바닥의 보강 및 방수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도 6은 종래 기존 건물 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도 7 (a)~(c)는 종래 기존 건물 옥상의 보강 및 방수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기존 건물 옥상의 보강 및 방수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일반 스치로폴 단열 판넬 2, 2' : 1차 방수층
3, 3' : 겔상도막방수층 4, 4' : 폴리에스테르부직포
5, 5' : 2차 방수층 6, 6' : 나사형 볼트구멍 7 : 고정볼트
a : 스치로폴 b : 철근 c : 콘크리트
d : 탑코팅층(보호 몰탈 또는 방수층)
e : 방수쉬트(아스팔트 고무성분에 부직포를 함침한 쉬트)
f : 다기능성 판넬 g : 겔상도막방수층(역청겔도막층)
h : 거프집 i : 바닥면(콘크리트)
j : 접착프라이머 k : 우레탄수지 코팅층
l : 단열코팅층 m : 규사살포층
n : 탄성도막방수층 o : 유리섬유부직포
p : 몰탈층 q :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본 발명은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보수할때 건물의 내외벽, 옥상 및 내부 바닥면 등을 보강 및 방수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 스치로폴 단열 판넬(1)의 양면에 순차적으로 1차 방수층(2, 2'), 고무성분과 접착제성분이 혼합된 겔상도막방수층(3, 3'), 폴리에스테르부직포(4, 4') 및 2차 방수층(5, 5')들이 적층되어 있는 다기능성 판넬(f)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기능성 판넬(f)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것이다.
먼저 일반 스치로폴 단열 판넬의 양면에 1차 방수층(2, 2')을 형성시켜 방수성을 부여한다. 이때 방수제로 수용성의 변성 폴리아크릴에멀젼에 접착 몰탈이 혼합된 성분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방수제에 유기성 물질이 첨가되면 스치로폴이 녹아내리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수용성인 변성 아크릴수지를 주성분으로 사용한다. 여기에 내화성, 마모성 및 충격성 보강을 위해 칼슘 알루미나 등의 무기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 다음 상기 1차 방수층(2, 2') 위에 고무성분과 접착제 성분으로 구성된 겔상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겔상도막방수층(3, 3')을 형성한다. 상기 겔상도막방수제를 구성하는 고무(rubber) 성분으로는 아스팔트 컴파운더를 원료로한 러버를 사용하고, 접착제로는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겔상도막방수층(3, 3')은 다량의 고무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판넬의 탄력성, 내충격성 및 방수성을 특히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겔상도막방수층(3, 3') 위에 폴리에스테르부직포(4' 4')들을 적층시킨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들을 니들펀칭 (Needle punching)하여 제조되며, 내약품성, 내열성, 내충격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와 같이 적층된 폴리에스테르부직포(4, 4')들은 판넬의 내약품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겔상도막방수제 내로 함침되어 매트릭스(Metrix) 역할을 하여 내충격성 및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부직포(4, 4') 상에 방수제를 도포, 건조하여 2차 방수층(5, 5')을 형성하므로서 다기능성 판넬(f)을 제조한다. 이때 사용하는 방수제는 무기질성 및/또는 유기질성 방수제를 사용한다. 시공시 판넬 상호간의 연결이나 판넬을 내외벽에 부착하기 쉽도록 다기능성 판넬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나사형 볼트 구멍(6, 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다기능성 판넬(f)은 1차 방수층, 겔상도막방수층 및 2차 방수층과 같이 3단계의 방수층이 형성되어서 방수성이 특히 우수하다.
아울러, 겔상도막방수층 내 고무성분과 폴리에스테르부직포에 의해 탄력성, 내충격성, 형태안정성, 내약품성 등이 특히 우수하다. 또한 방수제내 첨가물로 인해 내화성, 마모성도 우수하다. 특히 상기 다기능성 판넬(f)은 여러층이 적층되어 있어서 단열성 및 방음성도 매우 우수하다.
건물의 옥상을 신축할때는 도 3과 같이 거프집(h) 상에 다기능성 판넬(f)을 올려 놓고, 그 위에 겔상도막방수층(g)을 도포,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겔상도막방수층(g) 위에 방수쉬트(e)와 철근(b)을 적층한 후 그 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다시 그 위에 탑코팅층(d)을 도포, 형성한다. 방수쉬트(e)는 아스팔트 고무성분에 부직포를 함침하여 제조한 쉬트이고, 탑코팅층은 몰탈 또는 방수제를 코팅한 층이다.
한편, 건물의 내외벽을 신축할때는 도 4와 같이 철근(b)이 설치된 거프집(h)에 먼저 다기능성 판넬(f)을 고정볼트(7)로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층(c)을 형성한다. 이때 사용하는 고정볼트(7)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환경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건물의 내부 바닥면을 신축할때는 도 5와 같이 거프집(h) 상에 다기능성 판넬(f)과 철근(c)을 적층시킨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한편, 기존 건물의 내외벽을 보수할때는 도 6과 같이 몰탈층(p)이 있는 콘크리트벽(c)에 먼저 겔상도막방수층(g)을 형성시킨 다음, 여기에 다기능성 판넬(f)을 고정볼트(7)로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볼트(7)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기존 건물의 옥상을 보수할때는 도 8과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i)에 접착프라이머(j), 겔상도막방수층(g), 다기능성 판넬(f), 폴리에스테르부직포(q), 프라이머(j), 탄성도막방수층(d') 및 탑코팅층(d)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다기능성 판넬(f)을 사용하므로 공정이 간단해 지고 제조원가도 저렴하다. 아울러 신축 또는 기존 건물의 옥상, 내외벽 및 내부 바닥면의 방수성, 방음성, 내충격성, 단열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반영구적인 재질로서 어떠한 치장(내장)도 바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기능성 판넬(f)을 사용하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의 옥상, 내외벽 및 내부 바닥면의 방수성, 단열성, 보온성, 방음성, 내충격성 및 내약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건축물의 내외벽, 옥상 및 내부 바닥면을 신축하거나 보수함에 있어서, 일반 스치로폴 단열 판넬(1)의 양면에 순차적으로 1차 방수층(2, 2'), 고무성분과 접착제성분이 혼합된 겔상도막방수층(3, 3'), 폴리에스테르부직포(4, 4') 및 2차 방수층(5, 5')들이 적층되어 있는 다기능성 판넬(f)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2. 1항에 있어서, 건물의 옥상을 신축할때 도 3과 같이 거프집(h) 상에 다기능성 판넬(f), 겔상도막방수층(g), 방수쉬트(e), 철근(b), 콘크리트(c) 및 탑코팅층(d)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3. 1항에 있어서, 건물의 내외벽을 신축할때 도 4과 같이 철근(b)이 설치된 거프집(h)에 먼저 다기능성 판넬(f)을 고정볼트(7)로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층(c)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4. 1항에 있어서, 건물의 내부 바닥면을 신축할때 도 5과 같이 거프집(h) 상에 다기능성 판넬(f), 철근(b), 콘크리트(c)를 순차적으로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5. 1항에 있어서, 기존 건물의 내외벽을 보수할때 도 6과 같이 몰탈층(p)이 있는 콘크리트벽(c)에 먼저 겔상도막방수층(g)을 형성시킨 다음, 여기에 다기능성 판넬(f)을 고정볼트(7)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6. 1항에 있어서, 기존 건물의 옥상을 보수할때 도 8과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i)에 접착프라이머(j), 겔상도막방수층(g), 다기능성 판넬(f), 폴리에스테르 부직포(q), 프라이머(j), 탄성도막방수층(n) 및 탑코팅층(d)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KR1020000012642A 2000-03-14 2000-03-14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KR20010091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42A KR20010091201A (ko) 2000-03-14 2000-03-14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42A KR20010091201A (ko) 2000-03-14 2000-03-14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01A true KR20010091201A (ko) 2001-10-23

Family

ID=1965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642A KR20010091201A (ko) 2000-03-14 2000-03-14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12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212A (ko) * 2002-08-31 2002-10-09 신경균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처리공법
KR100721215B1 (ko) * 2006-12-29 2007-05-23 주식회사 젠트로 겔 타입 희생 양극과 고 절연성 방수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파손부의 보수 및 보강 방법
KR100779503B1 (ko) * 2006-07-26 2007-11-26 김동현 친환경 방수기능을 겸비한 외부 단열벽 마감재
CN115126164A (zh) * 2022-05-27 2022-09-30 浙江佳成和合建设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用的多功能装配式隔热屋面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7144A (ja) * 1996-05-28 1997-12-09 Daicel Chem Ind Ltd 床材、床材用下地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81548A (ja) * 1997-09-08 1999-03-26 Daicel Chem Ind Ltd 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07064A (ko) * 1999-11-23 2000-02-07 정학규 벽면에 바르는 단열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185761Y1 (ko) * 1999-11-24 2000-06-15 김현철 건축용 천장패널
KR20010002175A (ko) * 1999-06-11 2001-01-05 허태학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빙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7144A (ja) * 1996-05-28 1997-12-09 Daicel Chem Ind Ltd 床材、床材用下地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81548A (ja) * 1997-09-08 1999-03-26 Daicel Chem Ind Ltd 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02175A (ko) * 1999-06-11 2001-01-05 허태학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빙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KR20000007064A (ko) * 1999-11-23 2000-02-07 정학규 벽면에 바르는 단열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185761Y1 (ko) * 1999-11-24 2000-06-15 김현철 건축용 천장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212A (ko) * 2002-08-31 2002-10-09 신경균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처리공법
KR100779503B1 (ko) * 2006-07-26 2007-11-26 김동현 친환경 방수기능을 겸비한 외부 단열벽 마감재
KR100721215B1 (ko) * 2006-12-29 2007-05-23 주식회사 젠트로 겔 타입 희생 양극과 고 절연성 방수재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파손부의 보수 및 보강 방법
CN115126164A (zh) * 2022-05-27 2022-09-30 浙江佳成和合建设有限公司 一种绿色建筑用的多功能装配式隔热屋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87158A1 (en) High performance, highly energy efficient precast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panels
CA2944045A1 (en) Insulated reinforced foam sheathing, reinforced elastomeric vapor permeable air barrier foam panel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1065470B1 (ko) 단열성능 및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건물의 옥상부 또는 외벽부의 보강공법
CN104420549A (zh) 一种预制保温板
KR20010091201A (ko) 신축 또는 기존 건축물 내외벽의 보강 및 방수방법
EP3245350B1 (en) High-performance torchable thermal insulating panel for buildings roofs
CN207017545U (zh) 泡沫混凝土保温屋面优化建筑构造及局部构造
KR101381084B1 (ko) 단열 및 방수용 시공 방법
CN215054296U (zh) 一种高强度防火保温隔墙结构
KR102166241B1 (ko) 단열 및 방수 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N101793061B (zh) 板房材料再利用的建筑六面保温施工方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200286459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JPH09195441A (ja) 軽量断熱防水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360335B1 (ko) 건축 자재로서 공사에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 처리된패널
CN1117909C (zh) 组合面板及由其构成的建筑围护结构
US10633859B2 (en) Building element of mineral wool and fiber-reinforced plastic
CN218205268U (zh) 屋面防水隔热泡沫混凝土结构
KR200189544Y1 (ko) 다기능성 건축용 판넬
KR200242776Y1 (ko) 건축 자재로서 공사에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처리된 패널
CN203284983U (zh) 一种钢网架防水保温屋面施工结构
TWI537457B (zh) 積層殼構及其施工方法
JP3336461B2 (ja) 外断熱壁材
KR100799091B1 (ko)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