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062A -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 Google Patents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062A
KR20010090062A KR1020010053762A KR20010053762A KR20010090062A KR 20010090062 A KR20010090062 A KR 20010090062A KR 1020010053762 A KR1020010053762 A KR 1020010053762A KR 20010053762 A KR20010053762 A KR 20010053762A KR 20010090062 A KR20010090062 A KR 20010090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able
modular
block
termin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철
Original Assignee
신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철 filed Critical 신종철
Priority to KR102001005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0062A/ko
Publication of KR2001009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세대 내부에서 통신용케이블을 접속 및 분배처리하는 세대단자함 등의 내부에 쉽게 장착하고 배선의 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접속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는 세대단자함 내부에서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단말결속을 모듈러방식으로 자유롭게 하며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간에 다양하게 회선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접속단자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결용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이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8핀 모듈러잭 및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회선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된 다수의 IDC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를 이용하면, 인입 및 인출케이블의 종단은 모듈러잭형태로 처리되어 세대단자함 내부에서 다양한 통신용 장치와 직접연결될 수 있고 한묶음의 페어인입케이블을 여러묶음의 페어인출케이블로 상호 연결하는 접속을 IDC블록으로 하여 다양한 회선조정기능과 배선교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omitted}
본 발명은 세대단자함 내부에서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단말결속을 자유롭게 하며 부속연결구조가 노출되지 않고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간에 다양하게 회선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접속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종래의 이 분야에서 사용하는 세대단자함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예시된 바와 같이 주로 4페어단위의 일정회선으로 고정된 국선등이 인입되어 각 방으로 역시 4페어단위의 일정회선으로 고정된 인출케이블이 배선되는 사정이 있고 음성전화 등을 각 방에서 공유로 사용하기 위하여 멀티배선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을 직결방식 또는 멀티방식중 하나의 방식으로만 구성할 수 없는 배선구조의 특수성이 있다.
이로 인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와 접속방법을 이용한 접속단자대가 개발되어 있으나, 여러가지 요구되는 조건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들면, 한 가정에서도 여러대의 컴퓨터로 인터넷등을 이용하는 추세가 확산되어 가고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세대단자함에서 여러방에 임으로 데이터를 분할하여주는 기능의 스위칭장비에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이 별도의 단말자재의 교체없이 직접 연결되는 것이 좋으며 또한,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1조의 인입케이블과 여러조의 인출케이블 상호간 다양한 회선수의 조정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110블록과 같은 구조로 인입 및 인출케이블을 단말결선을 처리하면 인입과 인출케이블간에 회선을 조정할 수는 있으나 향후에 스위칭장비를 장착하여 사용하려면 그 접속단말구의 형태가 8핀모듈러잭방식으로 되어있어 별도의 단말접속자재를 교체해야 할 뿐 만 아니라 이미 조정된 회선을 각 서비스에 필요한 회선과 배열로 재배열해야 함으로서 인력과 자재의 낭비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 9에 예시된 종래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는 본 발명의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와 전혀 상반된 구조로서,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이 IDC블록으로 종단되고 모듈러형 패치코드로 인입 및 인출케이블간을 결선한다.
이러한 구조는 인입 및 인출케이블의 종단이 모듈러형으로 처리되지 않아서 별도의 재작업이 선행되지 않으면 세대단자함에 장착되는 다양한 통신용장치에 직접 연결할 수 없고 인입 및 인출케이블간의 임의회선조정이 불가능하거나 극히 어려워서 실용에 매우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설사 그 역으로 이용하려고 하여도 회선조정을 위한 IDC블록간의 배선경로상에 8핀모듈러잭 등의 장애물이 있어 작업하기에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의 단자대는 외부케이싱으로 감싸는 구조를 취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단자대 내부의 접속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저해될 뿐 만 아니라 단자대의 입체적인 배치가 불가능하여 접속할 케이블이 많은 경우에는 세대단자함의 케이스가 매우 커져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입 및 인출케이블을 접속할 때 필요한 점퍼케이블 내지 패치코드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고, 결선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비전문가가 임의로 조작하면 통신의 이용이 중단되거나 심각한 장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세대단자함용 여러가지 단자대는 입체적으로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수가 고정된 단자대의 수용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단자대를 추가로 장착할 공간이 필요하여, 회선수가 많은 경우에는 세대단자함 케이스의 규격이 과대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대단자함용 단자대가 접속의 편리성과 배선의 다양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없고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부속연결구조가 노출되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발명의 목적은 세대단자함 내부에서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단말결속을 모듈러방식으로 자유롭게 하며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간에 다양하게 회선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접속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간에 다양하게 회선수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부속연결구조가 노출되지 않는 접속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다 많은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을 세대단자함 케이스의 규격을 늘이지 않고 수용하기 위하여 입체적으로 단자대의 배치가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를 외부케이싱에 장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의 접속뚜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의 조립기판과 접속뚜껑의 결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의 8핀모듈러잭과 IDC블록의 결선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이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IDC블럭형 단자대와 점퍼케이블에 의한 회선접속 및 배선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종래의 이 분야에서 사용하는 IDC블럭형 단자대와 패치코드를 이용한회선접속 및 배선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종래의 이 분야에서 사용하는 IDC블럭에 의한 케이블종단과 8핀모듈러잭에 의한 회선접속 및 배선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종래의 이 분야에서 사용하는 8핀모듈러잭에 의한 케이블종단과 멀티패턴에 의한 회선접속 및 배선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는 연결용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이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8핀모듈러잭 및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회선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된 다수의 IDC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는 다수의 8핀모듈러잭용 개구부가 형성되고 본체와 뚜껑을 분리하여 개폐될 수 있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장착되어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직접연결 및 회선조정을 할 수 있는 모듈러잭과 IDC블록을 장착한 조립기판 및; 상기 IDC블록에 접속하여 인입 및 인출케이블의 상호 회선수를 조정할 수 있는 접속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는 상기 조립기판이 장착된 외부케이싱본체와; 상기 뚜껑에 접속자가 조립되어 본체에 뚜껑을 여닫음으로서 상기 조립기판의 IDC블록상호간을 접속 또는 절단하여 회선을 단속(斷續)할 수 있는 접속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의 조립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조립기판(1)은 적절한 패턴(16)이 형성된 기판(15)위에 인입케이블을 종단하기 위한 적어도 1개 이상의 8핀모듈러잭(11) 및 인출케이블을 종단하기 위한 다수의 8핀모듈러잭(12)이 조립되고 그 안쪽에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간 회선조정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서로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IDC블록이 장착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의 외부케이싱 본체에 조립기판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상기 도 1의 조립기판(1)을 외부케이싱본체(21)에 장착하여 인입케이블(25)과 인출케이블(26)이 접속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은 상호 분리된 구조를 취하는데, 음성전화 등을 위한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상호결선과 필요회선수의 조정은 조립기판의 내부에 장착된 IDC블록에 점퍼케이블(17)로 연결하거나 다음에 설명하는 접속뚜껑의 접속자와 연결패턴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하는 결선 및 배선방법과 달리, 인입케이블(25)과 인출케이블(26)을 8핀모듈러잭으로 종단하여 향후 세대단자함에 장착되는 여러장치들에 별도의 단말처리를 하지 않아도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모듈러잭의 안쪽에 인입용 모듈러잭 및 인출용 모듈러잭에 대응하는 IDC블록으로 주로 4페어단위의 인입케이블과 4페어단위의 인출케이블을 상호 페어간 필요회선수에 따라 1∼4페어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의 접속뚜껑을 도시하는 설명도로서, 접속뚜껑(3)은 프라스틱재질의 몸체(31)에 접속자(32)가 장착되고 패턴(33)이 형성된 접속기판(34)이 반고정식으로 부착된 구조를 취하여, 도 4와 같이 상기 접속뚜껑(31)을 상기 조립기판이 장착된 외부케이싱 본체(21)에 닫음과 동시에 조립기판(15)의 IDC블록(13)(14)과 접속뚜껑(31)의 접속자(32)(32')가 결합되어 인입 및 인출케이블이 상호 연결된다. 또한, 임의의 회선을 점퍼케이블(17)등으로 자유롭게 조정하여 접속할 수 있다. (33)과(16)은 조립기판(15)과 접속기판(34)에 인쇄된 패턴을 나타낸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뚜껑의 접속기판(34)에는 통상적인 1∼2회선의 전화용으로 멀티접속하는 구조를 취하고, 통신서비스의 활용을 위하여 임의의 회선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필요한 IDC블록의 접속구(13)(14)에 점퍼선(17)을 결속하여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8핀모듈러잭을 다단(52)(53)으로 쌓고 이를 조립기판(51)에 장착한 후 그 뒤쪽에 각 8핀모듈러잭 상호간 임의의 회선으로 결선할 수 있는 IDC블록(54)(55)을 장착하는 구조를 취할 수 도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를 이용하면, 인입 및 인출케이블이 종단접속되는 위치에는 8핀모듈러잭형태의 단자대로 구성되고 한묶음의 페어인입케이블을 여러묶음의 페어인출케이블로 상호 연결하는 접속을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IDC블록으로 하여 다양한 회선조정기능과 배선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음성전화를 위한 인입 및 인출케이블간 1∼2조의 멀티배선을 접속뚜껑으로 결선하고, 서비스의 다양성에 따른 배선을 추가로 할 수 있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대부분의 통신이용자의 서비스접속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임의의 배선구조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입체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서 접속케이블이 많아져도 세대단자함의 규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3)

  1. 연결용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되어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이 직접 단말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8핀모듈러잭 및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회선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장착된 다수의 IDC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2. 상기 1항에 있어서,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의 8핀모듈러잭은 다단으로 쌓이고 그 뒤쪽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임의회선조정용 IDC블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3. 다수의 8핀모듈러잭용 개구부가 형성되고 본체와 뚜껑을 분리하여 개폐될 수 있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장착되어 인입케이블과 인출케이블의 직접연결할 수 있는 모듈러잭 및 회선조정을 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IDC블록을 장착한 조립기판 및; 상기 IDC블록에 접속하여 인입 및 인출케이블의 상호 회선수를 조정할 수 있는 접속자를 포함하는 접속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KR1020010053762A 2001-09-01 2001-09-01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KR20010090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762A KR20010090062A (ko) 2001-09-01 2001-09-01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762A KR20010090062A (ko) 2001-09-01 2001-09-01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062A true KR20010090062A (ko) 2001-10-18

Family

ID=1971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762A KR20010090062A (ko) 2001-09-01 2001-09-01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00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80B1 (ko) * 2005-08-19 2007-06-04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71A (ko) * 1999-04-23 1999-07-05 이동팔 단위세대통신선용통합배선분배단말기설치구조
KR19990085556A (ko) * 1998-05-19 1999-12-06 이원도 전기,정보통신 선로용 공통장치함 및 선로의 설치 시스템
KR20000007773A (ko) * 1998-07-07 2000-02-07 박순구 통신용 세대단자
KR200212548Y1 (ko) * 2000-08-25 2001-02-15 주식회사차세대정보통신 세대통신단자함
KR200215652Y1 (ko) * 2000-08-19 2001-03-15 김성철 피씨비회로 구조에 의한 모듈아답터형 통신 브릿지 단자대
KR20010027691A (ko) * 1999-09-15 2001-04-06 이원도 간선 정보 통신 선로와 단위 세대 내 정보 통신선 분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556A (ko) * 1998-05-19 1999-12-06 이원도 전기,정보통신 선로용 공통장치함 및 선로의 설치 시스템
KR20000007773A (ko) * 1998-07-07 2000-02-07 박순구 통신용 세대단자
KR19990046771A (ko) * 1999-04-23 1999-07-05 이동팔 단위세대통신선용통합배선분배단말기설치구조
KR20010027691A (ko) * 1999-09-15 2001-04-06 이원도 간선 정보 통신 선로와 단위 세대 내 정보 통신선 분배 시스템
KR200215652Y1 (ko) * 2000-08-19 2001-03-15 김성철 피씨비회로 구조에 의한 모듈아답터형 통신 브릿지 단자대
KR200212548Y1 (ko) * 2000-08-25 2001-02-15 주식회사차세대정보통신 세대통신단자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80B1 (ko) * 2005-08-19 2007-06-04 코앤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9277B2 (en) Multimedia patching box
US5130893A (en) Signal distribution system
US4595799A (en) Modularized 66-block
US20080124971A1 (en) Service provider patch panel assembly
US20140211809A1 (en) Network switch with integrated cable termination locations
US7811093B2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ivity system
US6415022B1 (en) User programmable telephone wiring access terminal
US200700475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ecting betwee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KR20010090062A (ko) 내부에서 접속회선을 조정할 수 있는 모듈러방식의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KR200256722Y1 (ko) 접속기판으로 입출력케이블의 결선을 조정할 수 있는모듈러방식의 세대단자함용 접속단자대
GB2402269A (en) Switched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device
US6939141B2 (en) Advanced patch panel
KR20020086348A (ko) 인출구겸용 세대단자함커버와 결합된 세대단자함과 이를이용한 단위세대내 통신선로의 배선시스템
KR200357721Y1 (ko) 경사모듈러방식단자대
KR200264052Y1 (ko) 모듈러잭형 단자대의 회선조정용 멀티패치코드
KR20000007773A (ko) 통신용 세대단자
KR100440709B1 (ko) 초고속 정보 통신 건물의 단위 세대 내 통신망 시스템
KR200287754Y1 (ko) 다중화 허브
KR100419078B1 (ko) 홈멀티플렉서구조
KR200272419Y1 (ko) 여러국선을 고정핀에 별도로 접속하는 기능이 있는모듈러방식의 접속단자대
KR20040001245A (ko) 외부 판넬에 홈네트워크 장비 연결용 인입 및 인출단자를갖는 세대단자함
JP4113771B2 (ja) 分岐モジュラージャック
KR20010111067A (ko) 다중화 허브
KR200227868Y1 (ko) 8핀 알제이45 버스형 인출구
KR200264579Y1 (ko) 멀티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