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680A - 콘텐츠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680A
KR20010089680A KR1020017007994A KR20017007994A KR20010089680A KR 20010089680 A KR20010089680 A KR 20010089680A KR 1020017007994 A KR1020017007994 A KR 1020017007994A KR 20017007994 A KR20017007994 A KR 20017007994A KR 20010089680 A KR20010089680 A KR 2001008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key
authentication
program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구로류지
카와카미이타루
타나베미츠루
에즈라유이치
사토이치로
에비하라무네타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8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68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3Challenge-respon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29Authenticate client device independently of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37Time limited access, e.g. to a computer o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53Using hardware token as a secondary aspect

Abstract

재생프로그램은 PC상에 인스톨 된때에, CD의 리핑용의 키가 예를들면 FD에서 제공된다. 이 CD의 리핑용의 키에서는 CD내의 음악콘텐츠를 PD에 카피는 가능하지만, EMD서버에서 음악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PD에 카피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재생프로그램은 EMD서버에서 분배된 음악콘텐츠를 PD에 보존하는 경우에는 리필용의 키와는 다른 EMD용의 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취득한 후에 행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네트워크를 거쳐서 분배된 콘텐츠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인다.

Description

콘텐츠제공시스템{Contents providing system}
최근 인터넷이나 케이블 텔레비전 등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악콘텐츠의 온라인분배가 실용화 되기 시작하였다.
이와같은 음악콘텐츠의 분배시스템에 있어서는 콘텐츠분배업자는 음악콘텐츠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분배하는 경우, 예를들면, 웹상에 음악콘텐츠를 제공한다. 또 이 음악분배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기의 퍼스널컴퓨터를 이용해서 콘텐츠분배업자가 제공하는 웹 등에 액세스를 하여 소망의 음악콘텐츠를 다운로드 한다. 사용자는 취득한 음악콘텐츠를 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내의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재생한다거나 또 이 퍼느널컴퓨터와 접속가능한 포터블 디바이스 등에 의해 재생한다.
여기서 콘텐츠제공업자는 그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그때문에 콘텐츠분배업자는 인터넷을 거쳐서 웹상에 액세스하여 온 사용자를 ID정보나 암증번호 등으로 인식하고, 정당한 사용자에 대해서만 암호화한 음악콘텐츠를 분배한다. 그리고 그 음악콘텐츠는 사용자로부터는 자유로이 참조할 수 없는 암호키에 의해 키관리가 된 상태에서 퍼스널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격납된다. 또 퍼스널컴퓨터내에 격납된 음악콘텐츠를 포터블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과 포터블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인증처리를 행한후에 포터블디바이스가 갖는 기억매체에 음악콘텐츠가 격납된다.
그런데 종래 포터블디바이스와 퍼스널컴퓨터와의 사이의 인증의 방식은 CD등의 미디어에서 카피된 음악콘텐츠만을 취급하는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인지, 네트워크에서 다운로드한 음악콘테츠를 취급하는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인지, 특히 구별이 되지 않게 행하여지고 있었다.
그때문에 예를들면 어떠한 악의를 갖는자에 의해 포터블디바이스와 퍼스널컴퓨터와의 인증키가 파손된 경우, CD등의 미디어에서 카피된 음악콘텐츠와, 네트워크를 거쳐서 분배한 음악콘텐츠와의 양자와 함께 부정하게 카피가 되어 버린다.
특히 CD등의 미디어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미디어가 판매된 때에 부과금이 종료하고 있는 경우가 주이지만, 네트워크를 거쳐서 분배된 음악콘텐츠는 예를들면 재생을 한 회수나 복제를 한 회수 등에 의해 부과금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고, 보다 강고한 키관리가 요망된다.
반도체메모리나 메모리카드 등을 기억매체로 한 가반(可搬)재생장치에 콘텐츠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및 콘텐츠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 있어서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표시조작 지시윈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녹음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 있어서의, 분배업자마다 포맷이 다른 콘텐츠의 통일적인 취급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통일전송 프로토콜 레이어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와이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용조건정보의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포괄관리유닛에서 이용되는 통일 이용조건정보를 구성하는 파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통일 이용조건정보의 오토매톤 파일(automaton file)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오토매톤 파일의 오토매톤 기술부에 기술되는 음악콘텐츠의 동작천이를 나타내는 오토매톤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나타낸 상기 오토매톤을 투풀(tuple)열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오토매톤 기술(記述)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XML의 사양에 의거해서 규정된 DTD로 정의되어 있는 이벤트와 커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오토매톤 기술부의 제 1기술(記述)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제 1기술 예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18은 상기 오토매톤 기술부의 제 2기술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상기 제 2기술 예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20은 상기 오토매톤 기술부의 제 3기술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상기 제 3기술 예의 상태 천이도이다.
도 22는 상기 오토매톤 기술부의 제 4기술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상기 통일 이용조건정보의 파라미터 파일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파라미터 파일을 갱신한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상기 파라미터 파일의 파라미터 기술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포괄관리유닛에 의한 콘텐츠의 관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포괄관리유닛이 CD-ROM에서 인스톨되는 경우의 처리수순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포괄관리유닛이 네트워크에서 다운로드 되어서 인스톨되는 경우의 처리수순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리핑키에서 EMD키로 갱신하는 갱신수순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EMD키를 갱신하는 수순의 제 1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EMD키를 갱신하는 수순의 제 2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분배된 콘텐츠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제공시스템 및 콘텐츠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컨텐츠제공시스템은 콘텐츠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프로그램을 갖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기억매체에 격납하여 재생하는 가반재생장치와, 콘텐츠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 분배하는 콘텐츠서버로 이루는 콘텐츠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인스톨된 후에 제 1마스터키 및 제 1인증키가 상기 재생프로그램에 제공되고, 상기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당해 장치에 접속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를 취득하여 보존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 제공된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해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상기 콘텐츠서버에서 분배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상기 가반재생장치와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마스터키와는 다른 제 2마스터키 및 상기 제 1인증키와는 다른 제 2인증키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되고, 이 제공된 제 2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콘텐츠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취득하여 보존하고, 이 제공된 제 2인증키 및 제 2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해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텐츠제공시스템에서는 재생프로그램이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만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의 보존 및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한다. 재생프로그램이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의 보존 및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한다. 제 2인증키 및 제 2마스터키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재생프로그램에 제공되고,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와 다른 키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텐츠제공방법은, 콘텐츠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프로그램을 갖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기억매체에 격납하여 재생하는 가반재생장치에 의해 사용자에 콘텐츠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서버로 이루는 콘텐츠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프로그램을 인스톨한 후에 제 1 마스터키 및 제 1인증키가 상기 재생프로그램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장치에 접속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를 취득하여 보존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 제공된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해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콘텐츠서버에서 분배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상기 가반재생장치와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마스터키와는 다른 제 2마스터키 및 제 1인증키와는 다른 제 2인증키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되고, 이 제공된 제 2마스커키를 이용해서 상기 콘텐츠서버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취득하여 보존하고, 이 제공된 제 2인증키 및 제 2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해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콘텐츠제공방법에서는 재생프로그램이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만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의 보존 및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한다. 재생프로그램이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제 1 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의 보존 및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한다. 제 2인증키 및 제 2마스터키는 네트워크를 거쳐서재생프로그램에 제공되고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와 다른 키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을 적용한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버에서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장치에 다운로드하고, 다시, 다운로드한 음악콘텐츠나 CD에서 독해한 음악콘텐츠의 관리 등을 행하는 시스템이다.
(1)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의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은, 퍼스널 컴퓨터(1)와, 인터넷이나 국부영역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2)와, 등록서버(3)와, 음악데이터(이하, 콘텐츠라고 부른다)를 분배하는 복수의 EMD(Electrical Music Distribution)서버(4)(4-1, 4-2, 4-3)와, WWW서버(5)(5-1, 5-2, 5-3)를 갖춰서 구성된다. 또, 퍼스널 컴퓨터(1)에는, USB케이블(7)(7-1, 7-2, 7-3)을 거쳐서, 내부에 메모리카드 등의 기억매체가 격납되고, 콘텐츠의 재생을 행하는 휴대형의 음악재생기기인 휴대장치(6)(6-1, 6-2, 6-3)가 접속된다.
퍼스널 컴퓨터(1)는, 네트워크(2)를 거쳐서, EMD등록서버(3), EMD서버(4)(4-1, 4-2, 4-3), WWW(World Wide Web)서버(5)(5-1, 5-2, 5-3)와 접속된다.
퍼스널 컴퓨터(1)는, EMD서버(4)(4-1, 4-2, 4-3)에서, 소정의 압축방식으로 압축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소정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기록한다. 또, 퍼스널 컴퓨터(1)는, CD(Compact Disc) 등에서 독해한 콘텐츠를 소정의 압축방식으로 압축하고, 소정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기록한다. 압축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3)(상표)나 MP3(MPEG Audio Layer-3) 등의 방식이 이용된다. 또, 암호화 방식으로서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등이 이용된다.
또, 퍼스널 컴퓨터(1)는, 콘텐츠의 분배를 받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의 이용조건을 나타내는 이용조건정보의 분배도 받고, 그것을 기록한다. 또, 퍼스널 컴퓨터(1)는, CD 등에서 독해한 콘텐츠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의 재생조건에 따라서, 이용조건정보를 생성하고, 그것을 기록한다.
또, 퍼스널 컴퓨터(1)는, 암호화하여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를 이용조건정보 및 곡명이나 연주자 등의 관련정보와 함께, USB케이블(7)(7-1, 7-2, 7-3)을 거쳐서, 휴대장치(6)(6-1, 6-2, 6-3)에 기록하고, 기억시킨 것에 대응하여 이용조건정보를 갱신한다. 이 처리의 것을 체크아웃이라고 부른다. 이용조건정보는, 체크아웃하였을 때,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하고 있는, 그 콘텐츠의 체크아웃 가능 횟수를 1 감소시킨다. 체크아웃 가능횟수가 0일 때에는, 대응하는 콘텐츠는 체크아웃 할 수 없다.
또, 퍼스널 컴퓨터(1)는, USB케이블(7-1, 7-2, 7-3)을 거쳐서, 휴대장치(6)(6-1, 6-2, 6-3)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소거하고(또는, 사용할 수 없게 하고), 소거한 것에 대응시켜서 이용조건정보를 갱신한다. 이 소거처리의 것을 체크인이라고 부른다. 체크인 하였을 때,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하고 있는, 그 콘텐츠의 체크아웃 가능횟수를 1 증가 시킨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다른 퍼스널 컴퓨터가 휴대장치(6)에 체크아웃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체크인은 할 수 없다. 즉, 퍼스널 컴퓨터(1) 자신이 체크아웃한 콘텐츠밖에, 체크인을 할 수 없다.
EMD등록서버(3)는, 퍼스널 컴퓨터(1)가 EMD서버(4-1, 4-2, 4-3)에서 콘텐츠의 취득을 개시할 때, 퍼스널 컴퓨터(1)의 요구에 대응하여, 네트워크(2)를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1)와 EMD서버(4)(4-1, 4-2, 4-3)와의 상호인증에 필요한 인증키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하는 동시에, EMD서버(4)(4-1, 4-2, 4-3)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EMD서버(4)(4-1, 4-2, 4-3)는, 퍼스널 컴퓨터(1)의 요구에 대응하여, 네트워크(2)를 거쳐서, 이용조건정보 및 콘텐츠의 관련데이터(예를 들면, 곡명, 또는 연주자 등)와 함께, 퍼스널 컴퓨터(1)에 콘텐츠를 공급한다.
각 EMD서버(4)(4-1, 4-2, 4-3)가 분배하는 콘텐츠는, 소정의 압축방식으로 압축되어 있다. 그 압축방식은, 서버마다 다르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 각 EMD서버(4)(4-1, 4-2, 4-3)가 공급하는 콘텐츠는 소정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되어서 분배된다. 그 암호화 방식은, 서버마다 다르게 되어 있어도 좋다.
WWW서버(5)(5-1, 5-2)는, 퍼스널 컴퓨터(1)의 요구에 대응하여, 네트워크(2)를 거쳐서 콘텐츠를 독해한 CD(예를 들면, CD의 앨범명, 또는 CD의 판매회사 등) 및 CD에서 독해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곡명, 또는 작곡자명 등)를 퍼스널 컴퓨터(1)에 공급한다.
휴대장치(6)(6-1, 6-2, 6-3)는, 퍼스널 컴퓨터(1)에서 공급된 콘텐츠(즉, 체크아웃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도시하지 않은 헤드폰 등에 출력하는 장치이다.
각 휴대장치(6)(6-1, 6-2, 6-3)는, 콘텐츠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매체를 가지고 있다, 기억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장치의 내부기판에 장착된 떼어내기가 불가능한 IC메모리나, 착탈이 가능한 메모리카드 등이 이용된다. 휴대장치(6)(6-1, 6-2, 6-3)는, USB 등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7)(7-1, 7-2, 7-3)를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1)와 접속되어, 콘텐츠가 전송된다. 이때, 콘텐츠는 암호화 및 압축된 상태로 전송되고, 이용조건정보도 부가되어 있다.
각 휴대장치(6)(6-1, 6-2, 6-3)는, 통상, 퍼스널 컴퓨터(1)와의 접속이 분리된 상태로 이용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재생명령이 부여되면, 암호화한 콘텐츠를 기억매체에서 독출하여, 재생을 한다. 또, 각 휴대장치(6)(6-1, 6-2, 6-3)는, 각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이용조건정보에 의거해서, 또, 필요에 따라서 재생의 제한을 행하거나, 콘텐츠의 삭제 등의 제어를 행하거나, 이용조건정보의 갱신 등을 행한다.
이하, 휴대장치(6-1, 6-2, 6-3)를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 단순히 휴대장치(6)라고 칭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해서, 퍼스널 컴퓨터(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1)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이나, OS(Operating System)를 실제로 실행한다. ROM(Read-Only Memory)(12)은, 일반적으로는, CPU(1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용 파라미터 중의 기본적으로 고정한 데이터를 격납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13)은, CPU(1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의 변화하는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이들은 CPU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호스트버스(14)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버스(14)는, 브리지(15)를 거쳐서,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버스 등의 외부버스(16)에 접속되어 있다.
키보드(18)는, CPU(11)에 각종의 지령을 입력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마우스(19)는, 디스플레이(20)의 화면상의 포인터의 지시나 선택을 행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디스플레이(20)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CRT(CathodeRay Tube)등으로 이루어지며, 각종 정보를 텍트스나 이미지로 표시한다. HDD(Hard Disc Drive)(21)는, 하드디스크를 구동하고, 그들에게 CPU(11)에 의해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기록 또는 재생시킨다.
드라이브(22)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디스크(41), 광디스크(42)(CD를 포함한다), 광자기디스크(43) 또는 반도체 메모리(4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독출하고, 그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인터페이스(17), 외부버스(16), 브리지(15) 및 호스트버스(14)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RAM(13)에 공급한다.
USB포트(23)(23-1, 23-2, 23-3)에는, USB케이블(7)(7-1, 7-2, 7-3)을 거쳐서, 휴대장치(6)(6-1, 6-2, 6-3)가 접속된다. USB포트(23)는 인터페이스(17), 외부버스(16), 브리지(15), 또는 호스트버스(14)를 거쳐서, HDD(21), CPU(11) 또는 RAM(13)에서 공급된 데이터(예를 들면, 콘텐츠 또는 휴대장치(6)의 커맨드 등을 포함한다)를 휴대장치(6)(6-1, 6-2, 6-3)에 출력한다.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958단자(24a)를 가지는 음성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디지털 음성입출력, 혹은 아날로그 음성입출력의 인터페이스처리를 실행한다. 스피커(45)는, 음성입출력 인터페이스(24)에서 공급된 음성신호를 기초로, 콘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성을 출력한다.
이들의 키보드(18), 마우스(19), 디스플레이(20), HDD(21), 드라이브(22), USB포트(23), 음성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인터페이스(17)에 접속되어 있고, 인터페이스(17)는, 외부버스(16), 브리지(15) 및 호스트버스(14)를 거쳐서 CPU(11)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25)는, 네트워크(2)가 접속되고, CPU(11) 또는 HDD(21)에서 공급된 데이터(예를 들면, 등록의 요구, 또는 콘텐츠의 송신요구 등)를, 소정방식의 패킷에 격납하고, 네트워크(2)를 거쳐서 송신하는 동시에, 네트워크(2)를 거쳐서 수신한 패킷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예를 들면, 인증키, 또는 콘텐츠 등)를 CPU(11), RAM(13) 또는 HDD(21)에 출력한다.
반도체 IC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퍼스널 컴퓨터(1)에 장착되는 어댑터(26)의 CPU(32)는, 외부버스(16), 브리지(15) 및 호스트버스(14)를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11)와 함께 움직이며,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33)은, CPU(32)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하는 위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불휘발성 메모리(34)는, 퍼스널 컴퓨터(1)의 전원이 오프된 뒤도 유지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ROM(36)에는, 퍼스널 컴퓨터(1)에서, 암호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회전되어 왔을 때, 그것을 복호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고 있다. RTC(Real Time Clock)(35)는, 계시동작을 실행하고, 시각정보를 제공한다. 반도체IC는, 안전한 환경으로 설계되어 있고, 외부로부터의 악의한 액세스에 대해서 내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기능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통신부(25) 및 어댑터(26)는 외부버스(16), 브리지(15) 및 호스트버스(14)를 거쳐서 CPU(11)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휴대장치(6)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원회로(52)는, 건전지(51)에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소정 전압의 내부전력으로 변환하여, CPU(53)∼표시부(67)에 공급함으로써, 휴대장치(6) 전체를 구동시킨다.
USB제어기(57)는, USB커넥터(56)를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1)와 USB케이블(7)을 거쳐서 접속된 경우, 퍼스널 컴퓨터(1)에서 전송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내부버스(58)를 거쳐서 CPU(53)에 공급한다.
퍼스널 컴퓨터(1)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1패킷당 64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되고, 12Mbit/sec의 전송속도로 퍼스널 컴퓨터(1)에서 전송된다.
휴대장치(6)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헤더 및 콘텐츠로 구성된다. 헤더에는, 콘텐츠 ID , 파일명, 헤더사이즈, 콘텐츠키, 파일사이즈, 콘텐츠 ID , 파일정보 등이 격납되어 있는 동시에, 재생제한처리 등에 필요한 이용조건정보 등이 격납되어 있다. 콘텐츠는, ATRAC3 등의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암호화되고 있다.
헤더사이즈는, 헤더의 데이터 길이(예를 들면, 33바이트 등)를 나타내고, 파일사이즈는, 콘텐츠의 데이터 길이(예를 들면, 33,636,138바이트 등)를 나타낸다.
콘텐츠키는,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키이며, 퍼스널 컴퓨터(1)와 휴대장치(6)와의 상호인증의 처리에서 생성된 세션키(일시키)를 기초로 암호화된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서 휴대장치(6)에 송신된다.
휴대장치(6)가 USB케이블(7)을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1)의 USB포트(23)에 접속되었을 때, 휴대장치(6)와 퍼스널 컴퓨터(1)와는, 상호인증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상호인증의 처리는, 예를 들면, 챌린지 레스폰스(challenge response)방식의 인증처리이다. 이와 관련하여, 휴대장치(6)의 DSP(59)는, 챌린지 레스폰스방식의 인증처리를 행할 때, 암호해독(복호)의 처리를 실행한다.
챌린지 레스폰방식이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가 생성하는 어느 값(챌린지)에 대해서, 휴대장치(6)가 퍼스널 컴퓨터(1)와 공유하고 있는 비밀키를 사용하여 생성한 값(레스폰스)으로 응답하는 방식이다. 챌린지 레스폰스방식의 상호인증의 처리에 있어서는, 퍼스널 컴퓨터(1)가 생성하는 값은 인증처리마다 매회 변화하므로, 예를 들면, 휴대장치(6)가 출력한 비밀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값이 독출되어서, 소위, 성숙된 공격을 받아도, 다음의 상호인증처리에서는, 상호인증에 사용되는 값이 다르므로, 퍼스널 컴퓨터(1)는 부정을 검출할 수 있다.
콘텐츠 ID는, 콘텐츠에 대응한, 콘텐츠를 지정하기 위한 ID이다.
콘텐츠 ID는, 콘텐츠의 부호화 방식에 대응한 ID이며, 예를 들면, 콘텐츠 ID "1"은, ATRAC3에 대응하고, 콘텐츠 ID "0"은,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Audio Layer-3)에 대응한다.
파일명, 콘텐츠에 대응하는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파일(후술한다)을 ASCII(American National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코드로 변환한 데이터이며, 파일정보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곡명, 아티스트명, 작사자명, 또는 작곡자명 등을 ASCII코드로 변환한 데이터이다.
휴대장치(6)가, 퍼스널 컴퓨터(1)에서 콘텐츠와 함께 콘텐츠의 기입명령을 수신한 경우, RAM(4) 또는 ROM(55)에서 독출한 메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53)는, 기입명령을 수취하여, 플래시메모리 제어기(60)를 제어하고, 퍼스널 컴퓨터(1)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플래시메모리(61)에 기입하게 한다.
플래시 메모리(61)는, 약 64MByte의 기억용량을 가지며, 콘텐츠를 기억한다. 또, 플래시 메모리(61)에는, 소정의 압축방식으로 압축되어 있는 콘텐츠를 신장하기 위한 재생용 콘텐츠가 미리 격납되어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61)는, 휴대장치(6)에 메모리카드로서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사용자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재생/정지버튼의 아래로 내리는 조작에 대응한 재생명령이 조작키 제어기(62)를 거쳐서 CPU(53)에 공급되면, CPU(53)는 플래시 메모리 제어기(60)에, 플래시 메모리(61)에서 재생용 코드와 콘텐츠를 독출시키서, DSP(59)에 전송시킨다.
DSP(59)는, 플래시 메모리(61)에서 전송된 재생용 코드에 의거해서, 콘텐츠를 CRC(Cyclic Redundancy Check)방식으로 오류검출을 한 후, 재생하고, 재생한 데이터(도 3 중에 있어서 D1로 나타낸다)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63)에 공급한다.
DSP(59)는, 내부에 설치된 발신회로와 함게 일체로 구성되고, 외부에 붙여진 수정으로 이루는 발신자(59A)로부터의 마스터클럭(MCLK)을 기초로,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시에, 마스터클럭(MCIK), 마스터클럭(MCLK)을 기초로 내부의 발진회로에서 생성한 소정 주파수의 비트틀럭(BCLK) 및 프레임 단위의 L채널클럭(LCLK) 및 R채널클럭(RCLK)으로 이루는 동작클럭(CRCLK)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63)에 공급한다.
DSP(59)는, 콘텐츠를 재생할 때, 재생용 코드에 따라서 상술한 동작클럭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63)에 공급하고, 콘텐츠를 재생하지 않을 때, 재생용 코드에 따라서 동작클럭의 공급을 정지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63)를 정지시켜서, 휴대장치(6) 전체의 소비전력량을 저감한다.
동일하게, CPU(53) 및 USB제어기(57)도, 수정으로 되는 발진자(53A 또는 57A)가 각각 외부에 부착되고, 발진자(53A 또는 57A)에서 각각 공급되는 마스터클럭(MCLK)에 의거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서, 휴대장치(6)는 CPU(53), DSP(59), USB제어기(57) 등의 각 회로블록에 대해서 클럭공급을 행하기 위한 클럭발생 모듈이 불필요하게 되며, 회로구성을 간소화 하는 동시에 소형화 할 수 있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회로(63)는, 재생한 콘텐츠를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증폭회로(64)에 공급한다. 증폭회로(64)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헤드폰잭(65)을 거쳐서, 헤드폰에 음성신호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휴대장치(6)는, 재생/정지버튼이 가압조작 되었을 때, CPU(53)의 제어에 의거해서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시에, 재생중에 재생/정지버튼이 가압조작 되었을 때,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한다.
휴대장치(6)는, 정지 후에 재차 재생/정지버튼이 가압조작되었을 때, CPU(53)의 제어에 의거해서 정지한 위치에서 콘텐츠의 재생을 재개한다. 재생/정지버튼이 가압조작에 의해 재생을 정지하여 조작이 가해지지 않고 수초간 경과하였을 때, 휴대장치(6)는 자동적으로 전원을 오프하여 소비전력을 저감한다.
이와 관련하여, 휴대장치(6)는, 전원이 오프로 된 후에 재생/정지버튼이 가압조작 되었을 때, 전회의 정지한 위치에서 콘텐츠를 재생하지 않고, 1곡째에서 재생한다.
또, 휴대장치(6)의 CPU(53)는, LCD제어기(68)를 제어하여 표시부(67)에, 재생모드의 상태(예를 들면, 반복재생, 인트로재생 등), 이퀄라이저 조정(즉, 음성 신호의 주파수대역에 대응한 이득의 조정), 곡 번호, 연주시간, 재생, 정지, 빨리감기, 빨리 되감기 등의 상태, 음량 및 건전지(51)의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시킨다.
또한, 휴대장치(6)는 EEPROM(68)에, 플래시 메모리(80)에 기입되어 있는 콘텐츠의 수, 각각의 콘텐츠가 기입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61)의 블록위치 및 기타 여러 가지의 메모리 축적정보 등 소위 FAT(File Allocation Table)를 격납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텐츠는, 64KByte를 1블록으로서 취급되고, 1곡의 콘텐츠에 대응한 블록위치가 FAT에 격납된다.
플래시 메모리(61)에 FAT가 격납되는 경우, 예를 들면, 1곡째의 콘텐츠가 CPU(53)의 제어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입되면, 1곡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블록 위치가 FAT로서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입되고, 다음에, 2곡째의 콘텐츠가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입되면, 2곡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블록위치가 FAT로서 플래시 메모리(61)(1곡째와 동일한 영역)에 기입된다.
이와 같이, FAT는 플래시 메모리(61)에의 콘텐츠의 기입할 때마다 고쳐쓰게 되고, 또한, 데이터의 보호를 위해, 동일한 데이터가 리저브용으로 2중으로 기입된다.
FAT가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입되면, 1회의 콘텐츠의 기입에 대응하여, 플래시 메모리(61)의 동일한 영역이 2회 고쳐쓰기 되므로, 적은 콘텐츠의 기입횟수로, 플래시 메모리(61)에 규정되어 있는 고쳐쓰기 횟수에 도달하게 되어, 플래시 메모리(61)의 고쳐쓰기를 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휴대장치(6)는, FAT를 EEPROM(68)에 기억시켜서, 1회의 콘텐츠의 기입에 대응하는 플래시 메모리(61)의 고쳐쓰기의 빈도를 적게 하고 있다.
고쳐쓰기 횟수가 많은 FAT를 EEPROM(68)에 기억시킴으로써, FAT를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억시키는 경우에 비교해서, 휴대장치(6)는 콘텐츠의 고쳐쓰기를 할 수 있는 횟수를 수십배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 또한, CPU(53)는 EEPROM(68)에 FAT를 추기하도록 기입시킴으로, EEPROM(68)의 동일한 영역의 기입빈도를 적게하여, EEPROM(68)이 단기간에 고쳐쓰기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휴대장치(6)는, USB케이블(7)을 거쳐서 퍼스널 컴퓨터(1)에 접속되었을 때(이하, 이것을 USB접속이라고 칭한다), USB제어기(57)에서 CPU(53)에 공급되는 삽입 신호에 의거해서, USB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휴대장치(6)는, USB 접속된 것을 인식하면, 퍼스널 컴퓨터(1)에서 USB케이블(7)을 거쳐서 규정전류치의 외부전력의 공급을 받는 동시에, 전원회로(52)를 제어하여 건전지(51)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CPU(53)는, USB접속 되었을 때, DSP(59)의 콘텐츠의 재생처리를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CPU(53)는, 퍼스널 컴퓨터(1)에서 공급되는 외부전력이 규정전류치를초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규정전류치의 외부전력을 상시 받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CPU(53)는, USB 접속되면, 건전지(51)에서 공급되는 전력에서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환하므로, 전력단가가 싼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외부전력이 사용되고, 전력단가가 높은 건전지(51)의 소비전력이 저감되고, 이렇게 하여 건전지(51)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CPU(53)는, 퍼스널 컴퓨터(1)에서 USB케이블(7)을 거쳐서 외부전력의 공급을 받았을 때, DSP(59)의 재생처리를 정지시킴으로써, DSP(59)로부터의 복사를 저감시키고, 그 결과로서 퍼스널 컴퓨터(1)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이 복사를 한 층 저감시킨다.
다음에, 퍼스널 컴퓨터(1)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의 실행 등에 의해 실현되는 퍼스널 컴퓨터(1)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소정의 프로그램의 실행 등에 의해 실현되고, 퍼스널 컴퓨터(1)의 기능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은, EMD선택 프로그램(131), 체크인/체크아웃관리 프로그램(132), 복사관리 프로그램(133), 이동관리 프로그램(134), 암호방식변환 프로그램(135), 압축방식 변환프로그램(136), 암호화 프로그램(137), 이용조건 변환프로그램(139), 이용조건 관리프로그램(140), 인증프로그램(141), 복호프로그램(142), PD용 드라이버(143), 구입용 프로그램(144) 및 구입용 프로그램(145) 등의 복수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은, 예를 들면, 셔플되어 있는 인스트럭션, 또는 암호화되어 있는 인스트럭션 등으로 기술되고, 그 처리내용을 외부에서 은폐하고, 그 처리내용의 독해가 곤란하게(예를 들면,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을 독출하여도, 인스트럭션을 지정할 수 없는 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EMD선택 프로그램(131)은,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이 퍼스널 컴퓨터(1)에 인스톨될 때,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포함되지 않고, EDM의 등록 시에, 네트워크(2)를 거쳐서, EMD등록서버(3)에서 수신된다. EMD선택 프로그램(131)은, EMD서버(4)(4-1, 4-2, 4-3)의 어떤 접속을 선택하고, 구입용 애플리케이션(115), 또는 구입용 프로그램(144, 145)에, EMD서버(4)(4-1, 4-2, 4-3)와의 통신(예를 들면, 콘텐츠를 구입할 때의, 콘텐츠의 다운로드 등)을 실행시킨다.
체크인/체크아웃관리 프로그램(132)은,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설정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억되어 있는 이용조건 프로그램(162-1∼162-N)에 의거해서, 콘텐츠파일(161-1∼161-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를 휴대장치(6)에 체크아웃 하거나, 또는 휴대장치(6)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체크인한다.
체크인/체크아웃관리 프로그램(132)은,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처리에 대응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파일(1621-1∼162-N)에 격납되어 있는 이용조건정보를 갱신한다.
복사관리 프로그램(133)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파일(162-1∼162-N)에 의거해서, 콘텐츠파일(161-1∼162-N)에 격납되어 있는콘텐츠를 휴대장치(6)에 복사하거나, 또는 휴대장치(6)에서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복사한다.
이동관리 프로그램(13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파일(162-1∼162-N)에 의거해서, 콘텐츠파일(162-1∼162-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를 휴대장치(6)에 이동하거나, 또는 휴대장치(6)에서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이동한다.
암호방식 변환프로그램(135)은, 네트워크(2)를 거쳐서, 구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5)이 EMD서버(4-1)에서 수신한 콘텐츠의 암호화의 방식, 구입용 프로그램(114)이 EMD서버(4-2)에서 수신한 콘텐츠의 암호화의 방식을,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파일(162-1∼162-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와 동일한 암호화의 방식으로 변환한다.
압축방식 변환프로그램(136)은, 네트워크(2)를 거쳐서, 구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5)이 EMD서버(4-1)에서 수신한 콘텐츠의 압축방식, 구입용 프로그램(144)이 EMD서버(4-2)에서 수신한 콘텐츠의 압축방식을,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와 동일한 압축방식으로 변환한다.
암호화 프로그램(137)은, 예를 들면 CD에서 독해되고, 녹음프로그램(113)에서 공급된 콘텐츠(암호화 되어 있지 않다)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와 동일한 암호화의 방식으로 암호화한다.
압축/신장 프로그램(138)은, 예를 들면 CD에서 독해되고, 녹음프로그램(113)에서 공급된 콘텐츠(압축되어 있지 않은)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와 동일한 암호화의 방식으로 부호화한다. 압축/신장 프로그램(138)은, 부호화되어 있는 콘텐츠를 신장(복호)한다.
이용조건 변환프로그램(139)은, 네트워크(2)를 거쳐서, 구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5)이 EMD서버(4-1)에서 수신한 콘텐츠의 이용조건정보(소위, Usage Rule), 구입용 프로그램(144)이 EMD서버(4-2)에서 수신한 콘텐츠의 이용조건정보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가 기록하고 있는 이용조건파일(162-1∼162-N)에 격납되어 있는 이용조건정보와 동일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용조건 관리프로그램(140)은, 콘텐츠의 복사, 이동,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파일(162-1∼162-N)에 격납되어 있는 이용조건정보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기초로, 이용조건정보의 개찬(改竄)을 검출한다. 이용조건 관리프로그램(140)은, 콘텐츠의 복사, 이동,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처리에 수반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파일(162-1∼162-N)에 격납되어 있는 이용조건정보를 갱신에 대응하여, 이용조건정보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갱신한다.
인증프로그램(141)은,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과 구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5)과의 상호인증의 처리 및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과 구입용 프로그램(144)과의 상호인증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인증프로그램(141)은,EMD서버(4-3)와 구입용 프로그램(145)과의 상호인증의 처리에서 이용되는 인증키를 기억하고 있다.
인증프로그램(141)이 상호인증의 처리로 이용하는 인증키는,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이 퍼스널 컴퓨터(1)에 인스톨되었을 때, 인증프로그램(141)에 기억되어 있지 않고,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에 의해 등록처리가 정상으로 실행되었을 때, EMD등록서버(3)에서 공급되어, 인증프로그램(141)에 기억된다.
복호프로그램(14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가 재생할 때, 콘텐츠를 복호한다.
PD용 드라이버(143)는, 휴대장치(6)에 소정의 콘텐츠를 체크아웃할 때, 또는 휴대장치에서 소정의 콘텐츠를 체크인할 때, 휴대장치(6)에 콘텐츠 또는 휴대장치(6)에 소정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커맨드를 공급한다.
구입용 프로그램(144)은,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과 함께 인스톨되고, EMD등록서버(3)에서 네트워크(2)를 거쳐서 공급되고, 또는 소정의 CD에 기록되어서 공급된다. 구입용 프로그램(144)은, 퍼스널 컴퓨터(1)에 인스톨되었을 때,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이 갖는 소정의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과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구입용 프로그램(144)은, 예를 들면, 셔플되어 있는 인스트럭션, 또는 암호화되어 있는 인스트럭션 등으로 기술되어서, 그 처리내용을 외부에서 은폐하고, 그 처리내용의 독해가 곤란하게(예를 들면, 사용자가 직접, 구입용 프로그램(144)을독출하여도, 인스트럭션을 지정할 수 없는 등) 되도록 구성된다.
구입용 프로그램(144)은, 네트워크(2)를 거쳐서, EMD서버(4-2)에 소정의 콘텐츠의 송신을 요구하는 동시에, EMD서버(4-2)에서 콘텐츠를 수신한다. 또, 구입용 프로그램(144)은, EMD서버(4-2)에서 콘텐츠를 수신할 때, 부과금의 처리를 실행한다.
구입용 프로그램(145)은,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과 함께 인스톨되는 프로그램이며, 네트워크(2)를 거쳐서, EMD서버(4-3)에 소정의 콘텐츠의 송신을 요구하는 동시에, EMD서버(4-3)에서 콘텐츠를 수신한다. 또, 구입용 프로그램(145)은, EMD서버(4-3)에서 콘텐츠를 수신할 때, 부과금의 처리를 실행한다.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필터링 데이터파일(181), 표시데이터 파일(182), 화상파일(183-1∼183-K), 또는 이력데이터파일(184)을 기초로, 디스플레이(20)에 소정의 윈도의 화상을 표시시키고, 키보드(18) 또는 마우스(19)에의 조작을 기초로,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 등의 처리의 실행을 지시한다.
필터링 데이터파일(18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 각각에 가중을 하기 위한 데이터를 격납하고, HDD(21)에 기록되어 있다.
표시데이터파일(18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격납하고, HDD(21)에 기록되어 있다.
화상파일(183-1∼183-K)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대응하는 화상, 또는 후술하는 패키지에 대응하는 화상을 격납하고, HDD(21)에 기록되어 있다.
이하, 화상파일(183-1∼183-K)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 단지, 화상파일(183)이라고 칭한다.
이력테이터파일(18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가 체크아웃 되는 횟수, 체크인 된 횟수, 그 일자 등의 이력데이터를 격납하고, HDD(21)에 기록되어 있다.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등록처리시, 네트워크(2)를 거쳐서, EMD등록서버(3)에, 미리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의 ID를 송신하는 동시에, EMD등록서버(3)에서 인증용 키 및 EMD선택 프로그램(131)을 수신하고,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인증용 키 및 EMD선택 프로그램(131)을 공급한다.
녹음프로그램(113)은, 소정의 윈도의 화상을 표시시켜서, 키보드(18) 또는 마우스(19)에의 조작을 기초로, 드라이브(22)에 장착된 광디스크(42)인 CD에서 콘텐츠의 녹음시간 등의 데이터를 독출한다.
녹음프로그램(113)은, CD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녹음시간 등을 기초로, 네트워크(2)를 거쳐서, WWW서버(5-1 또는 5-2)에 CD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앨범명, 또는 아티스트명 등) 또는 CD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곡명 등)의 송신을 요구하는 동시에, WWW서버(5-1 또는 5-2)에서 CD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CD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녹음프로그램(113)은, 수신한 CD에 대응하는 데이터 또는 CD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에 공급한다.
또, 녹음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 녹음프로그램(113)은 드라이브(22)에 장착된 광디스크(42)인 CD에서 콘텐츠를 독출하여,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출력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는,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서 공급된 소정의 방식으로 압축되고, 소정의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파일(161-1∼161-N)의 어느 것에 격납한다(HDD(21)에 기록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각각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정보를, 콘텐츠가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에 각각 대응하는 이용조건파일(162-1∼162-N)의 어느 것에 격납한다(HDD(21)에 기록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는, 콘텐츠파일(161-1∼161-N) 또는 이용조건파일(162-1∼162-N)을 레코드로서 기록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콘텐츠파일(161-1)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정보는, 이용조건파일(1612-1)에 격납되어 있다. 콘텐츠파일(161-N)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정보는, 이용조건파일(162-N)에 격납되어 있다.
이하, 콘텐츠파일(161-1∼161-N)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 단순히, 콘텐츠파일(161)이라고 칭한다. 이하, 이용조건파일(162-1∼162-N)을 개개로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 단순히, 이용조건파일(162)이라고 칭한다.
구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5)은, EMD등록서버(3)에서 네트워크(2)를 거쳐서 공급되고, 또는 소정의 CD-ROM에 기록되어서 공급된다. 구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5)은, 네트워크(2)를 거쳐서, EMD서버(4-1)에 소정의 콘텐츠의 송신을 요구하는 동시에, EMD서버(4-1)에서 콘텐츠를 수신하고,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공급한다. 또, 구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5)은, EMD서버(4-1)에서 콘텐츠를 수신할 때, 부과금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표시 데이터파일(182)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파일(161-1∼161-N)과의 대응관련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텐츠파일(161-1∼161-N)의 어느 것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는, 소정의 패키지에 속한다. 패키지는, 보다 상세히는, 오리지널 패키지, 마이셀렉트 패키지 또는 필터링 패키지의 어느 것이다.
오리지널 패키지는, 1 이상의 콘텐츠가 속하고, EMD서버(4)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분류(예를 들면, 소위 앨범에 대응한다) 또는 한 장의 CD에 대응한다. 콘텐츠는, 어느 오리지널 패키지에 속하고, 복수의 오리지널 패키지에 속할 수 없다. 또, 콘텐츠가 속하는 오리지널 패키지는, 변경할 수 없다. 사용자는, 오리지널 패키지에 대응하는 정보의 일부를 편집(정보의 추가, 또는 추가한 정보의 변경)할 수 있다.
마이셀렉터 패키지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1 이상의 콘텐츠가 속한다. 마이셀렉터 패키지에 어느 콘텐츠가 속하는지는, 사용자가 임의로 편집할 수 있다.콘텐츠는, 1 이상의 마이셀렉터 패키지에 동시에 속할 수 있다. 또, 콘텐츠는 어느 마이셀렉터 패키지에 속하지 않아도 좋다.
필터링 패키지에는, 필터링 데이터파일(181)에 격납되어 있는 필터링 데이터를 기초로 선택된 콘텐츠가 속한다. 필터링 데이터는, EMD서버(4) 또는 WWW서버(5) 등에서 네트워크(2)를 거쳐서 공급되고, 또는 소정의 CD에 기록되어서 공급된다. 사용자는, 필터링 데이터파일(181)에 격납되어 있는 필터링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필터링 데이터는, 소정의 콘텐츠를 선택하고, 또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가중을 산출하는 기준으로 된다. 예를 들면, 금주의 J-POP(일본의 팝스) 베스트 텐에 대응하는 필터링 데이터를 이용하면, 퍼스널 컴퓨터(1)는, 금주의 일본의 팝스 1위의 콘텐츠∼금주의 일본의 팝스 10위의 콘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필터링 데이터파일(181)은, 예를 들면, 과거 1개월간에 체크아웃 되어 있던 기간이 긴 순으로 콘텐츠를 선택하는 필터링 데이터, 과거 반년간에 체크아웃된 횟수가 많은 콘텐츠를 선택하는 필터링 데이터, 또는 곡명에 "애(愛)"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필터링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필터링 패키지의 콘텐츠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용 표시데이터(221)(콘텐츠용 표시데이터(221)에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는 이력 데이터(184) 등과, 필터링 데이터를 대응시키서 선택된다.
드라이버(117)는,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 등의 제어를 기초로, 음성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구동하고, 외부에서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인 콘텐츠를 입력하여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공급하거나, 혹은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을 거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서 공급된 콘텐츠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출력하거나, 또는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을 거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서 공급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한다.
도 5는,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을 기동시켰을 때, 조작지시 프로그램(112)이 디스플레이(20)에 표시시키는 표시조작 지시윈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조작 지시윈도에는, 녹음프로그램(113)을 기동시키기 위한 버튼(201), EMD선택 프로그램(131)을 기동시키기 위한 버튼(202),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 처리의 설정을 행하는 필드를 표시시키기 위한 버튼(203), 마이셀렉터 패키지를 편집하기 위한 필드를 표시시키기 위한 버튼(204) 등이 배치되어 있다.
버튼(205)이 선택되어 있을 때, 필드(211)에는, 오리지널 패키지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버튼(206)이 선택되어 있을 때, 필드(211)에는, 마이셀렉터 패키지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버튼(207)이 선택되어 있을 때, 필드(211)에는, 필터링 패키지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필드(211)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패키지에 관한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패키지명칭, 또는 아티스트명 등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있어서는, 패키지명칭 "퍼스트" 및 아티스트명 "A다로", 패키지명칭 "세컨드" 및 아티스트명 "A다로" 등이 필드(211)에 표시된다.
필드(212)에는, 필드(211)에서 선택되어 있는 패키지에 속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필드(212)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곡명, 연주시간, 또는 체크아웃 가능횟수 등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있어서는, 패키지명칭 "세컨드"에 대응하는 패키지가 선택되어 있으므로, 패키지명칭 "세컨드"에 대응하는 패키지에 속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곡명 "남쪽의 술집" 및 체크아웃 가능횟수(예를 들면, 8분음부의 1개가 체크아웃 1회에 상당하고, 8분음부가 2개로 체크아웃 2회를 나타낸다) 및 곡명 "북쪽의 묘지" 및 체크아웃 가능횟수(8분음부가 1개로 체크아웃 1회를 나타낸다) 등이 필드(212)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필드(212)에 표시되는 체크아웃 가능 횟수로서의 1개의 8분음부는, 대응하는 콘텐츠가 1회 체크아웃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필드(212)에 표시되는 체크아웃 가능횟수로서의 휴지부는, 대응하는 콘텐츠가 체크아웃 할 수 없는(체크아웃 가능횟수가 0이다,(단, 퍼스널 컴퓨터(1)는 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것을 나타낸다. 또, 필드(212)에 표시되는 체크아웃 가능횟수로서의 도음기호는, 대응하는 콘텐츠의 체크아웃의 횟수에 제한이 없는(몇 번이라도, 체크아웃 할 수 있다)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체크아웃 가능횟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도형(예를 들면, 원, 별, 달 등이라도 좋다)의 수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숫자 등으로 표시하여도 좋다.
또, 표시조작 지시윈도에는, 선택되어 있는 패키지 또는 콘텐츠에 대응시켜 있는 화상 등(도 4의 화상파일(183-1∼183-K))의 어느 것에 대응 한다)을 표시시키는 필드(208)가 배치되어 있다. 버튼(209)은, 선택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할(콘텐츠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45)에 출력시킨다) 때, 클릭 된다.
버튼(205)이 선택되고, 필드(211)에, 오리지널 패키지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필드(212)에 표시되어 있는 소정의 콘텐츠의 곡명을 선택하고, 소거의 조작을 하였을 때,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선택되어 있는 곡명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4)에 격납되어 있는 소정의 콘텐츠를 소거시킨다.
녹음프로그램(133)이 표시시키는 윈도의 버튼(후술하는 버튼(255))이 선택되어(액티브로 되어서)있는 경우, CD에서 독출한 콘텐츠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었을 때,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표시조작 지시윈도에, 미리 지정되어 있는 휴대장치(6)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곡명을 표시하는 필드(213)를 표시한다.
녹음프로그램(113)이 표시시키는 윈도의 버튼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 CD에서 독출한 콘텐츠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었을 때,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한, CD에서 독출한 콘텐츠를 미리 지정되어 있는 휴대장치(6)에 체크아웃 시킨다.
필드(213)에는 콘텐츠의 곡명에 대응시켜서, 필드(213)의 가장 왼쪽에, 그 콘텐츠가 퍼스널 컴퓨터(1)에 체크인 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기호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필드(213)의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O"은, 콘텐츠의 곡명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퍼스널 컴퓨터(1)에 체크인 할 수 있는(즉, 퍼스널 컴퓨터(1)에서 체크아웃 된)것을 나타내고 있다. 필드(213)의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X"는, 콘텐츠의 곡명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퍼스널 컴퓨터(1)에 체크인 할 수 없는(즉, 퍼스널 컴퓨터(1)에서 체크아웃되어 있지 않은, 예를 들면, 다른 퍼스널 컴퓨터에서 체크아웃 된)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이 표시조작 지시윈도에 필드(213)를 표시시켰을 때,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표시조작 지시윈도에, 미리 지정되어 있는 휴대장치(6)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가 속하는 휴대 패키지(휴대장치(6)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가 속하는 패키지)의 명칭을 표시하는 필드(214), 필드(213)를 닫기 위한 버튼(210) 및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을 실행시키는 버튼(215)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이 표시조작 지시윈도에 필드(213)를 표시시켰을 때,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표시조작 지시윈도에, 필드(212)에서 선택된 곡명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체크아웃을 설정하는 버튼(216), 필드(213)에서 선택된 곡명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체크인을 설정하는 버튼(217), 필드(213)에 표시된 콘텐츠명에 대응하는 모든 콘텐츠의 체크인을 설정하는 버튼(218) 및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설정을 취소하는 버튼(219)을 배치시킨다.
버튼(216 내지 219)의 조작에 의한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설정만으로는, 퍼스널 컴퓨터(1)는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버튼(216 내지 219)의 조작에 의한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이 설정을 한 후, 번튼(215)이 클릭되었을 때,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처리를 실행시킨다. 즉, 버튼(215)이클릭되었을 때,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설정에 의거해서,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휴대장치(6)에 콘텐츠를 송신시키거나, 또는 체크인에 대응하는 소정의 커맨드(예를 들면, 휴대장치(6)가 기억하고 있는 소정의 콘텐츠를 소거시키는 커맨드 등)를 송신시키는 동시에, 송신한 콘텐츠 또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이용조건파일(162)에 격납되어 있는 이용조건정보를 갱신시킨다.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이 실행되었을 때,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송신한 콘텐츠 또는 송신된 커맨드에 대응하여, 이력데이터파일(184)에 격납되어 있는 이력데이터를 갱신한다. 이력데이터는,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 또는 그 콘텐츠가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된 일자, 그 콘텐츠가 체크아웃된 휴대장치(6)의 명칭 등으로 이루어진다.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의 설정처리는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처리의 실행 후의 상태를 신속히 알 수 있고, 시간이 걸리는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처리의 횟수를 줄여서, 체크인 또는 체크아웃에 필요한 시간 전체(설정 및 실행을 포함한다)를 짧게 할 수 있다.
도 6은, 녹음프로그램(113)이 디스플레이(20)에 표시시키는 윈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WWW서버(5-2)에서 수신한 CD정보를 기초로, 녹음프로그램(113)은, 필드(251)에, "어싱크로나이즈드" 등의 타이틀을 표시한다. WWW서버(5-2)에서 수신한 CD정보를 기초로, 녹음프로그램(113)은 필드(252)에, 예를 들면, "쿠와이" 등의 아티스트명을 표시한다.
WWW서버(5-2)에서 수신한 CD정보를 기초로, 녹음프로그램(113)은, 필드(253)의 곡명을 표시하는 부분에, "히트", "플라넷", "블랙", "서울" 등의 곡명을 표시한다. 동일하게, 녹음프로그램(113)은, 필드(253)의 아티스트를 표시하는 부분에, 예를 들면, "쿠와이" 등의 아티스트명을 표시한다.
녹음프로그램(113)이 소정의 CD정보를 수신한 후, 녹음프로그램(113)은, HDD(21)의 소정의 디렉토리에 CD정보를 격납한다.
버튼(254) 등이 클릭되어서, CD정보의 취득지시를 받았을 때, 녹음프로그램(113)은, 처음에 HDD(21)의 소정의 디렉토리를 검색한다. 녹음프로그램(113)은, 그 디렉토리에 CD정보가 격납되어 있을 때, 도시하지 않은 다이얼로그 박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디렉토리에 격납되어 있는 CD정보를 이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시킨다.
녹음프로그램(113)이 표시시키는 윈도에 배치되어 있는 콘텐츠의 녹음의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256)이 클릭되었을 때, 녹음프로그램(113)은 드라이브(22)에 격납되어 있는 CD에서 콘텐츠를 독출하고, CD에서 독출한 콘텐츠를 CD정보와 함께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공급한다.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의 압축/신장 프로그램(138)은, 녹음프로그램(113)에서 공급된 콘텐츠를 소정의 압축방식으로 압축하고, 암호화 프로그램(137)은, 압축된 콘텐츠를 암호화 한다. 또, 이용조건 변환 프로그램(139)은 압축되어, 암호화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정보를 생성한다.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은, 압축되어 암호화된 콘텐츠를 이용조건정보와함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공급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는,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서 수신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161) 및 이용조건파일(162)을 생성하고, 콘텐츠파일(161)에 콘텐츠를 격납하는 동시에, 이용조건파일(162)에 이용조건정보를 격납한다.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콘텐츠 및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정보가 격납되었을 때, 녹음프로그램(113)에서 수신한 CD정보 및 이용조건정보를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에 공급한다.
표시조작 지시프로그램(112)은, 녹음처리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격납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정보 및 CD정보를 기초로, 표시데이터 파일(182)에 격납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녹음프로그램(113)이 표시시키는 윈도에는, 또한, CD에서 독출한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CD에서 독출한 콘텐츠를 휴대장치(6)에 체크아웃 시킬 것인지 아닌지의 설정을 행하는 버튼(255)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버튼(255)이 클릭되었을 때, 녹음프로그램(113)은, 휴대장치(6)를 나타내는 풀다운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그 풀다운메뉴에서 휴대장치(6)의 선택을 하였을 때, 선택된 풀다운장치(6)에 자동적으로, CD에서 기록한 콘텐츠를 체크아웃 한다. 사용자가, 그 풀다운메뉴에서 "체크아웃 하지 않는다"를 선택한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CD에서 콘텐츠를 기록하였을 때, 체크아웃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녹음프로그램(113)이 표시시키는 윈도의 버튼(255)을 액티브로 하여 두는 것만으로, CD에서 독출한 콘텐츠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14)에 기록되었을 때, 퍼스널 컴퓨터(1)는 미리 지정되어 있는 휴대장치(6)에, CD에서 독출한 콘텐츠를 체크아웃 시킬 수 있다.
(2) 다른 포맷 사이에서의 취급
그런데, 음악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분배업자는, 수많이 존재하고 각각의 분배업자마다, 그 콘텐츠의 암호화 방식이나 압축방식, 또는 이용조건정보의 포맷이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제공을 받고 싶은 콘텐츠의 분배업자마다, 재생이나 체크인/체크아웃용의 콘텐츠관리 애플리케이션이나 휴대장치를 구입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1개의 퍼스널 컴퓨터 상에 격납되어 있는 음악콘텐츠를, 1개의 관리 애플리케이션이나 휴대장치로 취급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이 분배작업자마다 포맷이 다른 콘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 상에서 통일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이하, 이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 있어서의, 분배업자마다 포맷이 다른 콘텐츠의 통일적인 취급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네트워크(2)에 접속된 복수의 EMD서버는, 예를 들면 음악제공회사(A)에서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를 분배하는 EMD서버(A)(4-1), 음악제공회사(B)에서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를 분배하는 EMD서버(B)(4-2), 음악제공회사(X)에서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를 분배하는 EMD서버(X)(4-3)인 것으로 한다. 각 EMD서버(4)(4-1, 4-2, 4-3)는,각 회사 독자적으로 라인업이 된 음악콘텐츠를, 사용자가 가진 퍼스널 컴퓨터(1)에 네트워크(2)를 거쳐서 제공을 행한다. 또, 각 EMD서버(4)(4-1, 4-2, 4-3)에서는, 음악콘텐츠의 암호화 방식, 이용조건(Usage Rule)정보의 포맷, 음악콘텐츠의 압축방식, 음악콘텐츠의 부과금방식 등이 각 회사 독자의 방식이 채용되어 각각 다른 방식에 의해 음악콘텐츠를 분배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에는, 음악콘텐츠의 재생이나 관리 등을 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서, EMD서버(A)(4-1)에서 음악콘텐츠의 구입이나 관리나 재생을 행하는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과, EMD서버(B)(4-2)에서 음악콘텐츠의 구입이나 재생을 행하는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과, 음악콘텐츠를 휴대장치(A)(6-1)에 전송하는 장치드라이버(A)(313)와, 음악콘텐츠를 휴대장치(B)(6-2)에 전송하는 장치드라이버(B)(314)가 인스톨되어 있다. 또한, 이 도 7에서 나타내는 재생용 애플리케이션(311, 312)은, 도 4에서 나타낸 구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5) 및 드라이버(117)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 퍼스널 컴퓨터(1)에는, HDD(21) 내에 격납되어 있는 모든 음악콘텐츠의 포괄적인 관리를 행하는 포괄관리유닛(X)(315)이 인스톨되어 있다. 이 포괄관리유닛(X)(315)은, 또한,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 EMD용 송신인터페이스(317), PD용 드라이버(318)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또, 여기서는, 휴대장치(A)(6-1)는 음악제공회사(A)에 대응한 전용장치이며, 휴대장치(B)(6-2)는 음악제공회사(B)에 대응한 전용장치이며, 휴대장치(C)(6-3)는, 음악제공회사(X)에 대응한 전용장치인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메모리카드 내에 격납한 음악콘텐츠는, 각 음악제공회사 독자의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있고, 또, 그 압축방식이나 이용조건정보의 포맷도 다르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다른 장치드라이버 등과 직접 접속하여, 음악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은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은, EMD서버와의 접속처리, 로그파일 등을 업로드하는 처리, 음악콘텐츠, 콘텐츠키 및 이용조건정보 등을 다운로드 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이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은, 대응하고 있는 EMD서버에 대해서만 접속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은, EMD서버(A)(4-1)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고, 다른 EMD서버에 대해서 접속처리를 행할 수 없다. 또, 재새용 애플리케이션(A)(311)은, EMD서버(A)(4-1)와 접속하였을 때의 인증처리, 휴대장치(A)(6-1)와 접속하였을 때의 인증처리, HDD(21)에 격납하고 있는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의 암호화/암호해독처리 등을 행한다.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은, 예를 들면, EMD서버(A)(4-1)에서 다운로드한 음악콘텐츠 및 그 이용조건정보를 콘텐츠키로 암호화하고, 이 콘텐츠키를 세션키로 암호화하여, HDD(21)에 격납한다. 또한, 암호화 처리방식은, 각 재생용 애플리케이션에서 각각 독자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1) 내의 동일한 HDD(21)에 격납되어 있는 음악콘텐츠라도, 전용의 재생용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면, 다른 재생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암호를 해독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은, 각 음악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이용조건정보의 관리도 행한다. 예를 들면,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은, 이용조건정보에 재생횟수 한도치가 기술되고, 콘텐츠의 재생횟수의 제한이 되어있는 경우에는, 재생이나 복제를 행할 때마다, 재생이나 복제의 횟수한도치를 1회분 감소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은, 자기가 HDD(21)상에 관리하고 있는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를, 포괄관리유닛(X)(315)의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에 송신한다.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은, EMD서버와의 접속처리, 로그파일 등을 업로드 하는 처리, 음악콘텐츠, 콘텐츠키 및 이용조건정보 등을 다운로드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이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은, 대응하고 있는 EMD서버에 대해서만 접속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은, EMD서버(B)(4-2)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고, 다른 EDM서버에 대해서 접속처리를 행할 수 없다. 또,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은, EDM서버(B)(4-2)와 접속하였을 때의 인증처리, 휴대장치(B)(6-2)와 접속하였을 때의 인증처리, HDD(21)에 격납하고 있는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의 암호화/암호해독처리 등을 행한다.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은, 예를 들면, EMD서버(B)(4-2)에서 다운로드한 음악콘텐츠 및 그 이용조건정보를 콘텐츠키로 암호화 하고, 이 콘텐츠키를 세션키로 암호화하여, HDD(21)에 격납한다.
또,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은,각 음악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이용조건정보의 관리도 행한다. 예를 들면,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은, 이용조건정보에 재생횟수 한도치가 기술되고, 콘텐츠의 재생횟수의 제한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재생이나 복제를 행할 때마다, 재생이나 복제의 횟수한도치를 1회분 감소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또,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은, 자기가 HDD(21) 상에 관리하고 있는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를, 포괄관리유닛(X)(315)의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에 송신한다.
장치드라이버(A)(313)는, 휴대장치(A)(6-1)에의 음악콘텐츠의 전송 등을 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다. 장치드라이버(A)(313)는, 휴대장치(A)(6-1)에 음악콘텐츠를 전송한다.
장치드라이버(B)(314)는, 휴대장치(B)(6-2)에의 음악콘텐츠의 전송 등을 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다. 장치드라이버(B)(314)는, 휴대장치(B)(6-2)에 음악콘텐츠를 전송한다.
포괄관리유닛(X)(315)은, EMD서버(X)(4-3)에서 음악콘텐츠의 제공을 받는 음악제공회사(X) 전용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인 동시에, 장치드라이버(A)(313) 및 장치드라이버(B)(314)나,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 및 재새용 애플리케이션(B)(312)과의 사이에서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의 전송을 행하고, 퍼스널 컴퓨터(1) 내의 음악콘텐츠를 포괄적으로 관리를 행하는 관리 소프트웨어이기도 하다. 또, 자기가 관리를 행하는 음악콘텐츠를, 휴대형의 음악재생장치인 전용의 휴대장치(X)(6-3)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포괄관리유닛(X)(115)은, 도 4에 나타낸 콘텐츠관리 프로그램(111)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PD용 드라이버(318)는, 휴대장치(X)(6-3)와의 접속용의 인터페이스모듈로, 이 휴대장치(X)(6-3)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인증처리나 암호화 처리를 행한다. 또, PD용 드라이버(318)는, 다른 휴대장치(8, 9)에 음악콘텐츠 등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장치드라이버(A)(313)나 장치드라이버(B)(314)를 거쳐서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를 전송한다.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는,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 및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으로부터의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의 수신, EMD서버(X)(4-3)에서 네트워크(2)를 거쳐서 전송된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의 수신 및 PD용 드라이버(318)와의 사이에서의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는,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 및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에서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호인증처리, 암호화 방식의 변환, 전송하는 음악콘텐츠에 부가된 이용조건정보의 포맷의 변환, 전송하는 음악콘텐츠의 압축방식의 변환 등을 행한다. 암호화 방식, 이용조건정보, 압축방식의 변환은,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 및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이 이용하고 있는 방식에서, 포괄관리유닛(X)(315)이 이용하고 있는 방식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포괄관리유닛(X)(315)이 이용되고 있는 방식을, 이하, 통일전송 프로토콜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는, 이와 같이 통일전송 프로토콜로 변환한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를 PD용 드라이버(318)를 거쳐서, 장치드라이버(A)(313)나 장치드라이버(B)(314)에 송신한다. 또,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는, 통일전송 프로토콜로 변환한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를 PD용 드라이버(318)를 거쳐서, 휴대장치(X)(6-3)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EMD서버(A)(4-1) 및 EMD서버(B)(4-2)에서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는, 일단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 및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에 의해 다운로드되고, 음악콘텐츠의 암호화 방식, 압축방식, 이용조건정보가, 통일전송 프로토콜로 변환되어서, 포괄관리유닛(X)(315)에 전송된다. 포괄관리유닛(X)(315)은, EMD서버(A)(4-1), EMD서버(B)(4-2), EMD서버(X)(4-3)에서 다운로드된 각각의 콘텐츠 제공회사의 음악콘텐츠를 통괄적으로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는, 음악콘텐츠의 복제(복사), 이동(무브), 체크인, 체크아웃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는, 사용자로부터의 복제명령, 이동명령에 따라서, 예를 들면,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이나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음악콘텐츠를, 포괄관리유닛(X)(315)에 복제나 이동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때에,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는, 음악콘텐츠의 암호화 방식 및 압축방식, 이용조건의 기술포맷의 변환을 행하고, 통일전송 프로토콜로 한다.
또, 사용자로부터의 CD리핑 명령이나 체크인 명령에 따라, 콤팩트 디스크 등의 외부미디어나 휴대장치(6)(6-1, 6-2, 6-3)에 격납되어 있는 음악콘텐츠를, 포괄관리유닛(X)(315)에 복제나 체크인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때에,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는, 음악콘텐츠의 암호화 방식 및 압축방식, 이용조건의 기술포맷이 통일전송 프로토콜로 되어 있지 않으면, 이들의 변환을 행하여 통일전송 프로토콜로 한다.
또, 사용자로부터의 체크아웃 명령에 따라, 포괄관리유닛(X)(315)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콘텐츠를, 휴대장치(X)(6-3)에 기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때에, EMD용 수신인터페이스(316)는, 음악콘텐츠의 암호화 방식 및 압축방식, 이용조건의 기술포맷이 통일전송 프로토콜로 되어 있지 않으면, 이들의 변환을 행하여 통일전송 프로토콜로 한다. 또, 이 때에, 이용조건의 체크아웃 가능횟수를 1감소시킨다.
또, 포괄관리유닛(X)(315)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층의 하위 레이어에 통일전송 프로토콜을 설치하고, 이 레이어에 있어서 다른 재생용 애플리케이션과의 데이터전송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포괄관리유닛(X)(315)은, 이 통일전송 프로토콜의 더 하위레이어를 http(hiper Text Transfer Protocol)로서, EMD서버(X)(4-3)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EMD서버(A)(4-1) 및 EMD서버(B)(4-2)에서 분배된 음악콘텐츠를, 포괄관리유닛(X)(315)이 취득하고, 재생이나 관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EMD서버(X)(4-3), EMD서버(A)(4-1), 및 EMD서버(B)(4-2)에서 분배된 음악콘텐츠를, 휴대장치(X)(6-3)에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포괄관리유닛(X)(315)을 중심으로 하여, 각 재생용 애플리케이션 및 장치드라이버의 사이에서, 전송하는 음악콘텐츠의 암호화 방식의 변환, 전송하는 음악콘텐츠에 부가된 이용조건정보의 포맷의 변환, 전송하는 음악콘텐츠의 압축방식의 변환이 행해지고, 통일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음악콘텐츠의 전송이 행해진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에 의해 EMD서버(A)(4-1)에서 다운로드 한 음악콘텐츠 및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에 의해 EMD서버(B)(4-2)에서 다운로드한 음악콘텐츠를, 포괄관리유닛(X)(315)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음악제공회사(A)에서만 제공되는 아티스트의 음악콘텐츠를, 휴대장치(X)(6-3)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이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음악콘텐츠의 암호화 방식, 이용조건정보의 포맷, 음악콘텐츠의 압축방식 등을, 통일전송 프로토콜로 변환하므로, 퍼스널 컴퓨터(1)의 하드디스크 내에 격납되어 있는 다양한 방식의 음악콘텐츠를 포괄관리유닛(X)(315)이나 휴대장치(X)(6-3)에 의해 재생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전송시에, 암호화 방식이나 이용조건정보를 변환하므로, 음악콘텐츠의 저작권의 보호를 도모하면서, 그 음악콘텐츠의 취급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음악콘텐츠의 재생이나 제어를 행하는 재생용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적어도 암호화 방식과 이용조건정보이 변환을 행하여, 음악콘텐츠 및 이용조건정보의 전송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음악콘텐츠의 분배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재생용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여도 퍼스널 컴퓨터(1) 내의 예를 들면 HDD(21)에 격납되어 있는 음악콘텐츠를 자유로 이동시킬 수 있고, 통일적인 음악콘텐츠의 관리를 할 수 있다. 또, 음악콘텐츠와 함께 이용조건정보도 전송하므로, 1개의 음악콘텐츠에 대해서 이용조건이 중복하거나 하지 않고, 음악콘텐츠의 저작권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3 이용조건정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이용조건정보의 설명)
다음에,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에 이용되는 이용조건정보의 포맷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에서는, 예를 들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형식으로 기술된 이용조건정보가 이용되고 있다.
표의 왼쪽 란에는, 이용조건의 폴리시(policy)가 열방향으로 기술되고, 오른쪽 란에는 각 폴리시의 구체적인 값이 기술된다. 예를 들면, 폴리시로서, 재생 개시 가능일(from), 재생종료일(to), 1회의 재생에 대한 가격(pay/play) 등이 기술된다. 이와 같은 이용조건정보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음악콘텐츠에 부가된 상태로, EMD서버(A)(4-1)에서 분배된다.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은, 기술되어 있는 폴리시 및 그 값에 따라, 음악콘텐츠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이용조건정보에 재생개시 가능일(from)이 99년 10월 25일, 재생종료일(to)이 99년 11월 24일, 1회의 재생에 대한 가격(pay/play)이 yes/10엔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그 음악콘텐츠는, 99년 10월 25일에서 재생이 가능하게 되고, 그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재생명령이 있어도, 재생을 금지한다. 또, 그 음악콘텐츠는, 99년 11월 24일까지 재생이 가능하게 되며, 그 이후가 되면, 그 음악콘텐츠를 소거한다. 또, 그 음악콘텐츠는, 1회의 재생 때마다 10엔의 부과금을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재생한 횟수를 별도 로그정보로 하여 보관하여 두고, 그 로그정보를 EMD서버(A)(4-1)에업로드 하고, 시청한 사용자에 대해서 시청한 횟수분 만큼의 부과금처리를 행한다.
(포괄관리유닛이 사용하고 있는 이용조건정보의 설명)
다음에, 포괄관리유닛(X)(315)이 이용하고 있는 이용조건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설명을 하는 이용조건정보는, EMD서버(X)(4-3)에서 다운로드된 음악콘텐츠에 부가되어 있고, 상기 포괄관리유닛(X)(315)이 그 음악콘텐츠의 제어를 행할 때에 이용된다. 또, 이 이용조건정보는, 재생용 애플리케이션(A)(311)과 포괄관리유닛(X)(315)과의 사이, 및 재생용 애플리케이션(B)(312)과 포괄관리유닛(X)(315) 사이에서, 음악콘텐츠의 전송을 할 때의 통일포맷으로 하여 이용된다. 이하, 이용조건정보를, 통일 이용조건정보라고 칭한다.
통일 이용조건정보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덱스 파일(331), 오토매톤 파일(332)과, 파라미터 파일(333)과, 이력파일(334)로 구성된다. 각 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언어로 기술되어 있다.
인덱스 파일(331)에는, 각 파일의 조회정보 등이 기술되어 있다.
오토매톤 파일(332)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조건이 오토매톤으로 기술된 오토매톤 기술부(341)와, 콘텐츠키에 의한 인증코드(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342), 콘텐츠 제공자의 서명(Sig)(343), 이 서명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서(Cert)(344)가 부가되어 있다. 여기서, 콘텐츠기를 Kc, 콘텐츠를 작성한 콘텐츠 제공자의 전용키(private key) 및 공용키(public key)를 각각 K-1 E, K1 E로 한다.
오토매톤 기술부(341)는, 투풀(tuple)열에서 기술된 Extended State Machine에 의해 음악콘텐츠의 동작상태가 기술된다.
구체적으로는, 오토매톤 기술부(341)에서는, 현재의 음악콘텐츠의 동작상태의 집합을 Q로 하고, 음악콘텐츠의 이벤트(event)를 나타내는 입력기호의 집합을 ∑로 하여, 상태 천이한 후의 음악콘텐츠의 동작 상태의 집합 Q'를 이하와 같이 나타낸다.
Q' = {d|d = δ(q, α)|q ∈ Q, α ∈ ∑, δ: Q ×∑→ Q}
이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천이한 후의 상태 Q'의 집합은, d로서 나타낸다. 이 d는, 변수 q, α를 가진 함수 δ에 의해 정의된다. q는, 음악콘텐츠의 동작상태의 집합 Q 중의 1개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α는, 이벤트의 집합 ∑ 중의 1개의 이벤트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함수 δ, Q 및 ∑의 멱(冪) 집합의 Q에의 사상이다.
그리고, 이상의 Q, ∑, Q'에 의거해서, 각 투풀(tuple)을
{〈q, α, d 〉| q, d ∈ Q, α ∈ ∑}
로서 표현한다. 또한, 〈q, α, d 〉는 q, α, d의 순열이 있는 조합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에는, 재생(Play), 복제(copy), 지불금액(pay Y), 재생개시 가능일시(from YMD), 재생종료일시(to YMD), 사용가능일수(in Ddays), 널 이벤트(null event)(ε)라고 하는 이벤트가, 아래와 같이 기술된다.
∑ = {Play, copy, pay, Y, from, YMD, to YMD, in Ddays,ε}
이와 같이 오토매톤 기술부(341)는, 이상과 같이 기술된다.
이 오토매톤 기술부(341)에의 구체적인 기술예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음악콘텐츠의 동작 천이를 나타내는 오토매톤의 투풀(tuple)열에 의한 기술 예를, 도 13에 나타낸다.
이 오토매톤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상태 천이를 나타낸다.
우선, 초기상태 q0에서, 상태 q1 및 상태 q5로 천이한다. 상태 q1 및 상태 q5 이후는, 각각 병행하여 동작한다.
상태 q1에서, 소정 금액(예를 들면 10엔)의 지불이벤트(pay 10)가 발생하면 상태 q2로 천이한다. 상태 q2에서, 플레이 이벤트(play)가 발생하면 상태 q1으로 천이한다. 즉, 이 오토매톤에서는, 10엔의 지불이 되면, 음악콘텐츠가 1회만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태 q1에서, 소정 금액(예를 들면 1000엔)의 지불이벤트(a. pay 1000)가 발생하면 상태 q3으로 천이한다. 상태 q3에서는, 플레이 이벤트(play)가 발생하면, 재차 이 상태 q3로 천이한다. 즉, 이 오토매톤에서는, 1000엔의 지불이 되면, 음악콘텐츠가 횟수에 제한없이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태 q1에서, 1회의 재생금액(예를 들면 10엔)의 n배의 금액의 지불이벤트(pay 10 × n)가 발생하면, 상태 q4로 천이한다. 상태 q4로 천이하고 나서, 플레이 이벤트(play)가 발생하면, 재차 이 상태 q4로 천이한다. 그리고, 이 상태 q4에서, n회의 플레이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태 q1으로 천이한다. 즉, 이 오토매톤에서는, 10 × n엔의 지불이 되면, 음악콘텐츠가 n회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태 q5에서, 소정 금액(예를 들면 100엔)의 지불이벤트(pay 100)가 발생하면 상태 q6으로 천이한다. 상태 q6에서, 복사이벤트(copy)가 발생하면 상태 q5로 천이한다. 또, 상태 q6에서, 복사이벤트(copy)가 발생하면, 상태 q8로 천이한다. 상태 q8에서, 플레이 이벤트(play)가 발생하면, 재차 이 상태 q8로 천이한다. 또, 이 상태 q8에서, 복사이벤트(copy)가 발생하면, 상태 q9로 천이한다. 상태 q9에서는, 어느 상태에도 천이하지 않고 이벤트도 발생할 수 없는 종단상태이다. 즉, 이 오토매톤에서는, 100엔의 지불이 되면 음악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에 1회 복사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오토매톤에서는, 복사된 음악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은 몇 회라도 가능하지만, 다른 디바이스 등에 복사한 경우에는, 재생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상태 q5에서, 소정 금액(예를 들면, 2000엔)의 지불이벤트(a, pay 2000)가 발생하면 상태 q7로 천이한다. 상태 q7에서는, 복사이벤트(copy)가 발생하면, 재차 이 상태 q7로 천이한다. 또, 상태 q7에서, 복사 이벤트(copy)가 발생하면, 상태 q8로 천이한다. 상태 q8에서, 플레이 이벤트(play)가 발생하면, 재차 이 상태 q8로 천이한다. 또, 이 상태 q8에서, 복사 이벤트(cpy)가 발생하면, 상태 q9로 천이한다. 상태 q9에서는, 어느 상태에도 천이하지 않고 이벤트도 발생할 수 없는 종단상태이다. 즉 오토매톤에서는, 2000엔의 지불이 되면, 음악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에 횟수제한 없이 복사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오토매톤에서는, 복사된 음악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은 몇 회라도 가능하지만, 다른 디바이스 등에 복사한 경우에는, 재생이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상태 천이를 하는 오토매톤을 투풀(tuple)열에서 기술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또, 오토매톤 기술부(341)는, 음악콘텐츠의 동작을 갱신하기 위해, 동작상태의 병렬합성을 기술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동작 a0와 동작 a1와의 병렬합성은, 투풀(tuple)열에서 이하와 같이 표현된다.
〈q0, α, a0, q0
〈q0, α, a1, q0
또, 오토매톤 기술부(341)에는, 상태 천이에 수반하는 액션을 기술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액션은 투풀(tuple)에서 이하와 같이 표현된다.
〈q0, α, q1; action〉
이 액션은, 미리 정의한 변수를 이용한 함수로서 표현된다. 또 변수는, ID와 스코프(scope)와 초기값으로 이루어진다. 스코프에는, 그 음악콘텐츠, 앨범, 시스템 전체 등의 클래스가 있다. 예를 들면, 앨범(a)의 매입한 가격을 나타내는 변수를 n으로 하고, a. n := 1000과 같이 기술한다. 이와 같이 변수에 대한 액션이 기술된 오토매톤 기술부(341)의 일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 예는, 1개의 음악콘텐츠의 매입가격 수학식 1이 앨범 매입 수학식 2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오토매톤 기술부(341)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트리 ID(345)와, 콘텐츠 ID (346)와, 버전정보(347)와, 변수정보(348)와, 투풀(tuple)열(349)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기술포맷이 정해진 오토매톤 기술부(341)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또한, 이하에 오토매톤의 기술에서 이용되고 있는 이벤트 및 커맨드는, XML의 사양에 의거해서 규정된 DTD(Document Type Definition)에서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동작(play), 복제동작(copy), 재생권 구입(pay-for-paly), 복제권 구입(pay-for-copy), 앨범재생권 구입(pay-for-album-play), 앨범복제권 구입(pay-for-album-copy), 사용가능 개시일시(from), 사용종료일(to), 널동작(null)이 이벤트로서, DTD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도 16은, 음악콘텐츠가 1999년 9월 1일부터 재생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XML언어에 의한 오토매톤 기술부(341)의 기술예이다.
이 도 16에 나타내는 기술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토매톤으로 된다. 이 오토매톤은, 초기상태의 상태 q1과, 상태 q2로 구성된다. 상태 q1에서, 일자가 사용가능 개시일(from)의 1999년 9월 1일로 되면, 상태 q2로 천이한다. 그리고, 상태 q2에서, 재생이벤트(play)가 발생하면, 음악콘텐츠의 재생을 행하고, 재차 상태 q2로 천이한다. 이와 같이 이 오토매톤은, 음악콘텐츠를 1999년 9월 1일부터 재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도 18은, 음악콘텐츠가 1999년 10월 31일까지 재생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XML언어에 의한 오토매톤 기술부(341)의 기술예이다.
이 도 18에 나타내는 기술은, 도 1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오토매톤으로 된다. 이 오토매톤은, 초기상태의 상태 q1과, 종단상태의 상태 end로 구성된다. 상태 2에서, 재생이벤트(play)가 발생하면, 음악콘텐츠의 재생을 행하고, 재차 상태 q2로 천이한다. 또, 상태 2에서, 사용종료일(to)이 1999년 10월 31로 되면, 상태 end로 천이한다. 상태 end가 되면, 어떤 상태에도 천이하지 않는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 오토매톤은 음악콘텐츠를 1999년 10월 31일까지 재생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도 20은, 음악콘텐츠의 재생 가능기간이 1999년 9월 1일부터 1999년 10월 31일까지이며, 또한, 그 재생 가능횟수가 16회인 것을 나타내는 XML언어에 의한 오토매톤 기술부(341)의 기술예이다.
이 도 20에 나타내는 기술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오토매톤으로 된다. 이 오토매톤은, 초기상태의 상태 q1과, 상태 q2와, 종단상태의 상태 end로 구성된다. 상태 q1에서, 사용가능 개시일(from)이 1999년 9월 1일로 되면, 상태 q2로 천이한다. 그리고, 상태 q2에서, 재생이벤트(play)가 발생하면, 음악콘텐츠의 재생을 행하고, 재차 상태 q2로 천이한다. 또, 상태 2에서, 사용종료일(to)이 1999년 10월 31일로 되거나, 혹은 16회 재생이벤트(play × 16)이 발생하면, 상태 end로 천이한다. 상태 end가 되면, 어떤 상태에도 천이하지 않고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 오토매톤은, 음악콘텐츠의 재생 기간을 1999년 9월 1일부터 1999년 10월 31일까지로 하고, 또한, 그 재생횟수를 16회로 제어하고 있다.
도 22는, 음악콘텐츠의 재생횟수를 16회로 제한하는 것을 나타내는 XML언어에 의한 오토매톤 기술부(341)의 기술예이다.
다음에, 파라미터 파일(333)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라미터 기술부(351), 콘텐츠키에 의한 인증코드(352), 콘텐츠 제공자의 서명(353), 이 서명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서(354)가 부가되어 있다. 여기서, 콘텐츠키를 KC, 콘텐츠를 작성한 콘텐츠 제공자의 전용키 및 공용키를 각각 K-1 E, K1 E로 한다.
또, 파라미터 파일(333)은, 상기 오토매톤 파일(332)을 작성한 콘텐츠 제공자와는 다른 콘텐츠 제공자(예를 들면, 콘텐츠 소매업자나 콘텐츠 중간업자 등의 2차 제공자)에 의해 고쳐 쓰는 것이 가능하다. 고쳐 써진 파라미터 파일(333)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공자나 중간업자 등에 부여된 독특한 엔티티 ID(355)가 부여된다. 여기서, K'C는 2차 제공자의 콘텐츠키로, K'C= H(KC= Entity ID)가 된다. 또한, 여기서, H는 일방향 해시함수이다. 2차 제공자의 콘텐츠키 K'C는, 1차 제공자의 콘텐츠키(Kc)로 작성된다. 1차 제공자와 2차 제공자와는, 그 인증서에 의해 구별된다.
파라미터 파일(333)을 검증하는 방법으로서는, 콘텐츠키가 얻어지고 있으면 MAC에 의해 행하고, 안전성 등의 이유로 콘텐츠키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서명과 인증서에 의해 검증한다.
MAC에 의해 검증하는 프로토콜은 아래와 같이 된다. 콘텐츠의 1차 제공자를 S, 2차 제공자를 A, 단말을 B로 한다. S→A는, S에서 A에의 전송을 나타내고 있고, S→B는, S에서 B에의 전송을 나타내고 있고, A→B는, A에서 B에의 전송을 나타내고 있다. 또, IDA는, 파라미터의 ID를 나타내고 있다.
S→A : K'C= H(KC, IDA)
S→B : X = EKS(KC)
A→B : IDA, Parameters, M = MACK'C(Parameters)
B : M ≡ MACK'C(Parameters) ?
이 파라미터 기술부(351)에는, 상기 오토매톤 파일(31)의 오토매톤부(41)에 기술된 값의 변경을 위한 함수의 계수가 기술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오토매톤부(41)에서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음악콘텐츠의 가격이 함수가 되는 경우가 있다.
〈q0, pay(f1(10)),q1
〈q0, pay(f2(10) × n),q2
이 경우, 상기 함수 f1및 f2를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정한다.
f1(n) = 0.9n
f1(n) = 90 + 0.1n
이와 같이 함수를 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1차 제공자가 가격의 디폴트(default) 값을 정하고, 2차 제공자가 파라미터 파일(333)을 고쳐 써서, 가격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파라미터 기술부(351)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트리 ID(356)와, 콘텐츠 ID (357)와, 계수정보(358)로 구성된다.
이력파일(334)은, 오토매톤 기술부(341)에 기술내용에 의거해서 동작하는 음악콘텐츠 동작의 궤적을 기술하는 파일이다. 이 이력파일(334)에는, 상기 오토매톤기술(41)의 투풀(tuple) 내의 상태와 변수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도 13의 예에 있어서, 2회 재생을 행한 경우에는,
〈q0, q1, q0, q1
로 되며, 이것에 의해 아래와 같은 동작의 궤적을 얻을 수 있다.
〈pay 10, play, pay 10, play〉
이것을 집계하여, 예를 들면, 포괄관리유닛(X)(315)에 업로드 등을 하면, 사용자의 지불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폴리시자체 및 그 자체적인 값을프로그램화 한 오토매톤에 의해 이용조건정보를기술하고 있으므로, 콘텐츠의 이용조건 기재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4) 파괴된 음악콘텐츠 등의 복원, 재다운로드
다음에, 포괄관리유닛(X)(315)에 의한 음악콘텐츠의 백업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우선, 포괄관리유닛(X)(315)의 음악콘텐츠의 키 관리방법에 대해서, 도 2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포괄관리유닛(X)(315)은, 퍼스널 컴퓨터(1) 내의 HDD(21)에, 음악콘텐츠 (C1, C2, C3 ... Cn)를 격납하고 있다. 또, 포괄관리유닛(X)(315)은, 각 음악콘텐츠(C1, C2, C3 ... Cn)에 대응하는 콘텐츠키(Kc1, Kc2, Kc3...Kcn)도 격납되어 있다. 콘텐츠키(Kc)는, 음악콘텐츠(C)에 대해서 일 대 일의 관계로 되어 있다. 또, 각 음악콘텐츠(C1, C2, C3 ... Cn)에는, 각각의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ID가 부가되어 있다. 이 콘텐츠 ID를, CID1, CID2, CID3, ..... CIDn으로 한다.
음악콘텐츠(C1, C2, C3...Cn)는, 콘텐츠키(Kc1, Kc2, Kc3...Kcn)에 의해 암호화 되고, E(Kc1, C1), E(Kc2, C2), E(Kc3, C3)...E(Kcn, Cn)로 된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HDD(21) 내에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E(K, C)는, 키(K)로 콘텐츠(C)를 암호화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통상, 콘텐츠 ID 는, 음악콘텐츠(C)의 헤더 등에 기록되어서 음악콘텐츠(C)와 함께 암호화되어 있거나, 혹은 MAC가 음악콘텐츠(C)에 부가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음악콘텐츠 본체와 분리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콘텐츠키(Kc1, Kc2, Kc3...Kcn)는, 저장키(KS)에 의해 암호화되어, E(KS, Kc1), E(KS, Kc3)...E(KS, Kcn)로 된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HDD(21) 상에 기록되어 있다. 이 저장키(KS)는, 소위 내탬퍼(耐 tapmper)성을 가지고 있고, 통상의 사용자로부터는 참조할 수 없는 기록영역에 보존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키관리가 행해지는 포괄관리유닛(X)(315)에서는, 예를 들면, 음악콘텐츠(C1)의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저장키(KS)를 이용해서 콘텐츠키(Kc1)의 암호를 해제하고, 계속해서, 이 콘텐츠키(KC1)를 이용해서, 음악콘텐츠(C1)의 암호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포괄관리유닛(X)(315)은, 음악콘텐츠(C1)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또, 이상과 같이 키관리가 행해지는 포괄관리유닛(X)(315)에서는, 예를 들면, 음악콘텐츠(C1)를 HDD(21)에서 휴대장치(X)(6-3)에 이동(MOVE)할 경우에는, 휴대장치(X)(6-3)와의 사이에서 상호인증을 행하고, 인증이 완료하면 저장키(KS)를 이용해서 콘텐츠키(Kc1)의 암호를 해제하고, 계속해서, 세션키에 의해 콘텐츠키(Kc1)를 암호화하고, 암호화한 콘텐츠키(Kc1) 및 암호화한 음악콘텐츠(C1)를 휴대장치(X)(6-3)에 전송한다. 그리고, 콘텐츠키(Kc1)와 음악콘텐츠(C1)를 함께 HDD(21)에서 소거를 한다. 이 것에서, 포괄관리유닛(X)(315)은, 음악콘텐츠(C1)를 휴대장치(X)(6-3)에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HDD(21)가 파괴한 경우 등, 음악콘텐츠나 콘텐츠키를 HDD(21)에서 재생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음악콘텐츠의 복원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통상시에 있어서, 포괄관리유닛(X)(315)은, 암호화한 음악콘텐츠(C)및 콘텐츠키(Kc)의 백업데이터를, HDD(21) 내나 다른 기록매체 등에 보존하여 둔다.
또, 통상시에 있어서, 포괄관리유닛(X)(315)은, EMD서버(X)(4-3)에서 다운로드한 음악콘텐츠의 구입기록과, HDD(21) 내에 기억하고 있는 모든 음악콘텐츠의 콘텐츠 ID의 리스트를, 사용 로그정보로서 관리한다. 이 로그정보는, 음악콘텐츠를 EMD서버(X)(4-3)에서 다운로드하였을 때나, 휴대장치(X)(6-3)에의 이동 등의 음악콘텐츠의 제어를 행하였을 때에, 갱신하도록 한다. 또, 로그정보는, HDD(21)의 별도의 영역이나 다른 기록매체에 격납하여 둔다. 포괄관리유닛(X)(315)은, 이 로그정보를 정기적, 혹은 액세스할 때마다, EMD서버(X)(4-3)에 업로드한다.
그리고, 포괄관리유닛(X)(315)의 HDD(21)에 격납되어 있는 음악콘텐츠(C)나 콘텐츠키(Kc)가 파괴되게 되는 경우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음악콘텐츠(C)나 콘텐츠키(Kc)가 파괴되게 된 경우, 포괄관리유닛(X)(315)은, 우선, EMD서버(X)(4-3)에 액세스를 행하고, 사용자 인증을 행한다.
다음에, EMD서버(X)(4-3)는, 인증한 사용자의 사용자 ID에서, 포괄관리유닛(X)(315)의 사용 로그정보를 참조하여, 정합검증치(ICV)(Integrity Check Value)를 생성한다. 이 정합검증치(ICV)는, 사용 로그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음악콘텐츠(C)의 콘텐츠 ID인 CID와, 포괄관리유닛(X)(315)의 저장키(KS)에 의거해서, 이하와 같이 생성된다. ICV = H(KS, CID1||CID2|)|....||CIDn)
여기서, H(K, Data)는, 일방향 해시함수로, 키(K)에 의해 그 값이 변화하는것이다.
계속하여, EMD서버(X)(4-3)는, 생성한 정합검증치(ICV)를, 포괄관리유닛(X)(315)에 송신한다.
계속하여, 포괄관리유닛(X)(315)은, 음악콘텐츠(C) 또는 콘텐츠키(Kc)가 백업되어 있으면, 그 백업데이터를 복원하고, 음악콘텐츠(C) 또는 콘텐츠키(Kc)를 HDD(21) 내에 보존한다. 또, 음악콘텐츠(C) 또는 콘텐츠키(Kc)가 백업되어 있지 않으면, EMD서버(X)(4-3)에서 파괴된 음악콘텐츠(C) 또는 콘텐츠키(Kc)를 재분배하여 받는다. 이때, EMD서버(X)(4-3)는, 사용자의 구입이력을 참조하여, 이전에 구입하고 있는 콘텐츠이면, 부과금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포괄관리유닛(X)(315)은, 이상의 처리를 행하고, 파괴된 음악콘텐츠(C) 또는 콘텐츠키(Kc)를 부활시킨다.
그리고, 포괄관리유닛(X)(315)은, 부활된 음악콘텐츠(C) 또는 콘텐츠키(Kc)의 재생이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합검증치(ICV)에 의해 그 음악콘텐츠의 CID를 체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정합검증치(ICV)를 이용해서 부활시킨 음악콘텐츠(C) 또는 콘텐츠키(Kc)를 체크함으로써, 예를 들면, 어느 음악콘텐츠(Ci)를 휴대장치(X)(6-3)에 이동하고 HDD(211) 상에서는 소거되어 있는 경우에, 악의가 있는 사용자가 암호화된 음악콘텐츠(Ci)인 E(Kci, Ci)를 기억하여두고 복원하였다고 하여도, 그들의 데이터는 재생을 하는 것도 또 이동 등의 제어를 할 수도 없다.
또한, 음악콘텐츠(C) 및 콘텐츠키(Kc)가 아니고, 저장키(KS)가 파괴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괄관리유닛(X)(315)의 재인스톨을 행한다, 이 경우라도, EMD서버(X)(4-3)에 사용자 등록을 하는 동시에 로그정보를 업로드하여 두면, 상술한 방법으로 복원이나 재다운로딩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의 크래시(crash) 등에 의해, 음악콘텐츠가 파괴되게 된 경우라도, 저작권자를 보호하면서,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음악콘텐츠가 정규로 구입한 것이라면, 무료로 부활시킬 수 있다.
(5) 포괄관리유닛의 마스터키 및 인증키 등의 배포방법
포괄관리유닛(X)(315)과 휴대장치(X)(6-3)와의 사이에서, 휴대장치(X)(6-3)의 고유의 ID 및 인증키(MG-ID/IK)와, 포괄관리유닛(X)(315)의 고유의 마스터키(OMG-MK)를 이용해서, 상호인증이 행해진다.
포괄관리유닛(X)(315)과 휴대장치(X)(6-3)와의 사이에서, 상호인증이 행해지면, 포괄관리유닛(X)(315)에서 휴대장치(X)(6-3)에 음악콘텐츠를 송신(체크아웃)하거나, 휴대장치(X)(6-3)에서 포괄관리유닛(X)(315)에의 음악콘텐츠의 반각(체크인)를 하거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괄관리유닛(X)(315)은, 퍼스널 컴퓨터(1)의 HDD(21) 내에 암호화한 음악콘텐츠를 보존하여 두고, 또, 휴대장치(X)(6-3)는, 내부의 메모리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암호화한 음악콘텐츠를 보존한다. 그 때문에, 포괄관리유닛(X)(315)에서 휴대장치(X)(6-3)에 음악콘텐츠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1)의 HDD(21)상의 음악콘텐츠가, 휴대장치(X)(6-3)에 장착된 메모리카드 상에 전송되는 것으로 된다. 또, 휴대장치(X)(6-3)에서포괄관리유닛(X)(315)에 음악콘텐츠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휴대장치(X)(6-3)에 장착된 메모리카드 상의 음악콘텐츠가, 퍼스널 컴퓨터(1)의 HDD(21) 상에 전송되는 것으로 된다.
휴대장치(X)(6-3)는, ID정보(MG-ID), 복수 세대분의 인증키(MG-IK) 및 복수세대분의 마스터키(OMG-MK)를 공장 출하시에서 미리 유지하고 있다. 휴대장치(X)(6-3)에는, 후에 외부에서 이들의 키 등은 공급되지 않는다. 휴대장치(X)(6-3)는 필요에 따라서, 인증키(MG-IK) 및 마스터키(OMG-MK)의 세대를 갱신한다. 휴대장치(X)(6-3)는, 세대갱신된 가장 새로운 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로 상호인증을 행하고, 구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에서는, 상호인증을 행하지 않는다. 이하, 휴대장치(X)(6-3)는, 제 0세대에서 제99세대의 100세대분의 인증키(MG-IK[0-99]) 및 마스터키(OMG-MK[0-99])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i세대의 인증키를 (MG-IK[I])로 나타내고, 제 i세대의 마스터키를 (OMG-MK[i])로 나타낸다.
또, 포괄관리유닛(X)(315)은, 마스터키(OMG-MK)를 유지함으로써, 오디오용 콤팩트디스크 등에서 퍼스널 컴퓨터(1) 내에 음악콘텐츠를 전송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 포괄관리유닛(X)(315)은, 마스터키(OMG-MK)를 유지함으로써, EMD서버(X)(4-3)에서 음악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퍼스널 컴퓨터(1)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포괄관리유닛(X)(315)에서는, 콤팩트 디스크에서 음악콘텐츠를 전송할 수는 있으나 EMD서버(X)4-3)로부터는 음악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없는 마스터키(OMG-MK)와, 콤팩트 디스크에서도 EMD서버(X)(4-3)에서도 음악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마스터키(OMG-MK)가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콤팩트 디스크에서 음악콘텐츠를 전송할 수는 있으나 EMD서버(X)(4-3)에서는 음악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없는 키의 것을, 리핑(ripping) 전용키라고도 말하며, 콤팩트 디스크에서도 EMD서버(X)(4-3)에서도 음악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키의 것을 EMD키라고도 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 0세대의 마스터키(OMG-MK[0])가 리핑 전용키로 되어 있고, 제 1세대 이후의 마스터키(OMG-MK[1∼99])가 EMD키로 되어 있다.
다음에, 리핑 전용키를 사용한 처리의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포괄관리유닛(X)(315)이 CD-ROM에서 인스톨되는 경우에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괄관리유닛(X)(315)의 인스톨 소프트웨어가 격납된 CD-ROM(361)과 함께, 휴대장치(X)(6-3)와, 플로피디스크(362)가 예를 들면 세트로 판매된다. 플로피디스크(262)에는, 휴대장치(X)(6-3)의 ID정보(MG-ID), 제 0세대의 인증키(MG-IK[0]), 제 0세대의 마스터키(OMG-MK[0])가 격납되어 있다.
계속하여, 판매된 휴대장치(X)(6-3) 등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데는, 우선, CD-ROM(361)을 퍼스널 컴퓨터(1)에 장착한다(스텝 S11). 이어서, 이 CD-ROM(361)에서 포괄관리유닛(X)(315)을 퍼스널 컴퓨터(1)에 인스톨한다(스텝 S12). 그러면, 포괄관리유닛(X)(315)이 퍼스널 컴퓨터(1)의 하드디스크 내에 격납되는 것으로 된다(스텝 S13). 이어서, 플로피디스크(362)에 격납되어 있는 휴대장치(X)(6-3)의 ID정보(MG-ID)와, 제 0세대의 인증키(MG-IK[0])와, 제 0세대의 마스터키(OMG-MK[0])를 퍼스널 컴퓨터(1)에 보존한다(스텝 S14).
이것에 의해, 포괄관리유닛(X)(315)은, 음악CD(363) 등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의 하드디스크 내에 격납할 수 있도록 된다(스텝 S15). 또한, 제 0세대의 마스터키(OMG-MK)(4-3)에서 음악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 휴대장치(X)(6-3)는, 세대갱신이 되어가는 100세대분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내부에 유지하고 있으나, 초기 설정상태에서는, 제 0세대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0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유지하고 있는 포괄관리유닛(X)(315)과, 휴대장치(X)(6-3)와의 상호인증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음악CD(363) 등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를 휴대장치(X)(6-3)의 메모리카드에 격납할 수 있게 된다(스텝 S16).
한편, 포괄관리유닛(X)(315)이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장치(X)(6-3)와 함께, 인터넷 상의 EMD등록서버(3)의 어드레스,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등이 제공된다.
계속하여, 판매된 휴대장치(X)(6-3) 등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데는, 우선,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상의 EMD등록서버(3)에 액세스를 한다(스텝 S21). 계속하여, EMD등록서버(3)는,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의 인증을 행한다(스텝 S22). 계속하여, 인증에 문제가 없으면, EMD등록서버(3)는, 포괄관리유닛(X)(315)의 인스톨 소프트웨어와, 휴대장치(X)(6-3)의 ID정보(MG-ID)와, 제 0세대의 인증키(MG-IK[0])와, 제 0세대의 마스터키(OMG-MK[0])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스텝 S23). 계속하여, 퍼스널 컴퓨터(1)는, 포괄관리유닛(X)(315)의 인스톨 소프트웨어를 기동하고, 포괄관리유닛(X)(315)을 인스톨 하는 동시에, 휴대장치(X)(6-3)의 ID정보(MG-ID)와, 제 0세대의 인증키(MG-IK[0])와, 제 0세대의 마스터키(OMG-MK[0])를 HDD(21)에 보존한다(스텝 S24). 그러면, 하드디스크에는, 포괄관리유닛(X)(315)이 격납되는 것으로 된다(스텝 S25).
이것에 의해, 포괄관리유닛(X)(315)은, 음악CD(363) 등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의 HDD(21) 내에 격납할 수 있게 된다(스텝 S26). 또한, 제 0세대의 마스터키(OMG-MK[0])는, 리핑 전용키이므로, EMD서버(X)(4-3)에서 음악콘텐츠의 다운로드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 휴대장치(X)(6-3)는, 세대갱신이 되어 가는 100세대분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내부에 유지하고 있으나, 초기 설정상태에서는, 제 0세대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0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기를 유지하고 있는 포괄관리유닛(X)(315)과, 휴대장치(X)(6-3)와의 상호인증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음악CD(363) 등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를, 휴대장치(X)(6-3)의 메모리카드에 격납할 수 있게 된다(스텝 S27).
또한, 이상의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괄관리유닛(X)(315) 및 리핑전용의 제 0세대의 마스터키(OMG-MK[0])를 CD-ROM(361)에 격납하여 두고, 휴대장치(X)(6-3)와의 인증용 ID 및 제 0세대의 인증키(MG-ID/IK)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하여도 좋다.
다음에, 리핑 전용키를 EMD키로 갱신하고, EMD서버(X)(4-3)에서 다운로드한 음악콘텐츠를 취급하도록 하는 처리의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포괄관리유닛(X)(315)은, 도 27 또는 도 28에 나타낸 수순에 의해, CD-ROM 등의 이동가능한 미디어(removable media)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되고, 퍼스널 컴퓨터(1) 내의 HDD(21)에 인스톨되어 있다. 이때 포괄관리유닛(X)(315)은, 리핑 전용인 제 0세대의 마스터키(OMG-MK[0])와, 인증용 ID 및 제 0세대의 인증키(MG-I/IK[0])를 유지하고 있고, 휴대장치(X)(6-3)의 키의 세대도 디폴트 그대로이다.
우선, 퍼스널 컴퓨터(1)는,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상의 EMD등록서버(3)에 액세스를 한다(스텝 S31). 계속하여, EMD등록서버(3)는,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의 인증을 행한다(스텝 S32). 계속하여, 인증에 문제가 없으면, EMD등록서버(3)는, 퍼스널 컴퓨터(1)의 ID정보(OMG-ID)를 등록하고, 포괄관리유닛(X)(315)이 EMD서버(X)(4-3)와 접속하기 위한 공개키(OMG-PK), 비밀키(OMG-KS) 및 공개키의 인증서(Cert [PK])를 생성한다(스텝 S33). 계속하여, EMD등록서버(3)는, 생성한 공개키(OMG-PK), 비밀키(OMG-KS) 및 공개키의 인증서(Cert[PK])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스텝 S34).
계속하여, EMD등록서버(3)는, 휴대장치(X)(6-3)의 ID정보(MG-ID), 제 i세대의 인증키(MG-IK[i]), 제 i세대의 마스터키(OMG-MK[i])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스텝 S35). 계속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포괄관리유닛(X)(315)은, 수신한 ID정보(MG-ID), 제 i세대의 인증키(MG-IK[i]), 제 i세대의 마스터키(OMG-MK[i])에 의거해서, 이들의 키를 제 i세대에 세대 갱신한다(스텝 S36). 계속하여, 포괄관리유닛(X)(315)은, 휴대장치(X)(6-3)와의 사이에저 인증을 행한다(스텝S37). 휴대장치(X)(6-3)는 인증이 되면, 자신의 키의 세대를 제 i세대로 갱신한다(스텝 S38).
이것에 의해, 포괄관리유닛(X)(315)은, 음악CD(363) 등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의 하드디스크 내에 격납할 수 있는 동시에, EMD서버(X)(4-3)에서 다운로드한 음악콘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의 HDD(21)에 격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EMD키 등의 세대갱신을 하는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포괄관리유닛(X)(315)은, 제 i세대의 마스터키(OMG-MK[i])와, 인증용의 ID 및 제 0세대의 인증키(MG-ID/IK[i])를 유지하고 있고, 휴대장치(X)(6-3)의 키의 세대도 제 i세대로 되어 있다.
우선,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가 어떠한 처리를 위해, EMD등록서버(3)에 액세스하면, EMD등록서버(3)는 포괄관리유닛(X)(315)의 ID를 인증하고, 제(i + K)세대의 인증키(MG-IK[i + k]) 및 제(i + k)세대의 마스터키(OMG-MK[i + K])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스텝 S41). 계속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포괄관리유닛(X)(315)은, 수신한 인증키 마스터키를, 제(i + k)세대로 갱신한다(스텝 S42). 계속하여, 포괄관리유닛(X)(315)은, 휴대장치(X)(6-3)와 인증을 행한다(스텝 S43). 휴대장치(X)(6-3)는 인증이 되면, 자신의 키의 세대를 제 i세대에서 제(i + k)세대로 갱신한다(스텝 S44).
또,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장치(X)(6-3)가 이용하고 있는 인증키 등의 세대가 제(i + K)세대로 되어 있고, 포괄관리유닛(X)(315)이 유지하고 있는인증키 등의 세대가 제 i세대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장치(X)(6-3)와 포괄관리유닛(X)(315)과의 인증이 행해지면, 인증실패가 된다(스텝 S51). 인증을 실패하면, 포괄관리유닛(X)(315)은, EMD등록서버(3)에 대해서, 키요구를 행한다(스텝 S52). 키요구가 있으면, EMD등록서버(3)는, 포괄관리유닛(X)(315)의 ID를 인증하고, 제(i + k)세대의 인증키(MG-IK[i + K]) 및 제(i + k)세대의 마스터키(OMG - MK [i + k])를 송신한다(스텝 S53). 계속하여, 포괄관리유닛(X)(315)은, 수신한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제(i + k)세대에 갱신한다(스텝 S54). 계속하여, 포괄관리유닛(X)(315)은, 휴대장치(X)(6-3)와 인증을 행한다(스텝 S55).
이것에 의해, 포괄관리유닛(X)(315)은, 음악CD(363) 등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콘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의 하드디스크 내에 격납할 수 있는 동시에, EMD서버(X)(4-3)에서 다운로드한 음악콘텐츠를 퍼스널 컴퓨터(1)의 HDD(21)에 격납할 수 있게 된다(스텝 S38).
이상과 같이,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포괄관리유닛(X)(315) 및 휴대장치(X)(6-3)가 이용되는 마스터키 및 인증키를, 리핑 전용키와 서버접속키로 구분하고, 다시 서버접속키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운로드 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서버에서 분배된 음악콘텐츠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예를 들면, 리핑 전용키가 파괴되었다고 하여도, 서버에서 다운로드되는 음악콘텐츠를 파괴할 수 없다.
또, 음악콘텐츠 분배시스템에서는, 포괄관리유닛(X)(315) 및 휴대장치(X)(6-3)가 이용하는 마스터키 및 인증키를, 세대갱신시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포괄관리유닛(X)(315)은, 마스터키 및 인증키가 네트워크를 거쳐셔 공급되고, 세대갱신을 행한다. 이 때문에, 음악콘텐츠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및 콘텐츠제공방법에서는, 재생프로그램이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만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의 보존 및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한다. 재생프로그램이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의 보존 및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한다. 제 2인증키 및 제 2마스터키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재생프로그램에 제공되고,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와 다른 키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분배된 콘텐츠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0)

  1. 콘텐츠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프로그램을 갖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기억매체에 격납하여 재생하는 가반재생장치와, 콘텐츠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처리장치에 분배하는 콘텐츠서보로 이루는 콘텐츠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인스톨된 후에 제 1마스터키 및 제 1인증키가 상기 재생프로그램에 제공되고, 상기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당해 장치에 접속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를 취득하여 보존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 제공된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해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상기 콘텐츠서버에서 분배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상기 가반재생장치와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마스터키와는 다른 제 2마스터키 및 상기 제 1인증키와는 다른 제 2인증키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되고, 이 제공된 제 2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콘텐츠서버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취득하여 보존하고, 이 제공된 제 2인증키 및 제 2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해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는 제 1에서 제 i(i는 2이상의 정수)세대까지 세대 갱신되어 가는 제 1에서 제 i의 인증키 및 제 1에서 제 i(i는 2이상의 정수)세대까지 세대 갱신되어 가는 제 1에서 제 i의 마스터키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은 제 2에서 제 i(i는 2이상의 정수)까지 세대 갱신되어 가는 제 2에서 제 i인증키 및 제 2에서 제 i(i는 2이상의 정수)까지 세대 갱신되어 가는 제 2에서 제 i마스터키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되고,
    상기 가반재생장치와 상기 재생프로그램과는 동일 세대의 인증키를 이용해서 상호 인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는 상기 재생프로그램과 인증을 행한 때에, 이 재생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세대보다도 오래된 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용하고 있는 세대까지 자기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의 세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프로그램은 상기 가반재생장치와 인증을 행한 때에, 상기 가반재생장치가 이용하고 있는 세데보다도 오래된 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서버에 키요구를 하고, 상기 가반재생장치가 사용하고있는 세대까지 자기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의 세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서버는 상기 재생프로그램에서 액세스된 때에,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용하고 있는 인증키의 세대보다도 새로운 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상기 재생프로그램에 제공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용하고 있는 인증키의 세대갱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6. 콘텐츠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프로그램을 갖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기억매체에 격납하여 재생하는 가반재생장치에 의해 사용자에 콘텐츠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서버로 이루는 콘텐츠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프로그램을 인스톨한 후에, 제 1 마스터키 및 제 1인증키가 상기 재생프로그램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장치에 접속된 외부기억매체에 격납된 콘텐츠데이터를 취득하여 보존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 제공된 제 1인증키 및 제 1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해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콘텐츠서버에서 분배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상기 가반재생장치와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마스터키와는 다른 제 2마스터키 및제 1인증키와는 다른 제 2인증키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되고, 이 제공된 제 2마스커키를 이용해서 상기 콘텐츠서버에서 제공된 콘텐츠데이터를 취득하여 보존하고, 이 제공된 제 2인증키 및 제 2마스터키를 이용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와의 인증을 행해서 콘텐츠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가, 제 1에서 제 i(i는 2이상의 정수)세대까지 세대 갱신되어 가는 제 1에서 제 i의 인증키 및 제 1에서 제 i(i는 2이상의 정수)세대까지 세대 갱신되어 가는 제 1에서 제 i의 마스터키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은 제 2에서 제 i(i는 2이상의 정수)까지 세대 갱신되어 가는 제 2에서 제 i인증키 및 제 2에서 제 i(i는 2이상의 정수)까지 세대 갱신되어 가는 제 2에서 제 i마스터키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공되고,
    상기 가반재생장치와 상기 재생프로그램과는 동일 세대의 인증키를 이용해서 상호 인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재생장치는 상기 재생프로그램과 인증을 행한 때에, 이 재생프로그램이 이용하고 있는 세대보다도 오래된 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용하고 있는 세대까지 자기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의 세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상기 가반재생장치와 인증을 행한 때에, 상기 가반재생장치가 이용하고 있는 세데보다도 오래된 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서버에 키요구를 하고, 상기 가반재생장치가 사용하고 있는 세대까지 자기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의 세대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서버가 상기 재생프로그램에서 액세스된 때에,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용하고 있는 인증키의 세대보다도 새로운 세대의 인증키 및 마스터키를 상기 재생프로그램에 제공하고, 상기 재생프로그램이 이용하고 있는 인증키의 세대갱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시스템.
KR1020017007994A 1999-10-25 2000-10-25 콘텐츠제공시스템 KR200100896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314299 1999-10-25
JP99-303142 1999-10-25
PCT/JP2000/007473 WO2001031461A1 (fr) 1999-10-25 2000-10-25 Systeme fournisseur de conten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680A true KR20010089680A (ko) 2001-10-08

Family

ID=1791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994A KR20010089680A (ko) 1999-10-25 2000-10-25 콘텐츠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66691B1 (ko)
EP (1) EP1158417A1 (ko)
KR (1) KR20010089680A (ko)
CN (1) CN1327560A (ko)
CA (1) CA2355636A1 (ko)
WO (1) WO2001031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1796B2 (ja) * 2001-08-27 2009-04-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DE60239003D1 (de) * 2001-10-19 2011-03-03 Pioneer Corp Steuersystem und Verfahren für elektronische Einrichtungen, und Steuervorrichtung
AU2003253715A1 (en) * 2002-03-18 2003-09-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content
JP3862074B2 (ja) * 2002-06-20 2006-12-2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50005146A1 (en) * 2003-07-03 2005-01-06 Maui X-Tream, Inc. Methods, data structure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media stream recipients
CN1607589A (zh) * 2003-10-13 2005-04-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光盘、播放光盘的播放器及其播放方法
JP2005128637A (ja) * 2003-10-21 2005-05-19 Toshiba Corp ドライブ検査方法、及びドライブ検査プログラム
JP4613487B2 (ja) * 2003-11-07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DE10358987A1 (de) * 2003-11-11 2005-06-16 Siemens Ag Verfahren zur Sicherung des Datenverkehrs zwischen einem ersten Endgerät und einem ersten Netz sowie einem zweiten Endgerät und einem zweiten Netz
KR20060128869A (ko) * 2004-01-08 2006-12-1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관리 장치
US8307446B2 (en) * 2004-10-19 2012-11-0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ata using apparatus
JP2006209689A (ja) * 2005-01-31 2006-08-10 Sony Corp データ処理回路
JP2008065664A (ja) * 2006-09-08 2008-03-21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データ利用システム、データ利用装置、利用履歴情報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装置
CN100440782C (zh) * 2006-02-22 2008-12-03 迈世亚(北京)科技有限公司 数据推送的方法
US7769176B2 (en) 2006-06-30 2010-08-03 Verint America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secure recording environment
US7853800B2 (en) * 2006-06-30 2010-12-14 Verint America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secure recording environment
US7848524B2 (en) 2006-06-30 2010-12-07 Verint America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secure recording environment
US8837722B2 (en) * 2007-10-16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Secure content distribution with distributed hardware
JP4766350B2 (ja) * 2009-01-06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11681781B2 (en) * 2018-02-21 2023-06-2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security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102B1 (en) * 1995-10-09 2001-09-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information recorded on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176030B2 (ja) * 1996-01-08 2001-06-11 株式会社東芝 複製制御方法及び複製制御装置
JPH09297798A (ja) * 1996-05-08 199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メディア機器のコピー防止装置
JPH1021144A (ja) * 1996-07-03 1998-01-23 Hitachi Ltd ディジタル著作物配布システム及び不正な複製物の検出方法
US6542610B2 (en) * 1997-01-30 2003-04-01 Intel Corporation Content protection for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US6118873A (en) * 1998-04-24 2000-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encrypting broadcast programs in the presence of compromised receiver devices
US6684199B1 (en) * 1998-05-20 2004-01-27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Method for minimizing pirating and/or unauthorized copying and/or unauthorized access of/to data on/from data media including compact discs and digital versatile discs, and system and data media for same
US20040117644A1 (en) * 1998-06-04 2004-06-17 Z4 Technologies, Inc. Method for reducing unauthorized use of software/digital content including self-activating/self-authenticating software/digital content
US6438235B2 (en) * 1998-08-05 2002-08-20 Hewlett-Packard Company Media content protection utilizing public key cryptography
EP0984346A1 (en) * 1998-09-02 2000-03-08 Hitachi Europe Limited Copy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484209B1 (ko) * 1998-09-24 2005-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컨텐트암호화/해독화장치및그방법
AU760436B2 (en) * 1998-10-16 2003-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duction protection system dealing with contents that are digital production
DE69915213T2 (de) * 1998-11-09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atenumsetzung in einem Urheberrechtsschutzsystem
US6550008B1 (en) * 1999-02-26 2003-04-15 Intel Corporation Protection of information transmitted over communications channels
JP2000269950A (ja) * 1999-03-12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著作物保護システム
US6367019B1 (en) * 1999-03-26 2002-04-02 Liquid Audio, Inc. Copy security for portable music players
JP3327894B2 (ja) * 1999-04-14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ている記録媒体
EP1852864B1 (en) * 1999-04-16 2016-12-07 Sony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7111172B1 (en) * 1999-07-19 2006-09-19 Rsa Security Inc. System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nd distributing personal securit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31461B1 (fr) 2001-10-18
CN1327560A (zh) 2001-12-19
US7266691B1 (en) 2007-09-04
WO2001031461A1 (fr) 2001-05-03
CA2355636A1 (en) 2001-05-03
EP1158417A1 (en)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972B1 (ko)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0862371B1 (ko) 정보처리 시스템
KR20010089680A (ko) 콘텐츠제공시스템
WO2000049510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de l'information et support de memorisation de programme
JP4329258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の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KR100729836B1 (ko) 콘텐츠 데이터 관리방법
WO2000049511A1 (fr) Circuit integre a semi-conducteur, procede de traitement de l'information, dispositif de traitement de l'information et dispositif de memorisation de programme
JP4360026B2 (ja) データ処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4655470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方法
JP200105190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581219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記憶媒体及びデータ処理装置
JP455627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37965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30044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KR20010089692A (ko) 콘텐츠의 이용조건정보의 제어시스템
JP200030600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1195077A (ja) コンテンツデータの送信装置及び方法、コンテンツデータの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1195076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MXPA01006370A (en) Method for managing content data
JP200030585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0347849A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