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919A -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919A
KR20010087919A KR1020000011785A KR20000011785A KR20010087919A KR 20010087919 A KR20010087919 A KR 20010087919A KR 1020000011785 A KR1020000011785 A KR 1020000011785A KR 20000011785 A KR20000011785 A KR 20000011785A KR 20010087919 A KR20010087919 A KR 20010087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legal
client
page
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6146B1 (ko
Inventor
이종무
Original Assignee
이봉기
주식회사 나홀로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기, 주식회사 나홀로닷컴 filed Critical 이봉기
Priority to KR1020000011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1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54Non-circular covers, e.g. hexagonal, ellip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입력한 현실 법률절차를 서버의 가상공간에서 당해 법률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컴퓨터에서 입력한 회원의 법률절차 진행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 서버에서 처리하여 경고 및 도움말 변호사의 형태로 회원의 법률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Internet-based interactive law procedur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입력한 현실 법률절차를 서버의 가상공간에서 당해 법률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인터넷이나 통신등 가상(사이버)공간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얻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인터넷은 보다 많은 정보를 손쉽게 습득할 수 있는 정보의 보고라 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정보내용을 요구하고 저장을 해놓은 곳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인터넷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사이버에서 일어나는 많은 정보 교환이 단순한정보교환 차원을 넘어서, 마케팅, 금융, 보험 등의 분야에서 종래에 이루어지던 사건(event)들이 이제는 인터넷상에서 시스템간의 데이터 트랜잭션(transaction)을 이용하여 재구성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최근에 성행하고 있는 인터넷 쇼핑몰, 역경매, 금융/보험업무 전산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회원이 회원 컴퓨터(클라이언트 시스템)를 이용하여 자신이 현실적으로 처해있는 법률절차와 법률상의 지위를 선택하고 자신이 그 법률절차에서 수행한 행동을 입력하면, 운영자 서버(서버 시스템)에서는 이 데이터를 처리하여 회원의 향후 각 단계의 법률절차에서 취하여야 할 행동을 회원이 처한 상황과 연계하여 자동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법률에 문외한인 회원이라도 프로그램에 정해진 내용에 따라 이행하기만 하면 자신이 처한 법률절차에서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법률절차에 대한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창안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의 이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도움말 마법사와 같이 프로그램 이용에 애로가 발생할 때마다 애로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시하여 주는 "도움말 변호사" 기능 및 회원이 처한 법률절차에서 주장, 입증 등 그 단계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법률행동을 수행하지 못하여 법적 지위나 권리가 위태로워지는 경우 자동적으로 시스템이 이를 감지하여 경고(alarm)를 주는 등의 기술적 처리를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컴퓨터에서 입력한 회원의 법률절차 진행에 대한 정보를 운영자 서버에서 처리하여 경고 및 도움말 변호사의 형태로 회원의 법률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에 따른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 시스템 운용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각 개인별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각 회원이 작성한 기록매체를 데이터베이스로 집적함으로써 각 유형의 법률절차에서의 법률서비스 수요자 및 법률서비스 제공자의 행동양식을 파악하여 이를 법률절차의 개선작업에 반영하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개념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2: 기본정보 입력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3a~3c: 소송일정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4a, 4b: 공격방어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5: 유불리 판정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발명의 구성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의 구성 및 작용상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1) 사용자 컴퓨터(이하, "클라이언트")가 통신수단을 통해 운영자 서버(이하, "서버")에 접속하여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회원등록 신청을 하면[101], 서버는 회원등록 처리를 하고[201] 메인페이지를 구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203]. 클라이언트에서는 서버의 메인페이지 메뉴에서 회원 자신이 처한 법률절차(민사소송절차, 가사소송절차, 수사절차, 형사재판절차), 사건유형(가령 민사소송절차라면 대여금.전세.부동산 소송 등 내용별로 세분), 법률상 지위(민사절차에서는 원고 또는 피고, 형사절차에서는 고소인 또는 피고소인, 피의자)를 입력하여 서버의 프로세서 수단이 미리 구체적 사건 유형, 법률절차와 법률상의 지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놓은 페이지로 들어가게 된다[103].
2) 서버에서는 회원이 처한 법률절차, 구체적 사건 유형, 법률상의 지위에 부합하는 페이지(이하 "특정페이지")를 취합하여[205] 회원에게 각 특정페이지의 특성에 맞추어 미리 형식화된 표준 개인 홈페이지(이하 "개인페이지")를 구성하여 부여한다[207].
3) 특정 페이지에 수록된 법률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개인이 자신이 처한 법률절차에서 경험하고 행동한 정보를 개인페이지에 입력하면[105] 이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저장한다[209].
4) 특정 페이지에 수록된 문서작성툴을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면[107] 개인페이지에 자동적으로 입력되어 이를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저장한다[209].
5) 회원이 법률절차에서 경험한 내용과 행동한 내용을 개인페이지에 정해진 순서와 절차에 따라 입력한 것에 대해서, 서버의 프로세서는 법률상의 요건(변론주의 원칙, 입증책임)을 기준으로 회원의 경험과 행동이 각 법률절차에서 유리하게 또는 불리하게 작동하는지 판정한다[211].
6) 프로세서가 회원이 운영자의 서버에 입력한 회원의 경험과 행동의 유불리 여부를 판정하면 각 판정 결과에 따라 서버에서 개인페이지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도움말 변호사가 화면에 표시되어 필요한 법률행동을 개인페이지에 삽입하여 표시한다[213].
단계 [103]에서, 회원이 법률절차 등을 선택하는 단계는, 초기화면에 설정되어 있는 메뉴로 구분하여 회원이 직접 메뉴를 보고 해당 부분을 클릭하여 찾아가게하는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방식 및 회원이 처한 상황에 대하여 몇 개의 설문에 대답하게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사이트의 해당 부분으로 연결되게 하는 교호적(interactive) 방식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페이지 표시단계[207]에서는, 회원에게 유리한 경우의 도움말 마법사는 웃는 얼굴로 격려하는 문구를 표시하고, 불리한 경우에는 경고(alarm) 메시지를 표시한 후 근심어린 표정의 도움말 변호사가 문제를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처한 법률절차에서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을 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유불리 판정단계[211]에서는 1) 회원이 유리한 경우(예컨대, 자신의 주장이 있는데 이에 반대되는 상대방의 항변이 있거나, 상대방이 항변은 하더라도 증거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 등), 2) 회원이 불리한 경우(예컨대, 자신이 주장한데 대하여 상대방이 항변하고 입증까지 하였는데도 부인이나 재항변과 같은 방어적 법률행동을 취하지 않은 경우 등), 3) 교착상태(예컨대, 형식적인 판단기준으로 판단할 때 외형만으로는 어느 쪽에도 유불리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를 구별하여, 회원이 자신의 법률경험과 행동을 입력하면 서버의 프로세서가 위 3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하고 그 판정결과에 따라 도움말 마법사가 각 경우에 맞는 적절한 법률행동을 데이터베이스 수단에서 검색하여 이를 개인페이지에 추가로 표시하여 회원에게 자신이 처한 위치에서 필수적인 법률절차의 진행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해 다른 컴퓨터들끼리 데이터통신을 하는 통신수단과, 데이터통신을 하여 받은 정보 및 회원이 입력한 정보를 분류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수단과, 자료를 판정하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수단과, 각 개인의 법률절차에 관하여 회원이 입력한 정보를 저장하면 필요한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경고 및 도움말 변호사가 해법을 제시하면서 나타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서버가 이용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방법은 프로그램으로써 유통가능하고, 이들 프로그램이 기록된 FD, CD, ROM 등의 기록매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됨은 분명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한다. 지금부터 설명하는 실시예는 전형적인 민사소송절차의 경우에 회원이 원고인 경우를 예로 든 것으로서,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얼마든지 변형실시할 수 있다.
도2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메인페이지에 접속하여 최초에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현재 현실적인 법률절차를 밟고 있는 회원이 자신이 처해 있는 법률절차(민사소송절차, 가사소송절차, 형사소송절차, 수사절차 등)와 사건유형(민사소송의 경우라면 대여금.전세금.부동산 소송 등) 및 법률상 지위(원고 또는 피고, 고소인 또는 피고소인, 피의자 등)를 서버의 메인페이지에 입력하고[109,111,113] 서버에서는 회원이 입력한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페이지를 구성하여[215,217,219], 회원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개인페이지를 재구성하면[221]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를 통해 개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115].
개인페이지는, 법률절차 DB에서 회원이 입력한 법률절차에 해당하는 페이지를 인출하고[215], 사건유형 DB에서 해당 페이지를 인출하고[217], 법률상지위 DB에서 해당 페이지를 인출하여[219] 재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현재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 회원에게 맞춤서비스를 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적 사항이다.
도3a,b,c는 클라이언트에게 소송일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제부터는, 바로 위에서 설명한 개인페이지의 화면에 제공되는 HTML 문서에 의해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에서 입력 또는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회원은 개인페이지의 내용증명우편 발송확인 메뉴에 해당내용을 입력하는데, 일단 내용증명우편을 발송했는지 안했는지를 확인한다[117]. 발송했다면 개인페이지에는 발송일, 발신인, 수취인, 답신여부를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회원은 해당 창에 내용을 입력한다[119]. 입력한 내용은 서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소송일정에 필요한 자료로 삼도록 한다[223].
가압류신청을 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인데[121], 먼저 재산조사를 실시했는지를 확인한다[123]. 이는 개인페이지에 재산조사 실시여부에 대한 라디오버튼을 표시하고 클라이언트에서 해당 버튼을 표시하고 엔터를 클릭하거나 또는 그냥 라디오버튼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재산조사 실시 여부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재산조사를 실시했다면 재산조사의 결과를 입력하도록 한다[125]. 예를 들어, "피고 xxx의 재산내역이 전세금 5,000만원, 중형차 1대, 타인에 대한 채권1,500만원임"과 같이 입력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스의 단순화를 위하여 미리 서버측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마련해 놓고 클라이언트측에서 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된 피고의 재산조사 결과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225].
다음에(도3b), 가압류신청을 했는지를 확인한다[127]. 가압류를 신청하였다는 버튼을 선택하고 가압류신청일과 신청한 법원을 입력하면[129] 이 내용이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227]. 아울러, 서버에서는 가압류신청에 대한 코멘트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법원으로부터 가압류결정이 있었는지를 확인한다[131]. 가압류결정이 있었다면 결정일과 가압류비용 등을 입력하여[133]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229], 서버의 도움말 DB에서 클라이언트에 경고(코멘트)를 한다.
가압류결정 후에 해방공탁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입력하는 단계[135]가 추가될 수 있다. 해방공탁 여부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231] 차후에 강제집행 메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는(도3c) 소장을 작성하는 단계이다[137]. 소장은 서버에서 제공하는 문서창에서 작성하는데 작성된 소장은 자동으로 원고인 회원의 문서실(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233]. 소장은 현실의 민사소송 제기시 작성한 소장내용과 같이 입력하면 되고, 소장을 접수한 접수일, 관할법원, 사건번호, 재판부 등을 부수적으로 입력한다. 이들 데이터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233]. 서버에서는 이들 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해 두었다가,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에서 사건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이에 연결된 재판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추후 설명함).
소장을 제출한 다음에는 재판절차가 따른다[139]. 회원은 자신이 경험한 변론기일을 개인페이지상에 입력한다[141]. 변론기일은 수 회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서버에서는 각 변론기일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두고 있다. 회원이 변론기일 일시, 장소, 진행내용을 개인페이지에 입력하면, 이들 데이터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235].
서버에서는 회원이 입력한 변론 진행내용에 따라 도움말 처리기로부터 정보를 인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237]. 예를 들어, 증거제출이 필요한지 항변이 필요한지 등에 관한 것들인데, 더 있다가 증거부와 공격.방어부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차회 변론기일에 대해서는 1회 변론기일 때 입력한 데이터중 일부를 서버에서 불러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를 다 입력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변론기일 장소는 1회 변론기일의 장소와 같게 출력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기 때문이다.
n회의 변론기일이 끝나고 나면 선고기일이 온다[143]. 회원이 선고기일 일시와 장소 또는 선고결과를 입력하면, 서버에서는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도움말처리기를 동작시킨다[239].
도4a는 회원(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원고)이 현실적으로 취한 공격방법과 상대방이 취한 방어방법을 개인페이지에 입력하여 서버로부터 도움말을 얻는 수순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회원이 개인페이지를 통하여 자신이 제출한 공격방법을 입력한다[145]. 공격방법에는 소제기시의 청구요건 사실, 각 변론기일에서의 주장사실(예컨대, 변제.상계.소멸시효 등의 채권소멸사유, 주장을 뒷받침하는 각종 증거들)이 있는데, 서버에서 제공하는 라디오버튼 방식의 메뉴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취한 공격방법을 입력하면 서버에서는 상대방의 방어(항변)가 있었는지를 입력하도록 질의(query)한다[241]. 상대방이 항변하였거나 항변하지 않았음을 회원이 입력하면[147] 이들 데이터는 서버로 제공되어 이후에 설명할 C단계로 들어가 회원의 유불리를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서버는 다시, 회원이 재항변을 하였는지를 질의하여[243] 재항변 여부를 제공받는다[149]. 또다시 서버는, 상대방이 재재항변을 하였는지를 질의하여[245] 재재항변 여부를 제공받는다[151].
실제로는 각 공격 또는 방어방법의 근거가 되는 증거를 제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도도4b에서와 같이, 제출한 증거에 대해서 클라이언트의 개인페이지를 이용하여 서버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53]. 증거의 종류는 서증, 인증, 검증, 감정증거를 말하는 것이고, 주장내용은 제출한 증거방법이 클라이언트의 주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차용사실을 나타내는 차용증이라든가 다른 채권의 변제사실을 나타낸는 진술서 등일 수 있다. 상대방의 인부(認否)란 회원이 제출한 증거에 대해서 상대방(피고)이 성립인정했는지, 모른다고 했는지(부지), 아니라고 했는지(부인)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라디오버튼에 의해서 서버에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247]. 예를 들어, 증거의 종류로서 서증, 인증, 검증, 감정 등을 메뉴로써 라디오버튼화 해놓고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서버에서는 각 증거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항목들을 입력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대방의 인부에 대해서도 라디오버튼으로 메뉴화해 놓으면, 현실의 양당사자 행위에 따라 서버가 수월하게 데이터처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클라이언트가 제출한 증거 이외에 상대방이 제출한 증거에 대해서도 서버에 입력한다[155]. 이 때에도 증거의 종류와 상대방의 주장내용, 이에 대한 회원의 인부에 대해 입력하면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249]. 서버에 저장된 증거는 서버의 유불리 판정수단에서 처리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좀더 있다가 설명한다.
도5는 도4a와 도4b에서 서버측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서버가 유불리를 판정하는 C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민사소송절차는 기본적으로 당사자 처분권주의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각 당사자가 스스로 주장을 하지 않으면 불리한 입장에 서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근거로 회원의 유불리를 판정하게 된다.
즉, 회원이 원고로서 공격을 한 경우에[157] 피고가 항변을 하지 않았거나, 피고가 항변을 했더라도 증거를 제출하지 않았으면 원고, 즉 회원이 유리한 것으로 판정을 한다[251]. 더 나아가, 회원이 재항변을 하지 않았거나 재항변했더라도 증거를 제출하지 않았으면, 회원이 불리한 것으로 판정한다[253]. 한편, 형식적인 판단기준으로 판단할 때 외형만으로는 어느 쪽에도 유불리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일 때에는 교착상태가 된다[255].
각 경우(회원유리, 회원불리, 교착)에 서버는 도움말 DB로부터 필요한 문건이나 그래픽을 인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함으로써[257] 회원(즉, 현실 법률절차의 원고)은 자신이 현재 처해 있는 입장 또는 앞으로 취해야 할 행위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각 경우에 해당하는 표시 즉 경고표시와 도움말 변호사 표시를 화면에 표시한다. 유리한 경우에는 유리한 상황임을 확인하면서 혹시 상대방의 주장이나 입증에 대한 입력을 누락하지 않았는지 확인하여야 함을 표시하고, 불리한 경우에는 경고표시후 해당 애로를 돌파할 수 있는 법률행동에 대한 지시사항을 도움말 변호사가 표시하며, 교착상태인 경우에는 어느 쪽의 주장이나 증거도 법률상 우월적인 지위에 있지 않다는 사실을 설명하고 회원의 적극적인 법률행동을 독려하는 내용의 표시를 도움말 변호사의 형태로 표시한다.
도움말 변호사는 이처럼 회원이 입력한 정보에 맞추어 화면에 나타나서 해당 상황에 적합한 법률행동에 대한 지시 및 확인을 해주어 법률절차에 대한 회원의 불안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움말 변호사의 얼굴 표정도 상황에 맞추어,불리할 때는 걱정스런 표정을, 유리할 때는 자신있는 표정을, 교착상태에서는 격려하는 표정을 나타내게 함으로써, 회원의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한편 얼굴 표정만 보아도 주어진 상황을 인식하는 지표로 삼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회원은 자신이 처한 법률절차에서 취하여야 할 최소한의 법률행동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법률절차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법률절차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법률절차를 신뢰할 수 있는 기반을 갖게 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려 할 것이다.

Claims (21)

  1.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서 서버에는 HTML기반의 웹페이지가 저장되어 있고 클라이언트에는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어서,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입력한 현실의 법률절차 데이터에 따라 서버에서 당해 법률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1)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회원등록 신청을 하면, 서버는 회원등록 처리를 하고 메인페이지를 구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2)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메인페이지에 회원이 처한 법률절차, 사건유형, 법률상 지위를 입력하는 단계,
    3) 서버에서는 회원이 처한 법률절차, 사건유형, 법률상 지위에 부합하는 페이지(이하 "특정페이지")를 취합하여 회원에게 각 특정페이지의 특성에 맞추어 미리 형식화된 개인 홈페이지(이하 "개인페이지")를 구성하여 부여하는 단계,
    4) 특정페이지에 수록된 법률정보를 이용하여 회원 개인이 자신이 처한 법률절차에서 경험하고 행동한 정보를 개인페이지에 입력하면 이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5) 특정페이지에 수록된 문서작성툴을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면 개인페이지에 자동적으로 입력되어 이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6) 회원이 현실의 법률절차에서 경험한 내용과 행동한 내용을 개인페이지에정해진 순서와 절차에 따라 입력한 것에 대해서, 서버의 프로세서는 법률상의 요건 을 기준으로 회원의 경험과 행동이 각 법률절차에서 유리하게 또는 불리하게 작동하는지 판정하는 단계,
    7) 서버가 회원의 유불리 여부를 판정하면 각 판정 결과에 따라 서버에서 개인페이지에 도움말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서, 회원이 단계 2)의 법률절차, 사건유형, 법률상 지위를 입력하면 서버에 미리 각 법률절차, 사건유형, 법률상 지위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놓은 페이지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3. 청구항 1에서, 단계 2)의 회원이 법률절차 등을 선택하는 단계는, 초기화면에 설정되어 있는 메뉴로 구분하여 회원이 직접 메뉴를 보고 해당 부분을 클릭하여 찾아가게 하는 풀다운 메뉴(pull-down menu) 방식 및 회원이 처한 상황에 대하여 몇 개의 설문에 대답하게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사이트의 해당 부분으로 연결되게 하는 교호적(interactive) 방식을 병용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4. 청구항 1에서, 서버의 유불리 판정단계에서는 회원이 유리한 경우, 회원이 불리한 경우, 교착상태를 구별하여, 서버가 위 3가지 경우 중 어느 경우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5. 청구항 4에서,
    회원이 유리한 경우는 자신의 주장이 있는데 이에 반대되는 상대방의 항변이 있거나, 상대방이 항변은 하더라도 증거를 제출하지 않는 경우이고,
    회원이 불리한 경우는 자신이 주장한데 대하여 상대방이 항변하고 입증까지 하였는데도 부인이나 재항변과 같은 방어적 법률행동을 취하지 않은 경우이고,
    교착상태는 형식적인 판단기준으로 판단할 때 외형만으로는 어느 쪽에도 유불리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인,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6. 청구항 1에서, 단계 7)의 도움말 표시단계는 개인페이지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회원의 유불리를 상징하는 캐릭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7. 청구항 6에서, 회원에게 유리한 경우에는 웃는 얼굴로 격려하는 도움말 변호사 캐릭터와 관련 문구를 표시하고, 불리한 경우에는 경고(alarm) 메시지와 함께 근심어린 표정의 도움말 변호사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8. 청구항 1에서, 단계 4)의 개인페이지에 회원이 현실의 법률절차에서 경험한것을 입력하는 단계는,
    회원은 개인페이지의 내용증명우편 발송확인 메뉴에 해당내용을 입력하는데, 일단 내용증명우편을 발송했는지 안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발송했다면 개인페이지에는 발송일, 발신인, 수취인, 답신여부를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창이 표시되고 회원은 해당 창에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
    입력한 내용이 서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9. 청구항 1 또는 8에서, 단계 4)의 개인페이지에 회원이 현실의 법률절차에서 경험한 것을 입력하는 단계는, 가압류신청을 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상대방의 재산조사를 실시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재산조사를 실시했다면 재산조사의 결과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재산조사 결과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가압류신청을 했는지 확인하는 단계,
    가압류신청 내용이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서버에서 가압류신청에 대한 코멘트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10. 청구항 1 또는 8에서, 단계 4)의 개인페이지에 회원이 현실의 법률절차에서 경험한 것을 입력하는 단계는,
    법원으로부터 가압류결정이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가압류결정이 있었다면 결정일과 가압류비용 등을 입력하는 단계,
    이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서버의 도움말 DB에서 클라이언트에 경고(코멘트)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11. 청구항 9에서, 단계 4)의 개인페이지에 회원이 현실의 법률절차에서 경험한 것을 입력하는 단계는,
    법원으로부터 가압류결정이 있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가압류결정이 있었다면 결정일과 가압류비용 등을 입력하는 단계,
    이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서버의 도움말 DB에서 클라이언트에 경고(코멘트)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12. 청구항 1 또는 8에서, 단계 4)의 개인페이지에 회원이 현실의 법률절차에서 경험한 것을 입력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에서 소장 내용을 입력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클라이언트에서 변론기일을 입력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서버에서 회원이 입력한 변론 진행내용에 따라 도움말 처리기로부터 정보를 인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
    클라이언트에서 선고기일 일시와 장소 또는 선고결과를 입력하면, 서버에서는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도움말처리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13. 청구항 9에서, 단계 4)의 개인페이지에 회원이 현실의 법률절차에서 경험한 것을 입력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에서 소장 내용을 입력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클라이언트에서 변론기일을 입력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서버에서 회원이 입력한 변론 진행내용에 따라 도움말 처리기로부터 정보를 인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
    클라이언트에서 선고기일 일시와 장소 또는 선고결과를 입력하면, 서버에서는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도움말처리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14. 청구항 10에서, 단계 4)의 개인페이지에 회원이 현실의 법률절차에서 경험한 것을 입력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에서 소장 내용을 입력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클라이언트에서 변론기일을 입력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서버에서 회원이 입력한 변론 진행내용에 따라 도움말 처리기로부터 정보를 인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
    클라이언트에서 선고기일 일시와 장소 또는 선고결과를 입력하면, 서버에서는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도움말처리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15. 청구항 11에서, 단계 4)의 개인페이지에 회원이 현실의 법률절차에서 경험한 것을 입력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에서 소장 내용을 입력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클라이언트에서 변론기일을 입력하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서버에서 회원이 입력한 변론 진행내용에 따라 도움말 처리기로부터 정보를 인출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
    클라이언트에서 선고기일 일시와 장소 또는 선고결과를 입력하면, 서버에서는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도움말처리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16. 청구항 4 또는 5에서, 회원의 유불리를 판정하는 단계는,
    회원이 개인페이지를 통하여 자신이 제출한 공격방법을 입력하는 단계,
    서버에서 상대방의 방어(항변)가 있었는지를 입력하도록 질의(query)하는 단계,
    서버는 다시, 회원이 재항변을 하였는지를 질의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재항변 여부를 제공받는 단계,
    회원이 공격을 한 경우에 상대방이 항변을 하지 않았거나 항변을 했더라도 증거를 제출하지 않았으면 회원이 유리한 것으로 판정을 하는 단계,
    회원이 재항변을 하지 않았거나 재항변했더라도 증거를 제출하지 않았으면, 회원이 불리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형식적인 판단기준으로 판단할 때 외형만으로는 어느 쪽에도 유불리를 판단할 수 없는 상태일 때에는 교착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17. 청구항 1~8, 11, 13~15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8. 청구항 9의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9. 청구항 10의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0. 청구항 12의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1. 청구항 16의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00011785A 2000-03-09 2000-03-09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KR10036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785A KR100366146B1 (ko) 2000-03-09 2000-03-09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785A KR100366146B1 (ko) 2000-03-09 2000-03-09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919A true KR20010087919A (ko) 2001-09-26
KR100366146B1 KR100366146B1 (ko) 2002-12-31

Family

ID=1965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785A KR100366146B1 (ko) 2000-03-09 2000-03-09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1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008A (ko) * 2001-09-05 2001-10-24 구기용 인터넷을 이용한 법률 소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97241A (ko) * 2000-04-21 2001-11-08 최종우 회원제 법률 서비스 방법
KR100346854B1 (ko) * 2000-04-22 2002-07-31 주식회사 로서브 인터넷을 이용한 분쟁 중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9951B1 (ko) * 2002-03-15 2003-04-11 정보현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법률 사무 용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82087A (ko) * 2002-04-16 2003-10-22 강병훈 사용시 법적 허가를 받아야 하는 물품에 대한 주문 처리방법
KR100457410B1 (ko) * 2000-05-24 2004-11-16 윤동헌 인터넷 법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1674B1 (ko) * 2000-05-08 2005-12-05 주식회사 로마켓아시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법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241A (ko) * 2000-04-21 2001-11-08 최종우 회원제 법률 서비스 방법
KR100346854B1 (ko) * 2000-04-22 2002-07-31 주식회사 로서브 인터넷을 이용한 분쟁 중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1674B1 (ko) * 2000-05-08 2005-12-05 주식회사 로마켓아시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법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457410B1 (ko) * 2000-05-24 2004-11-16 윤동헌 인터넷 법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92008A (ko) * 2001-09-05 2001-10-24 구기용 인터넷을 이용한 법률 소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379951B1 (ko) * 2002-03-15 2003-04-11 정보현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법률 사무 용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82087A (ko) * 2002-04-16 2003-10-22 강병훈 사용시 법적 허가를 받아야 하는 물품에 대한 주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6146B1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hf Recognizing the societal value in information privacy
LaRose et al. Your privacy is assured-of being disturbed: websites with and without privacy seals
Ray et al. The need for technical solutions for maintaining the privacy of EHR
US20070150372A1 (en) Vendor and Consumer Matching
Jansen et al. How people help fraudsters steal their money: An analysis of 600 online banking fraud cases
O’Neal Victim cooperation in intimate partner sexual assault cases: A mixed methods examination
US20090083283A1 (en) Newsmaker Verification and Commenting Method and System
KR10036614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교호식 법률절차 관리방법
Aalberts et al. Online behavioral targeting: What does the law say?
Debusseré The EU e-privacy directive: a monstrous attempt to starve the cookie monster?
Skinta et al. Desiring intimacy and building community: young, gay and living with HIV in the time of PrEP
Robalo et al. Cyber victimisation, restorative justice and victim-offender panels
Sprague et al. Preserving identities: protecting personal identifying information through enhanced privacy policies and laws
Williams et al. Social networks for health care: addressing regulatory gaps with privacy-by-design
KR10036892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신용정보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Jansen Do you bend or break?: Preventing online banking fraud victimization through online resilience
Durrant E-Government and the internet in the Caribbean: An initial assessment
Merges Introductory Note to Brief of Amicus Curiae in eBay v. MercExchange
Oyama E-mail privacy after United States v. Councilman: Legislative options for amending ECPA
Grover et al. The Web of privacy: business in the information age
Henderson What Alex Kozinski and the Investigation of Earl Bradley Teach About Searching and Seizing Computers and the Dangers of Inevitable Discovery
Cox et al. Lab 2–Easy-Clicks Product Specification
Fazely Identity crimes in the UK: An examination of the strategies employed by front-line practitioner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to detect, prevent and mitigate against this crime
Brantley et al. The Legal Web of Wireless Transactions
Müller Test book wednesday: Have a nice d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