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519A -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519A
KR20010087519A KR1020000011288A KR20000011288A KR20010087519A KR 20010087519 A KR20010087519 A KR 20010087519A KR 1020000011288 A KR1020000011288 A KR 1020000011288A KR 20000011288 A KR20000011288 A KR 20000011288A KR 20010087519 A KR20010087519 A KR 20010087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ase station
traffic
terminal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원
임계종
Original Assignee
송문섭
주식회사 현대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문섭, 주식회사 현대큐리텔 filed Critical 송문섭
Priority to KR102000001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7519A/ko
Publication of KR2001008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5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 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은 기존의 DTX모드를 보완없이 그대로 구현했을 경우 순간적으로 동시 수용 가능한 최대 무선채널 용량을 초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른 사용자의 연결이 끊기거나 무선채널의 품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사용하여 시스템에서 측정한 현재 시스템의 무선 채널 용량상태를 각 사용자 단말기에 알려주어 동시 수용가능한 최대 무선 채널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실제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장시간 연결을 타이머를 설정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 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RP and RIU in WLL}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 시스템(Wireless Local Loop: 이하 WLL이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WLL시스템에서 가입자 정합장치와 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CDMA 통신 시스템에서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모드를 적용할 경우 무선채널 용량초가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선 품질을 유지하면서 데이타 서비스용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LL시스템은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매체로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이동통신망의 전파 환경보다는 훨씬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시경로(Line-of-Sight)환경이 확보되어 전파 경로 손실이 20dB/decade정도로 작아 동일한 송신전력으로 보다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점 대 점 방식의 고정 통신이기 때문에 점 대 이동국 방식의 이동통신 망의 전파환경보다 다중경로로 인한 페이딩(Fadding)현상이 훨씬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현재 WLL시스템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며, 첨부한 도면 도 1은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갖는 일반적인 WLL 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구성요소로는 망 가입자 단말기(10, 10'), 가입자 접속장치(20, 20'), 기지국(30, 30'), 기지국 제어기(40), WLL교환국(50), 기지국 운용장치(60) 등이 있으며, 부가적으로 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데이타 통신 정합장치(70)(IWF : Inter-working Function),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sister/Authentication Center)(8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 운용장치(60) 및 WLL교환기(50)과 연결되는 망 관리센서(90), WLL교환기(50) 및 데이타 통신 정합장치(70)에 연결되는 과금센터(10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WLL 시스템 망에서 망 구성요소간 인터페이스방식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가입자 접속장치(20, 20')와 기지국(30, 30')간은 접속규격으로 일반적인 WLL 무선 접속 규격을 사용하며, 채널 대역폭은 10 MHz이다. 기지국(30, 30')과 기지국 제어기(40)간의 접속규격은 E1 또는 HDSL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신호방식은 LAPD(Link Access Protocol D)를 이용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기(40)와 WLL교환기(50)간은 접속규격으로 E1을 사용하며 신호방식으로는 ITU-T.G965를 사용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40)와 기지국 운용장치(60)간의 접속 규격은 이더넷(Ethernet)을 사용하며, 신호방식으로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TELNET(Telecommunication Network) 등을 이용한다.
한편, 기지국 제어기(40)와 데이타 통신 정합장치(70)간은 접속규격으로 E1을 사용하고, 신호방식으로는 LAPD를 이용한다. 또한, WLL교환기(50)와 데이타 통신 정합장치(70)간은 접속규격으로 E1을 사용하며 신호방식으로는 R2를 이용한다.
그리고, WLL교환기(50)와 홈위치 등록기(80)간의 접속규격은 E1을 사용하고 신호방식으로는 IS-41C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접속규격 및 신호방식을 통해 연결된 WLL시스템 망에 대한 동작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먼저, 기지국(30, 30')은 하나의 기지국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모듈(기지국 제어부)(RCP)과, CDMA 채널관련 신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채널카드 제어부(모뎀모듈), 고출력/저잡음 증폭 및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RF모듈, 그리고 기지국제어기(40)와 정합하기 위한 중계선(E1)접속기능을 수행하는 라인 접속모듈로 구성되어, RF모듈에서 송신신호의 증폭, 수신신호의 저잡음증폭, 주파수 하향/상향변환, 2개의 안테나를 통한 다이버시티 수신, 고출력/저잡음 증폭,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아울러, 채널카드 제어부(모뎀모듈)은 CDMA 채널(파일럿 채널, 동기채널, 페이징채널, 억세스채널, 시그널링채널, 트래픽채널, 패킷 트래픽채널, 패킷 억세스채널)제공, 디지탈 베이스밴드 기능처리, CDMA의 채널 코딩 및 디코딩 관련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라인 접속모듈은 트래픽 및 제어정보에 대해 기지국제어기(40)와의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고, 기지국 제어기(40)의 정합을 위한 중계선(E1/HDSL)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30, 30')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40)는 트랜스코더(Transcoder)모듈, 호처리 모듈, 스위칭모듈, 정합모듈로 구성되며, 트랜스코더 모듈은 64Kbps PCM(Pulse Code Modulation)음성부호화 신호로의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스코더를 포함하며 반향 제거기능이 구현된다. 아울러 호처리 모듈은 기지국의 착발신 호처리지원, 메시지 처리 등 각종 호처리 기능과 기지국 제어기(40)내의 서브시스템 상태관리 및 WLL 교환기(50)와 가입자 접속장치 사이의 제어신호 포맷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시스템 신뢰도를 위해 이중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스위칭모듈은 기지국 제어기(40)내 기지국 정합장치와 트랜스코더간 트래픽경로를 제공한다.
아울러 정합모듈은 WLL 교환기 정합모듈과 기지국 정합모듈 및 기지국 운용장치(60) 정합모듈로 이루어지며, 이중 WLL 교환기(50) 정합모듈은 기지국 제어기(40)를 WLL교환기(50)와 원격으로 설치하는 경우 E1/G.965 디지탈 중계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정합모듈은 기지국-기지국 제어간 E1/LAPD, HDSL 중계선 정합기능을 수행하고, 기지국 운용장치 정합모듈은 기지국 운용장치-기지국 제어기간 이더넷/SNMP, FTP, TELNET 정합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운용장치(60)는 기지국 제어기(40), 기지국(30, 30'), 가입자 접속장치(20, 20')를 운용하고, 각 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담당한다.
상기와 같은 WLL시스템내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의 연결매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E1링크로 구현되어 있으며,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 제공되는 E1링크수는 2E1으로 규정되어 있다.
현재 회선 교환모드의 방식의 비동기 데이타 서비스는 한번 연결이 설정되면, 실제 트래픽의 유무에 관계없이 항상 무선 자원을 점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운용은 일반적인 응용분야의 데이타 트래픽 형태를 고려할 때, 상당히 비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연결설정이 이루어지더라도 사용자의 데이타 트래픽은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을 때, 순시적으로 해당 트래픽 채널의 전력을 "0"으로 설정하여 이로 인한 이득만큼으로 다른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DTX모드 목적이다. 그러나, 동시에 여러 사용자에 대하여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각 트래픽 채널의 전력값이 "0"에서 일정값으로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순간적으로 시스템이 동시 수용가능한 최대 무선 채널 용량을 초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연결이 끊기거나 서비스의 품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제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장시간 연결로 인하여 신규 사용자의 연결이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CDMA 통신 시스템 즉,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 DTX모드를 적용할 경우 무선채널 용량 초과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선 품질을 유지하면서 데이타 서비스용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한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 정합장치(단말기)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원리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1초마다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메세지를 이용하여 현재 기지국 시스템의 무선 채널 용량 상태를 단말기 즉, 기지국 정합장치로 전송한다.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서 전송한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참고하여 무선 용량이 초과된 경우 발생한 데이타 트래픽은 버퍼에 저장한다. 이때, 무선 용량 초과상태가 해제되면, 랜덤한 지연시간을 갖은 후, 버퍼내에 저장된 데이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때, 핸덤한 지연시간을 갖는 이유는 각 사용자의 버퍼내에 저장된 데이타가 동시에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정 단위의 값을 갖는 타이머를 설정하여 장시간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연결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정합장치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의 특징은, WLL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에 있어서, 데이타 트래픽 발생 체크 주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면, 기지국으로 부터 무선 채널 용 량의 포화 유,무정보가 포함된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수신하여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이용하여 무선채널 용량의 포화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a)판단결과,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라고 판단되면,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상기 발생된 데이타 트래픽을 버퍼이 저장하고, b)상기 판단결과 무선 채널용량이 포화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버퍼에 저장된 이전 트래픽 데이타를 랜덤한 지연시간 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WLL시스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의 다른 특징은 WLL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에 있어서, 데이타 트래픽 발생 체크 주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면, 시스템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인지를 판단함과 동시에 무선 채널 용량의 포화,유무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a)판단결과,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라고 판단되면,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상기 발생된 데이타 트래픽을 버퍼이 저장하고, b)상기 판단결과 무선 채널용량이 포화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버퍼에 저장된 이전 트래픽 데이타를 랜덤한 지연시간 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중 광대역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의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기지국으로 데이타 전송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가입자 정합장치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DTX 표시 부 채널 입력규격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 느린 전력 제어 및 DTX 표시 전송모드에서 순방향 PR 부채널 입력규격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정합장치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WLL시스템의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기지국으로의 데이타 전송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WLL 시스템의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기지국으로의 데이타 전송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데이타 서비스가 시작되면, 일정주기를 갖는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S101), 타이머가 초기화되면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2).
판단결과,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되지 않았으면, 설정된 타이머의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결과, 기 설정된 타이머 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데이타 서비스의 접속을 종료하고(S113), 반대로 기 설정된 타이머 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타이머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것이다(S104). 즉, 타이머를 증가시킨 후,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되는지를 기 설정된 타이머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S102단계에서 타이머를 초기화시킨 후, 데이타트래픽이 발생되면, 다시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S105),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분석하게 된다(S106).
이어, 단말기는 기지국에서 전송한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참조하여 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무선 채널 용량이 초과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고(S107), 판단결과, 무선 채널 용량이 초과되었으면, 상기 발생한 데이타 트래픽을 버퍼에 일시 저장한 후(S108), 상기 S102단계로 피드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S107단계에서 무선 채널 용량이 초과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버퍼내에 데이타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S109), 버퍼내에 데이타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발생한 데이타 트래픽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S110).
그러나, 상기 S109단계에서 버퍼내에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저장된 데이타를 리드하고, 리드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인지를 판단한다(S111).
상기 판단결과, 버퍼로 부터 리드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이면 기 설정된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S112), 리드한 데이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S111단계에서 버퍼로부터 리드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가 아니면 리드한 데이타를 바로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S110).
이어, 도 3을 참조하여 기지국으로 부터 가입자 정합장치(단말기)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가입자 정합장치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데이타 서비스가 시작되면, 일정주기를 갖는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S201), 타이머가 초기기화되면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2).
판단결과,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되지 않았으면, 설정된 타이머의 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3).
판단결과, 기 설정된 타이머 시간이 종료되었으면, 데이타 서비스의 접속을 종료하고(S205), 반대로 기 설정된 타이머 시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타이머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것이다(S104). 즉, 타이머를 증가시킨 후,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되는지를 기 설정된 타이머시간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S202단계에서 타이머를 초기화시킨 후, 데이타트래픽이 발생되면, 다시 타이머를 초기화시키고(S206), 시스템의 무선용량을 확인 한 후, 확인된 무선용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단말기로 전송한다.(S207)
이어, 단말기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무선 채널 용량이 초과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고(S208), 판단결과, 무선 채널 용량이 초과되었으면, 상기 발생한 데이타 트래픽을 버퍼에 일시 저장한 후(S209), 상기 S102단계로 피드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S208단계에서 무선 채널 용량이 초과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버퍼내에 데이타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S210), 버퍼내에 데이타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발생한 데이타 트래픽을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S211).
그러나, 상기 S109단계에서 버퍼내에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저장된 데이타를 리드하고, 리드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인지를 판단한다(S212).
상기 판단결과, 버퍼로 부터 리드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이면 기 설정된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S213), 리드한 데이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S212단계에서 버퍼로부터 리드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가 아니면 리드한 데이타를 바로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S211).
도 4는 일반적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DTX 표시 부 채널 입력규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일반적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 느린 전력 제어 및 DTX 표시 전송모드에서 순방향 PR 부채널 입력규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DTX모드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호가 설정된 이후에 사용자가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트래픽 정보를 보내지 않는 DTX동작을 수행할 경우, 도 4와 같이 리저브드 인포메이션(Reserved Information)역방향 정보 부채널을 역방행 DTX 표시 부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DTX감지 및 동작은 5ms단위로 수행한다.
역방향 DTX 표시 부채널의데이타 전송률은 200bps이다. 그리고 프레임 길이는 5ms이고 1비트의 DTX표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은 20MS_BST와 시각정렬 되어 있으며, 역방향 DTX표시 부채널로 사용할 때 Reserved Information) 부채널의 입력은 200bps신호를 10회 심볼 반복한 신호이다. 트래픽 정보를 보내지 않을 경우에는 한 비트의 "1"을 보내고 신호를 보내는 경우에는 한 비트의 "0"을 기지국에 전송한다.
트래픽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경우 첫 5ms동안에는 역방향 DTX표시 부채널로 1비트의 "1"과 함께 역방향 트래픽 정보 채널로 "0"심볼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첫 5ms이후에는 역방향 DTX 표시 부채널로는 계속 1비트의 "1"을 보내고 역방향 트래픽 정보 채널의 전력은 차단시킨다.
다시 트래픽 신호를 보낼 때에는 역방향 DTX표시 부채널로 1비트의 "0"을 기지국에 송신하고, 역방향 트래픽 정보 채널로 트래픽정보를 동시에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전력 제어 및 DTX 전송 모드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ms 주기의 역방향 전력 제어 비트와 DTX 표시비트를 시분할 MUX하여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 모드는 다중 신호 모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전력 제어정보는 "0" 혹은 "1"의 데이타 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bps 속도로 전송한다. 전력 제어정보는 프레임 구조를 갖지 않으며, 데이타 비트는 단말기에서 전력을 올리거나 내리도록 하는 전력 제어명령이다. "0"은 단말기에게 현재 전력으로부터 증가시킬 것을 명령하는 것이고, "1"은 감소할 것을 명령하는 것이다. 전력 증감 단위값은 페이징 채널로부터 수신하는 시스템 정보 메세지의 PWR_STEP정보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단말기는 이 명령을 수신하여 정보를 얻는 즉시 자신의 전력을 변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단말기는 1ms마다 이 채널의 명령에 따라서 전력을 변화시키게 된다. 20MS_BST에는 전력 제어정보 비트 경계가 있어야 한다.
DTX표시비트는 "0"혹은 "1"의 데이타 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bps의 속도로 전송한다. 이 데이타는 프레임 구조를 갖지 않으며, 데이타 비트는 현재 단말기에게 순방향 트래픽 채널로 보내는 데이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0"은 현재 단말기에 순방향 트래픽 채널데이타가 송신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1"은 현재 단말기에 순방향 트래픽 채널의 송신전력을 차단하였음을 알린다.
처음 "1"이 송신되는 5ms동안 순방향 트래픽 채널로는 "0"심볼이 송신되고, 그 이후에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의 송신전력을 차단한다. 20 MS_BST에는 DTX 표시비트 경계가 있어야 한다.
전력 제어정보 비트와 DTX 표시비트 심볼의 시분할 MUX 시 20MS_BST에는 전력 제어정보 비트가 먼저 송신되고, 그 다음에 DTX 표시비트 심볼이 전송되는 순서로 두 정보 비트가 시 분할 MUX되어 송신된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이 DTX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통하여 단말기에 알려준다. DTX모드 지원이 가능할 경우 시스템 정보 메세지 안에 서비스 캐퍼빌리티(Service Capability)내 DTX_M 필드를 1로 설정한다.
DTX모드가 가능한 시스템일 경우 즉, DTX_M이 1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데이타 서비스중에 DTX 모드를 설정하는 것은 단말기나 기지국 모두 독립적으로 할 수 있다.
이어, 단말기에서 DTX 모드설정을 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자.
먼저, 단말기는 전송할 트래픽 데이타가 없을 시, PPCS채널의 DTX 부채널의 DTX 비트를 1로 설정한다. 동시에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디지탈 이득을 "0"으로 설정하여 역방향 트래픽채널을 차단시킨다. 이때, 전송할 트래픽 데이타가 있고 없음을 판별하는 방식은 구현자의 방안에 맡긴다. 기지국은 항상 DTX 부채널을 감시하여 DTX모드가 "1"로 세팅되어 있을 때에 모뎀으로 수신된 데이타는 무시하고 DTX 모드가 "0"으로 세팅되어 있을 때의 트래픽 데이타만 처리한다.
DTX모드가 1인 상태로 타이머에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모뎀을 비활성화시킨다.
이 시간은 3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위는 5분이다. 즉, 이 값이 "010"이면타이머의 값은 10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모뎀을 비활성화 시키는 과정은 기존의 호 해제 절치를 따르며 단말기의 RM에서 개시한다. 이때의 호 해제의 이유인 Cause필드는 기존에 정의된 타이머 종료로 한다. 단말기와 IWF간의 호도 이 때에 해제된다.
그리고, 기지국에서 DTX모드 설정을 개시하는 경우를 보면, 기지국은 전송할 트래픽 데이타가 없을 시 순방향 DTX 부채널의 DTX 비트를 1로 설정한다. 동시에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디지탈 이득을 "0"으로 설정하여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차단시킨다. 이때 전송할 트래픽 데이타가 있고 없음을 판별하는 방식은 구현자의 방안에 맡긴다.
기지국은 항상 DTX 부채널을 감시하여 DTX 모드가 1로 세팅되어 있을 때에 모뎀으로 수신된 데이타는 무시하고 DTX모드가 "0"로 세팅되어 있을 때의 트래픽 데이타만 처리한다. 단말기는 DTX모드가 "1"인 상태가 타이머 설정시간을 초과하여 유지되면 RM에서 호 해제절차를 개시한다.
DTX모드 해제는 DTX모드 설정과는 달리 해제는 시스템의 제어를 받는다. 즉, 다수의 가입자가 DTX모드가 온된 상태에 있어서, 무선송신을 하지 않고 있다가 어느 순간에 동시에 DTX모드 해제를 시도할 경우 현재 연결된 채널 품질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스템에서는 현재의 무선품질을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시스템 정보에 반영하여 주기적으로 단말기에 전송한다.
단말기에서 DTX모드 해제를 개시하는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전송할 트래픽 데이타가 발생할 때, 이전에 수신한 시스템 정보를 참조한다. 이때, 현재 기지국의 무선채널이 포화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포화상태가 아님을 알리는 시스템 정보메세지를 수신할 때까지 발생하는 데이타를 버퍼에 저장하고, 기지국으로 부터 무선채널 용량이 포화상태가 아님을 알리는 시스템 정보 메세지가 수신되면, 버퍼에 저장된 데이타를 랜덤한 지연시간을 기다린 후, 가지국으로 전송한다. 동시에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디지탈 이득을 "1"로 설정하여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활성화시킨다.
이어, 기지국에서 DTX모드 해제를 개시하는 경우를 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전송할 트래픽 데이타가 생길 때, 현재 기지국의 무선채널 용량을 참조하여 현재 기지국의 무선 채널이 포화상태가 해제될 때 까지 기다린다.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무선채널이 포화된 상태에서 발생한 데이타는 버퍼에 저장된 후, 포화상태가 해제되면 랜덤한 지연시간을 기다린 후, 전송된다. 동시에 순방향 트래픽 채널의 디지탈 이득을 "1"로 설정하여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활성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 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은 기존의 DTX모드를 보완없이 그대로 구현했을 경우 순간적으로 동시 수용 가능한 최대 무선채널 용량을 초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다른 사용자의 연결이 끊기거나 무선채널의 품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사용하여 시스템에서 측정한 현재 시스템의 무선 채널 용량상태를 각 사용자 단말기에 알려주어 동시 수용 가능한 최대 무선 채널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실제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장시간 연결을 타이머를 해제하는 것이다.

Claims (8)

  1. WLL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에 있어서,
    데이타 트래픽 발생 체크 주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타트래픽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면, 기지국으로 부터 무선 채널 용 량의 포화 유,무정보가 포함된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수신하여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이용하여 무선채널 용량의 포화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a)판단결과,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라고 판단되면,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상기 발생된 데이타 트래픽을 버퍼이 저장하고,
    b)상기 판단결과 무선 채널용량이 포화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버퍼에 저장된 이전 트래픽 데이타를 랜덤한 지연시간 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데이타 트래픽 발생 체크 주기시간이 종료되면, 기지국으로의 데이타 서비스 접속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내의데이타를 리드할 때, 리드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가아닌 경우에는 바로 기지국의 리드한 트래픽 데이타를 전송하고, 리드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인 경우에는 랜덤한 지연시간 후에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한 트래픽 데이타 또는 버퍼에서 리드한 데이타를 기지국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5. WLL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에 있어서,
    데이타 트래픽 발생 체크 주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단말기로 전송할 데이타트래픽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데이타 트래픽이 발생하게 되면, 시스템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인지를 판단함과 동시에 무선 채널 용량의 포화,유무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메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a)판단결과,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라고 판단되면, 무선 채널 용량이 포화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상기 발생된 데이타 트래픽을 버퍼이 저장하고,
    b)상기 판단결과 무선 채널용량이 포화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버퍼에 저장된 이전 트래픽 데이타를 랜덤한 지연시간 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데이타 트래픽 발생 체크 주기시간이 종료되면, 단말기로의 데이타 서비스 접속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내의 데이타를 리드할 때, 리드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가 아닌 경우에는 바로 기지국의 리드한 트래픽 데이타를 전송하고, 리드된 데이타가 첫번째 데이타인 경우에는 랜덤한 지연시간 후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한 트래픽 데이타 또는 버퍼에서 리드한 데이타를 단말기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의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KR1020000011288A 2000-03-07 2000-03-07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KR20010087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288A KR20010087519A (ko) 2000-03-07 2000-03-07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288A KR20010087519A (ko) 2000-03-07 2000-03-07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519A true KR20010087519A (ko) 2001-09-21

Family

ID=1965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288A KR20010087519A (ko) 2000-03-07 2000-03-07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75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497B1 (ko) * 2001-12-22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497B1 (ko) * 2001-12-22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0148B1 (en) Selective discontinuous transmission for high speed data services in CDMA multi-channel configuration
JP5827194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101124132B1 (ko) 셀 전용 채널로의 직접 이행
KR100915618B1 (ko)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JPH11355196A (ja) デ―タ通信のためのキャリア活性化
US200600145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power level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EP1892970A1 (en) Wireless base station system
US75121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different reduced slot cycle modes in a wireless network
US5970063A (en) Method for unacknowledged data frame delivery in a noisy wireless environment
KR20090010696A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을 제어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06471B1 (ko) 일시적인장치확인자메시지응답제어방법
CA2370191C (en) Method of dynamic rate switching via medium access channel layer signaling
KR100722075B1 (ko) 음성 모드 또는 페이저 모드에서 이동국을 동작시키는시스템 및 방법
AU20043063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and simultaneous operation of forward packet data and supplemental channels in EV-DV network
US6631274B1 (en) Mechanism for better utilization of traffic channel capacity in GSM system
FI106665B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lähetystehon määrittämiseksi matkaviestimessä
KR20010087519A (ko)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가입자정합장치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KR20000059486A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 가입자 정합장치 및 다중/단일 모드
KR100318968B1 (ko)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중단일-위상 액세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0569020C (zh) 用于轮询管理的方法和装置
KR100326565B1 (ko)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KR100327186B1 (ko) 무선가입자망시스템에서 기지국 통화분포를 고려하여 단말국장치의 랜덤액세스 송출전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KR20010059946A (ko) 무선 가입자 망 기지국시스템에서의 채널 카드 보드와채널 카드 감시보드의 인터페이싱장치
JPH07226707A (ja) 移動無線データ通信方法
JP200118656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とその移動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