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565B1 -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565B1
KR100326565B1 KR1020000032358A KR20000032358A KR100326565B1 KR 100326565 B1 KR100326565 B1 KR 100326565B1 KR 1020000032358 A KR1020000032358 A KR 1020000032358A KR 20000032358 A KR20000032358 A KR 20000032358A KR 100326565 B1 KR100326565 B1 KR 100326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ulticode
slave
maste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720A (ko
Inventor
신성원
이성길
임계종
허상진
Original Assignee
송문섭
주식회사 현대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문섭, 주식회사 현대큐리텔 filed Critical 송문섭
Priority to KR102000003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565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565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멀티 코드 설정방법은 하나의 서비스에 여러개의 코드를 할당하여 다수의 물리적인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즉, 하나의 물리적인 연결에 최대 144K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중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은 할당하는 코드수에 따라 144Kbps의 배수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시스템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서도 구현 가능하며, 새로운 개발방법보다 개발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Multi-code establishing method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 시스템(Wireless Local Loop: 이하 WLL이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WLL시스템에서 하나의 데이타 서비스를 위하여다중코드(Multicode)를 사용하여 고속 데이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WLL시스템에서의 다중코드 할당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LL시스템은 무선채널을 통해 통신매체로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이동통신망의 전파 환경보다는 훨씬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시경로(Line-of-Sight)환경이 확보되어 전파 경로 손실이 20dB/decade정도로 작아 동일한 송신전력으로 보다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점 대 점 방식의 고정 통신이기 때문에 점 대 이동국 방식의 이동통신 망의 전파환경보다 다중경로로 인한 페이딩(Fadding)현상이 훨씬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현재 WLL시스템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며, 첨부한 도면 도 1은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갖는 일반적인 WLL 망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구성요소로는 망 가입자 단말기(10, 10'), 가입자 접속장치(20, 20'), 기지국(30, 30'), 기지국 제어기(40), WLL교환국(50), 기지국 운용장치(60) 등이 있으며, 부가적으로 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데이타 통신 정합장치(70)(IWF : Inter-working Function),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sister/Authentication Center)(80)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 운용장치(60) 및 WLL교환기(50)과 연결되는 망 관리센서(90), WLL교환기(50) 및 데이타 통신 정합장치(70)에 연결되는 과금센터(10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WLL 시스템 망에서 망 구성요소간 인터페이스방식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가입자 접속장치(20, 20')와 기지국(30, 30')간은 접속규격으로 일반적인 WLL 무선 접속 규격을 사용하며, 채널 대역폭은 10 MHz이다. 기지국(30, 30')과 기지국 제어기(40)간의 접속규격은 E1 또는 HDSL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신호방식은 LAPD(Link Access Protocol D)를 이용한다.
그리고, 기지국 제어기(40)와 WLL교환기(50)간은 접속규격으로 E1을 사용하며 신호방식으로는 ITU-T.G965를 사용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40)와 기지국 운용장치(60)간의 접속 규격은 이더넷(Ethernet)을 사용하며, 신호방식으로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TELNET(Telecommunication Network) 등을 이용한다.
한편, 기지국 제어기(40)와 데이타 통신 정합장치(70)간은 접속규격으로 E1을 사용하고, 신호방식으로는 LAPD를 이용한다. 또한, WLL교환기(50)와 데이타 통신 정합장치(70)간은 접속규격으로 E1을 사용하며 신호방식으로는 R2를 이용한다.
그리고, WLL교환기(50)와 홈위치 등록기(80)간의 접속규격은 E1을 사용하고 신호방식으로는 IS-41C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접속규격 및 신호방식을 통해 연결된 WLL시스템 망에 대한 동작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먼저, 기지국(30, 30')은 하나의 기지국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모듈(기지국 제어부)(RCP)과, CDMA 채널관련 신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채널카드 제어부(모뎀모듈), 고출력/저잡음 증폭 및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RF모듈, 그리고 기지국제어기(40)와 정합하기 위한 중계선(E1)접속기능을 수행하는 라인 접속모듈(E1접속부)로 구성되어, RF모듈에서 송신신호의 증폭, 수신신호의 저잡음증폭, 주파수 하향/상향변환, 2개의 안테나를 통한 다이버시티 수신, 고출력/저잡음 증폭, 송수신 주파수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아울러, 채널카드 제어부(모뎀모듈)은 CDMA 채널(파일럿 채널, 동기채널, 페이징채널, 억세스채널, 시그널링채널, 트래픽채널, 패킷 트래픽채널, 패킷 억세스채널)제공, 디지탈 베이스밴드 기능처리, CDMA의 채널 코딩 및 디코딩 관련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라인 접속모듈은 트래픽 및 제어정보에 대해 기지국제어기(40)와의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고, 기지국 제어기(40)의 정합을 위한 중계선(E1/HDSL)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30, 30')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40)는 트랜스코더(Transcoder)모듈, 호처리 모듈, 스위칭모듈, 정합모듈로 구성되며, 트랜스코더 모듈은 64Kbps PCM(Pulse Code Modulation)음성부호화 신호로의 변환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스코더를 포함하며 반향 제거기능이 구현된다. 아울러 호처리 모듈은 기지국의 착발신 호처리지원, 메시지 처리 등 각종 호처리 기능과 기지국 제어기(40)내의 서브시스템 상태관리 및 WLL 교환기(50)와 가입자 접속장치 사이의 제어신호 포맷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로 시스템 신뢰도를 위해 이중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스위칭모듈은 기지국 제어기(40)내 기지국 정합장치와 트랜스코더간 트래픽경로를 제공한다.
아울러 정합모듈은 WLL 교환기 정합모듈과 기지국 정합모듈 및 기지국 운용장치(60) 정합모듈로 이루어지며, 이중 WLL 교환기(50) 정합모듈은 기지국 제어기(40)를 WLL교환기(50)와 원격으로 설치하는 경우 E1/G.965 디지탈 중계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정합모듈은 기지국-기지국 제어간 E1/LAPD, HDSL 중계선 정합기능을 수행하고, 기지국 운용장치 정합모듈은 기지국 운용장치-기지국 제어기간 이더넷/SNMP, FTP, TELNET 정합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운용장치(60)는 기지국 제어기(40), 기지국(30, 30'), 가입자 접속장치(20, 20')를 운용하고, 각 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담당한다.
상기와 같은 WLL시스템내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의 연결매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E1링크로 구현되어 있으며,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 제공되는 E1링크수는 2E1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WLL시스템에에서 통신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가입자 정합장치)와 기지국사이의 연결을 구별하기 위해 각각의 연결마다 고유한 코드를 부여한다. 그리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각 사용자에세 하나의 코드를 할당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코드를 이용하여연결을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속도는 코드가 지원하는 최대속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다중코드를 할당하여 할당된 코드수 만큼의 물리적 연결을 설정하여 서비스를 받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할당되는 코드수에 따라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WLL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의 특징은 단말기로 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타 서비스를 요구하면, 멀티코드 마스터 호 접속을 시도하고, 멀티코드 마스터 호 접속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멀티코드 마스터 호를 설정한 후, 제 1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1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멀티코드 마스터 호 및 제 1 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를 통한 데이타 서비스의 전송률이 256Kbps 또는 384Kbps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데이타 서비스 전송률이 256 또는 348Kbps인 경우에는 바로 마스터 호 및 슬레이브호를 통해 데이타 서비스를 개시하고, 반대로 데이타 서비스 전송률이 256 또는 348Kbps가 아닐 경우에는 제 2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을 시도한 후, 제 2 멀티코드 슬레이브호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해당 전송률로 데이타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중 광대역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의 블록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코드 설정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드 마스터 호 설정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드 슬레이브 호 설정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서 설정된 다중코드 호의 해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코드 설정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드 마스터 호 설정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코드 슬레이브 호 설정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멀티코드 모드란 TTA-WLL규격에서 최대 지원 가능한 128Kbps 이상의 데이타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하여 하나의 데이타 서비스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코드(Terminal Seed, Hadamard Index)를 이용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코드 호 설정의 절차를 보면, 먼저 단말기로 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타 서비스를 요구하면(S101), 멀티코드 마스터 호 접속을 시도하고(S102), 멀티코드 마스터 호 접속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S103).
상기 판단결과, 멀티코드 마스터 호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데이타 서비스의 접속실패로 판단하여 멀티코드 마스터 호를 해제하고(S110), 반대로, 멀티코드 마스터 호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멀티코드 마스터 호를 설정한 후, 제 1 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을 시도한다(S104).
이어, 상기 1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판단하고(S105), 판단결과 1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데이타 서비스의 접속실패로 판단하고(S110), 반대로 1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멀티코드 마스터 호 및 제 1 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를 통한 데이타 서비스의 전송률이 256Kbps 또는 384Kbps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106).
판단결과, 데이타 서비스 전송률이 256 또는 348Kbps인 경우에는 바로 마스터 호 및 슬레이브호를 통해 데이타 서비스를 개시하게 되고(S109), 반대로 데이타 서비스 전송률이 256 또는 348Kbps가 아닐 경우에는 제 2 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을 시도하한다(S107).
제 2 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이 시도된 후,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2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데이타 서비스를 개시하고(S109), 그렇치 않았을 경우에는 데이타의 접속실패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S110).
상기한 멀티코드 호 설정과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상기한 멀티코드는 멀티코드 마스터 호(Multicode Master Call)와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Multicode Slave Call)로 구분되는데, 멀티코드 마스터 호는 멀티코드 호 설정을 위한 최초의 호를 멀티코드 마스트 호라 하고, 멀티코드 호 설정을 위한 최초의 호 이후의 호를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라 한다.
상기한 멀티코드 마스터 호 설정에 대하여 설명해 보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국은 무선자원 할당을 요구하는CHANNEL_REQUEST 메세지의 서비스 타입내 호타입(Calltype)은 멀티코드 마스터 호로 설정한다.
또한, 멀티코드 호를 설정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데이타 전송률을 서비스 타입(Service Type)내 레이트 필드(Rate Field)에 설정한다.
기지국에서는 멀티코드 마스터 호 설정을 위한 CHANNEL_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면, 요구된 데이타 전송률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E1링크, IWF의 자원을 확보하고 단위데이타 전송률(128Kbps)의 데이타호를 설정한다. 즉, 무선자원의 경우 하나의 모뎀에 대하여 단위 데이타 전송률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며, E1링크 및 IWF의 경우 요구된 전송률의 서비스가 가능한 자원을 모두 확보한다.
무선자원 할당에 의한 L1설정 이후의 호 설정과정은 일반 데이타 호 설정과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 설정과정에 대하여 설명해 보자.
멀티 마스터 호 설정 후, 단위 데이타 전송률의 호를 추가로 설정하여 서비스 받을 수 있는 데이타 전송률을 높일 수 있다. 즉, 384Kbps의 데이타 서비스를 받고자 할 경우 멀티코드 마스터 호 설정 이후, 2개의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를 추가 설정 함으로서 384Kbps의 데이타 전송률로 서비스받을 수 있다.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는 128Kbps의 전송률을 갖는 TFCH만을 설정하며 이를 위한 전력제어는 멀티코드 마스터호의 PPCH채널을 이용해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국은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 설정을 위한 CHANNEL_REQUEST 메시지의 서비스 타입내 호 타입(Calltype)은 멀티코드 슬레이브호로 설정한다. 또한, 서비스 타입내 레이트 필드는 단위 데이타 전송률(128Kbps)을 설정한다.
기지국에서는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 설정을 위한 CHANNEL_REQUEST메시지를 수신하면, 단위 데이타 전송률의 호 설정에 필요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L1설정 이후 멀티코드 마스터 호에서 확보된 E1링크, IWF자원을 공유하며, L2, L3의 설정은 하지 않는다.
도 5는 도 2에서 설정된 다중코드 호의 해제 절차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멀티코드 호 해제과정에 대하여 설명해 보자.
먼저 멀티코드 호 해제는 멀티코드 마스터 호와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에 대하여 동시에 이루어지며, 단말국과 기지국 모두 멀티코드 마스터 호 해제와 동시에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를 해제한다.
멀티코드 마스터 호의 해제는 일반 데이타 호의 해제과정과 동일하며,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해제는 설정된 L1만을 해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멀티코드 마스터 호 설정과정 중 무선자원의 부족, 무선링크 고장, 신호채널상의 데이타링크 고장 등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일반적인 호 해제 절차에 따라 해제하고,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 설정과정중 무선자원의 부족, 무선링크 고장, 신호채널상의 데이타링크 고장 등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설정중인 멀티코드 마스터 호와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를 모두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WLL 시스템에서의 멀티 코드 설정방법은 하나의 서비스에 여러개의 코드를 할당하여 다수의 물리적인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즉, 하나의 물리적인 연결에 최대 144K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중코드를 이용하는 방법은 할당하는 코드수에 따라 144Kbps의 배수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시스템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서도 구현 가능하며, 새로운 개발방법보다 개발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단말기로 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타 서비스를 요구하면, 멀티코드 마스터 호 접속을 시도하고, 멀티코드 마스터 호 접속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멀티코드 마스터 호를 설정한 후, 제 1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1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1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멀티코드 마스터 호 및 제 1 차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를 통한 데이타 서비스의 전송률이 256Kbps 또는 384Kbps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데이타 서비스 전송률이 256 또는 348Kbps인 경우에는 바로 마스터 호 및 슬레이브호를 통해 데이타 서비스를 개시하고, 반대로 데이타 서비스 전송률이 256 또는 348Kbps가 아닐 경우에는 제 2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의 접속을 시도한 후, 제 2 멀티코드 슬레이브호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해당 전송률로 데이타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무선자원 할당을 요구하는 CHANNEL_REQUEST메세지의 서비스타입내의 호타입을 멀티코드 마스터 및 슬레이브 호로 각각 설정하고, 서비스받고자 하는 데이타 전송률을 서비스 타입내 레이트 필드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코드 마스터 및 슬레이브 호설정은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부터 채널 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요구된 데이타 전송률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E1링크, IWF의 자원을 확보하고, 단위 데이타 전송률의 데이타 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1링크 및 IWF자원의 확보는 하나의 모뎀에 대하여 단위 데이타 전송률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며, E1링크, IWF의 경우 요구된 전송률의 서비스가 가능한 자원을 모두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에서의 다중코드 설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는 384Kbps의 데이타 서비;스를 받고자할 경우 추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 시스에서의 다중코드 설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멀티코드 마스터 및 슬레이브 호의 해제는 단말기 및 기지국 모두 동시에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에서의 다중코드 설정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 설정과정 중 무선자원 부족, 무선링크 고장, 신호채널상의 데이타 링크 고장등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현재 설정중인 멀티코드 마스터 호와 멀티코드 슬레이브 호를 모두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LL시스템에서의 다중코드 설정방법.
KR1020000032358A 2000-06-13 2000-06-13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KR10032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358A KR100326565B1 (ko) 2000-06-13 2000-06-13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358A KR100326565B1 (ko) 2000-06-13 2000-06-13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720A KR20010111720A (ko) 2001-12-20
KR100326565B1 true KR100326565B1 (ko) 2002-03-12

Family

ID=4593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358A KR100326565B1 (ko) 2000-06-13 2000-06-13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582B1 (ko) * 2000-11-27 2003-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을 위한 채널전환 방법
KR100731618B1 (ko) * 2005-10-27 2007-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시스템에서의 채널화 코드 할당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720A (ko)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558B1 (ko) 유.무선 복합구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367197B1 (ko) 클러스터 구조형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 클러스터총괄국, 회선제어국 및 이동국
KR970000572B1 (ko) 원격 기지국과 중앙 사이트간의 통신 신호 교환 방법 및 장치
US6031845A (en) Allocation of bandwidth to call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20085618A1 (en) Spread spectru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49246A (ko) 이중모드 대칭/비대칭 통신제어 시스템
US5946633A (en) Method and terminal for high bandwidth cellular data transmission
CN100365948C (zh) Utra tdd时隙分配
US7170943B1 (en) Control channel for a wireless digital subscriber line system
US20070280159A1 (en) Load-Sharing Method And System In A Wireless Base Station
JP2003198726A (ja) 公衆無線通信網及び私設有無線通信網サービス装置とその方法
AU2001270412A1 (en) Control channel for a wireless digital subscriber line system
AU20043063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and simultaneous operation of forward packet data and supplemental channels in EV-DV network
US65101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2275305A1 (en) Transceiver hopping
EP2237605B1 (en) Transmitting service information without establishing a connection
CN101159453B (zh) 控制功率的方法
EP1193984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both public and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n a predetermined service area using a mobile terminal
KR100326565B1 (ko)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에서의 다중 코드 설정방법
WO2001058181A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to base station external equipment
EP0711088A2 (en) Device for increasing the communication speed in a digital mobile telephone system
KR100754648B1 (ko)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의 핸드 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JP3033689B2 (ja) Phs基地局の制御チャネル切替方式
JP4020827B2 (ja) 基地局装置、基地局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0583687C (zh) 用于在提供有效的控制时隙分配的无线电基站节点传送数据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