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862A -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862A
KR20010085862A KR1020010016727A KR20010016727A KR20010085862A KR 20010085862 A KR20010085862 A KR 20010085862A KR 1020010016727 A KR1020010016727 A KR 1020010016727A KR 20010016727 A KR20010016727 A KR 20010016727A KR 20010085862 A KR20010085862 A KR 20010085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information
reading
meter read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현
Original Assignee
김춘식
태성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식, 태성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춘식
Priority to KR102001001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5862A/ko
Publication of KR2001008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계량기의 자동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 계량기를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조명수단과, 옥외 연결구를 구비한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옥외 검침이 가능하도록 한 상수도 계량기 옥외 검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침 장치의 연결구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시켜 촬영수단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그 촬영된 영상 정보를 해당 수용가의 이미지 파일로서 저장하여 검침하는 휴대용 자동 검침 기록장치(AMR)와; 검침원이 상수도 검침 관리를 위한 본부에서 상기 자동 검침 기록장치를 종합 관리 시스템에 연결하여 각 자동 검침 기록장치에 저장된 수용가별 계량기 촬영 이미지 파일을 읽어들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수용가별 이미지 파일을 OCR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자동 판독하여 ASCII 파일로 저장시키고, 이 ASCII 파일을 변환하여 자체 운영 데이터 베이스 파일로 구성하며, 사용량을 계산하고 이로써 청구용지를 인쇄하는 작업까지 실행할 수 있도록 종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Automatically Meter Read apparatus for recording a water meter at the outdoors}
본 발명은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가정의 옥내에 설치된 상수도 계량기를 옥외에서 자동으로 검침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 검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계량기에는 상수도, 가스, 전기 계량기 등이 있는데, 이중 상수도 계량기는 다른 계량기와는 달리 옥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수도 계량기 검침원은 해당 가정의 거주자가 집에 있을 때 각 가정을 방문해야만 상수도 계량기를 검침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거주자가 집에 있는 경우에만 방문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침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임의로 사용량을 책정하여 요금을 부과하고 검침시 사용량을 정산 처리하는 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요금 부과 방식은 각 가정의 거주자가 이사를 하거나, 특별한 일에 의해 평균보다 상수도를 많이 사용한 달이 있는 경우 상수도 사용자가 부당한 수도 요금을 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또한, 검침원이 집안으로 들어와 상수도 계량기를 검침해야 하므로, 검침원을 위장한 범죄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1999년 실용신안등록 제 0166476호 "상수도 계량기 옥외검침 장치"에 의하면, CCD 카메라를 설치하여 상수도 계량기의 검침 값을 외부에서 휴대용 모니터로 읽어들여 검침원이 옥외에서 모니터를 이용해 검침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 계량기 옥외 검침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전술한 "상수도 계량기 옥외검침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내에 설치된 상수도 계량기(10) 함 내부의 계량기 표시부 상단에 CCD 카메라(30)를 설치하여 일정 전원이 인가된 경우 그 CCD 카메라(30)에 의해 계량기(10)에 표시된 상수도 사용정보를 읽어들이는 검침장치(도 1의 구성)와, 상기 검침장치에서 읽어들인 상수도 사용정보를 출력하고 검침장치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그 검침장치로부터 두 개의 신호선(60)을 연장하여 옥외에 고정설치한 두 개의 연결구(71, 72)와, 그 연결구(71, 72)를 통해 옥외에서 상기 검침 장치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장치(90) 및 상기 검침장치를 작동시키고 그 검침장치에서 읽어들인 결과 값을 표시하는 소형 모니터(80)로 이루어져 검침원이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판독장치(도 2의 구성)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소형 CCD 카메라(30) 주위에 고휘도 LED 장치(40)가 다수개 설치되어 방수용 덮개(20) 사이의 공간을 밝혀 주도록 되어 있고, 내부 상단에 부착된 고정판(50)의 하부에는 반구형의 투명캡(51)이 장착되어 CCD 카메라(30)와 고휘도 LED 장치(4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상수도 계량기 옥외 검침 장치는, 검침원이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된 판독장치의 연결구(71, 72)를 각 가정의 옥외에 고정 설치된 연결구(70)에 연결하여, 그 검침장치로 전원을 인가하면 그 외부 전원에 의해 검침부내의 소형 CCD 카메라(30) 및 고휘도 LED 장치(40)가 작동되어 촬영된 상수도 계량기(10)의 내용이 소형 모니터(80)에 출력되고, 이를 검침원이 눈으로 확인하여 검침기록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거주자의 유무와 관계없이 옥외로 인출된 연결구(70)에 판독장치를 연결하여 모니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어서, 거주자 부재를 핑계로 한 추측 검침 등의 부당 검침을 일소시키고, 검침원을 위장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상수도 계량기를 유지하면서 소형 CCD 카메라 및 그 신호를 옥외로 전송하는 연결구만을 추가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옥외 검침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 상기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장치는, 거주자의 유무와 관계없이 검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검침원이 휴대용 모니터를 보고 가검침하여 기록해야하므로 오류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소지가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검침 기록부를 그대로 휴대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검침기록을 다시 종합 관리 시스템에 입력시켜 관리 및 요금을 부과해야 하므로 오류 발생의 소지가 높고, 작업량이 많아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추측 검침의 문제점을 배제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 "상수도 계량기 옥외 검침 장치"의 기술을 더욱 보완 개량하여 자동으로 휴대용 모니터 대신 그 계량기 촬영화면을 그대로 저장하여 종합관리 시스템에서 자동 판독함과 아울러 이를관리 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검침 기록장치는, 상기 1999년 실용신안 등록 제 0166476호 상수도 계량기 옥외검침 장치의 내용중 하나인 검침원이 휴대하는 휴대형 모니터의 성능을 업그래이드 한 것으로서, 검침원이 휴대형 모니터 대신 자동 검침 기록장치(AMR : Automatically Meter Read)을 휴대하고 수용가를 방문하여, 수도 계량기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검침장치의 연결구에 본 자동 검침 기록장치(AMR)를 연결하고, 현재 계량기의 상태를 그대로 촬영 및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장치로서, 검침원은 당일 목표한 모든 수용가의 검침을 마치고 본부로 복귀하여 검침 내용을 상수도 본부의 종합 관리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그 수치를 자동 판독하므로서 해당 수용가의 수도 사용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 장치의 검침 장치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 장치의 판독 장치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검침 기록장치에 대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계량기
20 : 방수용 덮개
30 : CCD 카메라
40 : 고휘도 LED 장치
50 : 고정판
51 : 투명캡
60 : 신호선
70 : 연결구
80 : 소형 모니터
90 : 전원장치
100 : 자동 검침 기록장치(AMR)
101 : 콘넥터
110 : 충전용 배터리
120 : CPU
121 : ROM
122 : 클럭발생기(RTC)
123 : 백업 배터리
130 : A/D 변환기
140 : MPEG 신호처리부
150 : 저장수단(RAM or Disk)
160 : I/O 파트(I/O Part)
170 : 스캐너
본 발명의 상수도 계량기 옥외 검침 장치의 자동 검침 기록장치는, 상수도 계량기의 덮개 내에 계량기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이 설치되고, 그 촬영수단에 전원공급 및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연결구가 설치된 도 1과 같은 검침장치와; 상기 검침 장치의 연결구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시켜 촬영수단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그 촬영된 영상 정보를 해당 수용가의 이미지 파일로서 저장하여 검침하는 휴대용 자동검침 기록장치(AMR)와; 검침원이 상수도 검침 관리를 위한 본부에서 상기 자동 검침 기록장치를 종합 관리 시스템에 연결하여 각 자동 검침 기록장치에저장된 수용가별 계량기 촬영 이미지 파일을 읽어들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수용가별 이미지 파일을 OCR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자동 판독하여 ASCII 파일로 저장시키고, 이 ASCII 파일을 변환하여 자체 운영 데이터 베이스 파일로 구성하며, 사용량을 계산하고 이로써 청구용지를 인쇄하는 작업까지 실행할 수 있도록 종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장치의 자동 검침 기록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장치의 자동 검침 기록장치의 구성도이다.
상수도 계량기를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조명수단과, 옥외 연결구를 구비한 검침장치를 설치하여 두고, 검침원이 휴대하는 검침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옥외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계량기 영상을 촬영하여 검침하도록 이루어진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장치의 검침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옥외 검침 장치의 연결구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검침장치를 제어하고 영상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콘넥터(101)와, 그 콘넥터(101)를 통해 상기 검침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110)와, 상기 콘넥터(101)를 통해 상기 검침장치의 촬영수단으로부터 촬영된 계량기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30)와, 그 A/D 변환기(130)를 통해 입력된 계량기 촬영 영상신호를 파일로 저장하기 위해 MPEG 신호로서 처리하는 MPEG 신호처리부(140)와, 수용가의 정보를 읽어들임과 아울러 영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I/O 파트(160)와, 그 I/O 파트(160)에 연결되어 수용가의 상수도 계량기 실별정보(예; 바코드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스캐너(170)와, 상기 I/O 파트(160)를 통해 읽어들인 수용가 정보에 의해 파일이름을 정하여 상기 MPEG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수용가의 계량기 촬영 정보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예; RAM or Disk)(150)과,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검침장치에 전원공급, 수용가 정보 읽기, 영상 정보의 이미지 파일저장 및 저장된 파일의 출력과 삭제 등을 제어하는 CPU(120)와, 그 CPU(120)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121)과, 실시간 클럭발생기(RTC)(122) 및 저장된 정보의 유지를 위한 백업 배터리(123)를 포함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작버튼들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촬영수단으로 CCD 카메라(30)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에서 확인하는 것이 아니므로 영상파일로서 저장하는 것이므로, 적어도 1프레임의 정보만 촬영하면된다. 그러므로, 촬영수단으로서 CCD 카메라(30)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DSP 카메라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정보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 A/D 변환기(130)의 동작이 필요 없이 단순 필터링만 하여도 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옥외 검침을 하기 위한 검침 장치는 옥내에 설치된 상수도 계량기 함 내부의 표시부 상측에 설치되는 방수용 덮개(20) 내부 상단에 촬영수단 및 조명수단이 설치되며, 그 검침 장치는 외부로부터 일정 전원이 인가된 경우 계량기에 표시된 상수도 사용 정보 즉, 상수도 사용량을 읽어서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옥외 검침장치를 제어하여 촬영 영상을 입력받아 기록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검침 기록장치(AMR)는, 검침원이 자동 검침 기록장치(100)를 휴대하고 수용가를 방문하여 사전에 해당 수용가의 옥외에 부착한 수용가 번호 바코드(Bar Code) 또는 관리번호를 스캐너(170)를 통해 자동으로 읽어들이고, 연결구(70)에 자동 검침 기록장치(100)의 콘넥터(101)를 연결하면, 자동 검침 기록장치(100)는 내부에 보유하고 있는 충전용 배터리(110)로부터 CCD 카메라(30)에 전원을 인가하고, CCD 카메라(30)는 현재상태의 화상을 자동 검침 기록장치(100)로 보낸다.
이때, 자동 검침 기록장치(100)는 자신의 ROM(12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S/W) 프로그램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용가 관리번호를 이름으로 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수단(150)에 저장한다. 거듭하여 검침을 마치고 본부로 복귀하여, 본부 컴퓨터의 입출력 포트에 자동 검침 기록장치(100)를 연결하여 본부 컴퓨터에 자료를 보내 저장시키고, 자동 검침 기록장치(100)내의 자료를 삭제하며, 충전을 실시한다.
본부에 설치된 종합관리 컴퓨터 시스템은 자동 검침 기록장치(100)와 직렬통신포트(예; 프린터 포트)로 연결하여 자동 검침 기록장치(100) 내부에 저장된 당일의 모든 검침자료를 전송 받고 저장하며, LAN으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서 담당자들이 OCR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자동 판독하여 ASCII 파일로 저장시키고, 이 ASCII 파일을 변환하여 자체 운영 데이터 베이스 파일로 구성하며, 사용량을 계산하고 이로써 청구용지를 인쇄하는 작업까지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선출원된 상수도 계량기 옥외 검침 장치의 검침원 휴대용 모니터는 검침원의 기록 오류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소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검침 기록장치를 사용하면 검침원의 기록 행위가 전혀 없으므로 오류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기존 상수도 계량기 옥외 검침 장치의 경우, 검침원이 검침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존에 사용하던 검침 기록부를 그대로 휴대하여 사용해야 하는 점이 있으나, 이와 같은 요소를 제거 함으로써 검침 효율을 높여 많은 인원 절감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검침에서 기록까지 자동으로 실시되며 검침원이 임의적으로 계량기 숫자를 전혀 조작할 수 없어 검침에 따른 부정을 완전히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잘못된 검침 등으로 인한 주민 피해와 수도 요금과 관련한 각종 민원의 발생 요소가 원천적으로 제거됨으로서 획기적 관리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수도 계량기를 촬영하는 촬영수단 및 조명수단과, 옥외 연결구를 구비한 검침장치를 설치하여 두고, 검침원이 휴대하는 검침 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옥외에서 촬영된 계량기 영상을 검침하도록 이루어진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를 통해 검침장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검침장치를 제어하고 영상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콘넥터(101)와, 그 콘넥터(101)를 통해 상기 검침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110)와, 상기 콘넥터(101)를 통해 검침장치의 촬영수단으로부터 촬영된 계량기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30)와, 그 A/D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계량기 촬영 영상신호를 파일로 저장하기 위해 MPEG신호로서 처리하는 MPEG 신호처리부(140)와, 수용가의 정보를 읽어들임과 아울러 영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I/O 파트(160)와, 그 I/O파트에 연결되어 수용가의 상수도 계량기 식별정보(예; 바코드정보 또는 수용가 관리번호)를 읽어들이기 위한 스캐너(170)와, 상기 I/O 파트(160)를 통해 읽어들인 수용가 정보에 의해 파일이름을 정하여 상기 MPEG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수용가의 계량기 촬영 정보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예; RAM or Disk)(150)과, 상기 각부를 제어하여 검침장치에 전원공급, 수용가 정보 읽기, 영상 정보의 이미지 파일저장 및 저장된 파일의 출력과 삭제등을 제어하는 CPU(120)와, 그 CPU(120)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121)과, 실시간 클럭발생기(RTC)(122)와, 저장된 정보의 유지를 위한 백업 배터리(123) 및 조작버튼들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장치의 촬영수단은,
    CCD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또는 DSP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KR1020010016727A 2001-03-30 2001-03-30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KR20010085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727A KR20010085862A (ko) 2001-03-30 2001-03-30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727A KR20010085862A (ko) 2001-03-30 2001-03-30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088U Division KR200191212Y1 (ko) 2000-02-24 2000-02-24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862A true KR20010085862A (ko) 2001-09-07

Family

ID=1970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727A KR20010085862A (ko) 2001-03-30 2001-03-30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58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625A1 (ko) * 2014-06-10 2015-12-17 에스케이이엔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 기능 및 온압 보정 기능을 갖는 자동 검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625A1 (ko) * 2014-06-10 2015-12-17 에스케이이엔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 기능 및 온압 보정 기능을 갖는 자동 검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6741A1 (en) Util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personalized real-time utility consumption information to a consumer
US20070171092A1 (en) Automated meter reading system
EP0244384A2 (en) An automatic utility meter reading and monitoring system
CN101159095A (zh) 基于计算机视觉的多功能电度表抄表系统
JP2011112626A (ja) 可搬型検針装置
CN201867812U (zh) 一种设备点检仪
KR20190053433A (ko) 수도 스마트 미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231687A (ja) 遠隔検針装置
CN112926707A (zh) 一种设备运维管理方法及系统
WO2009043065A2 (en) Remote monitoring system
GB2359369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0358885B1 (ko)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CN101452630B (zh) 自动抄表装置及系统
JP2003242587A (ja) 監視システム
KR200191212Y1 (ko)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TW201426587A (zh) 依據辨識資料獲取帳單並提供繳費之系統及其方法
KR20010085862A (ko) 상수도 계량기의 옥외 검침 자동 기록장치
KR100390060B1 (ko) 상수도 계량기 무인 자동 원격 검침 시스템
JP2002312431A (ja) 遠隔検針業務支援システム
WO2002016880A1 (en) Monitoring system
CN114581264A (zh) 一种基于智能化管控的营销数据普查系统
US20040137895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JP2001250185A (ja) 自動検針装置
KR200166476Y1 (ko) 상수도계량기옥외검침장치
KR20060108030A (ko) 상수도 계량기 옥외검침 및 무선 원격검침 자동 기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