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992A -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992A
KR20010082992A KR1020000008594A KR20000008594A KR20010082992A KR 20010082992 A KR20010082992 A KR 20010082992A KR 1020000008594 A KR1020000008594 A KR 1020000008594A KR 20000008594 A KR20000008594 A KR 20000008594A KR 20010082992 A KR20010082992 A KR 20010082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booth
signal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0988B1 (ko
Inventor
성낙원
홍순환
Original Assignee
허 태 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 태 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 태 학
Priority to KR10-2000-0008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988B1/ko
Publication of KR2001008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는 루프코일(12)과, 신분확인용 카드를 읽어들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나 원격에서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저장하는 신분 확인수단(14)과,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제 1키입력부(15)와,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는 CCD 카메라(16)와,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17)과, 입출력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 및 제어하는 제 1제어부(19)와,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표시하는 모니터(20)와,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스피커부(21)와, 각종의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저장수단(22)과,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차단기를 구동시키는 제 1차단기 구동수단(23)과, 제 1제어부(19)의 제어신호로 주차권을 발급하는 주차권 발급기(18)와, 원격의 방재실(40)이나 각종 주차 통제기기와의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인터페이스부(26)가 포함된 제 1통제부스(11, 11a, 11b); 제 1통제부스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인터페이스부(31)와, 통제부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해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수단(32)과, 차량의 진입 이외의 물체에 대한 경고를 위한 제 2스피커부(38)와, 입출력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 및 제어하는 제 2제어부(34)와, 제 1통제부스를 통과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차단기를 구동시키는 제 2차단기 구동수단(35)과, 제 1통제부스를 통과한 차량의 차량번호 및 운전자의 전면을 촬영하는 제 2CCTV용 카메라(37)가 포함된 제 2통제부스(30, 30a, 30b); 제 1 및 제 2통제부스와 복수의 입주자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44)와, 제 1 및 제 2통제부스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 연산 및 처리하는 주제어기(42)와, 주제어기(42)의 출력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41)와, 주제어기(42)의 제어로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43)와,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장수단(45)이 포함된 방재실(40)이 포함되어 아파트단지나 빌딩 또는 주차장 등에서 무인으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Automated Automobil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단지나 빌딩 또는 주차장 등에서 무인으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아파트단지나 빌딩 또는 주차장 등의 입구에는 주차장을 관리하는 경비나 관리자가 항상 주재하고 있어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고 있다.
일반적인 주차장이나 주차시설 등에는 주차시설의 사용에 대한 대가로 주차료를 징수하고 있다. 이러한 주차장 등은 무인 자동화로 인하여 차량의 진입시에는 무인 통제시스템에서 주차권 등을 발부한 후에 진입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차장에 주차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후에 주차에 대한 비용을 청구 및 영수하기 위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아파트단지나 빌딩 등과 같이 특별히 주차요금을 징수하지 않는 곳에서는 주차를 통제하지 않거나 경비 또는 관리자가 관리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 아파트단지나 빌딩 등에서는 등록하지 않거나 상주하지 않은 차량이 무단으로 주차를 하는 경우가 많아 정작 주차권리가 있는 차량이 주차를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차장의 입구에 경비실이나 관리실을 두어 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경비실이나 관리실에서 원천적으로 주차 관리를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문자의 신분을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번거로운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입주자나 방문자를 분리하여 신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입주자의 경우에는 신분 확인수단을 통해 신분을 확인하도록 하며, 방문자의 경우에는 신분증의 제시 및 확인과 방재실 및 입주된 입주자와의 영상 및 음성으로 직접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무인으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함으로써, 경비 또는 관리인력의 절감과 보다 효과적인 차량의 통제를 할 수 있도록 한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통제부스의 제어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통제부스의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10b: 무인 주차 제어기 11, 11a, 11b: 제 1통제부스
12: 루프코일 14: 신분 확인수단
15, 33: 키입력부 16: CCD 카메라
17: 마이크로폰 18: 주차권 발급기
19, 34: 제어부 20, 41: 모니터
21, 38: 스피커부 22: 저장수단
23, 35: 차단기 구동수단 24, 36: 차단기
26, 31, 44: 인터페이스부 30, 30a, 30b: 제 2통제부스
32: 적외선 감지수단 27, 37: CCTV용 카메라
40: 방재실 42: 주제어기
43: 프린터 50, 50a, 50b: 입주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는 루프코일과, 신분확인용 카드를 읽어들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나 원격에서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저장하는 신분 확인수단과,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제 1키입력부와,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는 CCD 카메라와,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입출력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 및 제어하는 제 1제어부와,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표시하는 모니터와,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스피커부와, 각종의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저장수단과,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제 1차단기를 구동시키는 제 1차단기 구동수단과,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주차권을 발급하는 주차권 발급기와, 차량의 차량번호 및 운전자의 전면을 촬영하는 제 1CCTV용카메라와, 원격의 방재실이나 각종 주차 통제기기와의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인터페이스부가 포함된 제 1통제부스; 제 1통제부스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인터페이스부와, 통제부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해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수단과, 차량의 진입 이외의 물체에 대한 경고를 위한 제 2스피커부와, 입출력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 및 제어하는 제 2제어부와, 제 1통제부스를 통과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차단기를 구동시키는 제 2차단기 구동수단과, 제 1통제부스를 통과한 차량의 차량번호 및 운전자의 전면을 촬영하는 제 2CCTV용 카메라가 포함된 제 2통제부스; 제 1 및 제 2통제부스와 복수의 입주자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제 1 및 제 2통제부스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 연산 및 처리하는 주제어기와, 주제어기의 출력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와, 주제어기의 제어로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와,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장수단이 포함된 방재실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구성도이며, 도 3은 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아파트단지나 빌딩 등의 복수의 주차장 입구에서 차량을 통제하는 무인 주차 제어기(10, 10a, 10b)가 설치되고, 무인 주차 제어기(10, 10a, 10b)는 제 1 및 제 2통제부스(11, 11a, 11b, 30, 30a, 30b)로 나뉘어진다. 또한, 복수의무인 주차 제어기(10, 10a, 10b)는 원격의 방재실(40)에서 관리, 제어 및 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무인 주차 제어기(10, 10a, 10b)의 제 1통제부스(11, 11a, 11b)에 구성된 루프코일(12)은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진입로의 바닥면에 루프형태의 코일이 구성되어 있어 차량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발생하는 코일의 전류를 이용하여 차량을 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루프코일(12)은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장치가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신분 확인수단(14)은 신분확인용 카드(예를 들어, RF 카드, 스마트 카드, IC 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를 읽어들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나 원격에서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저장하는 것으로, 신분 확인수단(14)은 태그 리더(Tag Reader)이거나 근접식 리더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주자일 경우에는 태그 리더를 방문자일 경우에는 근접식 리더를 적용할 수 있다.
제 1키입력부(15)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것으로, 방재실이나 입주자를 직접 호출하거나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CCD 카메라(16)는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는 것으로, 제시된 신분증이나 운전자를 영상으로 읽어 들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주차권 발급기(21)는 제 1제어부(22)의 제어신호로 진입이 허가된 차량에 대한 승인번호를 발급하거나 별도의 주차권을 발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폰(17)은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입주자나방문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것이다.
제 1제어부(19)는 입출력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 및 제어하는 것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마이콤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이어야 한다.
모니터(20)는 입주자 또는 방재실의 관리자와 화상으로 통화를 하기 위한 주화면(20a) 및 보조화면(20b)으로 나뉘어지고, 주화면(20a)의 하단에는 스피커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동일한 문자를 자막으로 표시할 있도록 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을 복수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제 1스피커부(21)는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방재실(4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나 제 1 및 제 2통제부스(11, 11a, 11b, 30, 30a, 30b)로부터 안내음성 등이 출력되는 것이다. 제 1스피커부(21)는 방재실(40)로부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대형 스피커(21a)와, 방문자, 방재실(40) 및 입주자(50, 50a, 50b)와 통화시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2웨이 스피커(21b)가 포함되고, 대형 스피커(21a)는 제 1통제부스(11, 11a, 11b)의 상단에 장착되며, 2웨이 스피커(21b)는 제 1통제부스(11, 11a, 11b)의 하단에 장착된 것이다.
저장수단(22)은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등의 각종의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것으로, 램(RAM), 롬(ROM, E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나 카세트테이프 등의 기록매체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차단기 구동수단(23)은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차단기(24)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제 1제어부(19)에서 제어하거나 방재실(40)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 1CCTV용 카메라(27)는 제 1통제부스(11, 11a, 11b)의 상단에 설치되어 차량번호 및 운전자를 촬영하는 것으로, 불법으로 무단주차의 단속이나 방법기능을 위한 것이다.
인터페이스부(26)는 원격의 방재실(40)이나 각종의 주차 통제기기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2통제부스(30, 30a, 30b)는 제 1통제부스(11, 11a, 11b)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제 2통제부스(30, 30a, 30b)의 인터페이스부(31)는 제 1통제부스(11, 11a, 11b)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적외선 감지수단(32)은 제 2통제부스(30, 30a, 30b)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정 거리내에 위치해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적외선신호를 발신하는 발신기와, 발신기에서 발신되어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포함되어 있다. 적외선 감지수단(32)은 측정할 거리에 따라 초음파나 고주파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수단(32)은 제 1통제부스(11, 11a, 11b)의 차단기(24)를 통과한 차량을 감지하거나 외부의 물체, 예를 들어, 동물이나 사람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 2스피커부(38)는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방재실(4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나 제 1 및 제 2통제부스(11, 11a, 11b, 30, 30a, 30b)로부터 안내음성 등이 출력되는 것이다. 제 2스피커부(38)는방재실(40)로부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대형 스피커(38a)와, 방문자, 방재실(40) 및 입주자(50, 50a, 50b)와 통화시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2웨이 스피커(38b)가 포함되고, 대형 스피커(38a) 및 2웨이 스피커(38b)는 제 2통제부스(30, 30a, 30b)의 상단 일측에 각각 장착된 것이다. 더욱이 대형 스피커(38a)는 차량의 진입 이외의 물체에 대한 경고를 위한 것으로, 차량의 진입로에 사람 등이 무단으로 서 있거나 횡단하여 불의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2제어부(34)는 입출력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 및 제어하는 것으로, 제 2통제부스(30, 30a, 30b)에 구성된 각종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 2차단기 구동수단(35)은 제 1통제부스(11, 11a, 11b)를 통과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제 2차단기(36)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제 1통제부스(11, 11a, 11b)의 제 1차단기(24)와 거의 동시에 또는 시차를 두고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CCTV용 카메라(37)는 제 2통제부스(11, 11a, 11b)의 상단에 설치되어 차량번호 및 운전자를 촬영하는 것으로, 불법 무단주차의 단속이나 방법기능을 위한 것이다.
한편, 방재실(40)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44)는 복수의 제 1 및 제 2통제부스(11, 11a, 11b, 30, 30a, 30b)와 복수의 입주자(50, 50a, 50b)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고, 주제어기(42)는 복수의 제 1 및 제 2통제부스(11, 11a, 11b, 30, 30a, 30b)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 연산 및 처리하는 것이며, 모니터(41)는 주제어기(42)의 출력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여 진입되는 차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프린터(43)는 주제어기(42)의 제어로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으로, 통제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자료를 보관 및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저장수단(45)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복수의 제 1통제부스(11, 11a, 11b)의 저장수단(22)에 포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단계(S100)에서 제 1통제부스(11, 11a, 11b)에 연결된 루프코일(12)에서 소정 거리로 진입하는 차량을 검지한 후에 단계(S101)에서 입주자와 같이 신분확인용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신분 확인수단(14)을 통해 신분을 입력하여 확인을 받는다. 이때, 단계(S102)에서 신원 확인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단계(S103)에서 신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경우에 제 1통제부스(11, 11a, 11b)의 제 1차단기(24)를 해제시키며, 단계(S104)에서는 차량이 제 1통제부스(11, 11a, 11b)를 통과하면 제 1CCTV용 카메라(27)가 차량의 번호판 및 운전자의 전면을 촬영한다.
단계(S105)에서 상기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21a)를 통해 안내음성(예를 들어,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으니 방재실(40)과 연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을 출력하고, 청각 장애자를 위하여 모니터(20)를 통해 자막을 출력함으로써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106)에서는 신원이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회차로를 통해차량이 회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단계(S107)에서 상기 루프코일(12)에서 차량을 검지한 후에 소정의 시간(예로, 약 5초이내)동안 신분확인용 카드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21a)를 통해 신분확인을 요구하는 음성메시지(예를 들어, "안녕하십니까.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입주자는 신분확인용 카드를 읽혀주시고, 방문자는 방재실과 연결해 주세요")를 출력하고, 모니터(20)를 통해 해당하는 자막을 출력한다.
이때, 단계(S108)에서 입주자나 신분확인용 카드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방문자일 경우에 제 1키입력부(15)의 소정의 키입력으로 방재실(40)과 연결을 한 다음에 방문을 위한 입주자(50, 50a, 50b)와의 3자 통화를 하게 된다. 즉 방문자가 방재실(40)과 모니터(20)와 마이크로폰(17) 및 2웨이 스피커(21b)를 통해 영상 및 음성으로 통화를 하게 되고, 방재실(40)에서 방문 목적을 확인하거나 해당하는 입주자(50, 50a, 50b)를 호출하여 영상 및 음성으로 3자 통화를 통해 방문 목적 및 신원을 확인하는 것이다.
단계(S109)에서는 방문자의 신분 확인을 위하여 방문자의 신분증을 신분 확인수단(14)이나 CCD 카메라(16)를 통해 제시하고, CCD 카메라(16)에서 신분증을 녹화한다. 또한, 단계(S110)에서 제 1통제부스(11, 11a, 11b)의 CCTV용 카메라(27)로 차량번호 및 운전자를 촬영한 후에 저장수단(22)에 저장한다.
단계(S111)에서는 방문자가 방재실(40)과 입주자(50, 50a, 50b)와의 통화를 통해 신원이 확인되었나를 판단한 후에 단계(S112)에서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21a)를 통해 안내음성(예를 들어,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으니 회차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을 출력하고, 청각 장애자를 위하여 모니터(20)를 통해 자막을 출력함으로써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계(S113)에서 신원이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회차로를 통해 차량이 회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단계(S114)에서는 신원의 확인이 되었을 경우에는 승인번호를 부여함과 동시에 모니터(20)를 통해 자막을 출력하여 통과를 허락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계(S115)에서 제 1통제부스(11, 11a, 11b)의 제 1차단기(24)는 개방상태로 해제하게 되고, 단계(S116)에서 차량이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117)에서는 차량의 진입이 완료되면 제 1차단기(24)를 원래의 통제상태로 복귀시킨다.
또한, 도 5의 제 2통제부스(30, 30a, 30b)의 제어흐름도에서, 상기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의 제 2통제부스는 단계(S120)에서 진입로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수단(32)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단계(S121)에서 입주자일 경우에 제 1통제부스(11, 11a, 11b)에서 신분확인용 카드를 신분 확인수단(14)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후에 제 1차단기(24)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입주자일 경우에는 이미 제 1통제부스(11, 11a, 11b)를 통해 신원이 확인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단계(S122)에서는 상기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38a)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하고, 단계(S123)에서 회차로를 통해 차량이회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단계(S124)에서 방문자일 경우에 제 1통제부스(11, 11a, 11b)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를 제 2통제부스(30, 30a, 30b)의 제 2키입력부(33)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단계(S125)에서 입력된 승인번호가 부여한 승인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S126)에서 신원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38a)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하고, 단계(S127)에서 회차로를 통해 차량이 회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단계(S128)에서는 상기 입주자로 신원의 확인이 이루어졌거나 방문자로부터 입력된 승인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되었을 경우에 제 2통제부스(30, 30a, 30b)의 차단기(36)를 해제하고, 단계(S129)에서 차량이 제 2통제부스(30, 30a, 30b)를 통과한 후에 제 2CCTV용 카메라(37)가 차량의 번호판 및 운전자의 전면을 촬영하며, 단계(S130)에서 상기 차단기(36)의 해제 후에 차량이 진입되면, 단계(S131)에서 차단기(36)를 통과한 후에 차단기(36)를 작동시켜 통제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파트단지나 빌딩뿐만 아니라 주차장 등에서 무인으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은 아파트단지나 빌딩 또는 주차장 등에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차량의 진입감지와, 차량번호 및 운전자의 촬영과, 방재실, 입주자 및 방문자간의 영상 및 음성통화 등을 통해 입주자나 방문자의 확인 및 차량의 주차허가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경비나 관리자를 상주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 및 비용의 절감과, 효과적인 차량의 통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는 루프코일과,
    신분확인용 카드를 읽어들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나 원격에서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저장하는 신분 확인수단과,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포함된 제 1키입력부와,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는 CCD 카메라와,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과,
    입출력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 및 제어하는 제 1제어부와,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표시하는 모니터와,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스피커부와,
    각종의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저장수단과,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제 1차단기를 구동시키는 제 1차단기 구동수단과,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주차권을 발급하는 주차권 발급기와,
    차량의 차량번호 및 운전자의 전면을 촬영하는 제 1CCTV용 카메라와,
    원격의 방재실이나 각종 주차 통제기기와의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인터페이스부가 포함된 제 1통제부스;
    제 1통제부스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인터페이스부와,
    통제부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거리내에 위치해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수단과,
    차량의 진입 이외의 물체에 대한 경고를 위한 제 2스피커부와,
    입출력되는 신호를 연산, 처리 및 제어하는 제 2제어부와,
    제 1통제부스를 통과한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는 차단기를 구동시키는 제 2차단기 구동수단과,
    제 1통제부스를 통과한 차량의 차량번호 및 운전자의 전면을 촬영하는 제 2CCTV용 카메라가 포함된 제 2통제부스;
    제 1 및 제 2통제부스와 복수의 입주자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제 1 및 제 2통제부스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 연산 및 처리하는 주제어기와,
    주제어기의 출력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와,
    주제어기의 제어로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와,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장수단이 포함된 방재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통제부스의 스피커부는 방재실로부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대형 스피커와, 방문자, 방재실 및 입주자와 통화시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2웨이 스피커가 각각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제부스의 모니터에는 입주자 또는 방재실의 관리자와 화상으로 통화를 하기 위한 주화면 및 보조화면으로 나뉘어지고, 주화면의 하단에는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과 동일한 문자를 자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의 제 1통제부스는
    진입로에 설치된 루프코일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입주자일 경우에 신분확인용 카드를 신분 확인수단을 통해 입력하는 단계와,
    신원이 확인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신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경우에 제 1통제부스의 차단기를 해제하는 단계와,
    차량이 제 1통제부스를 통과한 후에 제 1CCTV용 카메라가 차량의 번호판 및 운전자의 전면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 및 모니터를 통해 각각 안내음성 및 자막을 출력하는 단계와,
    회차로를 통해 차량이 회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감지후 소정 시간내에 신분 확인수단을 통해 신분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 및 모니터를 통해 안내음성 및 자막을 출력하는 단계와,
    안내음성에 따라 제 1키입력부의 해당하는 키입력으로 방재실 및 입주자와의3자 통화가 이루어지는 단계와,
    신분증의 제시와 제시된 신분증을 녹화하는 단계와,
    차량의 전면과 운전자를 촬영하는 단계와,
    방재실과 입주자의 통화를 통해 신원이 확인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신원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 및 모니터를 통해 각각 안내음성 및 자막을 출력하는 단계와,
    회차로를 통해 차량이 회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신원의 확인이 이루어졌을 경우에 승인번호를 부여하고 모니터를 통해 자막을 출력하는 단계와,
    승인번호가 부여되면 제 1통제부스의 차단기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차단기의 해제 후에 차량이 진입되는 단계와,
    차단기의 진입 후에 차단기를 작동시켜 통제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의 제 2통제부스는
    진입로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수단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입주자일 경우에 제 1통제부스에서 신분확인용 카드를 신분 확인수단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후에 제 1차단기가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단계와,
    회차로를 통해 차량이 회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방문자일 경우에 제 1통제부스로부터 부여받은 승인번호를 제 2통제부스의 제 2키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된 승인번호가 부여한 승인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신원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대형 스피커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단계와,
    회차로를 통해 차량이 회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와,
    상기 입주자로 신원의 확인이 이루어졌거나 방문자로부터 입력된 승인번호가 정확하게 입력되었을 경우에 제 2통제부스의 차단기를 해제하는 단계와,
    차량이 제 2통제부스를 통과한 후에 제 2CCTV용 카메라가 차량의 번호판 및 운전자의 전면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차단기의 해제 후에 차량이 진입되는 단계와,
    차단기의 진입 후에 차단기를 작동시켜 통제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차량 통제시스템.
KR10-2000-0008594A 2000-02-22 2000-02-22 무인 차량 통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80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594A KR100380988B1 (ko) 2000-02-22 2000-02-22 무인 차량 통제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594A KR100380988B1 (ko) 2000-02-22 2000-02-22 무인 차량 통제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992A true KR20010082992A (ko) 2001-08-31
KR100380988B1 KR100380988B1 (ko) 2003-04-18

Family

ID=1964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594A KR100380988B1 (ko) 2000-02-22 2000-02-22 무인 차량 통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9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02B1 (ko) * 2000-05-20 2003-09-06 주식회사 국제관제시스템 주차장의 입출고 차량 관리시스템
KR100686550B1 (ko) * 2005-08-12 2007-02-2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750356B1 (ko) * 2007-05-10 2007-08-17 주식회사 위쥬테크 집합건물의 무인 방문확인 장치
KR101120411B1 (ko) * 2009-11-10 2012-03-16 도지용 차량 진입구 자동통화 시스템
KR20200079784A (ko) * 2018-12-26 2020-07-06 (주)엠팩엔지니어링 보안 검색용 오디오 서비스 방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732B1 (ko) * 2022-01-03 2022-07-06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구축 시스템
KR102582381B1 (ko) * 2023-03-16 2023-09-26 주식회사 디스플렉스 스마트 센서 차량 인식을 통한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02B1 (ko) * 2000-05-20 2003-09-06 주식회사 국제관제시스템 주차장의 입출고 차량 관리시스템
KR100686550B1 (ko) * 2005-08-12 2007-02-2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750356B1 (ko) * 2007-05-10 2007-08-17 주식회사 위쥬테크 집합건물의 무인 방문확인 장치
KR101120411B1 (ko) * 2009-11-10 2012-03-16 도지용 차량 진입구 자동통화 시스템
KR20200079784A (ko) * 2018-12-26 2020-07-06 (주)엠팩엔지니어링 보안 검색용 오디오 서비스 방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0988B1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368B1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6958676B1 (en) Vehicle passenger authorization system
KR101651008B1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장치
KR20180011599A (ko)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및 차량 출입 관리방법
KR100757012B1 (ko)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7733A (ko)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CN110796776A (zh) 一种智能门禁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0251192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KR100380988B1 (ko) 무인 차량 통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011297A (ja) 駐車場ゲート管理システム
EP0856826A2 (en) A security system
KR100394278B1 (ko) 주차관리 시스템
KR20110097208A (ko)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차 통합 관제 시스템
JP2004118342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00295598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2006802B1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TWM560675U (zh) 停車場資訊顯示裝置與停車場管理系統
JP4945130B2 (ja) 駐車場の車両管理システム
JP4819632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TWM560674U (zh) 停車場管理系統
GB2293679A (en) Monitoring vehicle parking
KR20080094116A (ko) 주차 관제 시스템
KR20010088909A (ko)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KR100392116B1 (ko) 무인출입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30059Y1 (ko) 출입차량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