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092A - 폴리에스테르 직물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092A
KR20010082092A KR1020010006365A KR20010006365A KR20010082092A KR 20010082092 A KR20010082092 A KR 20010082092A KR 1020010006365 A KR1020010006365 A KR 1020010006365A KR 20010006365 A KR20010006365 A KR 20010006365A KR 20010082092 A KR20010082092 A KR 20010082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opolysiloxane
radicals
acid
alkylpolyglycoside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베레더페터
오벤후버마르티나
무니크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에리히 프란케 ; 칼 하인츠 룀뵈크
와커-헤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히 프란케 ; 칼 하인츠 룀뵈크, 와커-헤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리히 프란케 ; 칼 하인츠 룀뵈크
Publication of KR2001008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46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natural macromolecular substances or derivatives thereof
    • D06P1/48Derivatives of carbohydr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D06P1/529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containing Si-at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06P5/04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D06P5/08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macromolecula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50Modified hand or grip properties; Softening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352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to soften the feel of or improve the "hand" of the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최소한 1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최소한 1종의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로 구성한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직물{Polyester fabric}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관한 것이다.
쾌적하고 보드러운 촉감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직물(wovens), 편성물(knits)또는 부직포등의 직물(textile fabric)을 실리콘연화제로 가공하는 것은 공지되어있다.
아미노기능 실리콘은 유연한 촉감이 우수하지 않다.
이들의 실리콘은 대부분 미크로 또는 마크로 에멀젼의 형태로 시중에서 사용되었다.
이들의 아미노작용연화제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가공에 사용할때 주요한 결점이 있다.
특히, 중요한 결점은 염색(dyeing) 및 프린트(prints)에 대한 세탁견뇌도 (washfastness)에서의 열화(deterioration)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결점을 극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소한 1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최소한 1종의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구성한다.
그 사용한 연화제가 본 발명에 의해 유화제로서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를 포함하는 공지의 아미노실리콘으로 실리콘프랙션이 이루어진 에멀젼일 경우, 위에서 설명한 결점이 기대이상으로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폴리에스테르와 면(cotton), 울(wool) 또는 기타 재료의 블렌드(blends)로 구성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만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의류(garments), 테이블클로드(tablecloths), 커버(covers), 텐트 및 백, 룩샥 등의 운송용기(transit vessels)로서 사용된 직물(wovens), 편성물(knits) 또는 부직포 (non wovens)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통상적으로 분산성 염료로 염색하거나 프린팅을 하며, 온도 130℃에서의 가압처리에 의해 염료고착(dye fixation)을 한다.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아미노, 암모늄, 에폭시, 히드록시, 아미도, 메르캅토, 카르보닐및/또는 설폰산기 등 Si-C-결합히드로카르빌래디컬에 극성기를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이들의 염 또는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은 다음 일반식(I)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nR'mSiO(4-n-m)/2(I)
위식에서,
R은 같거나 다르며, 각각의 경우 탄소원자 1-18개를 가진 치환 또는 비치환 히드로카르빌래디컬 또는 히드로카르빌옥시래디컬, 수소원자 또는 히드록시 래디컬이 바람직하며,
R'는 극성기를 포함하는 같거나 다른 Si-C-결합치환히드로카르빌래디컬이 바람직하며,
n은 값 0, 1, 2 또는 3의 정수이고,
m은 값 0, 1, 2 또는 3의 정수이다.
n + m의 합은 평균치 1.8~2.2를 가지며,
m은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 최소한 하나의 R'래디컬을 갖도록 구성한다.
n + m의 합은 평균치 1.9~2.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드로카르빌 R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펜틸 등 알킬래디컬;
n- 헥실 등 헥실래디컬; n-헵틸등 헵틸래디컬;
n-옥틸 및 2,2,4-트리메틸펜틸 등 이소옥틸 등의 옥틸래디컬; n-노닐 등 노닐래디컬; n-데실 등 데실래디컬;
비닐, 알릴 및 5-헥센-1-일등 알케닐 래디컬;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및 메틸시클로헥실 등 시클로알킬래디컬;
페닐, 나프틸 및 안트릴 및 펜안트릴 등 아릴래디컬;
o-, m-, p-톨릴, 키실릴 및 에틸페닐 등 알카릴래디컬;
벤질, α-페닐에틸 및 β-페닐에틸 등 아랄킬래디컬이 바람직하다.
치환 또는 비치환 히드로카르빌 옥시 R의 예로는 실리콘원자에 직접 결합한 산소원자에 의해 결합한 위 실시예와 같은 치환 또는 비치환 히드로카르빌래디컬 R이 바람직하며, 특히 탄소원자 1-18개의 알콕시래디컬 및 페녹시래디컬이며, 구체적으로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및 페녹시가 있다.
위의 R래디컬의 5% 미만은 치환 또는 비치환 히드로카르빌옥시래디컬로서 바람직한 것이다.
바람직한 아미노-작용 R' 래디컬의 예로는 다음 일반식(II)의 래디컬과 무기산 또는 카르복실산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이들의 암모늄염이 있다.
-R1-[NR2(CH2)a]bNHR2 (II)
위식에서,
R1은 2가 C1- ~ C18- 히드로카르빌래디컬이 바람직하며,
R2는 수소원자 또는 선택적으로 플루오린-, 클로린- 또는 브로민- 치환 C1- ~ C18-히드로카르빌래디컬이 바람직하다.
a는 2, 3, 4, 5 또는 6이며,
b는 0, 1, 2, 3 또는 4이다.
2가 C1- ~ C18-히드로카르빌 R1의 예로는 메틸렌 및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펜틸렌 헥실렌, 2-메틸프로필렌, 시클로헥실렌 및 옥타데실렌래디컬 등 포화직쇄- 또는 분기사슬 또는 시클릭알킬렌래디컬 또는 헥세닐렌 및 페닐렌래디컬이 있으며, 이들 래디컬중에서 n-프로필렌 및 2-메틸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히드로카르빌 R2의 예로는 R의 특정된 예가 바람직하다.
할로겐-치환 히드로카르빌 R2의 예로는 3,3,3-트리플루오로-n-프로필, 2,2,2,2',2',2'-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헵타플루오로이소프로필 등 할로알킬래디컬과, o-, m- 및 p-클로로페닐 등 할로아릴래디컬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일반식(II)에서,
R1은 2가 C2- ~ C6-히드로카르빌래디컬이며,
R2는 수소원자, 메틸 또는 시클로헥실래디컬이고,
a는 2 또는 3이며,
b는 0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R래디컬로서 C1- ~ C18-알콕시 또는 히드록시말단기 5% 미만과 메틸래디컬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선상폴리디메틸실록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의 폴리디메틸실록산에서, R'래디컬은
H2N(CH2)2NH(CH2)3-, H2N(CH2)2NHCH2CH(CH3)CH2-,
위에서 설명한 아미노-작용히드로카르빌래디컬과 작용하여 그 대응하는 암모늄작용래디컬을 형성할 수 있는 무기산의 예로는 염산, 과염소산, 황산, 아황산, 질산, 아질산, 히드로플루오르산, 인산, 이인산(diphosphoric acid) 및 다인산이 있다.
적합한 카르복실산의 예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타노산, 시트르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디클로로아세트산 및 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아노아세트산, 페닐아세트산, 벤조산, m- 및 p-니트로벤조산, 옥살산, 말론산 및 랙트산(lactic acid)이 있다.
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암모늄작용히드로카르빌래디컬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미노작용래디컬의 예로는 γ-아세트아미도프로필래디컬, 부분 또는 완전아세틸화한 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래디컬이 바람직하다.
에폭시작용 R' 래디컬의 예로는 다음 일반식(III) 및 (IV)의 래디컬이 있다.
위식에서,
A는 알킬, 알콕시알킬, 아릴 또는 알카릴래디컬이다.
바람직한 에폭시작용 R'래디컬의 예로는 다음의 래디컬이 있다.
에폭시작용 R' 래디컬은 아래의 래디컬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에폭시작용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의 바람직한 에폭사이드가(epoxide number)는 0.5~0.001(당량/100g), 특히 0.2~0.01(당량/100g)이다.
에폭시작용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에폭사이드가는 에폭사이드의 당량의 수, 즉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100g에 포함된 에폭사이드기의 몰수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카르복실작용 R'래디컬의 예로는 다음 일반식(V)의 래디컬 및 염기와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이들의 염이 있다.
-X-(COOH)P(V)
위식에서,
X는 탄소구조를 2가황(S), 산소에 의해 중단(interrupt)시킬 수 있는 선상, 분기상의 지방족, 방향족 또는 혼합지방족 및 방향족 히드로카르빌래디컬 또는 카르복산에스테르래디컬이며, p는 1 또는 2이다.
특히 바람직한 카르복실작용 R'래디컬은 다음의 래디컬이 있다.
-(CH2)4-10-COOH,
-CH2CH(CH3)-COOH,
-(페닐)-COOH,
-CH2CHR3-S-CH2-COOH,
여기서, R3는 수소원자, 메틸 또는 에틸래디컬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작용 R'래디컬로서 다음의 래디컬이 특히 바람직하다.
-(CH2)10-COOH,
-CH2CH(CH3)-COOH 및
-(CH2)2-S-CH2-COOH.
R'래디컬을 구성하는 카르복실작용오르가노폴리실록산(a)과 작용하는 염기의 예로는 암모니아, 아민,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히드록사이드(LiOH, NaOH, KOH, RbOH, CsOH, Mg(OH)2, Ca(OH)2, Sr(OH)2및 Ba(OH)2)가 바람직하다.
그 카르복실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의 바람직한 산가(acid numbers)는 1~100(mg KOH/g), 바람직하게는 5~50, 특히 10~30이다.
카르복실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의 산가는 그 카르복실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1g에 포함한 유리산을 중화시키는 데 필요한 KOH의 mg수를 나타낸다.
R은 메틸, 에틸, 페닐, 메톡시 및/또는 비닐이 바람직하다.
그 R래디컬은 얻기가 더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그 R 래디컬이 50%,특히 그 R 래디컬 최소 80% 가 메틸래디컬이다.
1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바람직하게는 일반식(I)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수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에멀젼에 사용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혼합물)은 액상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각각 점도 100mPa.s~1,000,000mPa.s(각각 25℃에서 측정)를 가진다.
본 발명의 에멀젼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암모늄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 (a)의 제조에 아미노작용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사용될때 아민가는 0.1~3.0, 특히0.2~0.9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노작용물질의 아민가는 아미노작용물질 1g의 적정(titration)에 소비되는 1NHCl의 cm3(용량)으로 측정한다.
유용한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에는 예로서 특허문헌 EP-A418 479에 기재된 다음 일반식(VI)의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가 있다.
R'' - O-ZO(VI)
위식에서,
R''는 탄소원자 평균 8-24개, 바람직하게는 8-16개를 가진 선상 또는 분기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래디컬이 바람직하며,
ZO는 평균 0 =1~10개, 바람직하게는 1-5개를 가진 올리고글리코사이드, 헥소오스 또는 펜토오스단위 또는 그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탄소원자 평균 8~14개와 평균글리코사이드화도 n 1.1~3의 포화알킬래디컬을 가진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직물에서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의 중량비는 10:1~0.5:1의 범위가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 최소한 1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최소한 1종의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를 처리하여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직물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Si-C-결합 히드로카르빌래디컬에 극성기를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0중량부와 (b)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150중량부 이내를 기재로 한 수용성에멀젼으로그 폴리에스테르직물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는 위에서 설명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한 에멀젼은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오일 및 폴리디페닐실록산 오일의 수용성에멀젼과 비교하여, 연화제로서 알킬폴리글리콜에테르를 사용하는 그 대응 에멀젼보다 마그네슘 및 소듐염 등 외부전해질에 대한 안정성이 더 높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한 에멀젼은 비교적 소량의 연화제, 특히 극성기를 포함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a)100중량부당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b)5~100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한 에멀젼은 극성기를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a)를 포함하는 불연속오일상과 연속수상을 가진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와 불연속수상의 프랙션은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한 에멀젼과 미크로에멀젼중에서 바람직한 고형분함량에 따라 넓은 범위내에서 변동시킬 수 있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의 프랙션은 그 에멀젼의 총중량에 대하여 20~70wt%가 바람직하나, 특히 40~60wt% 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한 에멀젼은 평균입자크기 1㎛이하, 특히 300nm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한 미크로에멀젼은 평균입자크기 150nm이하, 특히 20nm이하가 바람직하다.
용어 "에멀젼"은 또 본원 명세서에서 미크로에멀젼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용어 "미크로에멀젼"은 투명성이 있거나 또는 광투명성이 있는 평균입자크기 150nm 미만의 에멀젼에서만 관련된 것이다.
연화제로서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를 가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미크로에멀젼에 대해서는 종래에 기재된 바 없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한 에멀젼,특히 미그로에멀젼은 또 예로서 입자크기를 감소시키며, 필요로 한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b)의 양을 감소시키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경우 공계면활성제(cosurfactants) 0~30중량부, 특히 20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공계면 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분자크기 C4~ C8의 알코올, 적합한 글리콜에테르, 아민, 에스테르 또는 케톤 등 중몰질량(medium molar mass)의 극성화합물이다.
특히, 적합한 공계면활성제의 예로는 1-부타놀, 2-부타놀, 2-메틸-2-프로파놀, 1-펜타놀, 2-펜타놀, 3-펜타놀, 1-헥사놀, 2-헥사놀, 3-헥사놀, 1-헵타놀, 2-헵타놀, 3-헵타놀, 4-헵타놀, 1-옥타놀, 2-옥타놀, 3-옥타놀 및 4-옥타놀;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 모노에틸 및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 및 디에틸에테르; 1-아미노부탄, 2-아미노부탄, 2-아미노-2-메틸프로판, 1-아미노펜탄, 2-아미노펜탄, 1-아미노헥산, 1-아미노헵탄 및 1-아미노옥탄;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펜틸, 이소펜틸 및 헥실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및 t-부틸프로피오네이트;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부티레이트; 2-부타논, 2-펜타논, 3-펜타논, 4-메틸-2-펜타논, 2-헥사논, 3-헥사논, 2-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5-메틸-3-헵타논, 2-옥타논 및 3-옥타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공계면활성제(cosurfactants)의 예로는 C5- ~ C8- 사슬을 가진 위예에서의 1-알카놀,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렌에테르, 프로필, 부틸 및 펜틸아세테이트 및 2-펜타논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공계면활성제에는 1-펜타놀, 1-헥사놀 및 1-옥타놀,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부틸아세테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에멀젼에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b), 물 및 선택적으로는 공계면활성제와 함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첨가제에는 특히 살균제, 방미제, 살조제(algicides), 방향제, 부식억제제, 염료, 안료, 점도부여제 및 필러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에멀젼에는 이미 제조한 에멀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경우 첨가제 0~1wt%, 특히 0 ~ 0.2 w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에멀젼의 모든 성분의 혼합은 유화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높은 전단력을 가함이없이 동시교반에 의해 임의의 순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우선 일차적으로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b)및 물의 균질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혼합물에 사용할때 높은 전단력을 가함이 없이 공계면활성제와 첨가제를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성분 또는 혼합물에 가하는 압력은 그 혼합성분의 작용에 의해 상승할수있는 압력(대기압)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사용되는 온도는 그 혼합성분의 작용에 의해 상승할 수 있는 온도(실온)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에멀젼에 포함되어있는 암모늄작용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은 무기산 또는 카르복실산을 그 대응하는 아미노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첨가시켜 제조할 수 있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에 이산의 첨가는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을 사용하기전에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아미노 및/또는 암모늄작용오르가노폴리실록산(a)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한 에멀젼을 제조하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암모늄작용래디컬은 위에서 설명한 무기산 및/또는 카르복실산, 특히 아세트산을 첨가시켜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b) 및 물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한 에멀젼은 원칙적으로 에멀젼 제조에 사용되는 종래의 난류식 믹서에서 제조할 수 있다.
유용한 믹서의 예로는 리프(leaf), 바(bar), 앵커(anchor), 그리드(grid), 스크루(screw), 프로펠러(propeller), 디스크(disk), 임펠러(impeller), 터빈 (turbine), 플래넷(planet)스터러 등 스터러(stirrers), 단축 및 양축믹서, 혼합터빈, 콜로이드 밀, 초음파믹서, 인라인믹서, 펌프, 고압, 터빈 및 루프(loop)균질기 등 균질기가 있다.
여러가지의 폴리에스테르(PES)스타일(styles)은 30-45분간에 걸처 130℃에서 캐리어없이 공지된 여러가지의 감응성염료를 사용하여 프린팅하거나 또는 분사염색 (jetdyeing)을 하였다.
염색후, 패딩(padding) 또는 이그조우스트(exhaust)프로세스에 의해 서로 다른 실리콘연화제를 처리하였다.
이 처리다음에 185℃에서 60초간 염색 및 열고정을 하였다.
이와같이하여 얻은 샘플은 멀티파이버스트립(multifiber strip)(아세테이트, 면, 나일론-6,6;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및 울(wool))과 함께 60℃에서 C4A마크스(marks) & 스펜서(spencer)세탁견뇌도 테스트(wash fastness test)를 하였다.
그레이스케일(gray scale)(DIN 54002)에 의해 여러가지의 인접직물(adjacent fabrics)의 오염(staining) 및 염색직물의 색상변화(hue change)의 양자를 그 평가기준으로 하였다.
등급은 스케일 1~5 로 구분하여 스케일 5는 성능이 대단히 우수함으로 정하고, 스케일 1은 성능이 빈약함으로 정하였다.
아세테이트와 나일론의 오염은 이들의 기재가 가장 기술적 의미가 있으므로 이 평가기준에 평가하였다.
아래에서 모든 %는 wt%를 나타낸다.
사용한 연화제(softeners)(WM)는 다음과 같다.
WM1: 아민가(AZ) 0.3, 점도 1000, 구조 구성원소 Si-C3H6-NH-C2H4-NH2 의 아 미노실리콘 33%, 지방산알코올에톡실레이트(EO 6~8개를 가진 C13 옥소알코 올) 6%, 평균입자크기 약 130nm을 가진 에멀젼
WM2: 아미노실리콘(WM1에서와 같음) 33%, 지방산알코올에폭실레이트(6~8개의 EO를 가진 C13지방산알코올)13% 및 공유화제(Coemulsifier)(부틸디글리콜) 5%, 평균입자크기 약 30nm을 가진 미크로에멀젼(microemulsion)
WM3: 아민가(AZ)0.15, 점도 5000, 구조구성요소(WM1과 같음)를 가진 아미노 실리콘 35%, 지방산알코올에톡실레이트(10개의 EO를 가진 C13지방산알코올) 4%, 평균입자크기 약 180nm을 가진 마크로에멀젼(macroemulsion)
WM4: 아미노실리콘(WM1에서와 같음) 40%, 지방산알코올에톡실레이트(E0 3개 를 가진C13 지방산 알코올)6%, APEO(10개의 EO를 가진 노닐페놀)18%, 공유화 제(coemulsifier)(부틸디글리콜)6%, 평균입자크기 25nm(1:5 희석에서)을 가 진 에멀젼 농축물(emnlsion concentrate)
WM5 : 아민가(AZ)0.6, 점도 1000, 구조 구성원소(WM1에서와 같음)을 가진 아 미노실리콘 17%,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분자당 1.8개의 당단위를 가진 C8- C10 알킬)6%, 입자크기 약 250nm 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에멀젼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직물(PES 필라멘트)을 다음 배합의 프린트 페이스(print paste)로 균일하게 프린팅을 하였다;
분산성원액(disperse stock)500g + 칼곤(Calgon)
염료(Dianix Red EFB (bystar))20g
모노소듐 포스페이스 2g
Eganal PS(Clariant) 15g
밸런스(balance) 463g
1kg
그 프린트를 서머솔링(thermosoling)(2100C , 60초)에 의해 고정시킨후, 600C 에서 린싱하였다.
이 린싱다음에 알칼리 물질 5g/ℓ와 히드로설파이트3g/ℓ로 환원세정 reduction clearing)을 하였다.
그 다음으로 800C 에서 린싱하였다.
그 견본을, 패드-맹글(pad-mangle)상에서 연화제를 사용하여 웨트픽업(wet pickup)65%로 될때까지 가공하였다.
A) 연화제 1 15g/ℓ
B) 연화제 2 15g/ℓ
C) 연화제 4 15g/ℓ
D) 연화제 5 15g/ℓ
E) 연화제 5 15g/ℓ
F) 물
B) 미처리 (untreated)
그 다음, 위 A)~G)의 견본을 건조시켜 1850C 에서 60초간 열고정하였다.
이와같이 처리한 견본을 위에서 설명한 C4A 방법에 의해 멀티파이버 스트립(multifiber strip)과 함께 세척하였다.
다음표에서, CA=비스코오스, CO = 면(cotton), PA 6.6=나일론-6,6, PES = 폴리에스트를 나타낸다.
결과 ;
A B C D E F G
색상변화 4-5 4-5 4-5 4-5 4-5 4-5 4-5
CA 2-3 2 1-2 3 3 3 3-4
CO 4-5 4 3-4 5 5 5 5
나일론-66 2-3 2 1-2 3 3 3 3-4
PES 4-5 4 3-4 5 5 5 5
실시예 2
PES 직물(텍스쳐사(texturized yarns)로 형성됨, 염색전에 고정되지 않음)을, 특히 신속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공지된 다이스타 디아닉스 범위(Dystar Dianix range)에 있는 다음 염료 조합물로 분사염색(jet dyeing)을 하였다.
적색(Red)염료 : Dianix Yell 4G 0.23% + Dianix Red SE 3B 0.51% + Dianix
Red K2B 0.54%
흑색(black)염료: Dianix orane K3G 0.12% + Dianix Red S2G 0.2% + Dianix
black RxnFS 200%(이 염료의 3.5%)
그 염색은 Dispersogen PN 1g/ℓ와 소듐아세테이트 2g/ℓ의 존재하에 PH 4.5(아세트산으로 고정)와 온도 1300C 에서 45분간 처리하였다.
온도 800C 에서 15분간 NaOH(380Be)5g/ℓ와 소듐히드로설파이트 3g/ℓ를 사용하여 환원세정(reduction clearing)을 하였다.
그 얻어진 견본을 패드-맹글(pad-mangle)상에서 pH 6,0의 다음 액의 시어리스(series)1중에서 웨트 픽업 65%로 될때까지 가공하였다.
A) 연화제 1 15g/ℓ
B) 연화제 2 15g/ℓ
C) 연화제 4 15g/ℓ
D) 연화제 5 15g/ℓ
E) 연화제 5 30g/ℓ
F) 물
G) 미처리
다음의 시어리스 2 는 600C 에서 20분간 이그조우스트 프로세스(exhaust process)에서 실시하였다.
A) 연화제 1 1.5%
B) 연화제 2 1.5%
C) 연화제 4 1.5%
D) 연화제 5 1.5%
E) 연화제 5 3.0%
F) 물
G) 미처리
이와같이 처리한 다음, 1850C 에서 1분간 건조 및 열고정을 통상적으로 실시하였다.
DW 멀티파이버 스트립과 함께 위에서 설명한 방법의 MPS 세척을 하여 다음값을 나타내었다.
적색염색(red dyeing) 패딩(padding)/이그 조우스트 프로세스
A B C D E F G
CA 2-3/2-3 2/2 1-2/1-2 3/3 3/3 3/3 3/3
CO 3/5 4-5/4-5 4/4 5/5 5/5 5/5 5/5
나일론-6,6 3/3-4 2-3/2-3 2/2 4/4 4/4 4/4 4/4
PES 4-5/4-5 4/4 3-4/3-4 5/5 5/5 5/5 5/5
흑색염색(blackdyeing) 패딩(paddig)/이그조우스트 프로세스
A B C D E F G
CA 2-3/3 2/2 1-2/2 3-4/3-4 3-4/3-4 3-4/3-4 3-4/3-4
CO 4-5/4-5 4/4 3-4/3-4 4-5/4-5 4-5/4-5 4-5/4-5 5/5
나일론-6,6 3/4 2-3/3 2/2 4/4-5 4/4-5 4/4-5 4-5/4-5
PES 4-5/4-5 3-4/3-4 3/3 4-5/4-5 4-5/4-5 4-5/4-5 5/5
실시예 3
실시예 2를 반복하여 PES직물을 , Dianix Dark Blue KR 0.98% + DianixBlack KB 0.31%를 사용하여 청색(blue)으로 염색하였다.
그 얻어진 견본을 시어리스 I에서 패딩(padding)처리하고 시어리스 II 에서 이그조우스트(exhaust)처리를 하였다.
사용한 연화제는 다음과 같다.
A) 연화제 1 15g/ℓ또는 1.5%
B) 연화제 2 15g/ℓ또는 1.5%
C) 연화제 3 15g/ℓ또는 1.5%
D) 연화제 4 15g/ℓ또는 1.0%
E) 연화제 5 15g/ℓ또는 3.0%
F) 물
G) 미처리
패딩(padding)은 웨트픽업 65%로 될때까지 처리하였다.
이그조우스트 처리(exhaust paocess)는 20분간, pH6 및 600C에서 실시하였다.
열고정(heat-setting)은 통상적으로 1분간 1850C 에서 실시하였다.
결과(청색) 패팅/이그조우스트 프로세스
A B C D E F G
CA 3/3 2-3/3 3/3 2/2 4/4 4/4 4/4
CO 4/4 4/4 4/4 3-4/3-4 4-5/4-5 4-5/4-5 4-5/4-5
나일론-6,6 2-3/3 2-3/3 3/2-3 2/2 3-4/3-4 3-4/3-4 4/4
PES 4/4 3/3 4-4 3/3 4-5/4-5 4-5/4-5 4-5/4-5
이들의 실험한 시어리어(series)에서 그 결과와 결론은 아래와 같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연화제로 처리한 견본의 세탁 견뇌도(wash fastness)는 물처리 직물과 비교하여 대부분 사실상 더 악화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연화제와 비교하여, 종래의 연화제는 2등급 레벨까지의 열화(deteriorations)를 발생하였으며, 그 등급열화와 에톡실화 유화제의 소정 함량 사이에서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최소한 1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최소한 1종의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를 구성한 폴리에스테르직물을 얻음으로써, 염색 및 프린트에 대한 세탁견치노(washfastness)의 열화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진 그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이 에멀젼은 종래에 사용한 연화제에 비하여 세탁견뇌도의 열화에 대한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대이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최소한 1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최소한 1종의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를 구성한 폴리에스테르 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분산성 염료(disperse dye)또는 프린트(print)를 구성한 폴리에스테르 직물.
  3. 제 1항에 있어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아미노작용 오르가노폴리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의 중량비는 10:1 ~ 0.5:1 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직물.
  5. 제 1항의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폴리에스테르직물은 최소한 1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최소한 1종의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를 처리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최소한 1종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최소한 1종의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는 에멀젼 형태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06365A 2000-02-10 2001-02-09 폴리에스테르 직물 KR20010082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5855.8 2000-02-10
DE10005855A DE10005855A1 (de) 2000-02-10 2000-02-10 Flächengebilde aus Poly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092A true KR20010082092A (ko) 2001-08-29

Family

ID=763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365A KR20010082092A (ko) 2000-02-10 2001-02-09 폴리에스테르 직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10018305A1 (ko)
EP (1) EP1127975A1 (ko)
KR (1) KR20010082092A (ko)
CN (1) CN1311357A (ko)
BR (1) BR0100459A (ko)
DE (1) DE10005855A1 (ko)
HK (1) HK1040268A1 (ko)
ID (1) ID292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3053B2 (ja) * 2020-03-10 2023-08-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処理液、インクジェット捺染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4118B2 (en) * 1982-05-10 1993-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osphat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DE3925846A1 (de) * 1989-08-04 1991-02-14 Huels Chemische Werke Ag Emulgatoren zur herstellung von lagerstabilen, waessrigen polysiloxan- bzw. polysiloxan-paraffinoel-emulsionen
DE4131551A1 (de) * 1991-09-21 1993-03-25 Pfersee Chem Fab Waessrige dispersionen von stickstoffhaltigen polysiloxanen
DE4133551A1 (de) * 1991-10-10 1993-04-15 Kloeckner Humboldt Deutz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rektsaat waehrend eines erntevorgangs
DE4306796A1 (de) * 1993-03-04 1994-09-08 Wacker Chemie Gmbh Emulsionen polare Gruppen enthaltender Organopolysiloxane mit Alkylpolyglykosiden als Emulgatoren
DE4328917A1 (de) * 1993-08-27 1995-03-02 Wacker Chemie Gmbh Herstellung von Organopolysiloxan-Microemulsionen
DE19538751A1 (de) * 1995-10-18 1997-04-24 Huels Chemische Werke Ag Entschäumerdispersionen für wäßrige Tensidsysteme
DE19721699A1 (de) * 1997-05-23 1998-11-26 Huels Silicone Gmbh Aminosiliconöl-Microemulsionen
DE19722680A1 (de) * 1997-05-30 1998-12-03 Wacker Chemie Gmbh Siliconweichmacher für J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00459A (pt) 2001-09-11
EP1127975A1 (de) 2001-08-29
ID29216A (id) 2001-08-16
HK1040268A1 (zh) 2002-05-31
US20010018305A1 (en) 2001-08-30
DE10005855A1 (de) 2001-08-23
CN1311357A (zh) 200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2343A (en) Preparation of organopolysiloxane microemulsions
US5466746A (en) Emulsions of organopolysiloxanes containing polar groups with alkyl polyglycosides as emulsifiers
US6958410B2 (en) Amido-functional aminopolydiorganosiloxanes
US5057572A (en) Aqueous, finely divided to optically clear, thermally and mechanically stable silicone emulsion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KR950006158B1 (ko) 고분산성 오르가노실록산 에멀죤
CN103772708B (zh) 糖基改性聚硅氧烷有机硅柔软剂及其制备方法
US8815755B2 (en) Polydiorganosiloxane bearing carbamate function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softeners in the textile industry
JP2868763B2 (ja) インジゴで染色された織物およびその処理方法
US6576606B2 (en) Hydrophilic non-yellowing organopolysiloxane textile softener compositions
CN107858843B (zh) 一种含壳聚糖季铵盐的纺织品固色剂及其制备方法
KR20010082092A (ko) 폴리에스테르 직물
KR20000077318A (ko) 실록산 유액
US20120167315A1 (en) Dyeing Auxiliary
JPH0224952B2 (ko)
MXPA98004314A (en) Silicon softener for je
JP4832949B2 (ja) 繊維製品処理剤組成物
JP4644009B2 (ja) 繊維製品処理剤組成物
KR20230066075A (ko) 옥살라토폴리에테르로 사전가교된 아미노-작용화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수성 분산액
JP2008156784A (ja) 繊維製品用濃色化剤
KR20190067234A (ko) B-케토카르보닐-작용성 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의 분산액
CN107503194A (zh) 一种印染废水染色用表面活性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