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041A - 열 교환 튜브 위빙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열 교환 튜브 위빙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041A
KR20010082041A KR1020010005026A KR20010005026A KR20010082041A KR 20010082041 A KR20010082041 A KR 20010082041A KR 1020010005026 A KR1020010005026 A KR 1020010005026A KR 20010005026 A KR20010005026 A KR 20010005026A KR 20010082041 A KR20010082041 A KR 20010082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aving device
separator
separating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데스리차드오.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패프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패프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8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04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77Tube with heat transfer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77Tube with heat transfer means
    • Y10T29/49378Finned tube
    • Y10T29/4938Common fin traverses plurality of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88Radiato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99Work on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13Heat exchang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13Heat exchanger
    • Y10T29/53117Heat exchanger including means to manipulate heat exchanger tube bu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열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페이서를 삽입할 수 있도록 열 교환 튜브들을 분리하는 위빙장치이다. 위빙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의 위빙 뭉치를 포함한다. 위빙 뭉치는 열 교환 튜브의 정렬을 위한 정렬판과 정렬후 분리를 위한 분리판들을 포함한다. 위빙장치는 열 교환 튜브의 분리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열 교환 튜브 사이로 스페이서의 삽입이 용이하게 해준다.

Description

열 교환 튜브 위빙장치와 그 방법 {Heat exchanger tube weav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에 사용되는 튜브의 위빙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튜브 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가 있어 튜브를 지지해주며 열 교환 효율을 높여준다.
열 교환기는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액체나 기체(이하 유체라 한다)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열 교환기는 한 쌍의 헤더파이프(header pipe)와 그 사이에 대체로 서로 인접하면서 평행하게 배열되어있는 다수의 열 교환 튜브를 가진다. 장치가 작동하면 유체는 한 쌍의 헤더파이프 중 하나로 들어가게 된다. 그 후 유체는 다수의 열 교환 튜브를 통과하게 되고 제2의 헤더파이프를 통해 열 교환기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열 교환기가 뜨거운 유체를 냉각시키는 경우 튜브는 차가운 환경에 놓여지게 된다. 뜨거운 유체가 열 교환 튜브에 도달하게 되면 튜브를 통해서 열을 방출하게 되면서 냉각되어진다. 반면 차가운 유체를 가열시키는 경우에는 차가운 유체가 뜨거운 환경 하에 놓여져 있는 열 교환 튜브에 도달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열 교환기의 표면적이 넓으면 넓을수록 열 교환 효율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열 교환기는 보다 많은 수의 튜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수인인 California주 Redwood시의 FAFCO사에 의해 제공된열 교환기는 헤더파이프에 용접되어있는 열 가소성 플라스틱을 사용한 튜브를 사용하였다. 처음 이 장치가 제조될 당시에는 열 교환 튜브는 헤더파이프에 용접되어 지기 전에 서로 택-용접(tack-weld)으로 결합되어 있었으나 바람직한 방식은 아니었다. 튜브사이의 택-용접(tack-weld)은 튜브 주위의 외부 물질(특히 액체나 기체)의 흐름을 방해해서 열 교환 효율을 떨어드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택-용접(tack-weld)대신 스페이서(spacer)를 튜브 사이에 삽입하여 분리된 튜브의 다중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spacer)는 튜브사이를 물리적으로 격리시키며 튜브주위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FASCO의 열 교환기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1998년 12월 24일자 미국특허 No. 09/220,639 ("Heat Exchanger Having Heat Exchanger Tubes with Angled Heat-Exchange Performance Improving Indentation")와 1998년 6월 9일자 미국특허 No. 09/094,187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panel Boards and Tubing to a Header Pipe")에 기재되어 있다(두 특허 모두 본 발명의 양수인의 소유임).
상기 열 교환기에서는 택-용접(tack-weld)을 제거하고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튜브의 수가 많거나 상대적으로 튜브의 직경이 작다면 이는 대단히 많은 노력을 요하거나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따라서 위 과정을 자동적으로 처리해 주는 튜브 위빙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열 교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열 교환 튜브를 자동적으로 분리시켜 스페이서를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는 위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빙장치는 정렬을 위한 정렬판과 정렬 후 분리를 위한 분리판들을 포함하는 위빙 메커니즘을 가진다. 열 교환 튜브가 위빙 메커니즘으로 삽입되게 되면 정렬판이 이를 정렬하게 된다. 일단 정렬이 되면 분리판들이 튜브를 분리하게 되며,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튜브들 사이로 튜브를 고정시킬 스페이서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열 교환 튜브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기 위해 튜브를 인력으로 분리함으로써 소요되었던 노력과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 1a도 : 본 발명의 위빙장치(weaving apparatus)의 정면 사시도
제 1b도 : 본 발명의 위빙장치의 후면 사시도
제 2도 : 위빙장치의 정렬판(alignment plate)의 정면도
제 3도 : 위빙장치의 제1 분리판(separate plate)의 정면도
제 4도 : 위빙장치의 제2 분리판의 정면도
제 5도 : 위빙장치 내에서 정렬판이 열 교환기의 튜브를 정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제 6도 : 제1 분리판과 제2 분리판이 튜브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제 7도 : 위빙장치에서 분리되어진 튜브의 사이에 삽입되어지는 스페이서(spacer)의 정면도
제 8도 : 위빙장치에서 분리되어진 튜브의 사이에 삽입되어지는 몇 가지 스페이서(spacer)의 정면도.
제 1도에서는 위빙장치(10)가 열 교환기(16)의 튜브(14)에 대한 위빙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위빙장치(10)는 상단프레임(22), 하단프레임(24), 제1측면프레임(26)과 제2측면프레임(28)으로 구성되어있는 프레임(20)을 갖는다. 제1측면프레임(26)은 제1지지구조물(30), 제1지지판(32)과 제1가이드뭉치(34)를 가진다. 제2측면프레임(28)은 제2지지구조물(36), 제2지지판(38)과 제2가이드뭉치(40)를 가진다. 제1분리판(42)과 제2분리판(44)은 프레임(20) 내부에 위치한다. 각각 프레임(2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제1가이드뭉치(34)와 제2가이드뭉치(40)는 두 분리판(42, 44)을 지탱한다. 정렬판(alignment plate)(45)또한 프레임(20)내부의 두 가이드뭉치(34, 40)의 사이에 위치한다(정렬판(45)은 두 분리판(42, 44)의 뒤에 위치하고 있어 제 1a도에서는 일부분만을 볼 수 있다). 작동장치(46)은 두 분리판(42, 44)과 정렬판(45)을 가이드 뭉치(34, 40)에 따라 작동하게 한다. 작동장치(46)은 세 개의 압축실린더(48, 50, 52)와 세 개의 스위치(54a, 4b,54c)를 가지며, 이들은 각각 기계적으로 제1분리판(42), 제2분리판(44) 및 정렬판(45)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지지 구조물(30, 36)은 프레임(20)을 지지하고 있다. 두 개의 지지판(32, 38)은 볼트나 기타 체결구에 의해 위빙장치(10)의 위치를 마루나 조립시설에 고정시킨다. 작동장치(46)은 스위치(54a, 54b)를 컨트롤하여 두 개의 분리판(42, 44)의 위치를 프레임(20) 내의 가이드뭉치(34, 40)를 따라 튜브 분리위치(tube separation position)와 리셋위치(reset position)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제 1b도는 본 발명의 위빙장치(10)의 후면 사시도이다(명확함을 위해 열 교환기(16)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후면 사시도에서 보이는 많은 구성요소들은 모두 제 1a도에서 언급했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두 가이드뭉치(34, 40)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주는 가로축(59), 하단 프레임(24)으로부터 돌출 되어 위빙장치(10)를 작업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래킷(62, 64), 세 개의 압축 실린더(48, 50, 52)를 하단프레임(24)에 돌출 되도록 설치되어 질 수 있게 해주는 판(66) 등이 후면 사시도에 도시되어있다. 또한 프레임(20) 안에서, 정렬판(45)이 두 분리판(42, 44)의 뒷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있다. 압축실린더(52)는 정렬판(45)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프레임(20)안의 가이드뭉치(34, 40)를 따라서 정렬판(45)을 튜브 정렬 위치(tube alignment position)와 리셋위치(reset position)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위빙장치(10)에 사용되어지는 정렬판(45)의 정면도이다. 정렬판(45)은 사각형이며, 다수의 구멍(60)이 있어 전체적인 무게를 경감시키며,사각형의 우묵하게 들어간 사각구멍(62)이 있다. 사각구멍(62)에는 둥글거나 V자 모양의 홈(66)들이 있는 상단엣지(64)가 있다. 이 홈(66)들에는 열 교환기(16)의 튜브(14)들이 하나씩 위치하게 된다. (홈(66)은 정렬판(45)의 다른 구성 요소들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도시되어있다) 한 예로 홈(66)의 수는 열 교환기(16)에서 위빙장치(10)로 들어가는 튜브(14)의 수와 일치하거나 더 많으며, 그 크기는 튜브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다. 정렬판(45)의 크기는 넓이가 48인치에서 60인치 사이, 높이가 12~24인치가 바람직하며, 상단엣지(64)의 홈(66)은 직경이 0.63~0.5인치이며 200~400개가 적당하다. 정렬판(45)에서 돌출 되어 나와있는 패들(45a)은 제 1a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축실린더(52)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져 있다. 앞서 언급되었듯이 압축실린더(52)는 스위치(54c)에 의해 정렬판(45)을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정렬판(45)의 홈(66)은 프레임(20)의 가이드뭉치(34, 40)를 따라서 정렬위치나 리셋위치에 놓이게 된다.
제 3도에는 위빙장치(10)에 사용되어지는 제1분리판(42)의 정면도가 도시되어있다. 제1분리판(42)의 형태는 대체로 사각형이며,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기 위한 구멍(80)들을 가지며, 사각형의 사각구멍(82)을 가진다. 사각구멍(82)의 상단엣지(84)에는 아래로 돌출 되어있는 일련의 분리돌기(86)가 있다. 각각의 분리돌기(86)들은 열 교환 튜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기(88a~88n)를 갖는다. 제 6도에서, 수용기(88)의 수는 분리돌기(86) 하나당 4개이다(n=4). 수용기(88)는 각 분리돌기(86) 상에서 계단식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다양한 실시예의 경우, 제1분리판(42)의 폭은 48~60인치, 높이는 12~24인치가 적당하며, 상단엣지(84)는50~100개의 분리돌기(86)를 가지며, 각각의 분리돌기에는 2~8개의 수용기(88)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판(42)에 돌출 되어있는 패들(42a)은 제 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실린더(5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져 있다. 압축실린더는 스위치(54b)의 제어하에 제1분리판(42)을 프레임(20)의 가이드뭉치(34, 40)를 따라 분리위치로 내려가게 하여 분리돌기(86)의 수용기(88)들이 튜브(14)들과 맞물리게 한다.
제 4도에는 위빙장치(10)에 사용되어지는 제2분리판(44)의 정면도가 도시되어있다. 제2분리판(44)의 형태는 대체로 사각형이며,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기 위한 구멍(90)들을 가지며, 사각형의 사각구멍(92)을 가진다. 사각구멍(92)의 하단엣지(94)에는 위로 돌출 되어있는 일련의 분리돌기(96)가 있다. 각각의 분리돌기(96)들은 열 교환 튜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기(98a~98n)를 갖는다. 제 6도에서, 수용기(98)의 수는 분리돌기(96) 하나당 4개이다(n=4). 제 4도에 도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수용기(98)들은 각각 분리돌기(96)들에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제1분리판(42)에서의 수용기(88)들과 분리돌기(86)들이 계단식으로 형성된 것과 대응하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실시예의 경우 제2분리판(44)은 48~60인치의 폭과 12~24인치의 높이를 가지며, 하단엣지(94)는 50~100개의 분리돌기(96)를 가지고, 각각의 분리돌기(96)는 2~8개의 수용기(98)를 가진다. 분리판(44)에 돌출 되어있는 패들(44a)은 제 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실린더(48)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져 있다. 압축실린더는 제2분리판(44)을 프레임(20)의 가이드 뭉치(34, 40)를 따라 분리위치로 올라가게 하여 분리돌기(86)의 수용기(88)들이 튜브(14)들과 맞물리게 하거나 리셋위치로 내려가게 한다.
제 5도는 정렬판(45)과 위빙과정에 들어가기 전의 두 분리판(42, 44)에 대한 사시도이다. 위빙과정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로,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위치(54a, 54b)의 작동으로 두 분리판(42, 44)이 각각의 리셋위치로 가게 된다. 즉, 프레임(20)의 가이드 뭉치(34, 40)를 따라 제1분리판(42)은 올라가게 되고, 제2분리판(44)은 내려가게 된다. 그 후 열 교환기(16)로부터의 튜브(14)가 세 개의 판(42, 44, 45)의 사각구멍(62, 82, 92) 안으로 삽입되어진다. 간결한 표현을 위해 열 교환 튜브(14)는 4개만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 과정으로, 오퍼레이터가 정렬판(45)을 내리게 되면 상단엣지(64)의 홈(66)들이 열 교환 튜브(14)와 맞물리게 된다. 필요하다면 오퍼레이터는 더 많은 튜브(14)를 홈(66)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완결이 되었다면 위빙장치(10)의 위빙과정 준비는 완료된 것이다.
제 6도는 위빙과정이 끝난 후의 두 분리판(42, 44)의 사시도이다. 위빙과정을 시작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는 스위치(54b)를 작동시켜 제1분리판(42)을 분리위치로 내려야 한다. 제1 분리판(42)가 분리위치로 내려오게 되면, 분리돌기(86)의 수용기(99)중 가장 하단에 있는 것이 정렬판(45)의 홈(66)에 정렬되어있는 튜브(14)를 물게 된다. 정렬판(45)은(도시되어있지 않음) 스위치(54c)를 작동시킴으로써 리셋위치로 올라가게 함으로써 이후 위빙과정에 관여하지 않게 된다. 다음 과정으로 제2분리판(44)이 스위치(45a)의 작동으로 올라오게 된다. 제2분리판이 가이드 뭉치(34, 40)를 따라 올라오게 되면, 분리돌기(96)의 수용기(98)들이튜브(14)를 물고 다시 제1분리판(42)의 수용기(88)들과 맞물리면서 튜브를 위치시킨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제 6도에서는 오직 12개의 튜브(14)만을 도시하였다. 실제 위빙과정에서는 모든 열 교환 튜브(14)들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되게 된다. 한 실시예로 튜브(14)사이의 택-용접이 열 교환기로 들어가기 이전에 제거되어 위빙장치(10)로 삽입되는 방법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택-용접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가 두 개의 분리판(42, 44)의 분리과정에서 제거되는 방법이 있다. 분리과정이 끝나게 되면, 튜브(14)는 N개의 평행평면상에서 정렬되게 된다. 각각의 평행평면은 분리돌기(86, 96)에서의 수용기(88a-98a)의 맞물림에서부터 수용기(88n-98n)의 맞물림으로 결정된다.
제 7도는 위빙장치(10)를 통과하여 분리된 튜브(14)를 고정시킬 스페이서의 측면도이다. 스페이서(110)는 긴 구조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딱딱하나 유연한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110)는 복수개의 수용돌기(112)를 가진다. 각각의 수용돌기(112)에는 복수개의 수용기(114a~114n)들이 있어 열 교환기(16)로부터의 튜브(14)를 수용하게 된다. 튜브(14)가 분리되어지면, 오퍼레이터는 위빙장치(10)의 위빙위치(12)에 스페이서(110)를 삽입하고 튜브(14)를 스페이서(110)의 수용기(114)에 끼워 넣는다. 튜브(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10)에 의해 n개의 평면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종료되면, 위빙장치(10)는 튜브(14)의 다음 위빙위치으로 당겨지거나, 새 열 교환기 앞에 위치됨으로써 다음 위빙과정을 준비하게 된다. 튜브(1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스페이서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제 8도에서는 여러 가지의 스페이서(110)가 도시되어있다. 스페이서(120~128) 모두 각각 열 교환 튜브(14)를 고정시키기 위한 n개의 수용기(114a~114n)들을 가지고 있다. 이 스페이서(120~128)들 모두 스페이서(110)와 근본적으로 차이가 없으므로 자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두 개의 스페이서(110)가 각각의 위치에서 열 교환 튜브(14)를 분리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예로써, 제2 스페이서의 돌기(112)와 수용기(114)는 제1 스페이서의 그것들과 반대위치에 있어야 한다. 즉, 두 스페이서의 수용기(114)들이 서로 반대방향에서 튜브를 잡아주게 된다.
지금까지 제시된 실시예 이외의 변형과 응용의 방법도 가능하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구체적인 실시에 대한 예시였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과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따른다.
본 발명은 열 교환 튜브를 자동적으로 분리시켜 스페이서를 삽입하기 용이하게 하는 위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고,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튜브들 사이로 튜브를 고정시킬 스페이서를 삽입할 수 있게 하여, 열 교환 튜브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기 위해 튜브를 인력으로 분리함으로써 소요되었던 노력과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각각의 열 교환 튜브를 분리시키고 그 사이에 스페이서(spacer)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위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정렬판(alignment plate)이 있어 열 교환 튜브를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정렬판에 복수개의 홈(notch)들이 있어 위빙과정 이전에 튜브들을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정렬판의 홈들이 열 교환 튜브와 맞물릴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정렬판과 가이드 뭉치(guide mechanism)를 포함하는 프레임(frame assembly)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정렬판이 열 교환 튜브를 정렬시킬 때 가이드 뭉치를 따라 제1 정렬위치(alignment position)에 있게 되며, 튜브의 정렬이 필요 없을 때에는 제2 리셋위치(reset position)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정렬판을 프레임의 가이드 뭉치에 따라 제1 정렬위치와 제2 리셋위치로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제1 작동 뭉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뭉치에 제1 압축실린더가 정렬판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스위치가 있어 제1 압축실린더를 작동시켜 가이드 뭉치를 따라 정렬판을 선택적으로 제1 정렬위치에 놓거나 제2 리셋위치로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제1 분리판(separate plat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제1 분리판이 복수개의 분리돌기(positioning membe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각각의 분리돌기가 열 교환 튜브에 대응되는 n개의 수용기(receptacle) 세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분리돌기의 수용기들이 계단식의 배열을 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제2 분리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제2 분리판이 복수개의 분리돌기(positioning member)를 갖으며, 각각의 분리돌기는 열 교환 튜브에 대응되는 n개의 수용기(receptacle) 세트를 가지고, 분리돌기의 수용기들이 제1 분리판의 것과 짝을 이루도록 어긋나는 배열을 취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제1 분리판 분리돌기들의 n개의 수용기들이 제2 분리판 분리돌기들의 n개의 수용기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제1 분리판과 제2 분리판 모두 분리위치에 있을 때, 제1 분리판 분리돌기들의 n개의 수용기들이 제2 분리판 분리돌기들의 n개의 수용기와 맞물리는 데에 있어서 그 연장선이 n개의 평행한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제1 분리판이 지지되는 가이드 뭉치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제2 분리판이 지지되는 가이드뭉치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가이드 뭉치를 따라 제1 분리판과 제2 분리판을 분리위치와 리셋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작동 뭉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작동 뭉치가 제1 분리판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제1 압축실린더와 프레임의 가이드 뭉치를 따라 제1 분리판을 분리위치와 리셋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작동 뭉치가 제2 분리판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있는 제2 압축실린더와 프레임의 가이드 뭉치를 따라 제2 분리판을 분리위치와 리셋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22. 제 11항에 있어서, 제1 분리판의 분리돌기들의 수용기의 모양이 열 교환 튜브의 모양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23. 가이드 뭉치를 따라 튜브의 정렬이 필요할 경우 제1 정렬위치에 위치하며, 불필요할 경우 제2 리셋위치에 위치하는 정렬판과, 각각 어긋나게 배열되어있는 n개의 수용기가 있는 복수의 분리돌기를 갖는 제1 분리판을 포함하는 프레임, 프레임 내부의 위빙 뭉치와 그에 의해 분리된 개개의 열 교환 튜브의 사이에 스페이서(spacer)가 삽입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각각의 분리돌기에 n개의 수용기 세트를 가지는 제2 분리판을 가지며, 그 수용기들의 배열이 제1 분리판의 수용기들의 계단식 배열에 대응되도록 계단식으로 배열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가이드 뭉치를 따라, 정렬판을 제1 정렬위치에 놓거나 제1 리셋위치에 놓는 역할을 하는 제1 작동장치, 제1 분리판을 분리위치에 놓거나 제2 리셋위치에 놓는 역할을 하는 제2 작동장치, 제2 분리판을 분리위치에 놓거나 3번 리셋위치에 놓는 역할을 하는 3번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장치.
  26. 열 교환 튜브를 위빙 뭉치에 삽입하고, 그 튜브들을 정렬한후, 스페이서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튜브를 분리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에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위빙 뭉치 실시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정렬판이 튜브의 정렬을 위한 홈을 가지고 있어 튜브가 그 홈에 맞물리면서 일정한 평면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 뭉치 실시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각각 튜브에 맞물리게 되는 수용기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분리돌기를 갖는 제1 분리판을 작동시키며, 각각 튜브에 맞물리게 되는 수용기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분리돌기를 갖는 제2 분리판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 뭉치 실시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제1 분리판과 제2 분리판의 작용으로 열 교환 튜브가 복수개의 평행한 평면상에 분리되어 정렬되기 때문에 튜브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빙 뭉치 실시방법.
KR1020010005026A 2000-02-04 2001-02-02 열 교환 튜브 위빙장치와 그 방법 KR200100820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98,312 US6581273B1 (en) 2000-02-04 2000-02-04 Heat exchanger tube weaving apparatus and method
US09/498,312 2000-0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041A true KR20010082041A (ko) 2001-08-29

Family

ID=2398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026A KR20010082041A (ko) 2000-02-04 2001-02-02 열 교환 튜브 위빙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581273B1 (ko)
EP (1) EP1122021A3 (ko)
JP (1) JP2001259934A (ko)
KR (1) KR200100820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4757B2 (en) * 2002-04-30 2006-04-11 Cesaroni Technology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flexible tubes into a cor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7253168B2 (en) * 2004-04-07 2007-08-07 Neurogen Corporation Substituted 1-benzyl-4-substituted piperazine analogues
WO2005110989A1 (en) * 2004-04-07 2005-11-24 Neurogen Corporation Substituted 1-heteroaryl-4-substituted piperazine and piperidine analogues
TW200609219A (en) * 2004-06-17 2006-03-16 Neurogen Corp Aryl-substituted piperazine derivatives
US7398779B2 (en) * 2005-03-31 2008-07-15 Fafco, Incorporated Thermosiphoning system with side mounted storage tanks
EP1840474A3 (en) * 2006-03-29 2009-07-15 Fafco Incorporated Kit for solar water heating system
CN103659261A (zh) * 2012-09-10 2014-03-26 四平维克斯换热设备有限公司 一种滑动挂接装置
US10381500B2 (en) 2013-03-12 2019-08-13 Fafco Incorporated Fluid cooled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JP6469221B2 (ja) * 2015-06-16 2019-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3932A (en) * 1936-01-10 1938-10-18 Fedders Mfg Co Inc Machine for assembling fins and tubes
US2154855A (en) * 1936-09-11 1939-04-18 Fedders Mfg Co Inc Machine for assembling fins and tubes
US3023608A (en) * 1960-08-16 1962-03-06 Taylor Wilson Mfg Company Apparatus for doubling capacity of a pipe tester
US3406838A (en) * 1966-10-19 1968-10-22 Hudson Engineering Corp Tube assembling apparatus
US3561244A (en) * 1968-08-12 1971-02-09 Combustion Eng Apparatus for forming openings in tubular panels
FR2067634A5 (ko) * 1969-11-12 1971-08-20 Petroles Cie Francaise
IT960259B (it) * 1972-04-20 1973-11-20 Roma C Pascio tubiero per scambiatori di calore ed elementi modulari per detto costituiti da tubi termopla stici e procedimento di costruzio ne degli elementi modulari e dei fasci tubieri
US3789479A (en) * 1972-06-30 1974-02-05 Mordo Co Machine for assembling tubes in a heat exchanger
DE2333172C3 (de) * 1972-07-03 1979-01-11 Hitachi, Ltd., Tokio Selbsttätige Vorrichtung zum Berohren eines Rohrbündel-Wärmetauschers
IT1132450B (it) * 1979-08-24 1986-07-02 Kobe Steel Ltd Macchina per l'inserimento di tubi
US4769888A (en) * 1981-06-01 1988-09-13 Richard Desiro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ator recoring
FI67125C (fi) * 1982-05-26 1985-01-10 Tampella Oy Ab Matningsfoerraod foer borrstaenger i en laonghaolsborranordning
US4616390A (en) * 1984-10-18 1986-10-14 Maccracken Calvin D Superdensity assembly method and system for plastic heat exchanger resists large buoyancy forces and provides fast melt down in phase change thermal storage
US4649632A (en) * 1985-11-18 1987-03-17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bundle assembly machine
US5083372A (en) * 1991-03-11 1992-01-28 Power & Industrial Servic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d clamping a series of tubes in parallel
US5206990A (en) * 1991-08-29 1993-05-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assembling serpentine heat exchangers
US5781995A (en) * 1997-01-09 1998-07-21 Allegheny Power Service Corporation Method of repairing a defective portion in a fluid carrying tube
IT1302780B1 (it) * 1998-10-08 2000-09-29 Danieli & C Ohg Sp Dispositivo di separazione per barre laminate
US6003224A (en) * 1998-10-16 1999-12-21 Ford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ssembling heat exchanger cores
JP2015143977A (ja) 2013-12-25 2015-08-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キー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88423A1 (en) 2003-10-09
EP1122021A3 (en) 2005-03-16
JP2001259934A (ja) 2001-09-25
US7328509B2 (en) 2008-02-12
US6581273B1 (en) 2003-06-24
EP1122021A2 (en) 200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2041A (ko) 열 교환 튜브 위빙장치와 그 방법
US6530144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assembling a heat exchanger
US4720902A (en) One step tension expander and method of using
KR101932711B1 (ko) 확관 장치에서의 핀 타입 리시버 장치
US5070608A (en) Method for gripping tubes in multirow plate fin coils
US4858305A (en) Single station tension hairpin tube expander
CA1320630C (en) Tension expander for plate fin coils
JP6998255B2 (ja) 熱交換器用フィン付き管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7784672B2 (en) Apparatus for brazing a heat exchanger
US2417661A (en) Method for assembling heat exchangers having flattened tubes
US4320566A (en) Method of retrofitting a heat exchanger
CN210952479U (zh) 散热器
US4993145A (en) Apparatus for gripping tubes in multirow plate fin coils
US4850101A (en) Dual-station flexible hairpin tube expansion apparatus
WO2021135936A1 (zh) 一种布匹自动化包装线主机架榫卯结构
CN220729019U (zh) 一种多层热交换器的连接结构
CN217253865U (zh) 一种换热器焊接工装
CN213515197U (zh) 一种板式换热器
CN219914139U (zh) 一种易装配的换热器
CN219890228U (zh) 一种拼装式散热器
CN207273217U (zh) 一种空调热交换器取翅片夹具
CN217467613U (zh) 一种计算机cpu散热套装
CN215347527U (zh) 一种基于大数据的信息分析装置
CN213944437U (zh) 一种蒸发器用整形工装
CN1396431A (zh) 热交换器管子的编排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