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639A -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639A
KR20010081639A KR1020000007554A KR20000007554A KR20010081639A KR 20010081639 A KR20010081639 A KR 20010081639A KR 1020000007554 A KR1020000007554 A KR 1020000007554A KR 20000007554 A KR20000007554 A KR 20000007554A KR 20010081639 A KR20010081639 A KR 2001008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notch
edge
corner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훈
박진목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0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1639A/ko
Priority to US09/782,031 priority patent/US20010015609A1/en
Priority to CN01103995A priority patent/CN1309410A/zh
Publication of KR2001008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6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은, 음극선관에 채용되어 섀도우 마스크를 지지해 주는 서포트 프레임에 있어서,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 소정 위치에는, 서포트 프레임 변부 끝단의 성형 작업시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치가 형성된다.
여기서, 노치의 위치는,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로부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노치까지의 길이가 A이고,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길이 중심으로부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까지의 길이가 B이고,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로부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노치까지의 길이가 C이고,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길이 중심으로부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까지의 길이가 D일 때,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에서 A/B의 비율이 0.10 ~ 0.16이고,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에서 C/D의 비율이 0.08 ~ 0.18인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노치의 폭은,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노치 폭(W)에 대하여 W/B의 비율이 0.02 ~ 0.04이고,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노치 폭(W')에 대하여 W'/D의 비율이 0.02 ~ 0.06인 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부의 소정 위치에 노치를 형성시켜,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Support frame for a cathod 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cathod ray tube)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support frame)에 관한 것으로, 서포트 프레임 제조시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corner)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음극선관은, 전면 유리부인 패널(panel)(101)과, 그 패널(101)과 결합되는 후면 유리부인 펀넬(funnel)(102)과, 전자가 방출되는 전자총(미도시)과, 그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106)의 입사에 의해 발광되는 형광면(104)과, 그 형광면(104)으로 입사되는 상기 전자빔(106)을 선별해 주는 섀도우 마스크(103)와, 그 섀도우 마스크(103)를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107)과, 그 서포트 프레임(107)을 상기 패널 (101)에 결합시키는 스프링(108) 및 상기 서포트 프레임(107)에 고정되며 외부 지자기로부터의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외부 지자기 차폐 역할을 하는 인너 쉴드 (inner shield)(109)를 포함한다.
한편, 음극선관에 인가된 양극 전압에 의해서 상기 펀넬(102)의 넥크(neck)에 내장된 전자총(미도시)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106)이 상기 패널(101)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형광면(104)에 충돌하게 되는데 이때, 이 전자빔(106)은 형광면에 도달하기 전 편향 요크(yoke)(105)에 의해서 상, 하, 좌, 우로 편향된다.
또한, 상기 전자빔(106)이 정확히 형광면(104)의 형광체에 충돌할 수 있도록그 진행 궤도를 수정해주는 마그네트(magnet)(110)가 있어 색순도 불량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음극선관은 고진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쉽게 폭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101)의 스커트 (skirt)에 보강 밴드(111)를 장착함으로써, 고진공 상태의 음극선관의 응력을 분산, 내 충격 성능을 확보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107)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섀도우 마스크(103)를 상기 서포트 프레임(107)에 결합시킬 때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107)의 변부(장변, 단변, 대각부) 끝단을 바깥 방향으로 성형하여 상기 섀도우 마스크(103)의 스커트부 끝단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107)의 변부 끝단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섀도우 마스크(103)와 상기 서포트 프레임(107)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107)의 변부 끝단을 외측 방향으로 성형시키는데 있어서, 특히 상기 서포트 프레임(107) 변부의 코너부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107)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서포트 프레임 제작시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과 섀도우 마스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제조시에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패널 102... 펀넬
103... 섀도우 마스크 104... 형광면
105... 편향 요크 106... 전자빔
107... 서포트 프레임 108... 스프링
109... 인너 쉴드 110... 마그네트
111... 보강 밴드 401... 서포트 프레임 장변부
402... 서포트 프레임 단변부 403_1, 403_2... 노치
404...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 405... 서포트 프레임 변부 끝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은,
음극선관에 채용되어 섀도우 마스크를 지지해 주는 서포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 소정 위치에는, 서포트 프레임 변부 끝단의 성형 작업시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치 (notch)가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노치의 위치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로부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노치까지의 길이가 A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길이 중심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까지의 길이가 B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노치까지의 길이가 C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길이 중심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까지의 길이가 D일 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에서 A/B의 비율이 0.10 ~ 0.16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에서 C/D의 비율이 0.08 ~ 0.18인 지점에 위치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노치의 폭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노치 폭(W)에 대하여 W/B의 비율이 0.02 ~ 0.04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노치 폭(W')에 대하여 W'/D의 비율이 0.02 ~ 0.06인 관계를 갖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노치의 깊이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노치 깊이가 d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중심에서의 높이가 E이고, h = E - d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노치 깊이가 d'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중심에서의 높이가 F이고, h' = F - d'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에서의 높이가 H일 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에서 d/H의 비율이 0.05 ~ 0.20이고, h/E의 비율이 0.60 ~ 0.70이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에서 d'/H의 비율이 0.05 ~ 0.20이고, h'/F의 비율이 0.70 ~ 0.75인 관계를 갖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부의 소정 위치에 노치를 형성시켜, 서포트 프레임 제작시에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서포트 프레임의 열팽창에 의한 도밍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부의 소정의 위치에 노치(403_1)(403_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404)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노치(403_1)까지의 길이를 A라 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 장변부(401)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404)까지의 길이를 B라 할 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 장변부(401)에 형성된 노치(403_1)가 A/B의 비율이 0.10 ~ 0.16인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 끝단(405)을 성형하여 제조시에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코너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404)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노치(403_2)까지의 길이를 C라 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 단변부(402)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404)까지의 길이를 D라 할 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 단변부(402)에 형성된 노치(403_2)가 C/D의 비율이 0.08 ~ 0.18인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 끝단(405)을 성형하여 제조시에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코너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운관의 사용중 발생되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열팽창을 상기 코너부 노치가 흡수함으로써,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열팽창에 의한 도밍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 장변부(401)에 형성된 노치(403_1)의 폭(W)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 장변부(401)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 (404)까지의 길이 B에 대하여 W/B의 비율이 0.02 ~ 0.04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 단변부(402)에 형성된 노치(403_2)의 폭(W')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 단변부(402)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404)까지의 길이 D에 대하여 W'/D의 비율이 0.02 ~ 0.06일 때, 상기 노치(403_1)(403_2)의 폭은 최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 장변부(401)에 형성된 노치(403_1)의 깊이(d)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 장변부(401)의 중심점에서의 높이가 E이고, h = E - d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404)에서의 높이가 H일 때, d/H의 비율이 0.05 ~ 0.20이고, h/E의 비율이 0.60 ~ 0.70일 때, 최적의 노치(403_1) 깊이가 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프레임 단변부(402)에 형성된 노치(403_2)의 깊이(d')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 단변부(402)의 중심점에서의 높이가 F이고, h' = F - d'일 때, d'/H의 비율이 0.05 ~ 0.20이고, h'/F의 비율이 0.70 ~ 0.75일 때, 최적의 노치 (403_2) 깊이가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변부 끝단(405)에 형성되는 노치(403_1)(403_2)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은,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부의 소정 위치에 노치를 형성시켜, 서포트 프레임 제작시에 서포트 프레임 변부 코너부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서포트 프레임의 열팽창에 의한 도밍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음극선관에 채용된어 섀도우 마스크를 지지해 주는 서포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 소정 위치에는, 서포트 프레임 변부 끝단의 성형 작업시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위치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로부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노치까지의 길이가 A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길이 중심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까지의 길이가 B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노치까지의 길이가 C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길이 중심으로부터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까지의 길이가 D일 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에서 A/B의 비율이 0.10 ~ 0.16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에서 C/D의 비율이 0.08 ~ 0.18인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폭은,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노치 폭(W)에 대하여 W/B의 비율이 0.02 ~ 0.04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노치 폭(W')에 대하여 W'/D의 비율이 0.02 ~ 0.06인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깊이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노치 깊이가 d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 중심에서의 높이가 E이고, h = E - d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노치 깊이가 d'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 중심에서의 높이가 F이고, h' = F - d'이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 변부의 코너부에서의 높이가 H일 때,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장변부에서 d/H의 비율이 0.05 ~ 0.20이고, h/E의 비율이 0.60 ~ 0.70이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변부에서 d'/H의 비율이 0.05 ~ 0.20이고, h'/F의 비율이 0.70 ~ 0.75인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KR1020000007554A 2000-02-17 2000-02-17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KR20010081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554A KR20010081639A (ko) 2000-02-17 2000-02-17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US09/782,031 US20010015609A1 (en) 2000-02-17 2001-02-14 Support frame for cathode-ray tube
CN01103995A CN1309410A (zh) 2000-02-17 2001-02-16 阴极射线管的支承框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554A KR20010081639A (ko) 2000-02-17 2000-02-17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639A true KR20010081639A (ko) 2001-08-29

Family

ID=1964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554A KR20010081639A (ko) 2000-02-17 2000-02-17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10015609A1 (ko)
KR (1) KR20010081639A (ko)
CN (1) CN13094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7808A1 (fr) * 2003-07-17 2005-01-21 France Telecom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entre un emetteur et un recepteur relies entre eux par un dispositif intermediaire
ITMI20031473A1 (it) * 2003-07-18 2005-01-19 Videocolor Spa Gruppo quadro-maschera per tubo a raggi catodic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9410A (zh) 2001-08-22
US20010015609A1 (en) 200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1639A (ko)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KR100489604B1 (ko) 평면 칼라 음극선관
KR100389541B1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US6432592B1 (en) Shadow mask for color CRT
KR10041802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40376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390462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00510903B1 (ko) 칼라음극선관용 펀넬
KR100404576B1 (ko) 개선된 마스크 지지체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
KR10021377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94000654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205407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100468427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18028B1 (ko) 컬러음극선관
KR100350622B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50091308A (ko) 평면형 음극선관
US6879092B2 (en) Structure of slot feature for shadow mask
KR20040068375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50005183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50006575A (ko)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KR20050000583A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20020095376A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20020058297A (ko)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20070109161A (ko) 칼라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