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903B1 - 칼라음극선관용 펀넬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용 펀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903B1
KR100510903B1 KR10-2003-0004093A KR20030004093A KR100510903B1 KR 100510903 B1 KR100510903 B1 KR 100510903B1 KR 20030004093 A KR20030004093 A KR 20030004093A KR 100510903 B1 KR100510903 B1 KR 10051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equation
panel
diameter
referenc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114A (ko
Inventor
윤태석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9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과 그 위치에서의 수직단면의 펀넬 외곽경 및 화면 크기와 레퍼런스 라인에서의 펀넬 외곽경을 최적화 시킴으로써, 음극선관의 고휘도화나 고주파화를 만족시켜 편향 전력이나 누설자장을 절감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장단축의 비가 16:9인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되며 수직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요크부와, 네크부가 형성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단축외곽경을 2V, 장축외곽경을 2H라 하고, 패널에 있는 유효면의 단축거리를 A, 장축거리를 B라고 할 때, 하기(식 1),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110 < 2V/A < 0.145 ------------- (식 1)
0.095 < 2H/B < 0.135 ------------- (식 2)

Description

칼라음극선관용 펀넬{A Funnel of Color CRT}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우선 도 1과 같은 브라운관에서 패널(1)이라는 전면유리와 펀넬(2)라는 후면유리가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발광역할을 하는 형광면(4)과 형광면을 발광시키는 전자빔(6)의 근원인 전자총(11)과 소정의 형광체를 발광시키도록 색을 선별해주는 새도우마스크(3), 또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7)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를 패널에 결합되도록 해주는 스프링(8)과 음극선관이 동작 중 외부 지자기에 영향을 적게 받도록 차폐 역할을 해주는 인너쉴드(9)가 프레임(7)에 고정된 채로 고진공으로 밀폐되어 있다.
상술한 브라운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펀넬(2)의 네크(Neck)에 내장된 전자총(11)에서 전자빔(6)이 음극선관에 인가된 양극전압에 의해서 패널(1)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4)을 타격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전자빔(6)은 형광면에 도달하기 전 편향 요크(5)에 의해서 상하, 좌우로 편향되어 화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전기 전자빔(6)이 정확히 소정의 형광체를 타격하도록 그 진행궤도를 수정해주는 2,4,6극의 마그네트(Magnet)(10)가 있어, 색순도 불량을 방지해 준다.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세 명칭은 도 2에 도시되었다.
패널(2)의 TOR은 탑 오브 라운드(Top of round)로 펀넬을 성형할 때, 금형과 금형이 맞물려 형성되는 부분이며, R/L은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으로 펀넬 설계상의 기준 치수가 되는 곳이다.
또한, 편향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넬의 R/L의 중심에서 패널에서의 유효화면 대각방향까지의 각도( theta )를 의미한다.
상기 음극선관에 있어서, 종래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펀넬의 요크부(20)를 사각형상으로 구성하여,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빗금친 부분의 면적만큼 누설자계를 방지하여 편향 요크(5)가 편향 시에 감도가 향상되어지므로, 텔레비전 세트에서는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 97-7704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장단축의 비가 4:3인 경우에, 편향요크부에서 하기와 같은 범위를 갖는다.
(H : 요크부 외곽의 장축 길이/2, V : 요크부 외곽의 단축 길이/2, l : 요크부 외곽의 대각 길이/2, △H : L-H, △V : L-V, △HV : △H+△V)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4:3의 스크린 비율로 형성된 음극선관에 최적 설계되어져 있지만, 16:9 비율의 스크린에 적용 시에는 수직단면의 단축길이가 더 작아짐으로, 편향 전력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에 있는 유효면의 단축거리(A), 장축거리(B), 및 대각축거리(C)에 대한 펀넬(1)의 R/L에서 펀넬(1)의 수직단면 단축외곽경(2V)과, 장축외곽경(2H), 및 대각축외곽경(2L)의 각각의 비는 다음과 같다.
(1) R/L의 단축외곽경(2V)/유효면 단축거리(A)=14.7%
(2) R/L의 장축외곽경(2H)/유효면 장축거리(B)=9.4%
(3) R/L의 대각축외곽경(2L)/유효면 대각축거리(C)=8.89%
또한,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넬 실(Seal) 면에서 R/L까지의 관축 거리(K)에 대한 펀넬(1)의 R/L에서 펀넬의 수직단면 단축외곽경(2V)과, 장축외곽경(2H), 및 대각축외곽경(2L)의 각각의 비는 다음과 같다.
(1) R/L의 단축외곽경(2V)/실(Seal)면-R/L까지의 관축거리(k)=23.6%
(2) R/L의 장축외곽경(2H)/실(Seal)면-R/L까지의 관축거리(k)=26.8%
(3) R/L의 대각축외곽경(2L)/실(Seal)면-R/L까지의 관축거리(k)=29.14%
상기 음극선관의 유효면 크기와 R/L의 위치 및 펀넬 요크부 수직단면의 각 외곽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만, 이러한 범위의 종래의 기술은 상술한 설계 요소의 최적화 된 범위가 정해져 있지 않아 타 모델 적용 시 편향 전력을 최소화하여 텔레비전에서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단축의 비가 16:9이고, 수직단면이 사각형상(RAC type)의 펀넬 요크부를 가지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펀넬의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과 그 위치에서의 수직단면의 펀넬 외곽경 및 유효화면 크기와 레퍼런스 라인에서의 펀넬 외곽경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음극선관의 고휘도화나 고주파화를 만족시켜 편향 전력이나 누설자장을 절감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장단축의 비가 16:9인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되며 수직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요크부와, 네크부가 형성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단축외곽경을 2V, 장축외곽경을 2H라 하고, 패널에 있는 유효면의 단축거리를 A, 장축거리를 B라고 할 때, 하기(식 1),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110 < 2V/A < 0.145 ------------- (식 1)
0.095 < 2H/B < 0.135 ------------- (식 2)
또 다른 기술적 해결수단으로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장단축의 비가 16:9인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되며 수직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요크부와, 네크부가 형성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단축외곽경을 2V, 장축외곽경을 2H라 하며, 상기 펀넬과 패널이 만나는 실(Seal)면에서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까지의 관축거리를 k라 할 때, 하기(식 4),(식 5)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18 < 2V/k < 0.235 ------------- (식 4)
0.27 < 2H/k < 0.32 ------------- (식 5)
제 3의 기술적 해결수단으로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장단축의 비가 16:9인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되며 수직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요크부와, 네크부가 형성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대각축외곽경을 2L이라 하고, 패널에 있는 유효면의 대각축거리를 C라 할 때, 하기(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9 < 2L/C < 0.15 ------------- (식 3)
그리고 제 4의 기술적 해결수단으로는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장단축의 비가 16:9인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되며 수직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요크부와, 네크부가 형성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대각축외곽경을 2L라 하고, 상기 펀넬과 패널이 만나는 실(Seal)면에서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까지의 관축거리를 k라고 할 때, 하기(식 6)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295 < 2L/k < 0.34 ------------- (식 6)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원형 타입의 요크부(20)를 설계할 때에는 편향요크(5)가 동작 시 화면에 그림자(BSN)가 발생하지 않기 위한 대각 길이를 선정한다. 그리고, 상기 편향 길이를 펀넬의 요크부(2)의 수직단면의 반경으로 가지는 원형 형상으로 펀넬의 요크부(20)를 형성한다.
만약,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넬 요크부에서 임의지점의 반경을 50㎜로 가정하고, 개선된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의 설계를 비교하면, △HV/L이 대략 0.6미만으로 설계가 되어 있으며, 상기 설계된 개념은 하기 표 1에 제시한 것과 같다.
[표 1] 각 타입별 펀넬에서 편향요크부 단면 비교 표.
Type 외곽경 대각가도 장축거리 단축거리 면적 면적감소율 △HV/L
4:3 50mm 40.00° 40.00mm 30.00mm 1200㎣ 0 0.60
16:9 50mm 29.37° 43.58mm 24.51mm 1068㎣ 10.97% 0.64
하지만, 상기 표 1에 따른 면적의 증감을 나타난 도 6을 보면, 16:9의 스크린 비로 설계하고, 4:3 대비 단축과 장축의 편향면적의 증감을 비교하였을 때에 10.979%감소하는 면적을 가지므로, 상기의 감소되는 면적만큼 편향 전력이 과설계 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의 장단축 비가 16:9일 때 △HV/L는 대략 0.64인데 전자빔(6)과 펀넬(2)과의 간격에 여유가 있으므로, 편향전력을 감소하기 위해 펀넬의 장축부를 통상적으로 스크린의 장단축 비가 4:3일 경우와 장축거리를 동일하게 하면, 4:3의 스크린부 대비 11% 펀넬의 요크부(20) 면적의 축소가 가능하여 편향전력의 최적화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이 때의 △HV/L이 대략 0.64 이상의 크기를 갖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크의 강도와 BSN의 특성을 확보하면서 모델의 변화에 쉽게 적용이 가능한 주요 설계 인자의 최적화가 가능한 범위 특히, 16:9 와이드 스크린 타입의 사각 콘(Cone)부를 갖는 칼라브라운관에 있어서, 유효면의 단축(A), 장축(B) 및 대각축(C)거리와 펀넬 R/L에서의 수직단면 외곽경(2V,2H,2L)의 비를 하기와 같이 형성한다.
(1) R/L의 단축외곽경(2V)/유효면 단축거리(A)=11%~14.5%
(2) R/L의 장축외곽경(2H)/유효면 장축거리(B)=9.5%~13.5%
(3) R/L의 대각축외곽경(2L)/유효면 대각축거리(C)=9%~15%
또한, 펀넬 실(Seal) 면에서 레퍼런스 라인까지의 관축 거리(K)에 대한 펀넬의 R/L에서 펀넬의 수직단면 단축외곽경(2V)과, 장축외곽경(2H), 및 대각축외곽경(2L)의 각각의 비는 다음과 같이 형성한다.
(1) R/L의 단축외곽경(2V)/실(Seal)면-R/L까지의 관축거리(k)=18%~23.5%
(2) R/L의 장축외곽경(2H)/실(Seal)면-R/L까지의 관축거리(k)=27%~32%
(3) R/L의 대각축외곽경(2L)/실(Seal)면-R/L까지의 관축거리(k)=29.5%~34%
상기와 같은 범위로 설계하면, 감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편향요크의 수평 코일(Coil)을 전자빔(6)에 근접시키기 위해서는 단축거리를 축소하고, BSN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축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 의한 32인치 모델에 적용한 실시예를 비교한 표 2 및 표 3을 보면, 실질적으로 편향요크의 감도가 대각축에서 전술한 내용과 같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표 2] RL에서 펀넬 외곽경 대비 유효화면
R/L에서 외곽경(㎜) 유효면의 크기(㎜) R/L 외곽경/유효면크기(%)
장축 단축 대각 장축 단축 대각 장축 단축 대각
와이드(16:9) 본 발명 66.20 50.70 71.58 662.40 372.60 760.00 9.99 13.61 9.42
종래기술 62.24 54.76 67.58 662.40 372.60 760.00 9.40 14.70 8.89
[표 3] RL에서 펀넬 외곽경 대 실(Seal)면에서 레퍼런스 거리 비
RL 위치(㎜) 외곽경/RL위치(%)
장축 단축 대각
와이드(16:9) 본 발명 224.7 29.46 22.56 31.86
종래기술 231.9 26.84 23.61 29.14
또한, 펀넬의 네크 축 방향의 외형을 네크 측에서 패널 방향으로 점점 원형으로부터 상기 장축 및 단축 방향 이외의 방향에 최대경을 갖는 비원형 형상으로 변화하고, 또한 그 최대경의 반경을 L, 이 최대 반경 L과 장축 방향 반경과의 차이를 △H, 최대 반경 L과 단축방향 반경과의 차이를 △V로 하여, 이들 △H와 △V와의 합을 △HV라고 할 경우 편향요크부의 패널 측단부 부근에 있어서, 0.6<△HV/L<0.75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의 관계범위는 스크린이 16:9일 경우 최적화 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한 그래프와 같이 변화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과 그 위치에서의 펀넬 외곽경 및 화면 크기와 레퍼런스 라인에서의 펀넬 외곽경을 최적화 시킴으로써, 음극선관의 고휘도와, 고주파를 이루도록 하여, 편향전력 및 누설 자장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칼라음극선관의 개략도.
도 2는 칼라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3은 원형 펀넬요크부와 사각 펀넬요크부의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레퍼런스라인에서의 외곽경과, 유효면의 단, 장, 대각축의 관계 및 실면에서 R/L까지의 관축거리의 관계를 나타낸 도.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HV/L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크린 비율에 따른 펀넬 요크부의 수직단면의 면적차이에 의한 과편향부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HV/L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을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패널 2:펀넬
5:편향요크 A:유효면의 단축길이
B:유효면의 장축길이 C:유효면의 대각축길이
2V:레퍼런스라인에서의 단축외곽경 길이
2H:레퍼런스라인에서의 장축외곽경 길이
2L:레퍼런스라인에서의 대각축 외곽경 길이
k:실(Seal)면에서 레퍼런스라인까지의 관축거리

Claims (12)

  1.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장단축의 비가 16:9인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되며 수직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요크부와, 네크부가 형성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단축외곽경을 2V, 장축외곽경을 2H라 하고, 패널에 있는 유효면의 단축거리를 A, 장축거리를 B라고 할 때, 하기(식 1),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11 < 2V/A < 0.145 ------------- (식 1)
    0.095 < 2H/B < 0.135 ------------- (식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대각축외곽경을 2L이라고 하고, 패널에 있는 유효면의 대각축거리를 C라고 할 때, 하기(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09 < 2L/C < 0.15 ------------- (식 3)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단축외곽경을 2V라 하고, 장축외곽경을 2H라 하며, 상기 펀넬과 패널이 만나는 실(Seal)면에서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까지의 관축거리를 K라 할 때, 하기(식 4),(식 5)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18 < 2V/K < 0.235 ------------- (식 4)
    0.27 < 2H/K < 0.32 ------------- (식 5)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대각축외곽경을 2L라 할 때, 하기(식 6)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295 < 2L/K < 0.34 ------------- (식 6)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 요크부의 수직단면형상이 네크실(Neck Seal)에서 펀넬부로 갈수록, 원형에서 단축 및 장축 이외의 방향에 최대 직경을 갖는 비원형으로 변화하고,
    상기 최대직경의 반직경을 L이라 하고, 장축방향의 반직경을 H라 하며, 단축방향의 반직경을 V라 하고, 상기 L과 H의 차를 △H라 하고, L과 V의 차를 △V라 하며, 상기 △H와 △L의 합을 △HL라 할 때, 펀넬의 실(Seal)면 부근에서 하기 (식 7)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6 < △HV/L < 0.75 ------------- (식 7)
  6.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장단축의 비가 16:9인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되며 수직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요크부와, 네크부가 형성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단축외곽경을 2V, 장축외곽경을 2H라 하며, 상기 펀넬과 패널이 만나는 실(Seal)면에서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까지의 관축거리를 k라 할 때, 하기(식 4),(식 5)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18 < 2V/k < 0.235 ------------- (식 4)
    0.27 < 2H/k < 0.32 ------------- (식 5)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대각축외곽경을 2L라 할 때, 상기 K와의 관계가 하기(식 6)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295 < 2L/K < 0.34 ------------- (식 6)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있는 유효면의 대각축거리를 C라고 할 때, 하기(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09 < 2L/C < 0.15 ------------- (식 3)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 요크부의 수직단면형상이 네크실(Neck Seal)에서 펀넬부로 갈수록, 원형에서 단축 및 장축 이외의 방향에 최대 직경을 갖는 비원형으로 변화하고,
    상기 최대직경의 반직경을 L이라 하고, 장축방향의 반직경을 H라 하며, 단축방향의 반직경을 V라 하고, 상기 L과 H의 차를 △H라 하고, L과 V의 차를 △V라 하며, 상기 △H와 △L의 합을 △HL라 할 때, 펀넬의 실(Seal)면 부근에서 하기 (식 7)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6 <△HV/L < 0.75 ------------- (식 7)
  10.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장단축의 비가 16:9인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되며 수직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요크부와, 네크부가 형성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대각축외곽경을 2L이라 하고, 패널에 있는 유효면의 대각축거리를 C라 할 때, 하기(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09 < 2L/C < 0.15 ------------- (식 3)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펀넬과 패널이 만나는 실(Seal)면에서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까지의 관축거리를 k라 할 때, 하기(식 6)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295 < 2L/K < 0.34 ------------- (식 6)
  12. 내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장단축의 비가 16:9인 패널과, 상기 패널에 결합되며 수직단면형상이 사각형인 요크부와, 네크부가 형성된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장착되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요크부에 장착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펀넬의 레퍼런스 라인(Reference Line)에서의 수직단면 대각축외곽경을 2L라 하고, 상기 펀넬과 패널이 만나는 실(Seal)면에서 레퍼런스라인(Reference Line)까지의 관축거리를 k라고 할 때, 하기(식 6)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0.295 < 2L/K < 0.34 ------------- (식 6)
KR10-2003-0004093A 2003-01-21 2003-01-21 칼라음극선관용 펀넬 KR10051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93A KR100510903B1 (ko) 2003-01-21 2003-01-21 칼라음극선관용 펀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093A KR100510903B1 (ko) 2003-01-21 2003-01-21 칼라음극선관용 펀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114A KR20040067114A (ko) 2004-07-30
KR100510903B1 true KR100510903B1 (ko) 2005-08-30

Family

ID=3735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093A KR100510903B1 (ko) 2003-01-21 2003-01-21 칼라음극선관용 펀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9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114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0903B1 (ko) 칼라음극선관용 펀넬
KR100605761B1 (ko) 음극선관
KR100468421B1 (ko) 칼라 음극선관
CN1236472C (zh) 阴极射线管的玻壳结构
KR100502465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
KR100413446B1 (ko) 칼라수상관
KR100811686B1 (ko) 칼라음극선관
KR200333854Y1 (ko) 칼라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10090733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KR100404576B1 (ko) 개선된 마스크 지지체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
KR100612314B1 (ko) 음극선관
KR100447661B1 (ko) 상하주사형 칼라음극선관
US7355331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778395B1 (ko) 음극선관
KR100426013B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10081639A (ko) 음극선관용 서포트 프레임
KR20030091137A (ko)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20040032276A (ko) 음극선관용 펀넬
KR20040067111A (ko)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상장치
KR20040068375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40105936A (ko) 음극선관
KR20040046132A (ko) 프로젝션 표시장치용 모노크롬 음극선관
KR20030092837A (ko) 편향요크용 페라이트코어
KR20040068383A (ko) 칼라 음극선관
KR20050011261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 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